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963B1 -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963B1
KR102455963B1 KR1020220012624A KR20220012624A KR102455963B1 KR 102455963 B1 KR102455963 B1 KR 102455963B1 KR 1020220012624 A KR1020220012624 A KR 1020220012624A KR 20220012624 A KR20220012624 A KR 20220012624A KR 102455963 B1 KR102455963 B1 KR 10245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otation
type
position correspo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형민
최재필
김종일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to KR102022001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6Combination of several types of applied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 방식의 버튼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해서도 내구성 실험을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버튼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 컨트롤러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버튼 중 누름 방식의 제1버튼에 대응되는 제1위치에서는 공압에 의해 상기 제1버튼을 가압하는 버튼누름유닛;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제2버튼에 대응되는 제2위치에서는 슬라이드되어 제2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기 제2버튼을 회전시키는 버튼회전유닛; 및 상기 버튼누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누름유닛의 각 제1위치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A DEVICE FOR TESTING PUSH TYPE AND ROTATION TYPE BUTTON}
본 발명은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누름 방식의 버튼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해서도 내구성 실험을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버튼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차량, 잠수함 등과 각종 기계장치에는 각종 동작을 컨트롤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버튼이 사용된다. 버튼은 일반적으로 누르는 버튼과 회전시키는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 버튼은 장시간 사용에도 동일한 명령 입력에 사용되어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러를 개발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각 버튼을 수십 내지 수만번 조작하는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데, 사람이 이를 조작하여 테스트하기에는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가 따른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버튼 검사장치(한국등록특허 제10-0512432호, 2005.08.29.등록, 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수개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버튼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종래기술 1은 다열로 배치되는 수개의 버튼을 로울러의 마찰회전으로 차례로 눌러지도록 하여 버튼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런데 종래기술 1에서는 버튼을 로울러의 마찰회전으로 눌러야 하므로 로울러를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여 이를 위한 구동기구가 요구되며 이러한 이동을 위하여 공간이 필요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공압으로 버튼을 눌러 검사하는 장치로 키패드 내구성 시험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9178호, 2015.07.08.공개, 이하 '종래기술 2'라 칭함)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2는 복수개의 다양한 사이즈의 키패드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터치봉으로 보다 균일일 터치압력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기술 2에서는 공압으로 복수개의 터치봉을 개별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종래기술 1에 따른 이동을 위한 공간이 필요치 않으면서 복수개의 다양한 사이즈의 키패드를 시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에 따른 기술발전에 따라 누르는 버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회전식 버튼의 내구성 실험을 위해서는 아직도 자동화된 장치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12432호(2005.08.29.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9178호(2015.07.08.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방식의 버튼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해서도 내구성 실험을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버튼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는, 검사대상 컨트롤러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버튼 중 누름 방식의 제1버튼에 대응되는 제1위치에서는 공압에 의해 상기 제1버튼을 가압하는 버튼누름유닛;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제2버튼에 대응되는 제2위치에서는 슬라이드되어 제2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기 제2버튼을 회전시키는 버튼회전유닛; 및 상기 버튼누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누름유닛의 각 제1위치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회전유닛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2위치에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장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테이블과, 상기 제2버튼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요소와, 상기 제2버튼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원동요소와, 상기 원동요소와 종동요소를 감아걸기하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버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제1공압공급부와 제2공압공급부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공급부에 연결되어 공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을 전후진 슬라이드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원동요소는 제1풀리이고, 상기 종동요소는 제2풀리이며,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를 감아걸기하는 벨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상기 제2버튼의 측면에 2열로 밀착하여 상기 제2버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으로서,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는, 검사대상 컨트롤러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와 컨트롤러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기 버튼을 회전시키는 버튼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회전유닛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동요소와, 상기 원동요소와 동력전달요소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원동요소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요소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동력전달요소가 상기 버튼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는 종동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누름 방식의 버튼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해서도 내구성 실험을 자동화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버튼의 조작방식에 관계없이 버튼을 실험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체부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튼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 측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체부의 베이스와 레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버튼누름유닛의 변형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버튼회전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버튼회전유닛의 작동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부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튼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정면, 측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체부의 베이스와 레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버튼누름유닛의 변형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버튼회전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기, 차량, 잠수함 등과 각종 기계장치에서 각종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버튼이 장기간 사용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구비하는지를 검사하는 테스트 장치로서, 크게 몸체부(10), 버튼누름유닛(20), 버튼회전유닛(30) 및 에어공급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검사대상 컨트롤러(C)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C)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에 관통홀(13)을 구비한다.
