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264B1 - 포화 자화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포화 자화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264B1
KR102040264B1 KR1020170180068A KR20170180068A KR102040264B1 KR 102040264 B1 KR102040264 B1 KR 102040264B1 KR 1020170180068 A KR1020170180068 A KR 1020170180068A KR 20170180068 A KR20170180068 A KR 20170180068A KR 102040264 B1 KR102040264 B1 KR 10204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assembly rod
magnetizing coil
opening
supp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246A (ko
Inventor
박만영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8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01R33/1215Measuring magnetisation; Particular magnetometer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포화 자화 측정장치는 자력 발생부와 조립봉 안착부 및 조립봉 구동부를 포함한다. 자력 발생부는 자화 코일과, 자화 코일의 내부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며 자화 코일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조립봉 안착부는 내부에 시료가 장착된 복수의 조립봉을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 및 지지하는 공급판과, 공급판을 회전시켜 복수의 조립봉 중 어느 하나의 조립봉이 자화 코일과 정렬되도록 하는 공급판 회전부를 포함한다. 조립봉 구동부는 자화 코일과 정렬된 조립봉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와, 집게부와 조립봉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집게부와 조립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화 자화 측정장치 {MEASURING DEVICE FOR SATURATION MAGNETIZATION}
본 발명은 포화 자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 측정이 가능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 측정은 엑스레이 분석법과 조직 관찰 후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한 분석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측정 부위가 국부적이어서 전체 부피에 대한 대표성이 떨어지고, 정밀도가 낮으며,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외부 자기장이 가해진 자화 시스템에 시료를 통과시키고, 자화된 시료로부터 얻어진 전압 펄스의 적분값을 이용하면 포화 자화값을 구할 수 있다. 포화 자화 실험은 자화 코일로 이루어진 자화 발생기와, 시료를 지지하는 조립봉을 준비하고, 자화 코일 내부에 조립봉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런데 실험자가 조립봉을 이동시키면 자화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때문에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기 어렵다. 시료의 이동 속도가 빠르거나 느린 경우, 데이터에 편차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떨어지고, 포화 자화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반복 실험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자화 코일에 대한 시료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포화 자화값의 측정 신뢰도를 높이고,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여러 시료의 포화 자화값 측정을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화 자화 측정장치는 자력 발생부와 조립봉 안착부 및 조립봉 구동부를 포함한다. 자력 발생부는 자화 코일과, 자화 코일의 내부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며 자화 코일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조립봉 안착부는 내부에 시료가 장착된 복수의 조립봉을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 및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공급판과, 공급판을 회전시켜 복수의 조립봉 중 어느 하나의 조립봉이 자화 코일과 정렬되도록 하는 공급판 회전부를 포함한다. 조립봉 구동부는 자화 코일과 정렬된 조립봉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와, 집게부와 조립봉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집게부와 조립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제1 개구는 자화 코일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은 제1 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각각은 제1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볼과, 볼과 결합된 제1 스프링과, 제1 스프링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를 관통하는 조립봉은 복수의 볼과 밀착되면서 제1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 있다.
공급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판이 공급판에 끼워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판 각각에는 조립봉의 관통을 위한 제2 개구와, 제2 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이드 각각은 제2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롤러와,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와, 고정판과 롤러 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를 관통하는 조립봉은 복수의 롤러와 밀착되면서 제2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 있다.
공급판은 안착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공급판 회전부는 안착대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제1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와, 공급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면서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와 직선 이동부 및 회전부는 고정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는 조립봉 안착부를 향해 개방된 입구와, 입구와 통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는 고정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집게손과, 두 개의 집게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집게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집게손은 힌지축과 제3 스프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집게 조작부는 고정체의 외벽에 고정된 제1 실린더와, 두 개의 집게손과 제1 실린더의 피스톤을 결합시키는 연결바와, 고정체의 상하 내벽에서 두 개의 집게손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고정체의 내부 공간에서 집게손의 안쪽에 고정된 연결봉과, 연결봉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와 연결봉은 연결봉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수평 가이드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직선 이동부는 고정체의 입구와 반대되는 측에서 조립봉과 나란하게 설치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화 코일 내부에서 시료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포화 자화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시료에 대해 포화 자화값 측정을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어 측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화 자화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자력 발생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조립봉 안착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조립봉 구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화 자화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포화 자화 측정장치(100)는 자화 코일(11)을 구비한 자력 발생부(10)와, 내부에 시료가 장착된 복수의 조립봉(20)을 지지하는 조립봉 안착부(30)와, 자화 코일(11)과 정렬된 하나의 조립봉(20)을 잡아 이동시키는 조립봉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자력 발생부(10)와 조립봉 안착부(30) 및 조립봉 구동부(40)는 조립판(51) 위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자력 발생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자력 발생부(10)는 자화 코일(11)과, 자화 코일(11)을 둘러싸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자화 코일(11)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조립된다.
