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496A -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496A
KR20090104496A KR1020080029942A KR20080029942A KR20090104496A KR 20090104496 A KR20090104496 A KR 20090104496A KR 1020080029942 A KR1020080029942 A KR 1020080029942A KR 20080029942 A KR20080029942 A KR 20080029942A KR 20090104496 A KR20090104496 A KR 2009010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ed carbide
magnetization
fixing
ji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738B1 (ko
Inventor
홍석중
김금식
박은
Original Assignee
홍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중 filed Critical 홍석중
Priority to KR102008002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3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mechanical hardness, e.g. by investigating saturation or remanence of ferro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7/1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using magnetic means, e.g. by measuring change of reluctance
    • G01B7/1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using magnetic means, e.g. by measuring change of reluctance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2Constituents thereof
    • G01N33/2028Metallic constitu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01R33/1215Measuring magnetisation; Particular magnetometer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는, 가이드가 설치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초경합금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초경합금봉을 자화시키기 위해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자화수단과, 자화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구동장치와, 자화수단에 의해 자화된 초경합금봉의 자화값을 검출하기 위해 자화수단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자화검출수단과, 자화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자화값을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는 길이가 긴 초경합금봉의 합금조직을 절단하지 않고 비파괴적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MAGNETIC SATURA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HARD METAL}
본 발명은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를 측정하여 비파괴적 방법으로 초경합금의 합금조직을 검사할 수 있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초경합금은 공구 등에 사용되는 초경질 합금으로 금속의 탄화물 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이러한 초경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 다이스, 드릴 등에 사용된다. 초경합금은 주로 탄화텅스텐(WC) 가루와 코발트(Co) 가루를 프레스하여 성형한 다음 고온을 가해 소결함으로써 생산된다. 소결시 텅스텐과 탄소가 코발트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가 강한 고용체가 되고, 이로 인해 탄화텅스텐의 입자가 결합되어 합조직이 형성된다.
일정한 조성을 갖는 초경합금의 기계적 성질은 기본적으로 합금조직에 의존하므로 양호한 합금조직을 갖기 위해서는 경질상인 탄화텅스텐 입도와 탄소량이 중요하다. 탄화텅스텐의 입도가 미세할수록 경도는 증가하고, 탄소량이 탄화텅스텐의 이론적 결합탄소량에서 벗어나면 비자성 성분인 유해상이 생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생산된 초경합금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합금조직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경합금의 합금조직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미경 검사 방법이 있다. 현미경 검사 방법은 초경합금 샘플을 절단하여 그 단면을 관찰함으로써 초경합금의 합금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현미경 검사법은 생산된 초경합금 중 샘플로 채택된 것을 절단해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와 생산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산된 초경합금을 절단하는 종래 검사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를 측정함으로써 비파괴적 방법으로 합금조직을 검사할 수 있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초경합금봉을 절단하지 않고 초경합금봉의 전체 합금조직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는, 가이드가 설치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초경합금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초경합금봉을 자화시키기 위해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자화수단과, 자화수단 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구동장치와, 자화수단에 의해 자화된 초경합금봉의 자화값을 검출하기 위해 자화수단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자화검출수단과, 자화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자화값을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는 생산된 초경합금을 절단하지 않고 비파괴적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고, 길이가 긴 초경합금봉을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검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Magnetic Saturation) 측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10)는 프레임(21)과 케이스(22)로 구성된 본체(20)와, 프레임(21)에 설치된 가이드(23)와, 가이드(23)에 설치된 캐리지(31)를 이동시키는 선형구동장치(25)와, 초경합금봉(2)을 고정하는 고정지그(43) 및 이동지그(45)와, 캐리지(Carriage; 31)와 함께 이동하면서 초경합금봉(2)을 자화시키고 자화된 초경합금봉(2)의 자화값을 검출하는 스캔 장치(51)와, 스캔 장치(51)에 의해 검출된 자화값을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75)을 포함한다.