상기 검사대상 컨트롤러(C)는 디스플레이(D)와, 그 유닛 주변에 다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통상적으로 누름 방식의 제1버튼(B1)과 회전 방식의 제2버튼(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C)에 대해 상기 몸체부(1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C) 외곽에 장착되는 레그(11)와, 그 레그(11)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C)의 버튼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베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11)에는 높이방향으로 장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1a)에 조절볼트(11b)를 고정하도록 하여 컨트롤러(C)의 버튼 돌출 높이에 따라 베이스(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도 6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레그(11)와 베이스(1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베이스(12)를 통과하여 레그(11)에 결합되는 널링 볼트(11c)를 체결한다(도 6의 (c) 참조).
상기 베이스(12)에는 버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에는 공압에 의해 각 버튼으로 개별적으로 가압하여 제1버튼(B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누름유닛(2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에는 커버(14)가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12)와 커버(14) 사이에는 상기 버튼누름유닛(20)에 개별적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튜브(41)가 굽혀지며 배치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누름유닛(20)은 상기 버튼 중 누름 방식의 제1버튼(B1)에 대응되는 제1위치에서 공압에 의해 상기 제1버튼(B1)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위치는 상기 베이스(12)에서 버튼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 중에서 누름 방식의 제1버튼(B1)에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버튼누름유닛(20)은 상기 관통홀(13)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12)에 장착되는 에어실린더(21)와, 상기 에어실린더(21)를 베이스(12)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고정너트(22)와, 상기 에어실린더(21) 선단에는 에어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여 제1버튼(B1)을 가압하는 피크 버퍼(23)가 체결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배열이 촘촘하여 고정너트(22) 간에 간섭이 생길 경우에는 상기 에어실린더(21)에 스페이서(24)를 배치한 후에 고정너트(22)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21) 후단에는 튜브(41)가 연결되어 각 에어실린더(21)를 통해 버튼을 개별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버튼회전유닛(30)은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제2버튼(B2)에 대응되는 제2위치에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제2버튼(B2)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버튼회전유닛(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제2위치에 장착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 상에 장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테이블(32)과, 상기 제2버튼(B2)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요소와, 상기 제2버튼(B2)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원동요소와, 상기 원동요소와 종동요소를 감아걸기하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모터(34)의 구동에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버튼(B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1)에는 제1공압공급부(31a)와 제2공압공급부(31b)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공급부(40)에 연결되어 공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을 전후진 슬라이드 구동한다. 즉 제1공압공급부(31a)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슬라이드테이블(32)이 전진하고 제2공압공급부(31b)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슬라이드테이블(32)이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원동요소, 종동요소 및 동력전달요소는 상호간 이격된 축간에 모터(3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있는 소재로 상기 제2버튼(B2)의 일부에 밀착하여 제2버튼(B2)과의 마찰력으로 상기 제2버튼(B2)을 회전하게 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버튼(B2)에 불필요한 자극이나 버튼 외면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방식의 제2버튼(B2)의 작동을 실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동요소는 제1풀리(33)이고, 상기 종동요소는 제2풀리(35)이며,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제1풀리(33) 및 제2풀리(35)를 감아걸기하는 벨트(36)로 이루어져 벨트(36)에 의해 상기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제2버튼(B2)을 회동시키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2버튼(B2)에 대한 안정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2열로 밀착하여 상기 제2버튼(B2)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에 2열의 홈이 형성되고 각 홈에 동력전달요소가 안착되어 2열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에어공급부(40)는 상기 버튼누름유닛(20)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누름유닛(20)의 각 제1위치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에어공급부(40)는 상기 버튼누름유닛(20)에 각각 연결되는 튜브(41)와, 상기 본체부의 커버(14) 하단으로 유출되는 튜브(41)와 연결되는 멀티커넥터 판넬(42)과, 상기 멀티커넉터 판넬에 연결되고 전장부(43)에 내장된 컴프레셔(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본체부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멀티커넥터 판넬(42)에 연결되고 다시 전장부(43)의 멀티커넥터 판넬(42)에 연결되는 튜브(41)가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테스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누름 방식의 제1버튼(B1)에 대한 버튼 테스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버튼누름유닛(20)은 컨트롤러(C)에 배치된 제1버튼(B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튼누름유닛(20)에는 컴프레셔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튜브(41)에 의해 공급받아 에어실린더(21)가 전후진 구동된다. 이때 상기 에어실린더(21)는 제1버튼(B1)을 누르면서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피크 버퍼(23)가 이를 완충하면서, 설정된 횟수의 누름 테스트를 수행한다.