하우징(12)의 양측에는 조립봉(20)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개구(121)가 마련되고, 하우징(12)에는 제1 개구(121)를 관통하는 조립봉(20)을 흔들림 없이 지지하기 위한 제1 가이드(13)가 설치된다. 제1 개구(121)는 원형일 수 있으며, 제1 개구(1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예를 들어 세 개의 제1 가이드(13)가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이드(13) 각각은 제1 개구(12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볼(131)과, 볼(131)에 결합된 제1 스프링(132)과, 제1 스프링(132)을 하우징(1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32)은 제1 개구(12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방사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볼(131)은 제1 개구(121)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제1 개구(121)의 중심과 볼(131) 사이의 초기 거리는 조립봉(20)의 반경보다 작다. 따라서 하우징(12)의 제1 개구(121)로 조립봉(20)이 진입하면, 조립봉(20)이 복수의 볼(131)을 밀어 제1 스프링(132)을 압축시키고, 제1 가이드(13)는 제1 스프링(132)의 탄성 복원력으로 조립봉(20)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조립봉 안착부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조립봉 안착부(30)는 하우징(12)의 일측에 고정된 안착대(31)와, 안착대(31)의 내측에 장착된 원판 형상의 공급판(32)과, 공급판(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간 거리를 두고 공급판(32)에 끼워진 복수의 고정판(33)과, 안착대(31) 및 공급판(32)에 결합되어 공급판(32)을 회전시키는 공급판 회전부(34)를 포함한다.
안착대(31)는 공급판(32)의 좌우 양측 및 아래측 바깥에 위치할 수 있고, 안착대(31)의 내부 하측에 한 쌍의 지지 롤러(35)가 구비되어 공급판(32)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공급판(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개부가 위치하고, 복수의 절개부 각각에 고정판(33)이 끼워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네 개의 고정판(33)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고정판(33)의 개수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고정판(33) 각각에는 조립봉(20) 관통을 위한 제2 개구(331)가 마련되고, 조립봉(20)을 지지하는 제2 가이드(3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개구(331)는 원형일 수 있고, 제2 개구(3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예를 들어 세 개의 제2 가이드(35)가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이드(35) 각각은 제2 개구(33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롤러(351)와, 롤러(351)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352)와, 고정판(33)과 롤러 지지대(352)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353)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지지대(352)와 제2 스프링(353)은 제2 개구(33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방사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롤러(351)는 제2 개구(331)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제2 개구(331)의 중심과 롤러(351) 사이의 초기 거리는 조립봉(20)의 반경보다 작다. 따라서 조립봉(20)이 고정판(33)의 제2 개구(331)를 관통할 때, 조립봉(20)이 복수의 롤러(351)를 밀어 제2 스프링(353)을 압축시키고, 제2 가이드(35)는 제2 스프링(353)의 탄성 복원력으로 조립봉(20)을 가압하여 지지한다.
공급판 회전부(34)는 공급판(32)을 회전시켜 공급판(32)에 장착된 복수의 조립봉(20) 중 어느 하나를 자화 코일(11)과 나란하게 정렬시킨다. 공급판 회전부(34)는 안착대(31)에 설치된 제1 모터(341)와, 제1 모터(34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342)와, 공급판(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구동 기어(342)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34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포화 자화 측정장치 중 조립봉 구동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조립봉 구동부(40)는 자화 코일(11)과 나란하게 정렬된 조립봉(20)을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41)와, 집게부(41)에 결합되며 자화 코일(11)을 향해 집게부(41)를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42)와, 집게부(41)에 결합되며 집게부(41)와 조립봉(2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43)를 포함한다.
집게부(41)와 직선 이동부(42) 및 회전부(43) 모두는 고정체(44)에 설치될 수 있고, 고정체(44)는 조립대(52)(도 1 참조)에 의해 조립판(5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44)는 조립봉 안착부(30)를 향해 개방된 입구와, 입구와 통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집게부(41)는 힌지축(411)과 제3 스프링(412)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집게손(413)과, 두 개의 집게손(413)이 벌어지거나 오므리도록 작동하는 집게 조작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손(413)은 고정체(44)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집게 조작부(45)는 고정체(44)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위치한다.
