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848A -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848A
KR20210111848A KR1020217025246A KR20217025246A KR20210111848A KR 20210111848 A KR20210111848 A KR 20210111848A KR 1020217025246 A KR1020217025246 A KR 1020217025246A KR 20217025246 A KR20217025246 A KR 20217025246A KR 20210111848 A KR20210111848 A KR 2021011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flow path
temperature
hollow rod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오기하라
아쓰시 나가사키
가즈히로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4700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554A/ko
Publication of KR202101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27Cooling of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27Cooling of preforms
    • B29C49/643Cooling of preforms from the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36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 B29C49/6458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angentially, i.e. along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63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by contact heating or cooling, e.g. mandrels or cor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63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by contact heating or cooling, e.g. mandrels or cor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preforms
    • B29C49/646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8Oven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6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6Temperature
    • B29C2049/7861Temperature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 사이클 시간의 단축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블로성형장치에 있어서의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온도조정하기 위하여,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내에 중공로드부재(18)가 삽입되어, 상기 프리폼(1) 및 중공로드부재(18)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20)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가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외주에 결합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의 단면의 면적이 부분적으로 조정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핫패리슨식(hot harison type)의 블로성형장치(blow 成形裝置)에 있어서의 프리폼(preform)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성형시간이 짧고 고온상태에서 이형(離型)된 프리폼에 대하여도 단시간에 적절한 온도조정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한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프리폼을 사출성형하는 사출성형부와, 사출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된 프리폼을 온도조정하는 온도조정부와, 온도조정부에 의하여 온도조정된 프리폼을 블로성형하는 블로성형부를 구비한 블로성형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종류의 블로성형장치는, 사출성형부 및 블로성형부만을 주로 구비한 종래의 블로성형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에 온도조정부를 추가한 것이다. 사출성형부에서 막 성형된 프리폼은 블로성형에 적당한 온도분포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출성형부와 블로성형부 사이에 보다 적극적으로 프리폼의 온도조정이 가능한 온도조정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리폼을 블로성형에 적당한 온도까지 온도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온도조정부는, 가열포트형틀(가열블록)이나 가열로드를 사용하여 프리폼을 비접촉으로 가열함으로써 온도조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리폼의 바닥부만을 단시간에 그리고 국소적(局所的)으로 냉각하여 바닥부가 두꺼운 용기가 양호하게 성형될 수 있는 온도조정법도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조정 포드형틀의 캐비티내에 프리폼을 삽입하여 프리폼의 바닥부 및 바닥부에 연속하는 몸통부의 하부의 외주면을 온도조정 포드형틀의 하방에 배치된 냉각포트와 냉각로드에 밀착시켜서 확실하게 냉각하고, 바닥부에 연속하는 몸통부의 하부를 제외한 몸통부를 온도조정 포드형틀의 상방에 배치된 가열블록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승온시킴으로써, 블로성형을 하였을 때에 원하는 두께를 구비하는 바닥부와, 균일하게 얇게 연신된 벽부를 구비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로성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또한 프리폼을 사출성형부에 더하여 온도조정부에 의하여도 냉각하여, 성형 사이클 시간을 결정짓는 사출성형시간(구체적으로는 냉각시간)의 단축을 도모한 블로성형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4 참조). 또한 최근에는, 온도조정 포드형틀에 수용된 프리폼내에 중공로드를 삽입하고, 중공로드 외주와 프리폼 내주 사이의 공극(空隙)에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켜서 프리폼 전체를 냉각하여 성형 사이클 시간의 단축 및 용기의 투명화를 도모하는 것도 고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6-315973호 공보 특허문헌2: 국제공개 제2017/098673호 특허문헌3: 국제공개 제2013/012067호 특허문헌4: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5-185493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례의 예에서는, 중공로드 외주와 프리폼 내주 사이의 공극의 반경방향 치수를 미세조정하는 작업이 곤란하여 공극의 단면적이 비교적 커지게 되어야 하고, 공기의 유통속도가 그만큼 저하하기 쉬워 냉각효율이 불충분하였다. 그 결과, 프리폼의 재료로서 블로성형시의 온도대에서 결정화 하기 쉬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완성된 용기가 투명해지지 않고 백화(白化) 또는 백탁화(白濁化)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출성형부에서 이송되어 온 프리폼의 원주방향으로 편온(偏溫,온도가 균일하지 않음)이 있어도 단시간의 온도조정부에서의 처리로서는 해소가 곤란하여, 온도조정부의 후공정의 블로성형부에 있어서 프리폼을 블로성형하여 얻어진 용기의 몸통부에 두께의 불균일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성형 사이클 시간의 단축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용기의 투명화를 도모하면서 두께의 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는 블로성형장치에 있어서의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정류부재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는,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온도조정하기 위하여,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내에 중공로드부재(18)가 삽입되고, 상기 프리폼(1) 및 중공로드부재(18)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20)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가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외주에 결합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의 단면의 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폼의 온도조정방법은,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온도조정부(20)에 있어서 온도조정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방법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를 부착한 중공로드부재(18)를 프리폼(1)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리폼(1) 및 상기 유로조정부재(19)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유로조정부재(19) 및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17a)에 삽입한 후에 제1공기유통로(21a)에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는, 바닥을 구비하는 모양의 프리폼(1)을 사출성형하는 사출성형부(10)와, 상기 사출성형부(10)로 성형된 상기 프리폼(1)을 온도조정하는 온도조정부(20)와, 상기 온도조정부(20)로 온도조정된 상기 프리폼(1)을 블로성형하는 블로성형부(30)를 구비한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100)로서,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내에 