프레임(21)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사각 박스 형상의 케이스(22)에 고정된다. 케이스(22)의 내부에는 각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 스(22)의 네 측면은 막혀 있고, 케이스(22)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23)가 설치된 프레임(21)은 케이스(22) 일측 내벽면 중앙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가이드(23)는 고정지그(43)와 이동지그(45) 사이의 길이 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프레임(21)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다. 가이드(23)는 속이 빈 사각 기둥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스캔 장치(51)와 인접하는 일면에 가이드홈(24)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23)는 속이 빈 기둥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Bar) 타입, 레일(Rail) 타입 등 직선 이동하는 캐리지(31)를 가이드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지(31)는 스캔 장치(51)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23)에 설치되고, 리드스크류 타입의 선형구동장치(25)에 의해 작동된다. 선형구동장치(25)는 가이드(23)와 평행하게 가이드(23)의 내부에 설치된 나사축(26)과, 캐리지(31)와 일체로 결합되고 나사축(2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너트(27)와, 나사축(26)을 회전시키는 모터(28)로 구성된다. 캐리지(3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판 형상의 베이스(32)와, 베이스(32)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제 1 커버(33) 및 제 2 커버(34)와, 베이스(32)의 타면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제 1 브라켓(35) 및 제 2 브라켓(36)으로 구성되다.
제 1 및 제 2 브라켓(35)(36)은 캐리지(31)가 가이드(23)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23)의 양쪽 측면에 각각 접한다. 제 1 및 제 2 커버(33)(34)는 스캔 장치(51)를 고정하기 위해 스캔 장치(51)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한다. 제 1 및 제 2 커버(33)(34)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핀(37)이 설치되고, 이들 고정핀(37)이 스캔 장치(51)를 관통함으로써 스캔 장치(51)는 캐리지(31)에 고정된다. 베이스(32)의 타면에 결합된 너트(27)는 가이드홈(24)을 통해 가이드(23) 안쪽으로 삽입되어 나사축(26)에 결합된다. 캐리지(31)는 나사축(26)이 모터(28)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너트(27)와 함께 가이드(23)를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캔 장치(51)를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구동장치(25)는 도시된 것과 같은 리드스크류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선형구동장치(25)는 볼스크류, 리니어모터, 랙-피니언, 벨트 등 스캔 장치(51)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경합금봉(2)을 가이드(23)와 평행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인 고정지그(43) 및 이동지그(45)는 프레임(21)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지지대(41) 및 제 2 지지대(42)에 각각 설치된다. 제 1 지지대(41)는 케이스(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고, 제 2 지지대(42)는 가이드(23)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지그(43)는 케이스(2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제 1 지지대(41)의 상면에 가이드(23)와 평행하게 고정되고, 이동지그(45)는 제 1 지지대(41)와 동축 상에 놓이도록 제 2 지지대(42)의 결합구멍(47)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지그(43)와 이동지그(45)의 사이에 초경합금봉(2)이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지그(45)가 초경합금봉(2)의 상부 말단을 고정지그(43)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초경합금봉(2)은 고정지 그(43)와 이동지그(45) 사이에 고정된다.