두 개의 집게손(413) 각각은 직선부와 원호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축(411)이 두 개의 원호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스프링(412)은 두 개의 원호부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집게 조작부(45)는 고정체(44)의 외벽에 고정된 제1 실린더(451)와, 두 개의 집게손(413)과 제1 실런더(451)의 피스톤(452)을 결합시키는 연결바(453)와, 고정체(44)의 상하 내벽에서 두 개의 집게손(413)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돌기(45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453)는 집게손(413)의 안쪽에서 회전부(43)를 구성하는 연결봉(431)을 통해 집게손(413)에 간접 결합될 수 있다. 연결봉(431)과 연결바(453) 사이에는 베어링(455)을 내장한 수평 가이드(45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린더(451)의 작동으로 연결바(453)와 수평 가이드(456)가 고정체(44)의 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봉(431)과 두 개의 집게손(413)이 고정체(44)의 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고, 두 개의 집게손(413)이 두 개의 돌기(454)에 의해 눌리면서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
즉 제3 스프링(412)에 의해 벌어져 있던 두 개의 집게손(413)이 두 개의 돌기(454)에 의해 안쪽으로 눌리면서 오므려지고, 이러한 오므림 동작에 의해 집게부(41)는 조립봉(20)의 단부를 견고하게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직선 이동부(42)는 고정체(44)의 일측(입구와 반대되는 측)에 고정된 제2 실린더(421)로 구성될 수 있다. 집게부(41)가 조립봉(20)을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실린더(421)가 작동하면 제2 실린더(421)의 피스톤(422)이 확장되면서 조립봉 안착부(30)를 향해 고정체(44)와 집게부(41)를 직선 이동시킨다. 직선 이동부(42)에 의해 조립봉(20)은 자화 코일(11)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43)는 집게손(413)의 안쪽에 고정된 연결봉(431)과, 고정체(44)에 설치되며 연결봉(431)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4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봉(431)의 일단은 제2 모터(432)의 회전축(433)에 고정된다.
제2 모터(432)의 구동으로 연결봉(431)이 회전하면 연결봉(431)에 고정된 집게손(413)과, 집게손(413)에 결합된 조립봉(20)이 같이 회전한다. 이때 연결봉(431)과 수평 가이드(456) 사이에 베어링(455)이 위치하므로 연결봉(431)은 수평 가이드(456)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조립봉 안착부(30)의 공급판(32)에 복수의 조립봉(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실험 조건에 따라 자화 코일(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력 발생부(10)의 자화 준비가 완료되면, 제2 실린더(421)의 작동으로 조립봉 안착부(30)를 향해 고정체(44)가 이동한다.
집게 조작부(45)를 구성하는 제1 실린더(451)의 작동에 의해 집게부(41)가 복수의 조립봉(20) 중 자화 코일(11)과 나란하게 정렬된 어느 하나의 조립봉(20)을 잡아 고정시키고, 직선 이동부(42)를 구성하는 제2 실린더(421)의 작동으로 고정체(44)와 집게부(41)가 자화 코일(11)을 향해 더 이동한다.
조립봉(20)은 조립봉 안착부(30)에 구비된 제2 가이드(35)와, 하우징(12)의 제1 개구(121)에 구비된 제1 가이드(13)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자화 코일(11)의 내부를 직선 이동한다. 전술한 동작으로 실험 준비가 완료되며, 제2 회전부(43)의 작동에 의해 집게손(413)과 조립봉(20)이 회전한다.