중공로드부재(18)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프리폼(1) 및 중공로드부재(18)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는 상기 블로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가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외주에 결합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의 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방법은,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하여 온도조정부(20)에 있어서 온도조정한 후에 블로성형하는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정부(20)에서의 온도조정시에 유로조정부재(19)를 부착한 중공로드부재(18)를 프리폼(1)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리폼(2) 및 상기 유로조정부재(19)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유로조정부재(19) 및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에 삽입한 후에 제1공기유통로(21a)에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 사이클 시간의 단축화가 실현되고, 게다가 완성된 용기의 투명화를 도모하면서 두께의 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는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를 적용한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의 일례인 블로성형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상기 사출성형부에 의하여 사출성형되어 있는 프리폼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3]상기 온도조정부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도3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5]상기 온도조정부의 중공로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6]도6(a) 및 (B)는 각각, 상기 온도조정부에서 사용하는 정류로드의 제1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도면6(A)에서 VIB-VI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7]도7(A) 및 (B)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2실시형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및 도7(A)에서 VIIB-VII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8]도8(A) 및 (B)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3실시형태의 일부 단면 정면도 및 도면8(A)에서 VIIIB-VIII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9]도9(A) 및 (B)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4실시형태의 정면 단면도 및 도면9(A)에서 IXB-IXB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0]도9에 나타낸 정류로드를 온도조정부에서 사용하였을 때의 도4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1]도11(A) 내지 (c)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5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및 도11(A)에서 XIB-XIB선 및 XIC-XIC선을 따른 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2]도12(A) 내지 (c)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6실시형태의 정면 단면도인 도12(B)에서 XIIA-XIIA선을 따른 단면도, 상기 정면 단면도 및 도12(B)에서 XIIC-XIIC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3]도13(A) 및 (B)는 각각, 도12에 나타낸 정류로드가 적용되는 중공로드의 일례의 정면 단면도인 도13(B)에서 XIIIA-XIIIA선을 따른 단면도 및 상기 정면 단면도이다.
[도14]도12, 도13 및 도15에 나타낸 정류로드 및 중공로드를 온도조정부에서 사용하였을 때의 도4에 대응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5]도15(A) 내지 (c)는 각각, 정류로드의 제7실시형태의 정면 단면도인 도15(B)에서 XVA-XVA선을 따른 단면도, 상기 정면 단면도 및 도15(B)에서 XVIC-XVIC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6]도16(A) 및 (B)는 각각, 도15에 나타낸 정류로드가 적용되는 중공로드의 다른 예의 정면 단면도인 도16(B)에서 XVIA-XVIA선을 따른 단면도 및 상기 정면 단면도이다.
[도17]도17(A) 내지 (c)는 각각, 상기 프리폼을 블로성형 한 후에 꺼내진 완성된 용기의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18]도6에 나타낸 정류로드의 단면도이다.
[도19]도19(A) 및 (B)는 각각, 완성된 용기의 두께의 불균일성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실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를 적용한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의 일례인 블로성형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2는, 상기 사출성형부에 의하여 사출성형된 프리폼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3은, 상기 온도조정부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4는 도3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로성형장치(100)는, 사출성형부(10)와 온도조정부(20)와 블로성형부(30)와 취출부(40)를 구비하고 있고, 프리폼(1)을 사출성형부(10)에 의하여 사출성형 한 후에, 최후에 블로성형부(30)에 의하여 블로성형하여 용기(101)(도1 및 도14 참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출성형부(10), 온도조정부(20), 블로성형부(30) 및 취출부(40)는, 위에서 보았을 때에 정4각형의 4개의 변을 형성하는 것 같은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상방에는, 사출성형부(10)에 의하여 성형된 프리폼(1)의 네크부(3)(도2 참조)를 지지하는 네크형틀(50)(도3 참조)이 설치된 회전반(回轉盤)(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반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정4각형의 4개의 변을 형성하는 것 같은 배열로 4조의 네크형틀(50)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반이, 사출성형부(10), 온도조정부(20), 블로성형부(30) 및 취출부(40)상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함으로써 네크형틀(50)에 지지되는 프리폼(1)에 대하여 각 공정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사출성형부(10)는, 사출코어형틀(11), 사출 캐비티 형틀(12) 및 사출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하고, 프리폼(1)을 사출성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출코어형틀(11) 및 사출 캐비티 형틀(12)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냉각회로가 설치되어, 5∼20도 정도의 냉각매체가 흐르고 있다. 프리폼(1)은 열가소성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방측의 네크부(3) 및 폐쇄측의 저장부(본체부)(2)를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모양(바닥을 구비하는 중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장부(2)는, 개방측의 네크부(3)에 연속해 있는 몸통부(2a)와, 폐쇄측에 위치하여 몸통부(2a)에 연속해 있는 바닥부(2b)로 구성되어 있다. 프리폼(1)은, 블로성형 됨으로써 페트병 등의 완성된 용기(102)(도1 및 도14를 참조)가 되는 것으로서, 블로성형후의 용기(102)를 도14에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압축하여 두껍게 한 것 같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사출성형부(10)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재료(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녹이고, 녹인 재료를 사출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사출코어형틀(11)과 사출 캐비티 형틀(12) 및 네크형틀(50)로 획정(劃定)되는 성형공간(成形空間)(캐비티)의 사이에 사출(射出)(충전(充塡))하고, 사출된 재료 중에서 캐비티면에 가까운 부분의 재료를 융점(예를 들면 PET의 경우에는 약255도)보다도 낮은 온도, 예를 들면 20도 정도까지 식혀서 굳힘으로써, 저장부(2)에 표면층(외부층, 외층 또는 스킨층이라고도 한다)을 형성하여 프리폼(1)을 성형하게 되어 있다(본 문서에서 온도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섭씨온도를 지칭한다). 이때에, 프리폼(1)의 저장부(2)의 내부층(내층 또는 코어층이라고도 부른다)은, 성형재료의 융점이하 - 글라스 전이점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예를 들면 150∼200도)하고, 저장부(2)는 블로성형부(30)에 의하여 연신 가능한 열량(熱量)(보유열(保有熱))을 구비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사이클 시간, 즉 프리폼(1)의 성형시간을 종래보다도 단축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리폼의 사출성형시간에 관한 사출시간(충전시간)과 냉각시간 중에서 냉각시간을 종래의 방법보다 현저하게 짧게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냉각시간은 사출시간의 2/3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설정된다.
