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996A - 휴대폰 쉴드박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쉴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996A
KR20210110996A KR1020200025962A KR20200025962A KR20210110996A KR 20210110996 A KR20210110996 A KR 20210110996A KR 1020200025962 A KR1020200025962 A KR 1020200025962A KR 20200025962 A KR20200025962 A KR 20200025962A KR 20210110996 A KR20210110996 A KR 2021011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sposed
moving
moving bloc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445B1 (ko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메이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드테크(주) filed Critical 메이드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2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쉴드 챔버(20)와, 상기 쉴드 챔버(20)를 개폐하며 일측에 전장실(30)이 배치되는 도어(35)를 구비한 휴대폰 쉴드 박스로서, 상기 쉴드 챔버(20)의 내측에는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볼스크류(95)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이동장치(80,90)와, 상기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θ축 기어(108)를 이용하여 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장치(120)를 갖는 구동장치(200)가 배치되는 점에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쉴드박스{Cellular phone shield box}
본 발명은 휴대폰 쉴드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인 휴대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휴대폰의 품질 검사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쉴드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박스(또는 쉴드박스(Shield box))는 휴대폰(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검사하며, 검사 결과에 따라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판정 및 분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검사용 쉴드박스는 격벽에 의해 테스트 룸과 제어 룸으로 구분되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의 전,후방 측면에 장착되는 제1,제2 측면 커버 및 상기 제1 측면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테스트 룸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를 개선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5259호(특허문헌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함체를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피 검사품인 휴대폰이 수용되며 핀 또는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는 쉴드 챔버; 상기 쉴드 챔버의 하방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전장실; 및 일측이 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쉴드 챔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쉴드 챔버와 상기 커버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커버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고정된 완충수단; 각각의 상기 커버의 하측 그리고 그 하측과 대응하는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록킹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록킹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진퇴되며 상기 록킹부를 동작시키는 전기 동작부로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돌출된 고정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지지부를 중심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갖고 축설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해 고정되며 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동작부는 전자석 또는 공압에 의해 진퇴하는 에어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는 쉴드 챔버의 내측에 일정한 방향으로 휴대폰을 수용하게 되므로 테스트(일예로, 안테나 테스트)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의 테스트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52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스트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쉴드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검사 대상인 휴대폰이 배치되는 쉴드 챔버와, 상기 쉴드 챔버를 개폐하며 일측에 전장실이 배치되는 도어를 구비한 휴대폰 쉴드 박스로서, 상기 쉴드 챔버의 내측에는 검사 대상인 휴대폰이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를 볼스플라인 샤프트와 볼스크류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이동장치와, 상기 휴대폰 지그 홀더를 θ축 기어를 이용하여 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장치를 갖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내부에 수용된 휴대폰을 소정 위치의 검사위치에 대응되게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X,Y 및 θ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테스트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을 용이하게 테스트나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쉴드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의 요부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1 이동장치에 의해 X축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이동장치의 요부인 볼스플라인 샤프트와 제1 구동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이동장치의 요부인 볼 스크류와 제2 구동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이동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이동장치의 요부인 θ축기어와 회전기어 및 제3 구동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2 이동장치에 의해 Y축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3 이동장치에 의해 θ축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쉴드 챔버(20)와, 상기 쉴드 챔버(20)를 개폐하며 일측에 전장실(30)이 배치되는 도어(35)로 크게 구성된다. 도 1에서, 참고부호 22는 안테나 메인터너스 개폐부이다.
