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496A -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496A
KR20090057496A KR1020070124098A KR20070124098A KR20090057496A KR 20090057496 A KR20090057496 A KR 20090057496A KR 1020070124098 A KR1020070124098 A KR 1020070124098A KR 20070124098 A KR20070124098 A KR 20070124098A KR 20090057496 A KR20090057496 A KR 2009005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hicle
rotation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859B1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12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8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의 장착부품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착부품의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고정부와, 회전고정부에 거리를 두고서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장착부품의 타단이 고정되는 가동고정부와, 가동고정부가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며, 가동고정부를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조절수단과, 가동고정부가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고, 가동고정부를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조절수단과, 회전고정부를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장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장착부품의 장착 및 탈착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고, 장착부품에 대한 정확한 테스트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무빙 파트, 장착부품, 그로밋, 와이어 하니스, 테스트, 왕복 회전 운동

Description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A ENDURANCE TEST OF A MOVING PAR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장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장착부품의 장착 및 탈착이 편리하고도 신속하도록 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어(door), 트렁크(trunk), 리프트 게이트(lift gate) 등과 같은 무빙 파트(moving part)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무빙 파트, 예컨대 도어에는 도어 래치와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장치들을 외부에 조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케이블이 다발로 묶여진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인출되며, 이러한 와이어 하니스는 무빙 파트의 움직임에 의해 물리적으로 손상되어 단선되거나 방수를 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그로밋에 감싸여져서 고정된다.
종래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일예로 와이어 하니스가 내측에 설치되는 그로밋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그로밋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로밋(1)은 내측에 와이어 하니스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도어 등과 같은 무빙 파트와 차체에 고정되기 위하여 양단에 고정부(1a)가 형성되며, 무빙 파트의 회전에 의해 신축이 가능하도록 주름부(1b)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그로밋(1)은 무빙 파트의 움직임에 의해 반복적인 변형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위하여 내구성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5-31639호의 "도어 무빙부의 개폐 시험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무빙 파트에 장착된 부품을 테스트하는 장치는 와이어 고정용 판넬(10)과, 제 1 및 제 2 지그(20,30) 및 그로밋 각도 조절 부재(40)를 포함한다.
고정용 판넬(10)은 와이어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 1 지그(20)는 그로밋(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판넬이 구비된 상태에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 2 지그(30)는 그로밋(1)과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그로밋 각도조절부재(40)는 그로밋(1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 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에 대한 테스트 장치는 무빙 파트의 장착 부품, 예컨대 그로밋을 차량에 실제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장착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로밋의 탈착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장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장착부품의 장착 및 탈착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고, 장착부품에 대한 정확한 테스트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의 장착부품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착부품의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고정부와, 회전고정부에 거리를 두고서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장착부품의 타단이 고정되는 가동고정부와, 가동고정부가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며, 가동고정부를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조절수단과, 가동고정부가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고, 가동고정부를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조절수단과, 회전고정부를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을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장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장착부품의 장착 및 탈착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고, 장착부품에 대한 정확한 테스트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장착부품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는 회전고정부와 가동고정부를 가지고, 가동고정부를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제 1 및 제 2 조절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고정부를 왕복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장착부품을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상태로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내구성의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100)는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의 장착부품(2)을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장착부품(2)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회전고정부(110) 및 가동고정부(120)와, 가동고정부(120)를 회전고정부(110)의 회전축(111a)에 나란한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조절수단(130)과, 가동고정부(120)를 회전축(111a)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조절수단(140)과, 회전고정부(110)를 왕복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로서, 예를 들면, 도어(door), 트렁크(trunk), 리프트 게이트(lift gate) 등과 같이 차체에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파트가 해당되며,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내측에 와이어 다발로 이루어진 와이어 하니스가 삽입되는 그로밋을 예로 들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무빙 파트에 장착됨으로써 무빙 파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변형되거나 움직이는 부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100)는 도어(door)에 장착되는 그로밋(2)을 테스트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회전고정부(110)의 회전축(111a)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된다.