사출성형부(10)로 사출성형된 후에 어느 정도 굳어진 프리폼(1)은, 네크형틀(50)에 지지된 채로 회전반과 함께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서 사출 캐비티 형틀(12) 및 사출코어형틀(11)로부터 인발(引拔)되고(이형(離型)되고),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반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함으로써 온도조정부(20)로 반송된다.
온도조정부(20)는 사출성형부(10)의 이웃에 배치되어 있고,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의 통형의 에어노즐(16) 및 하방의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노즐(16)의 하단은 프리폼(1)의 네크부(3)에 기밀(氣密) 가능하게 접촉한다.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은 프리폼(1)의 상하방향에서 온도조정을 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단부(段部)(온도조정블록)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부에는, 서로 다르게 된 온도(예를 들면 10도에서 90도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의 온도조정매체(냉각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하, 통형의 에어노즐(16)의 내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18은 프리폼(1)내에 삽입되는 중공로드로서, 도3 내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단에 슬리브(중공피스)(18a)가 결합고착 되고 또한 통형의 에어노즐(16)에 대하여 동심원상(同心圓狀)이고, 또한 상부의 고정부(18b)에 의하여 고착되어 배치된다. 이 중공로드(18)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단의 냉각공기 출구구멍(18c)과 하방의 원주홈(18d)과 내부의 공기유통로(2lb)를 구비한다. 또한 슬리브(18a)는 프리폼(1)의 축방향길이가 길 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리폼(1)의 길이가 짧을 때에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19A는 통형의 유로조정로드(이하, 정류로드라고도 한다)의 제1실시형태로서, 도4 및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주(19a)는 원형 단면(도6(B) 참조)을 구비하고, 또한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점차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며, 상단에 형성된 피결합부(나사구멍)(19b)과, 하단(19c)의 외주에 후술하는 냉각용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도록 형성되는 비교적 큰 만곡면(灣曲面)을 구비한다. 이 원뿔대의 경사각도는 프리폼(1)의 내주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되지만, 이러한 경우에 축선에 대하여 예를 들면 0.34도이다.
이 정류로드(19A)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공로드(18)의 하단 및 슬리브(18a)의 외주에 공통적으로 결합하여 부착되고, 정류로드(19A) 상단에서 결합부재(나사)(24)(도4 참조)를 상기 피결합부(나사구멍(19b))를 통하여 원주홈(18d)에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착된다. 따라서 정류로드(19A)는 중공로드(18)에 대하여 나사체결 형식 등으로 용이하게 착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중공로드(18)에 대하여 다양한 다른 형식의 정류로드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즉 중공로드 자체를 다른 형식의 것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 및 작업공수(作業工數)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에어노즐(16), 중공로드(18) 및 정류로드(19A)는 일체구성(이하, 이러한 일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에어유출입부재라고 부를 수도 있다)이 되고, 구동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일체적으로 승강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네크형틀(50)에 의해 지지된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포트 캐비티(17a)(도4 참조)내로 삽입하여 에어유출입부재를 하강시켜서 네크부(3)에 접촉시켰을 때에, 냉각공기 유입구(16a)(도3 참조)로부터 유입된 냉각공기(압축공기)가 에어노즐(16) 내주로부터 흐르도록, 정류로드(19A) 외주와 프리폼(1) 내주 사이에 링모양 단면의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고, 또한 정류로드(19A)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 냉각후의 공기가 슬리브(18a)의 하단개구로부터 상방으로 당해 슬리브(18a) 내부 및 중공로드(18) 내부를 순차적으로 안내하는 제2공기유통로(2lb)가 형성된다. 냉각후의 공기는, 상부의 냉각공기 출구구멍(18c)(도3 참조)을 통하여 공기유출구(16b)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는 제2공기유통로(2lb)로부터 유입되어 제1공기유통로(21a)를 통하여 유출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제1공기유통로(21a) 중에서 특히 정류로드(19A) 및 프리폼(1) 내주 사이의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을 링모양 공극(22)(도4 참조)이라고 부른다. 이 링모양 공극(22)의 반경방향 치수는 상류측의 중공로드(18)와 에어노즐(16) 사이에 형성되는 반경치수보다 작아, 예를 들면 0.5∼1.5mm, 바람직하게는 0.5mm에서 1.0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따라서, 링모양 공극(22)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이 조여져서 상류측에서도 고속으로 유통한다. 즉 유로조정로드를 사용함으로써, 링모양 공극(22)에 있어서 상류영역보다도 냉각공기의 고속화나 정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네크형틀(50)에 의해 지지된 프리폼(1)이 사출성형부(10)로부터 반송되어 와서,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17a) 내로 삽입된다. 그 전후에 에어유출입부재가 하강되어, 중공로드(18) 및 정류로드(19)가 프리폼(1)내로 삽입된다. 