초경합금봉(2)의 상하 말단과 각각 접하는 고정지그(43)의 상부 말단과 이동지그(45)의 하부 말단 각각에는 V홈(44)(46)이 형성된다. 초경합금봉(2)이 고정지그(43)의 상부 말단과 이동지그(45)의 하부 말단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이동지그(45)가 초경합금봉(2)을 가압하면, 초경합금봉(2)의 상하부 말단은 각각 V홈(44)(46)의 중심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초경합금봉(2)은 기울어짐 없이 고정지그(43) 및 이동지그(45)와 동축 상에 놓일 수 있다. 초경합금봉(2)이 고정지그(43) 및 이동지그(45)와 동축 상에 놓이기 위해서는, 초경합금봉(2)은 그 직경이 고정지그(43)의 직경 또는 이동지그(45)의 직경보다 작고 그 말단이 경사지지 않고 고른 평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동지그(4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 2 지지대(42)에는 조절 핸들(48)이 설치된다. 작업자가 조절 핸들(48)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지그(45)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지지대(42)의 내부에는 이동지그(45)와 조절 핸들(48)을 연동시키기 위한 기어나 나사기구 등의 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경합금봉(2)을 가이드(23)와 평행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상기와 같이 고정지그(43)와 이동지그(45)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척(Chuck)과 같이 초경합금봉(2)의 말단을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스캔 장치(51)는 캐리지(31)에 결합되어 가이드(23)를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초경합금봉(2)을 자화시키고 자화된 초경합금봉(2)의 자화값을 검출한다. 스캔 장 치(51)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지(31)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52)과, 초경합금봉(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이동 블록(52)에 결합된 제 1 자석(67) 및 제 2 자석(68), 제 1 보빈(71) 및 제 2 보빈(72), 제 1 검출 코일(73) 및 제 2 검출 코일(74)로 구성된다. 이동 블록(52)은 중앙에 개방구멍(53)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원 형상의 제 1 블록(54)과 제 2 블록(55)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블록(54)(55) 각각은 한 쌍의 고정핀(37)에 의해 캐리지(31)에 고정되고, 복수의 결합핀(56) 및 복수의 볼트(5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고정핀(37)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블록(54)(55) 각각에는 제 1 삽입구멍(58) 및 제 2 삽입구멍(59)이 형성된다. 제 2 블록(55)과 접하는 제 1 블록(54)의 결합면에는 복수의 결합핀(56)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결합홈(61)과, 복수의 볼트(57)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나사홈(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블록(54)과 접하는 제 2 블록(55)의 결합면에는 복수의 제 1 결합홈(61)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결합홈(62)과, 복수의 제 1 나사홈(63)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나사홈(64)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블록(54)(55)의 각 안쪽 굴곡면 중앙에는 제 1 및 제 2 보빈(71)(68) 각각이 삽입되는 제 1 고정홈(65) 및 제 2 고정홈(66)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고정홈(65)(66)은 서로 마주보도록 동축 상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홈(65)(66)에는 제 1 및 제 2 보빈(71)(68)이 각각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보빈(71)(68)은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보빈(71)(68)의 내면에는 제 1 및 제 2 자 석(67)(68)이 각각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자석(67)(68)은 초경합금봉(2)을 자화시키기 위한 자화수단으로, 초경합금봉(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면에서 제 1 및 제 2 자석(67)(68)으로 영구 자석이 이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 1 및 제 2 자석(67)(68)은 전자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보빈(71)(68)의 외면에는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이 각각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은 제 1 및 제 2 자석(67)(68)과 함께 초경합금봉(2)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화된 초경합금봉(2)의 자화값을 검출한다.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은 스캔장치(51)의 제 1 및 제 2 자석(67)(68)에 의해 포화 자화된 초경합금봉(2)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에 유도되는 전류값을 검출한다. 초경합금봉(2)이 전체적으로 고른 자화값으로 자화될 경우,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에 유도되는 전류값은 일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초경합금봉(2)의 자화값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면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에 유도되는 전류값도 자화값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에 유도되는 전류값은 디지털 적분기(82)를 거쳐 컴퓨터 시스템(75)으로 전송되어 분석되고, 컴퓨터 시스템(75)은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의 전류값을 통해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화검출수단은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화검출수단은 공지된 자기센서와 같이 자화된 초경합금봉(2)의 자화값을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75)은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로부터 자화값을 입력 받아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76)와, 중앙처리장치(76)와 연결된 입력장치(77) 및 출력장치(78)로 구성된다. 입력장치(77)는 초경합금봉(2)의 성분 함량이나 무게 및 길이 등 자기포화도 산출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출력장치(78)는 이상적인 합금조직을 갖는 초경합금봉(2)의 이론적 자기포화도와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을 통해 검출된 자기포화도를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10)를 이용하여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 측정시, 먼저 작업자는 자기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초경합금봉(2)을 고정지그(43)와 이동지그(45)의 사이에 놓고 조절 핸들(48)을 돌려 초경합금봉(2)을 고정지그(43)와 이동지그(45)의 사이에 고정한다. 이때, 초경합금봉(2)은 고정지그(43) 및 이동지그(45)의 동축 상에 놓여 가이드(23)와 평행하게 된다. 초경합금봉(2)이 가이드(23)와 평행하게 고정된 후, 작업자는 작동 스위치(83)를 조작하여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 측정할 수 있다.