회전고정부(110)는 장착부품(2)의 일단(2a)이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든 측에 회전축(111a)을 가짐과 아 울러 장착부품(2)인 그로밋의 와이어가 인출되기 위한 개구(111b)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111)와, 개구(111b) 형성부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장착부품(2)의 일단(2a)이 끼워져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는 판상의 제 1 고정부재(112)와, 제 1 고정부재(112)를 회전플레이트(111)의 개구(111b)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수단(113)과, 회전축(111a)을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한다.
회전고정부(110)는 회전플레이트(111)에 개구(111b)가 회전축(1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제 1 고정부재(112)가 회전플레이트(111)의 개구(111b) 형성부위마다 각각 설치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진다.
제 1 고정수단(113)은 제 1 고정부재(112)의 측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 1 걸림편(113a)과 회전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제 1 걸림편(113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임에 의해 제 1 걸림편(113a)이 회전플레이트(111)에 제 1 고정부재(112)를 밀착시키는 제 1 고정볼트(113b)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고정수단(113)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부재(112)가 회전플레이트(111)에서 회전축(111a)에 직교하는 방향, 예컨대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고정부(120)는 회전고정부(110)에 거리를 두고서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장착부품(2)의 타단(2b)이 고정되는데, 제 1 조절수단(130)에 의해 지지되며, 개구(121a)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21)와, 고정플레이트(121)의 개구(121a) 형성부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장착부품(2)의 타단(2b)이 끼워져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 홀(미도시)을 가지는 제 2 고정부재(122)와, 제 2 고정부재(122)를 고정플레이트(121)의 개구(121a)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수단(123)을 포함한다.
제 2 고정수단(123)은 제 2 고정부재(122)의 측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편(123a)과, 고정플레이트(121)를 관통하여 제 2 걸림편(123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임에 의해 제 2 걸림편(123a)이 제 2 고정부재(122)를 고정플레이트(121)에 밀착시키는 제 2 고정볼트(123b)를 포함한다.
제 2 고정수단(123)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제 2 고정부재(122)가 고정플레이트(121)에서 회전고정부(110)의 회전축(111)에 직교하는 방향, 예컨대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을 고정시킨다.
제 1 조절수단(130)은 가동고정부(120)가 회전고정부(110)의 회전축(111a)에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며, 가동고정부(120)를 회전축(111a)에 나란한 방향, 즉 y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제 1 조절수단(130)은 단일의 고정플레이트(121) 또는 y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2 이상의 고정플레이트(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고정부(110)의 회전축(111a)에 나란히 수직되도록 제 2 조절수단(140)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가이드축(131)과, 고정플레이트(121)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가이드축(131)을 가압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조임볼트(132)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축(131)은 고정플레이트(121)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슬라이딩 결합부(12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결합부(121b)를 통해서 나사 체결되는 제 1 조임볼트(132)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21)를 고정시키거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조절수단(140)은 가동고정부(120)가 회전축(111a)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x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한편, 제 2 조절수단(140)은 본 실시예에서 x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킴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역시 y축에 직교하는 z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조절수단(140)은 제 1 가이드축(131)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축고정부재(141)와, 축고정부재(141)에 제 1 가이드축(1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축(142)과, 축고정부재(141)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에 의해 제 2 가이드축(142)을 가압하는 제 2 조임볼트(143)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축(142)은 축고정부재(141)가 상하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다수로 이루어져서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도록 배열되며, 양단이 회전지지프레임(114)과 별도의 지지프레임(142a)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구동부(150)는 회전고정부(110)를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데, 정해진 각도로 함은 장착부품(2)이 장착되는 무빙 파트의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이고, 실린더 등의 다양한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회전고정부(110)를 왕복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와, 이러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다시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부재들, 예컨대 랙과 피니언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모터에 의해 랙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을 직선 운동시키고, 이러한 피니언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축(111a)에 설치된 평기어를 회전시키는 구 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회전구동부(150)가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모터의 정.