이때에, 네크형틀(50)이, 온도조정 포트형틀(17)상에 부착된 센터링링(60)에 대하여 중심을 잡는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통로(21a)(링모양 공극(22))과, 프리폼(1) 냉각후의 공기가 유통하는 제2공기유통로(2l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서, 예를 들면 실온(예를 들면 10도∼20도)의 냉각공기가, 공기유입구(16a)로부터 제1공기유통로(21a), 즉 링모양 공극(22)의 내부를 비교적 고속으로 통과함으로써 프리폼(1)의 본체부(2)(몸통부(2a) 및 바닥부(2b))에 대하여 큰 냉각효과를 주고, 프리폼(1)의 온도를 다음의 블로공정에 바람직한 적당한 온도까지 하강시킨다. 또한, 냉각공기를 프리폼(1)내에 유통시켜서 냉각하기 전에, 프리폼(1)내에 압축공기를 별도로 유입시켜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17a)에 밀착시켜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프리폼(1)을 내측으로부터 냉각시킴과 아울러 외측으로부터도 확실한 온도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냉각효과에 더하여 편온(偏溫)의 제거나 균온화(均溫化)의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냉각후의 공기는 제1공기유통로(21a)의 하단, 즉 정류로드의 하단(19c)에서 원활하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흐름의 방향이 바뀐 뒤에, 또한 슬리브(18a) 내부의 제2공기유통로(2lb)을 통하여 상승하여 공기유출구(16b)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하면, 정류로드를 설치하지 않는 종래의 예의 경우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정류로드(19A)를 설치하였을 경우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링모양 공극(22)의 반경방향 치수는, 전자의 정류로드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정류로드(19A)를 설치한 분만큼 미세조정 되어 작아진다. 따라서, 이 제1공기유통로(21a)를 통과하는 냉각공기의 유속은 그만큼 빨라져서 프리폼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의 예인 링모양 공극의 단면적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공기압력이나 공기공급량을 크게 하여 냉각공기의 유속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 공기소비량이 커져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2실시형태)
도7은, 정류로드의 제2실시형태인 정류로드(19B)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B)는, 외주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노치부(19d)를 구비한다.
이 노치부(19d)를 구비하는 정류로드(19B)을 사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도16(A),(B) 참조), 프리폼의 저장부(2)에 있어서 노치부(19d)에 대응하는 부분의 용기(101)의 두께가, 대응하지 않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꺼워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것에 대하여는 후에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3실시형태)
도8은, 정류로드의 제3실시형태인 정류로드(19C)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C)는, 외주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둘레방향 2군데에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노치부(19d1, 19d2)를 구비한다. 따라서 프리폼의 저장부(2)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노치부(19d1, 19d2)에 대응하는 2군데의 용기(101)의 두께가, 대응하지 않은 부분의 두께보다도 두꺼워져 있다. 물론, 노치부(19d)는 외주의 둘레방향 3군데 이상에 형성해도 좋다.
(제4실시형태)
도9는, 정류로드의 제4실시형태인 정류로드(19D)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D)는, 상단의 대경부(19e)와 축방향 하방의 부분의 소경부(19f)와 이들을 접속하는 대략 테이퍼 형상인 테이퍼 형상부(19g)를 구비하고 있다.
도10에, 이 정류로드(19D)를 중공로드(18) 및 슬리브(18a)에 부착하고, 또한 네크형틀(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A)과는 다른 프리폼(1B)과 함께 온도조정 포드형틀(17)의 캐비티(17a) 내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동 도면에서 도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것을 보면, 제2프리폼(1B)은, 네크부(3A)에 해당하는 큰 내경부(1a)와 하방의 작은 내경부(1b)를 접속하는 대략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형상 내경부(1c)를 구비한다.
따라서, 정류로드(19D)의 대경부(19e), 테이퍼 형상부(19g) 및 소경부(19f)가 각각 프리폼(1B)의 3개의 내경부(1a, 1c, 1b)의 형상의 순서를 따라서 거의 균일한 공극치수로 접(接)함으로써, 냉각공기의 흐름에 따라 균일한 단면적(斷面績)의 제1공기유통로(21a)를 제공할 수 있고, 이 프리폼(1B)의 축방향을 따라 균일한 냉각효과를 줄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도11은, 정류로드의 제5실시예인 정류로드(19E)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E)는 도9의 정류로드(19D)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외주의 둘레방향 1군데에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노치부(19h)를 더 구비한다. 물론, 노치부(19h)는 외주의 둘레방향 2군데 이상에 형성해도 좋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상기 제3 및 제4실시형태(도7 및 도8)의 노치부(19d)(19d1 및 19d2)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류로드(19)의 단면형상은 기본적으로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더라도 좋고 또한 이들 타원형 또는 다각형에 1개 이상의 노치부를 더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치부(19d, 19h)는 직선모양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모양 또는 요철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12(A) 내지 (c)는, 정류로드의 제6실시형태인 정류로드(19F)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F)는, 상단에 다각형(예를 들면 정8각형) 모양의 결합 오목부(19i)가 형성되어 있다. 다각형의 결합 오목부(19i)는 대략 4각형상의 내면부를 복수(8개) 구비한다.