조립봉(20)의 회전에 의해 시료가 같이 회전하면서 시료의 전체 면적에 대한 자화값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시료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조립봉(20)을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 조립봉(20)이 자화 코일(11) 내부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시료의 포화 자화값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조립봉(20)이 자화 코일(11)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면 제1 실린더(451)의 작동으로 집게손(413)이 조립봉(20)에서 이탈하고, 제2 실린더(421)의 작동으로 고정체(44)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 실험을 위하여 공급판 회전부(34)의 작동으로 공급판(32)이 회전하여 다른 조립봉(20)이 자화 코일(11)과 나란하게 정렬되며,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연속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화 코일(11) 내부에서 시료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포화 자화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시료에 대해 포화 자화값 측정을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어 측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포화 자화 측정장치
10: 자력 발생부 11: 자화 코일
12: 하우징 13: 제1 가이드
20: 조립봉 30: 조립봉 안착부
31: 안착대 32: 공급판
33: 고정판 34: 공급판 회전부
40: 조립봉구동부 41: 집게부
42: 직선 이동부 43: 제2 회전부
44: 고정체 45: 집게 조작부
51: 조립판 52: 조립대

Claims (10)

  1. 자화 코일과, 상기 자화 코일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자화 코일의 내부와 통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자화 코일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력 발생부;
    내부에 시료가 장착된 복수의 조립봉을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 및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공급판과, 상기 공급판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조립봉 중 어느 하나의 조립봉이 상기 자화 코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공급판 회전부를 포함하는 조립봉 안착부; 및
    상기 자화 코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조립봉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와, 상기 조립봉이 상기 자화 코일의 내부에서 상기 자화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집게부와 상기 조립봉을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상기 자화 코일의 내부에서 상기 조립봉이 원주 방향을 따라 자체 회전하도록 상기 집게부와 상기 조립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조립봉 구동부
    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자화 코일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가이드 각각은 상기 제1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볼과, 상기 볼과 결합된 제1 스프링과, 상기 제1 스프링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는 조립봉은 상기 복수의 볼과 밀착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판이 상기 공급판에 끼워지며,
    상기 복수의 고정판 각각에는 조립봉의 관통을 위한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가이드가 설치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가이드 각각은 상기 제2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와, 상기 고정판과 상기 롤러 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는 조립봉은 상기 복수의 롤러와 밀착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판은 안착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급판 회전부는 상기 안착대에 설치된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공급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하면서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와 상기 직선 이동부 및 상기 회전부는 고정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조립봉 안착부를 향해 개방된 입구와, 상기 입구와 통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고정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집게 조작부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은 힌지축과 제3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집게 조작부는 상기 고정체의 외벽에 고정된 제1 실린더와, 상기 두 개의 집게손과 상기 제1 실린더의 피스톤을 결합시키는 연결바와, 상기 고정체의 상하 내벽에서 상기 두 개의 집게손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집게손의 안쪽에 고정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와 상기 연결봉은 상기 연결봉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장한 수평 가이드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고정체의 입구와 반대되는 측에서 상기 조립봉과 나란하게 설치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포화 자화 측정장치.
KR1020170180068A 2017-12-26 2017-12-26 포화 자화 측정장치 KR10204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68A KR102040264B1 (ko) 2017-12-26 2017-12-26 포화 자화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68A KR102040264B1 (ko) 2017-12-26 2017-12-26 포화 자화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46A KR20190078246A (ko) 2019-07-04
KR102040264B1 true KR102040264B1 (ko) 2019-11-04

Family

ID=6725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68A KR102040264B1 (ko) 2017-12-26 2017-12-26 포화 자화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477A1 (ja) * 2010-07-21 2012-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場計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125A (en) * 1992-03-18 1994-05-10 Lake Shore Cryotronics, Inc. Magnetic property characterization system employing a single sensing coil arrangement to measure AC susceptibility and DC moment of a samp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477A1 (ja) * 2010-07-21 2012-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場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46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6353A1 (en) Material proper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in situ
JP3188929U (ja) オートサンプラ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試料供給装置
KR20140048290A (ko) 래퍼 조립체
KR102040264B1 (ko) 포화 자화 측정장치
US20210231640A1 (en) Cartridge for Bead-Milling-Based Testing of Erythrocyte Mechanical Fragility
CN110006765A (zh) 便携式岩石转动摩擦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JP4218201B2 (ja) 材料試験装置
EP1995583A1 (en) Material piece scooping device
JP2017201258A (ja) 疲労試験方法、および、疲労試験装置
KR101698036B1 (ko) 코어 시료용 홀더,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기 및 탄성파 속도 측정기
CN201622264U (zh) 夹具装置
KR20170116800A (ko) 비틀림 시험장치
US9324538B2 (en) Coaxial drive apparatus for multidirectional control
Jayawickrama et al. Dual microcoil NMR probe coupled to cyclic CE for continuous separation and analyte isolation
JP4453985B2 (ja) X線分析装置
KR102455963B1 (ko) 누름 방식 및 회전 방식 버튼에 대한 버튼 테스트 장치
CN104931419B (zh) 横向磁镊装置
JP3904511B2 (ja) 剪断疲労試験装置
RU2563743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фиксаторов диагностических 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орпусов выдвижной крышки тороидальной хирургической робототехн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вариант русской логики - версия 1)
CN102788753A (zh) 用于直读光谱仪的样品分析夹具
CN110531290A (zh) 核磁共振设备
KR102303445B1 (ko) 휴대폰 쉴드박스
KR20090104496A (ko)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1809607B1 (ko) 터빈 로터 핑거 도브테일용 비파괴검사장치
JP3131611U (ja) 小形材料試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