역회전의 반복에 의해 회전고정부(110)를 정.역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시키거나, 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크랭크 구조와 같은 수단들을 이용함으로써 회전고정부(110)를 왕복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100)의 동작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무빙 파트, 예컨대, 도어에 장착되는 그로밋과 같은 장착부품(2)의 양단(2a,2b)을 제 1 고정부재(112)와 제 2 고정부재(122)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에 각각 억지 끼움으로써 고정시킨 다음, 제 1 고정부재(112)와 제 2 고정부재(122)를 제 1 고정수단(113)과 제 2 고정수단(123)을 사용하여 회전플레이트(111)와 고정플레이트(121)의 개구(111a,121a) 형성부위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 때, 장착부품(2)이 양단(2a,2b) 위치가 실제 차량에 위치하는 것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재(122)를 제 2 고정수단(123) 사이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제 2 고정수단(123)의 제 2 걸림편(123a)과 제 2 고정볼트(123b)로 고정시키고, 고정플레이트(121)를 제 1 가이드축(131)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제 1 조임볼트(132)의 조임에 의해 고정시키며, 고정플레이트(121)와 함께 제 1 조절수단(130)을 제 2 가이드축(142)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제 2 조임볼트(143)의 조임에 의해 고정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품(2)을 실제 차량에 장착한 상태로 장착을 마치면, 회전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회전고정부(110)가 회전축(111a)을 중심으로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게 됨으로써 장착부품(2)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착부품(2)의 타단(2b)의 위치를 x,y,z축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부품(2)을 실제 차량에 장착된 형태로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고정부재(112,122)를 다수로 장착함으로서 동시에 다수의 장착부품(2)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200)는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의 장착부품(3)을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장착부품(3)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회전고정부(210) 및 가동고정부(220)와, 가동고정부(220)를 회전고정부(210)의 회전축(211a)에 나란한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조절수단(230)과, 가동고정부(220)를 회전축(211a)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조절수단(240)과, 회전고정부(210)를 왕복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5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200)는 트렁크(trunk), 리프트 게이트(lift gate)에 장착되는 그로밋(3)을 테스트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회전고정부(210)의 회전축(211a)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며, 이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회전고정부(210)는 수평의 회전축(211a)을 가짐과 아울러 개구(211b)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211)와, 장착부품(3)의 일단(3a)이 고정되어 회전플레이트(211)의 개구(211b) 형성부위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212)와, 제 1 고정부재(212)를 회전플레이트(211)의 개구(211b)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수단(213)과, 회전플레이트(211)의 회전축(21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프레임(214)으로 이루어진다.
회전고정부(210)는 회전플레이트(211)에 개구(211b)가 회전축(2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부재(212)가 회전플레이트(211)의 개구(211b) 형성부위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회전플레이트(211)에 제 1 고정수단(213)이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홀(215)이 개구(211b)와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플레이트(211) 상에서 회전축(211a)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으로 제 1 고정부재(212)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동고정부(220)는 제 2 조절수단(24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개구(221a)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221)와, 고정플레이트(221)의 개구(221a) 형성부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장착부품(3)의 타단(3b)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222)와, 제 2 고정부재(222)를 고정플레이트(221)의 개구(221a)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 수단(223)을 포함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고정수단(213,223)은 제 1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3,123)과 마찬가지로, 서로 나사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걸림편(213a,223a)과 제 1 및 제 2 고정볼트(213b,223b)로 이루어진다.
제 1 조절수단(230)은 가동고정부(220)를 회전고정부(210)의 회전축(211a)과 나란한 방향인 x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221)에 회전고정부(210)의 회전축(211a)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 2 고정수단(223)이 설치되는 고정홀(231)임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고정홀(23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개구(211a)의 양측으로 형성된다.