도13에, 상기 정류로드(19F)를 부착하기 위한 중공로드(18X)를 나타낸다. 도4 및 도10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중공로드(18)의 하단에 별도의 부재의 슬리브(18a)를 부착하고 있었지만, 이 중공로드(18X)는, 하단에 슬리브 부분(18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중의 위치에 다각형 모양의 각기둥부로 구성되는 결합 볼록부(18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기둥부는 복수(8개)의 대략 4각형상의 외면부를 복수 구비한다. 따라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류로드(19F)는, 중공로드(18X)의 슬리브 부분(18e)에 대하여 도면에서 하방(압축공기가 유입출 하는 개구단이 있는 방향의 측)으로부터 결합되어서, 그 다각형의 결합 오목부(19i)가 중공로드(18X)의 다각형의 결합 볼록부(18f)에 다각형 결합에 의거하여 방향이 결정되어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 오목부(19i)의 복수의 내면부와 다각형의 결합 볼록부(18f)의 각기둥부의 복수의 외면부가 접촉하고, 정류로드(19F)는 중공로드(18X)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소정의 각도위치로 방향이 결정된 상태에서(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또한, 정류로드(19F)의 하단은, 슬리브 부분(18e)의 하단의 결합 오목부(18g)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결합링)(23)(도14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중공로드(18X)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면, 도14에서 예를 들면 링모양 공극(22)의 공극치수가 둘레방향 각도위치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것에 기인하여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정도(냉각강도)를 둘레방향의 각도위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류로드(19F)를 떼어내서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도) 단위로 회전시켜서 중공로드(18X)에 다시 부착함으로써 상기 냉각정도의 분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정류로드(19F)의 노치부(19h)를 프리폼(1)의 고온부위에 대항시키도록 위치변경을 하여, 고온부위의 냉각정도(냉각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형의 결합 오목부(19i) 및 다각형의 결합 볼록부(18f)는, 8각형 이외에 삼각형 이상이면 그 이외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제7실시형태)
도15(A) 내지 (c)는, 정류로드의 제7실시형태인 정류로드(19G)를 나타낸다. 이 정류로드(19G)는, 상단의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의 위치에 복수(예를 들면 8개)의 결합 오목부(19j)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오목부(19j)는 예를 들면 대략 4각형상 또는 슬릿 형상으로서, 정류로드(19G)의 상단에 형성된 대략 원통모양의 함몰부의 내주면에 외경측으로 들어가는 것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16에, 이 정류로드(19G)를 부착하는 중공로드(18Xa)를 나타낸다. 이 중공로드(18Xa)도, 하단에 슬리브 부분(18e)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도중의 위치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일의 돌기부(대략 4각형 평판모양의 볼록부)로 구성되는 단일의 결합 볼록부(18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로드(19G)는, 중공로드(18Xa)의 슬리브 부분(18e)에 대하여 도면에서 하방(압축공기가 유입출 하는 개구단이 있는 방향의 측)으로부터 결합되어서, 방향이 결정되고 나서 그 하나의 결합 오목부(19j)가 중공로드(18Xa)의 단일의 결합 볼록부(18h)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결합 오목부(19j)의 어느 하나에 단일의 결합 볼록부(18h)가 결합하고, 정류로드(19G)는 중공로드(18Xa)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소정의 각도위치에 방향이 결정된 상태에서(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또한 정류로드(19G)의 하단은, 슬리브 부분(18e)의 하단의 결합 오목부(18g)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결합링)(23)에 의해 지지되어서(도14 참조), 중공로드(18Xa)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링모양 공극(22)의 공극치수가 둘레방향의 각도위치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것에 기인하여 냉각공기에 의한 냉각정도(냉각강도)를 둘레방향의 각도위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류로드(19G)를 떼어내서 회전시켜서 이전과는 다른 결합 오목부(19j)를 중공로드(18Xa)의 단일의 결합 볼록부(18h)에 결합시켜서 부착함으로써 상기 냉각정도의 분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정류로드(19G)의 노치부(19h)를 프리폼(1)의 고온부위와 대향시키도록 위치변경을 하여, 고온부위의 냉각정도(냉각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14는, 중공로드(18X)와 정류로드(19F)(중공로드(18Xa)와 정류로드(19G)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가 탑재되었을 경우의 온도조정부(20)의 도식도로서, 도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14에서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17a)(도4 참조)는, 단부 사이의 경계(슬릿이나 파팅라인(parting line))가 존재하지 않는 단일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2 및 13에서 다각형의 결합 오목부(19i), 다각형의 결합 볼록부(18f)는 다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다각형의 정점(頂點)에 상당하는 부분을 구비하여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각종 형상의 결합부이어도 좋다. 또한, 도15 및 16에서 복수의 결합 오목부(19j)는 각종 형상의 복수의 결합부이어도 좋고, 또한 단일의 결합 볼록부(18h)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2개 이상의 결합 볼록부이더라도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정류로드와 중공로드에 있어서 결합 볼록부와 결합 오목부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에 대하여 역배치(逆配置)가 되어도 좋다.