생산된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측정하여 합금조직의 건전성과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이상적인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측정하기 전에 입력장치(77)를 통해 초경합금봉(2)의 성분 함량과 무게 및 길이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 고, 중앙처리장치(76)는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이상적인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를 산출한다.
작업자가 작동 스위치(83)를 조작하여 모터(28)를 작동 시키면, 스캔 장치(51)가 캐리지(31)와 함께 가이드(23)를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초경합금봉(2)을 스캔한다. 스캔 장치(51)가 초경합금봉(2)을 따라 직선 이동할 때 초경합금봉(2)은 제 1 및 제 2 자석(67)(68)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포화 상태에 이른다. 이때,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에는 자기포화 상태에 이른 초경합금봉(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가 유도된다. 초경합금봉(2)의 자기포화도는 전체 조성중 코발트결합상이나 비자성성분인 유해상의 함량 등 합금조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에 유도되는 전류값은 초경합금봉(2)의 합금조직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의 전류값은 디지털 적분기(8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76)로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76)는 제 1 및 제 2 검출 코일(73)(74)의 전류값을 분석하여 초경합금봉(2)의 실제 자기포화도를 산출한다. 초경합금봉(2)의 실제 자기포화도는 초경합금봉(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산출되어 출력장치(78)를 통해 그래프 등의 결과값으로 출력된다. 작업자는 출력장치(78)를 통해 출력되는 초경합금봉(2)의 실제 자기포화도와 이론적인 자기포화도를 비교하여 생산된 초경합금봉(2)에 대한 합금조직의 건전성과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10)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길이가 긴 다양한 직경의 초경합금봉(2)을 절단하지 않고 비파괴적인 방 법으로 쉽게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의 스캔 장치를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의 제 1 블록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기포화도 측정기 21 : 프레임
22 : 케이스 23 : 가이드
24 : 가이드홈 25 : 선형구동장치
26 : 나사축 27 : 너트
28 : 모터 31 : 캐리지
41, 42 : 제 1, 2 지지대 43 : 고정지그
44, 46 : V홈 45 : 이동지그
48 : 조절 핸들 51 : 스캔 장치
52 : 이동 블록 54, 55 : 제 1, 2 블록
67, 68 : 제 1, 2 자석 71, 72 : 제 1, 2 보빈
73, 74 : 제 1, 2 검출 코일 75 : 컴퓨터 시스템
76 : 중앙처리장치 77 : 입력장치
78 : 출력장치 81 : 전기 제어장치

Claims (6)

  1. 가이드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초경합금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초경합금봉을 자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자화수단과;
    상기 자화수단을 이동시키는 선형구동장치와;
    상기 자화수단에 의해 자화된 초경합금봉의 자화값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자화수단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자화검출수단과;
    상기 자화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자화값을 처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검출수단은 상기 초경합금봉이 자기포화될 때 유도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초경합금봉과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결합된 보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화수단은 상기 보빈의 내면에 결합된 자석이고, 상기 검출 코일은 상기 보빈의 외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의 중앙에는 상기 초경합금봉이 놓일 수 있는 개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 상기 자석, 상기 검출 코일은 상기 초경합금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개방구멍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자석은 서로 다른 극 끼리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초경합금봉의 일측 말단이 놓이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와 함께 상기 초경합금봉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초경합금봉의 타측 말단을 상기 고정지그 쪽으로 미는 이동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그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지지대와, 상기 이동지그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대와, 상기 이동지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지지대에 