상기 쉴드 챔버(20)의 내측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볼스크류(95)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이동장치(80,90)와, 상기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θ축 기어(108)를 이용하여 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장치(120)를 갖는 구동장치(20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이동장치(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엘엠 레일(72)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볼스플라인 지지대(74)에 삽입 설치된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에 끼워지며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따라서 이동하는 제1 이동블럭(78)과,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원(79)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 이동블럭(78)은 제1 엘엠 레일(72)과 연결된 제1 엘엠 가이드(71)상에 안착되고, 제1 이동블럭(78)의 일측에는 볼스플라인 너트(76)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1 풀리(77)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블럭(78)의 양측에는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개재하여 한 쌍의 볼스플라인 회전 베어링(78a)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볼스플라인 너트(76)의 일측에는 볼스플라인 너트 고정 샤프트(76a)가 설치된다.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이 고정되므로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볼스플라인 너트(76)는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볼스플라인 너트(76)는 선형 및 회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볼스플라인 회전 베어링(78a)은 예비 하중의 정도에 따라 선택하게 되고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앵귤러 컨택트 베어링을 적용하고 하중이 높은 경우에는 크로스 롤러 베어링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제1 구동원(79)은 공지된 모터를 적용하게 되고, 제1 구동원(79)의 축(79a)은 제1 올댐 커플링(Oldham coupling)(79b)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제1 올댐 커플링(79b)은 제1 서포트 너트(79c)를 관통한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올댐 커플링(79b)은 편심이 적용되는 특수 커플링으로 적은 토크에 적합한 것을 적용하게 되고, 한 쌍의 허브(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는 아세탈(Acetal) 플라스틱이나 나일론(Nylon) 플라스틱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원(79)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동장치(9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엘엠 레일(92)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볼스크류 지지대(94)에 삽입 설치된 볼스크류(95)와, 상기 볼스크류(95)에 끼워지며 볼스크류(95)를 따라서 이동하는 제2 이동블럭(98)과, 상기 볼스크류(95)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원(99)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2 이동블럭(98)은 제2 엘엠 레일(92)과 연결된 제2 엘엠 가이드(91)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82)에 안착되고, 제2 이동블럭(98)의 일측에는 볼스크류 너트(96)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 풀리(97)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블럭(98)의 양측에는 볼스크류(95)를 개재하여 한 쌍의 풀리 베어링(98a)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풀리 베어링(98a)중 하나의 풀리 베어링(98a)의 일측에는 제2 풀리(97)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풀리 고정 샤프트(96a)가 설치된다.
상기 볼스크류(9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볼스크류(95)가 회전하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나사선을 따라 볼스크류 너트(96)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 너트(96)는 그 내부에 볼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찰이 적고 효율이 높게 된다.
상기 제2 구동원(99)은 제1 구동원(79)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모터를 적용하게 되고, 제2 구동원(99)의 축(99a)은 제2 올댐 커플링(99b)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제2 올댐 커플링(99b)은 제2 서포트 너트(99c)를 관통한 볼스크류(95)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원(99)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동블럭(78)의 타측에 배치된 제1 풀리(77)와 제2 이동블럭(98)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풀리(97)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65)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이동장치(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타이밍 벨트 고정블럭(106)과, θ축 기어(108)와, 상기 θ축 기어(108)와 치합되는 모터기어(110)와, 상기 모터기어(110)의 축에 연결된 제3 구동원(112)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3 이동장치(120)의 제3 엘엠 레일(102)은 제1 이동블럭(78)과 제2 이동블럭(98)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3 엘엠 레일(102)은 제1 엘엠 가이드(71)와 제2 엘엠 가이드(91)의 가이드 플레이트(82)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엘엠 가이드(71,72)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 쌍의 제3 엘엠 가이드(104)는 제3 엘엠 레일(102)에 일열로 또는 예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한 쌍의 제3 엘엠 가이드(104)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한 개의 제3 엘엠 가이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 고정블럭(106)은 제3 엘엠 레일(102)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엘엠 가이드(104)의 상부에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114)의 일측에 배치되며 타이밍 벨트(65)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θ축 기어(108)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고정블럭(106)의 상부에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14)의 하부에 배치되며, 휴대폰 지그홀더 회전 샤프트(105)에 의해 휴대폰 지그 홀더(14)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θ축 기어(108)에 끼워진 θ축 베어링 샤프트(107)는 한 쌍의 θ축 회전 베어링(115)을 끼워서 메인 플레이트(114)의 관통홀(117)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θ축 회전 베어링(115)의 사이에는 θ축 베어링 칼라(134)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14)의 하부에는 θ축 스토퍼(136)가 배치되고, θ축 회전 베어링(115)의 하부에는 θ축 회전 스토퍼(138)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기어(110)는 θ축 기어(108)와 치합되고, 상기 모터기어(110)는 제3 구동원(112)의 축(111)에 기어 클램프 샤프트(132)를 개재하여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114)의 일측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는 케이블 덕트 브라켓(116a)과 케이블 덕트 커버(116b)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14)의 하부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한 절곡된 브라켓(118)이 설치된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 지그 홀더(14)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 자석이고, 미설명부호 93은 Y축 원점센서이다. 또한,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73은 X축 원점센서이고, 미설명 부호 142는 θ축 원점센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의 동작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하측 내부에 쉴드 챔버(20)가 배치되고, 상기 쉴드 챔버(20)의 내측에 제1 내지 제3 이동장치(80,90,120)를 갖는 구동장치(200)가 배치된다.
