KR20210112048A -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48A
KR20210112048A KR1020200027128A KR20200027128A KR20210112048A KR 20210112048 A KR20210112048 A KR 20210112048A KR 1020200027128 A KR1020200027128 A KR 1020200027128A KR 20200027128 A KR20200027128 A KR 20200027128A KR 20210112048 A KR20210112048 A KR 2021011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fluid
motor
outer tub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02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048A/ko
Publication of KR2021011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02K9/193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with provision for replenishing the cooling medium;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는, 샤프트가 고정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 배치되는 스테이터가 구비된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해서 출력하는 기어 부재가 구비된 감속부, 및 상기 감속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체가 상기 모터부를 거쳐 상기 감속부로 회수되도록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TRACTION MOTOR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트랙션 모터로 휠을 회전시켜서 구동하는 자동차이며, 도 1은 전기자동차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는 트랙션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지 시스템(10)과, 전지 시스템(10)을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20)과, 트랙션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40)과, 전술한 각각의 시스템이 장착되는 차체 시스템(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시스템(40)에는 공급되는 전류를 변환해 주는 인버터와 인버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서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출력되는 트랙션 모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트랙션 모터에는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해서 출력하는 감속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랙션 모터와 감속기는 내부를 흐르는 전류 및 고속 회전으로 인해 발열량이 매우 크므로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서는 트랙션 모터와 감속기의 효율적인 냉각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종래의 감속기 중 윤활을 위한 오일을 이용해서 감속기를 냉각시키는 유냉 감속기의 경우 감속을 위한 기어가 오일에 일부 잠긴 상태에서 기어가 회전할 때 오일이 비산되는 것을 이용해서 감속기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기어의 회전을 이용한 오일 비산을 이용하게 되면 발열량이 큰 특정 부분의 냉각 성능 향상이 어렵게 되고, 기어가 고속 회전하는 경우에는 기어 주변에만 오일이 비산되면서 오일이 닿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균일한 냉각 성능 확보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속기 내부에 많은 양의 오일을 주입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감속기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오일양 증가로 인한 제조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게 되므로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트랙션 모터의 경우 전류로 인해 로터나 스테이터가 주요 발열원이 되는데, 스테이터는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므로 직접적인 냉각이 가능하나, 고속 회전하는 로터의 경우 직접 냉각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모터 성능 확보를 위해 고온에 견디는 자석이나,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제조 원가 상승하게 되므로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426호(2019.03.08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속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 유체를 이용해서 모터부 및 감속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는, 샤프트가 고정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 배치되는 스테이터가 구비된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해서 출력하는 기어 부재가 구비된 감속부, 및 상기 감속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체가 상기 모터부를 거쳐 상기 감속부로 회수되도록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속부에는 상기 기어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내부에 냉각 유체가 수용된 감속부측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감속부측 하우징에 수용된 냉각 유체를 흡입해서 상기 모터부로 토출하는 펌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로터 및 상기 기어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내측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감속부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1 외부 유로가 형성된 모터부측 외측 튜브와,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를 경유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2 외부 유로가 형성된 감속부측 외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에는 상기 제2 외부 유로를 흐르는 냉각 유체가 상기 감속부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외측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터가 결합되고,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 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순환부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2 내부 유로가 형성된 감속부측 내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내측 튜브를 경유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1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모터부측 내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측 내측 튜브에는 상기 제1 내부 유로를 흐르는 냉각 유체가 상기 제1 외부 유로로 분사되도록 내측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측 내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내측 튜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 부재에는 흡입되는 냉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는 모터부와 감속부가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순환부에 구비된 펌프 부재를 이용해서 감속부의 냉각 유체가 모터부를 거쳐 감속부로 회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부와 감속부의 효율적이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터부의 샤프트가 감속부에 구비된 기어 부재에 일체로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샤프트의 내부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모터부와 감속부의 직접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샤프트에는 감속부의 내부에 발열량이 큰 부분이나, 냉각 유체가 비산되어도 닿지 않는 부분에 냉각 유체가 직접 분사되도록 외측 분사홀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설계 사양에 맞게 외측 분사홀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해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감속부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된다.