(제1실험례)
다음에 도17 내지 도19에 제1실험례를 나타낸다.
도17은, 프리폼(1)을 온도조정한 후에 블로성형부(30)에 의하여 블로성형되어서 취출(꺼내어진)된 페트병 등의 완성된 용기(101)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경우에, 용기(101)의 몸통부(102)는 정8각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8개의 변부(102a)를 구비한다.
도18은, 본 실험에 사용하는 정류로드(19B)의 단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90도의 방향에 하나의 노치부(19d)를 구비한다.
도19(A) 및 (B)는, 이 용기(102)를 성형하는 도중의 온도조정부(20)에 있어서, 정류로드(19)에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곡선A/실선), 상기 1개의 노치부(19d)를 형성하였을 경우(곡선B/점선) 및 노치부(19d) 이외의 외주부분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여서 노치부(19d) 이외의 유로면적을 더 조였었을 경우(곡선C/1점쇄선)(이것은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이지 않고 노치부(19d) 치수를 한층 더 크게 한 경우에 상당한다)에 대하여, 용기(101)의 시계 방향으로 45도씩의 위치(상기 8각형에 대응하는 8군데)에서, 프리폼(1)을 블로성형하여 얻어진 용기(101)의 두께 t를 측정한 결과로서, 도16에서 중심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는 용기(101)의 몸통부의 두께(mm)이며, 그 두께 t는 0.6∼1.4mm의 범위에서 변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도15의 정류로드(19)의 노치부(19d)가 형성되어 있는 90도의 방향이 도16의 90도의 방향과 동일하다.
실험절차로서는, 온도조정부(20)에 의하여 하나의 노치부(19d)를 형성한 정류로드(19B)을 사용하여 프리폼(1)을 온도조정한 후에, 블로성형부(30)에 의하여 프리폼(1)을 블로성형하여 용기(101)를 얻고, 용기(101)의 바닥부로부터의 높이가 116mm인 장소에서 당해 몸통부(102)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먼저 도16(A)의 측정결과를 보면, 135도의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9d)를 형성하였을 경우(곡선B)와 형성하지 않았을 경우(곡선A)를 비교하면, 전자쪽이 용기의 몸통부(102)의 두께가 두껍고, 또한 노치부(19d) 이외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여서 유로면적을 조였을 경우(곡선C)는, 상기 몸통부(102)의 두께는 한층 더 두껍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노치부(19d)를 형성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노치부(19d)를 형성한 90도의 방향이 아니라 45도 벗어난 135도의 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진 이유는, 용기(101)가 8각형의 형상이었기 때문에 45도만큼 인접한 변부(邊部)(또는 정상부(頂上部))에 현저하게 그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도16(B)는, 용기(102)의 바닥부로부터 높이가 84mm인 장소에서 당해 몸통부(102)의 두께를 측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16(A)의 경우와 동일한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용기(101)의 135도의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9d)를 형성하였을 경우(곡선B)과 형성하지 않았을 경우(곡선A) 및 노치부(19d) 이외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여서 유로면적을 조였을 경우(곡선C)를 비교하면, 도16(A)와 동일한 경향이 보여졌지만, 노치부(19d) 이외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였을 경우(곡선C)에, 도16(A)의 경우에 비하여 한층 더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된 이유는 아래와 같이 생각된다. 즉, 제1공기유통로(21a)(링모양 공극(22))에 있어서 노치부(19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다른 부분보다 부분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이 장소의 공기의 유로저항이 내려가기 때문에, 다른 부분 보다 많은 공기가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냉각효율(냉각강도)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비하여, 제1공기유통로(21a)에 있어서 노치부(19d)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 부분은, 유로 단면적이 작으므로 유로저항이 높아져서 공기가 유입되는 양이 줄어들어 버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냉각효율이 낮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노치부(19d)가 있는 정류로드(19)를 구비하는 에어노즐(16)과 온도조정 포트형틀(17)로 구성되는 온도조정부(20)에서는, 프리폼(1)을 효율적으로 급랭(急冷)시켜 백탁화(헤이즈(haze),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리폼(1)의 저장부(2)의 국소적인 (세로의 줄무늬의) 고온부위를 선택적으로 냉각시켜 편온도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폼(1)의 저장부(2)에 있어서 온도조정장치(20)에 이르기 이전에 원래 존재한 두께의 불균일성을 완성된 용기(101)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로 조정할 수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일부러 두께의 불균일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한다.
특히, 블로성형장치(100)에서 하나의 네크형틀(50)로 복수(도1에서는 6개)의 프리폼(1)을 부착하여 운반하는, 소위 다수개 처리를 하는 경우에, 사출성형부(10)에 있어서 예를 들면 6개 중에서 3번째의 프리폼에서 유래하여 항상 용기(101)에 있어서 두께의 불균일성이 생기는 경향이 있을 때에, 다음의 온도조정부(20)에서 3번째의 온도조정 포드형틀(17)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19d)를 구비하는 정류로드(19B)에 의하여 용기(101)의 두께의 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다.