먼저, 휴대폰 전용지그(도시되지 않음)를 고정 자석(15)과 핀(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휴대폰 지그 홀더(14)에 고정하고, 그 위에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을 사용자나 로봇(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휴대폰 전용지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게 된다(도 5 및 도 6참조).
이와 같이,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휴대폰 지그 홀더(14)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구동장치(200)를 이용하여 소정방향으로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X,Y 및 θ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면서 휴대폰의 품질이나 성능과 관련된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의 쉴드 챔버(20)에 배치된 구동장치(200)의 제1 내지 제3 이동장치(80,90,120)의 동작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이동장치(80)의 제1 구동원(79)을 동작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플라인 샤프트(75)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가 회전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77)가 회전하게 되고 아울러, 제1 풀리(77)와 타이밍 벨트(65)에 의해 연결된 제2 풀리(97)도 볼스플라인 샤프트(7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후술하게 되는 제3 이동장치(120)의 한 쌍의 벨트 고정블럭(106)이 상기 타이밍 벨트(65)에 연결되므로 타이밍 벨트(65)의 이동에 따라 휴대폰 지그 홀더(14)가 배치된 제3 이동장치(120)가 제3 엘엠 레일(102)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즉, 상기 제1 풀리(77) 및 제2 풀리(97)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65)의 이동에 따라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예정된 방향(X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의 테스트나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이동장치(90)의 제2 구동원(99)을 동작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95)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95)가 회전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95)에 삽입된 한 쌍의 풀리 베어링(98a)에 의해 제2 풀리(97)는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제1 풀리(77)도 풀리 고정용 키(77a)(도 3참조)에 의해 고정되므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볼스크류(95)는 제1 및 제2 풀리(77,97)에 의존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후술하게 되는 제2 이동장치(120)에 배치된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95)의 동작에 의해 제1 이동장치(80)의 제1 이동블럭(78)과 제2 이동장치(90)의 제2 이동블럭(98)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3 이동장치(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이동블럭(78)과 제2 이동블럭(98)의 사이에 배치된 제3 엘엠 레일(102)도 제3 이동장치(120)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휴대폰 지그 홀더(14)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의 테스트나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3 이동장치(120)의 제3 구동원(112)을 동작시키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원(112)의 축(111)과 연결된 회전기어(110)가 소정방향(예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110)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110)와 치합된 θ축 기어(108)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θ축 기어(108)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휴대폰 지그 홀더 회전 샤프트(105)가 회전하여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쉴드 챔버에 제1 내지 제3 이동장치를 갖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게 되므로 검사 대상인 휴대폰을 X,Y 및 θ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위치에서 휴대폰의 품질 검사나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 쉴드박스는 5G, 6G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테스트 또는 검사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본체 12: 휴대폰
20: 쉴드 챔버 30: 전장실
75: 볼스플라인 샤프트 78: 제1 이동블럭
79: 제1 구동원 80: 제1 이동장치
90: 제2 이동장치 95: 볼 스크류
98: 제2 이동블럭 99: 제2 구동원
108: θ축 기어 112: 제3 구동원
120: 제3 이동장치 200: 구동장치

Claims (8)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쉴드 챔버(20)와; 상기 쉴드 챔버(20)를 개폐하며, 일측에 전장실(30)이 배치되는 도어(35)를 구비한 휴대폰 쉴드 박스로서,
    상기 쉴드 챔버(20)의 내측에는 검사 대상인 휴대폰(12)이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볼스크류(95)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이동장치(80,90)와, 상기 휴대폰 지그 홀더(14)를 θ축 기어(108)를 이용하여 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장치(120)를 갖는 구동장치(20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폰 쉴드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장치(80)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엘엠 레일(72)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볼스플라인 지지대(74)에 삽입 설치된 볼스플라인 샤프트(75)와,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에 끼워지며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따라서 이동하는 제1 이동블럭(78)과, 상기 볼스플라인 샤프트(75)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원(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블럭(78)은 