아울러 로터가 설치되어 회전하는 외측 튜브의 내부에 냉각 유체가 직접 분사되도록 내측 분사홀이 형성되어 모터부의 로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전기자동차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모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모터의 냉각을 위한 냉각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전기자동차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는 트랙션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지 시스템(10)과, 전지 시스템(10)을 충전하는 충전 시스템(20)과, 트랙션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40)과, 전술한 각각의 시스템이 장착되는 차체 시스템(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시스템(40)에는 공급되는 전류를 변환해 주는 인버터(41)와 인버터(4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서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출력되는 트랙션 모터(4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트랙션 모터(42)에는 구동력이 직접 출력되는 모터부(100)와, 회전 속도를 감속해서 출력하는 감속부(2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모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100)에는 샤프트(110)가 고정된 로터(120)와, 이러한 로터(120)와 대향 배치되는 스테이터(130)가 구비된다. 또한, 샤프트(11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샤프트(110)를 지지하는 베어링(140)과, 로터(120) 회전시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150)도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부(100)의 구성은 모터부측 하우징(160)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속부(200)에는 모터부(100)에 연결되어 샤프트(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기어 부재(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기어 부재(210)를 감싸고 있는 감속부측 하우징(230)의 내부에는 감속부(2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체(220)가 수용되며, 기어 부재(210)는 이러한 냉각 유체(220)에 일부 잠기게 배치되어 기어 부재(210) 회전 시 냉각 유체(220)가 비산되면서 감속부(200)가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감속부측 하우징(230)에는 냉각 유체(220)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트랙션 모터(42)에는 감속부(200)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체(220)가 모터부(100)를 거쳐 감속부(200)로 회수되도록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부(300)가 구비된다. 즉, 모터부(100)와 감속부(200)가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순환부(300)를 이용해서 모터부(100)와 감속부(200)를 직접 냉각하게 되므로 모터부(100)와 감속부(200)의 효율적이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모터의 냉각을 위한 냉각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부(200)에는 기어 부재(210)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내부에 냉각 유체(220)가 수용된 감속부측 하우징(230)이 구비되고, 순환부(300)는 감속부측 하우징(230)에 수용된 냉각 유체(220)를 흡입해서 모터부(100)로 토출하는 펌프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트랙션 모터(42)에 일체로 구비된 감속부(200)는 기본적으로 기어 부재(210) 회전 시 감속부측 하우징(230) 내부에 수용된 냉각 유체(220)가 비산되면서 감속부(200)가 냉각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펌프 부재(310)를 이용해서 이러한 냉각 유체(220)가 모터부(100)와 감속부(200)를 순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부(100)와 감속부(200)의 효율적이 냉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는 로터(120) 및 기어 부재(210)와 함께 회전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111)와, 이러한 외측 튜브(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내측 튜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샤프트(110)가 모터부(100)에서 감속부(200)까지 연장 형성되되, 이러한 샤프트(110)를 중공의 외측 튜브(111)와 중공의 내측 튜브(112)로 구성함으로써 감속부(200)에 수용된 냉각 유체(220)를 이용한 직접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외측 튜브(111)는 감속부(200)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220)가 흐르도록 제1 외부 유로(to1)가 형성된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와,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를 경유한 냉각 유체(220)가 흐르도록 제2 외부 유로(to2)가 형성된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펌프 부재(310)를 통해 감속부(200)에 수용된 냉각 유체(220)가 모터부(100)로 공급되면 이러한 냉각 유체(220)는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에 형성된 제1 외부 유로(to1)를 따라 흐르면서 모터부(100)를 직접 냉각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외부 유로(to1)를 통해 흐르는 냉각 유체(220)는 모터부(100)를 냉각시킨 후에 감속부(200)로 이동하게 되며, 냉각 유체(220)는 감속부(200)의 직접적인 냉각을 위해 제2 외부 유로(to2)가 형성된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부 유로(to2)를 흐르는 냉각 유체(220)가 감속부(200)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외측 분사홀(th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부(100)를 냉각시킨 냉각 유체(220)가 감속부(200)로 이동한 후에 이러한 외측 분사홀(th1)을 통해 감속부(200) 내부로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부(200)의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부(200)는 기본적으로 기어 부재(210) 회전 시 냉각 유체(220)가 비산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 분사홀(th1)을 통해 감속부(200)로 이동한 냉각 유체(220)가 분사되면서 감속부(200)를 직접 냉각하도록 구성되므로 감속부(200)의 내부에 발열량이 큰 부분이나, 냉각 유체(220)가 비산되어도 닿지 않는 부분까지 냉각 유체(220)가 직접 분사되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측 분사홀(th1)은 설계 사양에 맞게 그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해서 형성함으로써 감속부(200)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의 외주면에는 로터(120)가 결합되고,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의 외주면에는 기어 부재(210)가 결합되되, 이러한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와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부(100)에 구비된 샤프트(110)가 감속부(200)까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 유체(220)가 모터부(100)를 냉각시킨 후에 감속부측 외측 튜브(111b)로 직접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냉각 유체(220)의 이동 경로가 단순화되어 냉각 유체(220)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내측 튜브(112)는 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220)가 흐르도록 제2 내부 유로(ti2)가 형성된 감속부측 내측 튜브(112b)와, 이러한 감속부측 내측 튜브(112b)를 경유한 냉각 유체(220)가 흐르도록 제1 내부 유로(ti1)가 형성된 모터부측 내측 튜브(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펌프 부재(310)는 감속부(200)에 수용된 냉각 유체(220)를 흡입해서 내측 튜브(112)로 토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토출된 냉각 유체(220)는 제2 내부 유로(ti2)가 형성된 감속부측 내측 