(제2실험예)
다음에, 아래에 나타내는 「표1」에, 정류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1)와 설치하였을 경우(2)에서 프리폼 냉각용의 공기유량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의 실험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순환공기(냉각공기, 압축공기)의 설정압력은 정류로드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와 설치하였을 경우에서 각각 0.6MPa 및 0.4MPa이며, 순환공기는 프리폼의 네크측에서 들어가(IN)서, 프리폼의 바닥부로부터 나가(OUT)는 상태이다. 또한 정류로드는, 도6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그리고 상기(1) 및 (2)의 경우에서, 용기(102)에 백화나 백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동일한 정도의 양호한 투명도를 얻어지는 온도까지 냉각하도록 순환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하였다. 그 결과, 순환공기 공급량(소비량)은, (1)의 경우의 407리터/분(分)에서 (2)의 경우에는 207리터/분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정류로드를 설치함으로써, 대폭적으로 순환공기 공급량을 감소시켜 프리폼(1)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았다.
1(1A, 1B)…프리폼
2…저장부(본체부)
2a…몸통부
2b…바닥부
3, 103…네크부
10…사출성형부
11…사출코어형틀
12…사출 캐비티 형틀
16…에어노즐
16a…공기유입구
16b…공기유출구
17…온도조정 포드형틀
17a…온도조정 포드형틀 캐비티
18, 18X, 18Xa…중공로드
18a…슬리브
18b…고정부
18c…공기출구구멍
18d…원주홈
18e…슬리브 부분
18f…다각형의 결합 볼록부
18g…결합 오목부
18h…단일의 결합 볼록부
19A∼19G…유로조정로드(정류로드)
19a…외주
19b…나사구멍
19c…하단부
19d, 19d1, 19d2…노치부
19e…대경부
19f…소경부
19g…테이퍼 형상부
19h…노치부
19i…다각형의 결합 오목부
19j…복수의 결합 오목부
20…온도조정부
21a…제1공기유통로
2lb…제2공기유통로
22…링모양 공극
23…결합링
24…나사
30…블로성형부
40…취출부
101…용기
102…몸통부
102a…변부

Claims (10)

  1.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온도조정하기 위하여,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내에 중공로드부재(18)가 삽입되고, 상기 프리폼(1) 및 중공로드부재(18)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20)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가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외주에 결합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의 단면의 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정부재(19)의 외주는 원형 단면(圓形斷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정부재(19)의 외주는, 원형 단면이며 또한 둘레방향의 적어도 1군데에 노치부(notch部)를 구비하는 단면형상(斷面形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정부재(19)의 외주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정로드(19D)은, 축방향에서 보아 프리폼(1)의 네크부(3)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경이, 그 이외의 부분의 외경보다 큰 단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로드부재(18)의 내부공간이,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에 통하게 하는 제2공기유통로(2l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로드부재(18)의 내부공간이,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에 통하게 하는 제2공기유통로(2lb)를 구비하고, 냉각용 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에 유입하여 상기 제2공기유통로(2lb)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온도조정부(20)에 있어서 온도조정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방법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를 부착한 중공로드부재(18)를 프리폼(1)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리폼(1) 및 상기 유로조정부재(19)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유로조정부재(19) 및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17a)에 삽입한 후에, 제1공기유통로(21a)에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의 온도조정방법.
  9. 바닥을 구비하는 모양의 프리폼(1)을 사출성형하는 사출성형부(10)와, 상기 사출성형부(10)로 성형된 상기 프리폼(1)을 온도조정하는 온도조정부(20)와, 상기 온도조정부(20)로 온도조정된 상기 프리폼(1)을 블로성형하는 블로성형부(30)를 구비한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100)로서,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폼(1)내에 중공로드부재(18)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프리폼(1) 및 중공로드부재(18)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가 형성되는 상기 수지제 용기의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가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외주에 결합하여 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통로(21a)의 면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사출성형되어 바닥을 구비하는 형상의 프리폼(1)을 홀딩부재(50)에 의해 지지하여 온도조정부(20)에 있어서 온도조정한 후에 블로성형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로조정부재(19)를 부착한 중공로드부재(18)를 프리폼(1)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프리폼(2) 및 상기 유로조정부재(19) 사이에 제1공기유통로(21a)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중공로드부재(18), 유로조정부재(19) 및 프리폼(1)을 온도조정 포트형틀(17)의 캐비티에 삽입한 후에, 제1공기유통로(21a)에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25246A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11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5750A KR20240028554A (ko)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5104 2019-01-31
JPJP-P-2019-015104 2019-01-31
PCT/JP2020/003649 WO2020158919A1 (ja) 2019-01-31 2020-01-31 プリフォームの温度調整装置及び温度調整方法、及び樹脂成形容器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750A Division KR20240028554A (ko)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848A true KR20210111848A (ko) 2021-09-13

Family

ID=718403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750A KR20240028554A (ko)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217025246A KR20210111848A (ko)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750A KR20240028554A (ko) 2019-01-31 2020-01-31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97287A1 (ko)
EP (1) EP3919255A4 (ko)
JP (2) JP6802948B1 (ko)
KR (2) KR20240028554A (ko)
CN (2) CN118082156A (ko)
WO (1) WO202015891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493A (ja) 1991-07-10 1993-07-27 Nissei Asb Mach Co Ltd 高速型二軸延伸吹込成形方法
JPH06315973A (ja) 1993-04-30 1994-11-15 Nissei Asb Mach Co Ltd 成形装置
KR20130012067A (ko) 2010-03-23 2013-01-31 비오알리앙스 파르마 속용성 약물 전달 시스템
KR20170098673A (ko)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597A (en) * 1966-08-24 1970-02-24 Dow Chemical Co Container forming apparatus