제1버튼(B1)의 개수가 다수이므로 버튼누름유닛(20)은 다수의 버튼에 대해 순차적으로 누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고, 설정된 개수의 버튼별로 구분하여 복수개의 버튼에 대해 한꺼번에 누름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회전 방식의 제2버튼(B2)에 대한 버튼 테스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버튼(B2)에 대한 회전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제1공압공급부(31a)와 제2공압공급부(31b)에 공압을 공급 또는 배출되게 하여 지지부(31)에 대해 슬라이드테이블(32)이 전후진 구동되게 한다.
그리고 몸체부(10)에는 모터(3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34)의 회전축에는 원동요소인 제1풀리(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에는 종동요소인 제2풀리(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풀리(33)와 제2풀리(35)는 동력전달요소인 벨트(36)로 감아걸기 되어 있어 모터(34)가 회전하면 제1풀리(33)가 회전하면서 벨트(36)에 의해 제2풀리(35)도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이 후진된 상태에는 모터(34)가 구동되어 벨트(36)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버튼(B2)에 밀착되지 않아 제2버튼(B2)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공압공급부(31a)와 제2공압공급부(31b)에 공압을 공급 및 배출하여 슬라이드테이블(32)을 전진시키면 제2풀리(35)도 전진하게 되면서 벨트(36)의 이동동선에 제2버튼(B2)이 진입한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테이블(32)이 전진함에 따라 제1풀리(33)와 제2풀리(35) 사이의 벨트(36) 이동구간으로 제2버튼(B2)이 진입하면서 벨트(36)와 밀착된다.
제2버튼(B2)의 회전방향은 모터(34)의 구동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모터(34)의 구동 제어를 통하여 제2버튼(B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버튼(B2)의 내구성을 실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풀리(33)와 제2풀리(35)에 2열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벨트(36)가 장착되어 2열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2버튼(B2) 측면에 2열의 벨트(36)가 밀착되어 제2버튼(B2)에 대한 안정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 검사대상 컨트롤러 D : 디스플레이
B1 : 제1버튼 B2 : 제2버튼
10 : 몸체부 11 : 레그
11a : 장공 11b : 조절볼트
11c : 널링 볼트 12 : 베이스
13 : 관통홀 14 : 커버
20 : 버튼누름유닛 21 : 에어실린더
22 : 고정너트 23 : 피크 버퍼
24 : 스페이서
30 : 버튼회전유닛 31 : 지지부
31a : 제1공압공급부 31b : 제2공압공급부
32 : 슬라이드테이블 33 : 제1풀리
34 : 모터 35 : 제2풀리
36 : 벨트
40 : 에어공급부 41 : 튜브
42 : 멀티커넥터 판넬 43 : 전장부

Claims (6)

  1. 검사대상 컨트롤러(C)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C)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에 관통홀(13)을 구비하는 몸체부(10);
    상기 버튼 중 누름 방식의 제1버튼(B1)에 대응되는 제1위치에서는 공압에 의해 상기 제1버튼(B1)을 가압하는 버튼누름유닛(20);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제2버튼(B2)에 대응되는 제2위치에서는 슬라이드되어 제2버튼(B2)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기 제2버튼(B2)을 회전시키는 버튼회전유닛(30);
    상기 버튼누름유닛(20)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누름유닛(20)의 각 제1위치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회전유닛(30)은,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제2위치에 장착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 상에 장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테이블(32)과,
    상기 제2버튼(B2)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요소와,
    상기 제2버튼(B2)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원동요소와,
    상기 원동요소와 종동요소를 감아걸기하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모터(34)의 구동에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버튼(B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1)에는 제1공압공급부(31a)와 제2공압공급부(31b)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공급부(40)에 연결되어 공압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을 전후진 슬라이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요소는 제1풀리(33)이고, 상기 종동요소는 제2풀리(35)이며,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상기 제1풀리(33) 및 제2풀리(35)를 감아걸기하는 벨트(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요소는, 상기 제2버튼(B2)의 측면에 2열로 밀착하여 상기 제2버튼(B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풀리(33) 및 제2풀리(35)에 2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6. 검사대상 컨트롤러(C)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트롤러(C)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버튼 중 회전 방식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10)와 컨트롤러(C)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을 회전시키는 버튼회전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회전유닛(30)은,