제1 엘엠 레일(72)과 연결된 제1 엘엠 가이드(71)상에 안착되고, 제1 이동블럭(78)의 일측에는 볼스플라인 너트(76)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1 풀리(7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장치(90)는 베이스 플레이트(6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엘엠 레일(92)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볼스크류 지지대(94)에 삽입 설치된 볼스크류(95)와, 상기 볼스크류(95)에 끼워지며 볼스크류(95)를 따라서 이동하는 제2 이동블럭(98)과, 상기 볼스크류(95)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원(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블럭(98)은 제2 엘엠 레일(92)과 연결된 제2 엘엠 가이드(91)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82)에 안착되고, 제2 이동블럭(98)의 일측에는 볼스크류 너트(96)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 풀리(9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블럭(78)의 타측에 배치된 제1 풀리(77)와 제2 이동블럭(98)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풀리(97)는 타이밍 벨트(65)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장치(120)는 제1 이동블럭(78)과 제2 이동블럭(98)의 사이에 배치된 제3 엘엠 레일(102)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엘엠 가이드(104)의 상부에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114)의 일측에 배치되며 타이밍 벨트(65)가 끼워지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고정블럭(106)과,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 고정블럭(106)의 상부에 배치되는 휴대폰 지그 홀더(14)의 하부에 배치되며 휴대폰 지그홀더 회전 샤프트(105)에 의해 휴대폰 지그 홀더(14)와 연결되는 θ축 기어(108)와, 상기 θ축 기어(108)와 치합되는 모터기어(110)와, 상기 모터기어(110)의 축에 연결된 제3 구동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θ축 기어(108)는 θ축 베어링 샤프트(107)에 한 쌍의 θ축 회전 베어링(115)을 개재하여 메인 플레이트(114)의 관통홀(11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쉴드박스.
KR1020200025962A 2020-03-02 2020-03-02 휴대폰 쉴드박스 KR10230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62A KR102303445B1 (ko) 2020-03-02 2020-03-02 휴대폰 쉴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62A KR102303445B1 (ko) 2020-03-02 2020-03-02 휴대폰 쉴드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96A true KR20210110996A (ko) 2021-09-10
KR102303445B1 KR102303445B1 (ko) 2021-09-23

Family

ID=7777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962A KR102303445B1 (ko) 2020-03-02 2020-03-02 휴대폰 쉴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685A (ko) * 1997-07-30 1999-02-25 이대원 칩 마운터
JPH11266211A (ja) * 1998-03-17 1999-09-28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端末機の電磁界環境特性評価システム
JP2007101445A (ja) * 2005-10-06 2007-04-19 Nippon Light Metal Co Ltd 電子機器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検査装置
KR101065259B1 (ko) 2008-12-30 2011-09-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685A (ko) * 1997-07-30 1999-02-25 이대원 칩 마운터
JPH11266211A (ja) * 1998-03-17 1999-09-28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端末機の電磁界環境特性評価システム
JP2007101445A (ja) * 2005-10-06 2007-04-19 Nippon Light Metal Co Ltd 電子機器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検査装置
KR101065259B1 (ko) 2008-12-30 2011-09-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휴대폰의 품질 테스트 박스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445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US8537064B2 (en) Antenna retaining device
KR10187164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유닛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CN108326885A (zh) 一种内置控制器的大行程电动夹爪
KR102303445B1 (ko) 휴대폰 쉴드박스
KR102411027B1 (ko) 휴대폰 쉴드박스
KR100873743B1 (ko) 검사 장치
KR20070028023A (ko) 테스트 지그 유닛
US9324538B2 (en) Coaxial drive apparatus for multidirectional control
KR20090057496A (ko)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KR100354104B1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KR102380940B1 (ko)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소켓
KR20210026921A (ko)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KR101654517B1 (ko) 카메라모듈의 소켓 정렬장치
KR102025419B1 (ko) 반도체 테스트 소켓용 조립장치
KR200336668Y1 (ko) 부품의 형상공차 측정장치
KR102455963B1 (ko)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CN215641442U (zh) 一种电能计量检测装置
KR20060044025A (ko) 엔코더스위치의 내구성 검사장치
US6856152B2 (en) Impedance measuring device for printed wiring board
CN113984379B (zh) 一种旋转部件安装误差试验装置
CN219200677U (zh) 一种电机扭矩力试验装置
KR100187839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내구 시험장치
KR970075911A (ko) 엔코더에서 부품조립방법 및 부품조립장치
CN220708874U (zh) 用于玻璃抗冲击性测试的落球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