US4150689A (en) * 1973-01-26 1979-04-24 Britten George C Core rod construction for blow-molding apparatus
US3937610A (en) * 1973-12-21 1976-02-10 Farrell Patent Company Mist cooling of inside of blown plastic articles
FR2561166B1 (fr) * 1984-03-16 1986-10-10 Pont A Mousson Procede de fabrication de bouteilles en matiere plastique a partir d'ebauches creuses obtenues par moulage et dispositifs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790741A (en) * 1987-08-07 1988-12-13 Toyo Seikan Kaisha, Ltd. Apparatus for preparing heat-set plastic hollow vessel
JPH0465214A (ja) * 1990-07-06 1992-03-02 Dainippon Printing Co Ltd 予備成形体の冷却温度調節方法及びその装置
JP3255485B2 (ja) * 1993-03-25 2002-02-1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機
US5795598A (en) * 1997-04-28 1998-08-18 Ultra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Assembly for inflating a parison and forming the neck of a plastic bottle
RU2189313C2 (ru) * 1998-03-31 2002-09-20 Хаски Инджекшн Молдинг Системз, Инк.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литого издел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литого изделия
US6461556B2 (en) * 1998-03-31 2002-10-0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ost-mold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US6425752B1 (en) * 1999-03-22 2002-07-30 John M. Check Bubbler tube with integral inlet pipe and bimetal core for injection molding tools and method of making the bubbler tube
US6464919B2 (en) * 2000-12-22 2002-10-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adjustment of an object
JP3893067B2 (ja) * 2002-02-19 2007-03-1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プリフォームの温調方法
US6737007B2 (en) * 2002-09-19 2004-05-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oling tube with porous insert
US20060138696A1 (en) * 2002-11-05 2006-06-29 Robert Weinmann Method and device for the secondary treatment and the cooling of preforms
US20070085240A1 (en) * 2003-11-14 2007-04-19 Nihon Yamamura Glass Co., Ltd. Method for regulating temperature of bottle mold and bottle mold used therefor
DE202005008170U1 (de) * 2005-05-20 2005-07-28 gwk Gesellschaft Wärme Kältetechnik mbH Werkzeug zur Urformung eines hohlen Formlings aus Kunststoff
DE202007008217U1 (de) * 2006-06-29 2007-09-13 Netstal-Maschinen Ag Hilfsvorrichtung mit Greifer mit einer Vielzahl von Nippeln
JP5644173B2 (ja) * 2010-04-23 2014-12-24 東洋製罐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及び圧縮成形方法
JP5692648B2 (ja) * 2011-05-31 2015-04-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加熱方法
CN103687713B (zh) 2011-07-20 2017-04-19 日精Asb机械株式会社 预成形件的温度调整装置及预成形件的温度调整方法、树脂制容器及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
DE102014004354A1 (de) * 2014-03-27 2015-10-01 Khs Corpopla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it Füllgut gefüllten Behälters
JP6647144B2 (ja) 2015-12-11 2020-02-14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の射出成形型と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と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の成形方法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493A (ja) 1991-07-10 1993-07-27 Nissei Asb Mach Co Ltd 高速型二軸延伸吹込成形方法
JPH06315973A (ja) 1993-04-30 1994-11-15 Nissei Asb Mach Co Ltd 成形装置
KR20130012067A (ko) 2010-03-23 2013-01-31 비오알리앙스 파르마 속용성 약물 전달 시스템
KR20170098673A (ko)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58919A1 (ja) 2021-02-18
EP3919255A1 (en) 2021-12-08
WO2020158919A1 (ja) 2020-08-06
CN113631347A (zh) 2021-11-09
KR20240028554A (ko) 2024-03-05
JP2021041704A (ja) 2021-03-18
US20220097287A1 (en) 2022-03-31
EP3919255A4 (en) 2022-10-12
CN113631347B (zh) 2024-04-02
CN118082156A (zh) 2024-05-28
JP6802948B1 (ja)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1140B2 (en)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of thin-walled preform
CN105658389B (zh) 由塑性材料制成的用于容器的预成型件
US20090078672A1 (en) Container and Preform for Obtaining a Container
KR20190087658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방법, 금형 유닛 및 성형기
BR122016005603B1 (pt) pré-forma para a fabricação de frascos plásticos em um processo por sopro ou por estiragem-sopro
US7387825B2 (en) Preform for small flat container and small flat container
US11919221B2 (en)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ES2772077T3 (es) Preforma moldeada por inyección y su fabricación
US8272863B2 (en) Bottom of a mould for a moul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containers, and mould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mould provided with such a bottom
KR20210111848A (ko) 프리폼의 온도조정장치 및 온도조정방법 및 수지성형 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764796B (zh) 具有增加的可吹制性的花瓣型底部的热塑性材料制的容器
US9833941B2 (en) Mold having an offset parting line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having increased stability
JP4748475B2 (ja) 射出成形プリフォーム
US20220274311A1 (en) Die unit, blow molding device, and blow molding method
JPH07205997A (ja) 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の成形方法及び装置
US9539751B2 (en) Component of a molding system for cooling a molded article
US10166713B2 (en) Mould with a movable bottom and horizontal joint plane
JP2003001697A (ja) 射出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及び射出ブロー成形容器
US20240181693A1 (en)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temperature adjusting device,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temperature adjusting method
JP2022092962A (ja) 合成樹脂製容器をブロー成形する際に使用される底部形成金型
JP2010036394A (ja) プリフォームおよ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