    상기 몸체부(10)에서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 상에 장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테이블(32)과,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동요소와,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10)에 설치되는 모터(34)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원동요소와,
    상기 원동요소와 종동요소를 감아걸기하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모터(34)의 구동에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방식의 버튼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KR1020220012624A 2022-01-27 2022-01-27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KR10245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24A KR102455963B1 (ko) 2022-01-27 2022-01-27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24A KR102455963B1 (ko) 2022-01-27 2022-01-27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963B1 true KR102455963B1 (ko) 2022-10-18

Family

ID=8380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624A KR102455963B1 (ko) 2022-01-27 2022-01-27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9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290A (ja) * 1993-10-12 1995-04-25 D C:Kk スイッチの耐久試験装置
JP2000206006A (ja) * 1998-12-24 2000-07-28 Hyundai Motor Co Ltd 自動車のスイッチ耐久性試験装置
KR100512432B1 (ko) 2002-06-21 2005-09-05 모동환 버튼 검사장치
KR101469631B1 (ko) * 2013-11-20 2014-12-0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마우스 휠의 내구성 시험장치
KR20150079178A (ko) 2013-12-31 2015-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키패드 내구성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290A (ja) * 1993-10-12 1995-04-25 D C:Kk スイッチの耐久試験装置
JP2000206006A (ja) * 1998-12-24 2000-07-28 Hyundai Motor Co Ltd 自動車のスイッチ耐久性試験装置
KR100512432B1 (ko) 2002-06-21 2005-09-05 모동환 버튼 검사장치
KR101469631B1 (ko) * 2013-11-20 2014-12-0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마우스 휠의 내구성 시험장치
KR20150079178A (ko) 2013-12-31 2015-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키패드 내구성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US6307386B1 (en) Modular mechanical fixturing and automated handling of printed circuit assemblies on automated test equipment
US9981822B2 (en) Flexible tube cleaning lance drive apparatus
US7923989B2 (en) Test handler
KR100671397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장치
CN107976372B (zh) 强度测试装置
KR102455963B1 (ko)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EP4043859A1 (de) Test- und/oder prüfvorrichtung
US20200401233A1 (en) Automated key pressing device having two key pressing modules and a loading stage
CN105973699A (zh) 一种可以实现试样横截面几何尺寸实时测量的测量装置及其应用
KR20070112942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KR20070094506A (ko) 기판 검사 장치
DE60303694D1 (de) Tribologischer Test Apparat
KR100735117B1 (ko) 테스트 지그 유닛
CN106019151B (zh) 一种自动电机老化测试装置
JP5140157B2 (ja) プランジャを移動する空動シリンダ装置を備える電子部品、特にicの取扱装置
CN109507606B (zh) 一种电池片电池效率检测设备
JP2007187569A (ja) 伸縮部材試験装置、伸縮部材検査装置、伸縮部材試験方法及び伸縮部材検査方法
CN109459692A (zh) 一种模块化开关疲劳测试机及测试方法
KR100648468B1 (ko) 다종 유리 기판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JP2002308420A (ja) ガラス基板の位置決め装置
KR102303445B1 (ko) 휴대폰 쉴드박스
CN210347364U (zh) 一种多连杆加载装置及显微镜
CN210293959U (zh) 一种多连杆加载装置及显微镜
KR102040264B1 (ko) 포화 자화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