제 2 조절수단(240)은 가동고정부(220)를 회전축(211a)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예컨대, z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221)가 고정되는 축고정부재(241)와, 축고정부재(2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고정부(210)의 회전축(211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 2 가이드축(242)과, 축고정부재(241)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에 의해 제 2 가이드축(242)을 가압하는 제 2 조임볼트(243)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조절수단(240)은 가동고정부(220)를 회전축(211a)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z축을 대신하여 y축 상에서 원하는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처럼 축고정부재(241)와 고정플레이트(221)간의 결합 구조를 가동고정부(220)를 y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축고정부재(241)는 제 3 가이드축(241a)이 수직되 게 고정플레이트(2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3 가이드축(241a)의 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제 2 조임볼트(243)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241b)가 제 2 가이드축(2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플레이트(221)에 나사 체결되는 제 3 조임볼트(241c)가 제 3 가이드축(241a)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제 3 조임볼트(241c)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고정플레이트(221)를 제 3 가이드축(241a)을 따라 y축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2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나 리프트 게이트에 장착되는 그로밋과 같은 장착부품(3)의 양단(3a,3b)을 제 1 고정부재(212)와 제 2 고정부재(222)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에 억지 끼움으로써 고정시킨 다음, 제 1 고정부재(212)와 제 2 고정부재(222)를 제 1 고정수단(213)과 제 2 고정수단(223)을 사용하여 회전플레이트(211)와 고정플레이트(221)의 개구(211b,221a) 형성부위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장착부품(3)이 양단(3a,3b)의 위치가 실제 차량에 위치하는 것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고정부재(222)를 고정플레이트(221) 상에서 회전플레이트(211)의 회전축(211a)과 나란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x축 방향에서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고정홀(231)을 따라 설치되는 제 1 고정수단(213)에 의해 고정시키고, 고정플레이트(221)를 제 2 가이드축(242)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제 2 조임볼트(243)의 조임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때, 고정플레이트(221)를 제 3 가이드축(241a)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 3 조임볼트(241c)에 의해 고정플레이트(22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장착부품(3)을 실제 차량에 장착하는 형상대로 장착시키면, 회전구동부(250)의 구동에 의해 회전고정부(210)가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게 됨으로써 장착부품(3)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를 정확하게 실시되도록 되고, 장착부품(3)의 타단(3b)의 위치를 x,y,z축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부품(3)을 실제 차량에 장착된 형태로 동일하도록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고정부재(212,222)를 다수로 장착함으로서 동시에 다수의 장착부품(3)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그로밋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회전고정부 111 : 회전플레이트
111a : 회전축 111b : 개구
112 : 제 1 고정부재 113 : 제 1 고정수단
113a : 제 1 걸림편 113b : 제 1 고정볼트
114 : 회전지지프레임 120 : 가동고정부
121 : 고정플레이트 121a : 개구
121b : 슬라이딩 결합부 122 : 제 2 고정부재
123 : 제 2 고정수단 123a : 제 2 걸림편
123b : 제 2 고정볼트 130 : 제 1 조절수단
131 : 제 1 가이드축 132 : 제 1 조임볼트
140 : 제 2 조절수단 141 : 축고정부재
142 : 제 2 가이드축 142a : 지지프레임
143 : 제 2 조임볼트 150 : 회전구동부
210 : 회전고정부 211 : 회전플레이트
211a : 회전축 211b : 개구
212 : 제 1 고정부재 213 : 제 1 고정수단
213a : 제 1 걸림편 213b : 제 1 고정볼트
214 : 회전지지프레임 215 : 가이드홀
220 : 가동고정부 221 : 고정플레이트
221a : 개구 222 : 제 2 고정부재
223 : 제 2 고정수단 223a : 제 2 걸림편
223b : 제 2 고정볼트 230 : 제 1 조절수단
231 : 고정홀 240 : 제 2 조절수단
241 : 축고정부재 241a : 제 3 가이드축
241b : 슬라이딩부재 241c : 제 3 조임볼트
242 : 제 2 가이드축 243 : 제 2 조임볼트
250 : 회전구동부

Claims (13)

  1. 차량에 마련된 무빙 파트의 장착부품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품의 일단이 고정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회전고정부에 거리를 두고서 마주 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품의 타단이 고정되는 가동고정부와,
    상기 가동고정부가 상기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가동고정부를 상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1 조절수단과,
    상기 가동고정부가 상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가동고정부를 상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 2 조절수단과,
    상기 회전고정부를 정해진 각도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을 가지며, 개구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개구 형성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품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고 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개구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1 고정수단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개구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개구 형성부위마다 각각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개구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개구 형성부위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제 1 고정수단이 고정되기 위한 가이드홀이 상기 개구와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측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 1 걸림편과,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걸림편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임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편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제 1 고정부재를 밀착시키는 제 1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서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을 고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고정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조절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개구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개구 형성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품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개구 형성부위에 고정시키는 제 2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측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편과,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걸림편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임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편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기 제 2 고정부재를 밀착시키는 제 2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양측을 고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수단은,