설치된 조절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와 상기 이동지그 각각은 상기 초경합금봉의 말단이 놓이는 V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20080029942A 2008-03-31 2008-03-31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097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42A KR100977738B1 (ko) 2008-03-31 2008-03-31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42A KR100977738B1 (ko) 2008-03-31 2008-03-31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496A true KR20090104496A (ko) 2009-10-06
KR100977738B1 KR100977738B1 (ko) 2010-08-24

Family

ID=4153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942A KR100977738B1 (ko) 2008-03-31 2008-03-31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97A (ko) * 2019-01-25 2020-08-04 홍창영 초경환봉의 자기 포화도 측정장치
CN112345986A (zh) * 2020-10-12 2021-02-09 天津科技大学 一种磁性颗粒饱和磁化强度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KR20230142144A (ko) 2022-04-01 2023-10-11 고정세 Ect용 보빈형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674A (ja) * 1995-10-24 1997-05-02 Hitachi Ltd 遠隔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KR0140176Y1 (ko) * 1995-12-26 1999-05-15 김태구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KR100442642B1 (ko) * 1999-12-29 2004-08-0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표면흠 검사용 와전류 센서
KR20060044022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압축기 기구부의 마찰력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97A (ko) * 2019-01-25 2020-08-04 홍창영 초경환봉의 자기 포화도 측정장치
CN112345986A (zh) * 2020-10-12 2021-02-09 天津科技大学 一种磁性颗粒饱和磁化强度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KR20230142144A (ko) 2022-04-01 2023-10-11 고정세 Ect용 보빈형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738B1 (ko)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65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imperfections in elongated ferrous workpieces
DE102008054250A1 (de) Elektromagnetisch-akustischer Messwandler und Ultraschall-Prüfsystem damit
CN101358688A (zh) 一种直流电机驱动的可变径管道外漏磁检测仪
KR100977738B1 (ko)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1274528B1 (ko) 자분 탐상 장치
CN105223267B (zh) 铁磁性构件离线漏磁成像检测装置及方法
JP2008275614A (ja) 自動較正を備えた非破壊検査用の渦電流を用いた方法および装置
CN101040182B (zh) 用于检查电池外壳上的微伤的设备和方法
CN101699310B (zh) 用于测量磁钢在电器中实际气隙磁场磁通密度值的装置
Ribeiro et al. Inductive probe for flaw detection in non-magnetic metallic plates using eddy currents
KR102157475B1 (ko) 초경환봉의 자기 포화도 측정장치
JP2006177747A (ja) 非破壊検査方法
US3379970A (en) Magnetic crack detector for ferromagnetic tubing
EP1701156B1 (de) Vorrichtung zur Prüfung eines Prüflings auf Oberflächenfehler mittels Magnetisierungsmittel und mittels Induktionssonden als Meßsensoren
JP2006153856A (ja) 電池外装ケースの傷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5233909B2 (ja) 渦流式検査装置、及び、渦流式検査方法
JP2010164483A (ja) 非破壊検査装置および非破壊検査方法
ATE386274T1 (de) Hochauflösender nmr-probenkopf für geringe probenvolumina sowie verfahren zum betrieb
JP5392692B2 (ja) 電池外装ケースの傷の検査装置
Fukuoka Development of ECT probe for flaw detection of microcrack in spring steel material
JPH1078412A (ja) 表面傷の探傷方法および探傷装置
CN219154478U (zh) 一种精确测量锁定轨温改变量的检测装置
US118218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ionary electromagnetic inspection (EMI) with orthogonal magnetizers
US4105969A (en) Galvanometer mechanism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plug portion for insertion into control console receptacle
CN219830940U (zh) 一种裂纹缺陷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