튜브(112b)와 제1 내부 유로(ti1)가 형성된 모터부측 내측 튜브(112a)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모터부(1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부측 내측 튜브(112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유로(ti1)를 흐르는 냉각 유체(220)가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에 형성된 제1 외부 유로(to1)로 분사되도록 내측 분사홀(th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감속부(200)의 내부에 비산되는 냉각 유체(220)가 내측 튜브(112)를 통해 모터부(100)로 공급된 상태에서 내측 분사홀(th2)을 통해 모터부측 외측 튜브(111a)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120)의 직접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외측 튜브(111)의 경유 로터(120)나 기어 부재(210)가 직접 결합되므로 고속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으나, 내측 튜브(112)의 경우 회전하지 않고 단순히 냉각 유체(220)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모터부측 내측 튜브(112a)와 감속부측 내측 튜브(11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부(100)에 구비된 샤프트(110)가 감속부(200)까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 유체(220)의 이동 경로가 단순화되어 냉각 유체(220)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펌프 부재(310)에는 흡입되는 냉각 유체(220)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냉각 유체(220)는 감속부(200) 내부에서 직접 비산되면서 감속부(2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 과정에서 기어 부재(210)의 동작으로 인해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이 펌프 부재(310)로 유입될 경우 펌프 부재(3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320)가 구비되면 펌프 부재(3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전지 시스템 20 : 충전 시스템
30 : 차체 시스템 40 : 구동 시스템
41 : 인버터 42 : 트랙션 모터
100 : 모터부 110 : 샤프트
111: 외측 튜브 111a : 모터부측 외측 튜브
111b : 감속부측 외측 튜브 112 : 내측 튜브
112a : 모터부측 내측 튜브 112b : 감속부측 내측 튜브
120 : 로터 130 : 스테이터
140 : 베어링 150 : 엔드 플레이트
160 : 모터부측 하우징 200 : 감속부
210 : 기어 부재 220 : 냉각 유체
230 : 감속부측 하우징 240 : 씰링
300 : 순환부 310 : 펌프 부재
320 : 필터 부재 to1 : 제1 외부 유로
to2 : 제2 외부 유로 ti1 : 제1 내부 유로
ti2 : 제2 내부 유로 th1 : 외측 분사홀
th2 : 내측 분사홀

Claims (8)

  1. 샤프트가 고정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 배치되는 스테이터가 구비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해서 출력하는 기어 부재가 구비된 감속부; 및
    상기 감속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체가 상기 모터부를 거쳐 상기 감속부로 회수되도록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에는 상기 기어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내부에 냉각 유체가 수용된 감속부측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감속부측 하우징에 수용된 냉각 유체를 흡입해서 상기 모터부로 토출하는 펌프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로터 및 상기 기어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의 내측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는 상기 감속부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1 외부 유로가 형성된 모터부측 외측 튜브와,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를 경유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2 외부 유로가 형성된 감속부측 외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에는 상기 제2 외부 유로를 흐르는 냉각 유체가 상기 감속부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외측 분사홀이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터가 결합되고,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 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모터부측 외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외측 튜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순환부로부터 공급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2 내부 유로가 형성된 감속부측 내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내측 튜브를 경유한 냉각 유체가 흐르도록 제1 내부 유로가 형성된 모터부측 내측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측 내측 튜브에는 상기 제1 내부 유로를 흐르는 냉각 유체가 상기 제1 외부 유로로 분사되도록 내측 분사홀이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측 내측 튜브와 상기 감속부측 내측 튜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부재에는 흡입되는 냉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KR1020200027128A 2020-03-04 2020-03-04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KR20210112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28A KR20210112048A (ko) 2020-03-04 2020-03-04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28A KR20210112048A (ko) 2020-03-04 2020-03-04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48A true KR20210112048A (ko) 2021-09-14

Family

ID=7777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128A KR20210112048A (ko) 2020-03-04 2020-03-04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0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426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426A (ko)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1199B2 (ja) 駆動ユニット
JP5715299B2 (ja) 回転電機
US20130057117A1 (en) In-wheel motor drive device
US20140364263A1 (en) Motor
JP5734232B2 (ja) モータ
KR20120038301A (ko) 하이브리드 자용차의 모터/제너레이터 냉각 시스템
JP2016181954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369171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機ユニット
WO2019208083A1 (ja) モータユニット
WO2019208081A1 (ja)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車両駆動装置
WO2020032026A1 (ja) モータユニット
CN210183118U (zh) 用于皮带驱动电机总成的冷却装置和皮带驱动电机总成
WO2019208084A1 (ja)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5157604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2004222354A (ja) 動力出力装置
WO2019124243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210112048A (ko) 전기자동차용 트랙션 모터
JP200623009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タ冷却構造
JP201608649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364948B2 (ja) 回転電機の冷却構造
JP2016183717A (ja)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
WO2019208082A1 (ja) モータユニット
JP3775363B2 (ja) 複軸多層モータの冷却構造
JP2017124749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19119402A (ja) 潤滑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