    단일의 고정플레이트 또는 일렬로 배열되는 2 이상의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나란하게 설치되도록 제 2 조절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가이드축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이드축을 가압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조임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고정부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2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고정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수단은,
    상기 제 1 가이드축이 고정되는 축고정부재와,
    상기 축고정부재에 상기 제 1 가이드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가이드축과,
    상기 축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에 의해 상기 제 2 가이드축을 가압하는 제 2 조임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축고정부재와,
    상기 축고정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고정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가이드축과,
    상기 축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에 의해 상기 제 2 가이드축을 가압하 는 제 2 조임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부품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KR1020070124098A 2007-12-03 2007-12-03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KR10094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098A KR100940859B1 (ko) 2007-12-03 2007-12-03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098A KR100940859B1 (ko) 2007-12-03 2007-12-03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496A true KR20090057496A (ko) 2009-06-08
KR100940859B1 KR100940859B1 (ko) 2010-02-09

Family

ID=4098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098A KR100940859B1 (ko) 2007-12-03 2007-12-03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8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770A (zh) * 2014-11-19 2015-03-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油气路折叠转动机构动密封寿命试验验证方法
CN106482965A (zh) * 2016-11-16 2017-03-08 宁波兴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门线束护套的检测装置
CN109632344A (zh) * 2019-01-30 2019-04-16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前盖锁台架耐久性试验装置及方法
EP3540402A1 (en) * 2018-03-12 2019-09-18 HS R & A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endurance of brake hose
KR20210002162A (ko) *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브레이크호스 내구시험 지그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492A (ko) * 2006-05-24 2007-11-29 동해전장 주식회사 자동차부품용 내구성 시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770A (zh) * 2014-11-19 2015-03-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油气路折叠转动机构动密封寿命试验验证方法
CN104390770B (zh) * 2014-11-19 2018-10-0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油气路折叠转动机构动密封寿命试验验证方法
CN106482965A (zh) * 2016-11-16 2017-03-08 宁波兴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门线束护套的检测装置
EP3540402A1 (en) * 2018-03-12 2019-09-18 HS R & A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endurance of brake hose
US11073445B2 (en) 2018-03-12 2021-07-27 Hs R & A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endurance of brake hose
CN109632344A (zh) * 2019-01-30 2019-04-16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前盖锁台架耐久性试验装置及方法
CN109632344B (zh) * 2019-01-30 2024-03-19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前盖锁台架耐久性试验装置及方法
KR20210002162A (ko) *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브레이크호스 내구시험 지그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859B1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859B1 (ko) 차량의 무빙 파트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US6591692B2 (en) Bend-test device for wire harnesses
CN102692377A (zh) 推拉力测试装置
CN102980753A (zh) 一种车门锁开启行程及推拉力试验装置
KR102419089B1 (ko) 만곡 시험기
KR101278192B1 (ko) 차량 엔진룸 배선용 와이어하네스의 내구성 시험장치
CN202939016U (zh) 一种车门锁开启行程及推拉力试验装置
CN212301106U (zh) 一种密封条拉伸强度检测装置
CN106918455B (zh) 开关耐久测试设备
CN2784906Y (zh) 手机按键疲劳测试装置
CN106736463B (zh) 一种转位式自动拧螺丝机械手
CN219858021U (zh) 一种四轴三维立体撕膜机构
KR20170116800A (ko) 비틀림 시험장치
CN211178935U (zh) 一种板簧试验装置
KR101248211B1 (ko) 차량용 와이어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CN111678818A (zh) 一种柔性屏模组弯折治具
CN107263491B (zh) 一种具有被动关节的新型换挡器自动测试机器人
CN110576083A (zh) 折弯装置
CN110131371A (zh) 链条张紧装置及粮食干燥机
KR101249011B1 (ko) 번인 테스터의 보드 착탈장치
CN211904906U (zh) 一种电动式桥梁伸缩缝试验装置
CN210893664U (zh) 一种铰链疲劳寿命测试机
CN210268569U (zh) 一种用于鲁班锁的在线测量装置
KR014061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레일 고정 지그
CN113125249B (zh) 一种通过手动控制开合同时实现多向运动的连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