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76Y1 -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76Y1
KR0140176Y1 KR2019950047019U KR19950047019U KR0140176Y1 KR 0140176 Y1 KR0140176 Y1 KR 0140176Y1 KR 2019950047019 U KR2019950047019 U KR 2019950047019U KR 19950047019 U KR19950047019 U KR 19950047019U KR 0140176 Y1 KR0140176 Y1 KR 0140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mi
lower body
shaped notch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67U (ko
Inventor
심재형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7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176Y1/ko
Publication of KR970044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 부품을 3차원 측정하기 위하여 중에서 캠샤프트,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축을 올바르게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을 수평으로 고정시켜 주는 3차원 측정을 위한 피스톤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정반(A)에 입설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나사체결되는 하부몸체(20)를 1조로 하는 한 쌍의 지그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 몸체(20)의 상단부에는 중앙에 V형 노치(1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단 중앙에는 반원형 노치(21)를 형성하여, 상기 정반(A)에서 상기 V형 노치(11)와 반원형 노치(21) 사이에 상기 축(B)의 양단을 고정시켜 상기 축(B)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몸체 11 : V형 노치
20 : 상부몸체 21 : 반원형 노치
A : 정반 B : 축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 부품을 3차원 측정하기 위하여 중에서 캠샤프트,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축을 올바르게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을 수평으로 고정시켜 주는 3차원 측정을 위한 피스톤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캠샤프트,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축을 엔진시험 전후에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축을 올바른 상태로 견고히 고정시켜 주는 지그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필요성에 의거한 것으로, 3차원 측정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축을 올바르게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측정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정반(A)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결합되며 그 상단부 중앙에는 V형 노치(11)가 형성된 한 쌍의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하단 중앙에는 상기 V형 노치(11)와 대응되도록 반원형 노치(21)가 형성된 한 쌍의 상부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V형 노치(11)와 반원형 노치(21)는 그 사이에 상기 축(B)의 양단을 고정시켜 상기 축(B)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10)에는 이 상부몸체(10)에 나사결합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반원형노치(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B)을 하부몸체(20)의 V형 노치(11)에 밀착가압하는 볼드(24)가 더 구비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도에서, 하부몸체(20)는 평판을 ㄴ자로 절곡한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하부몸체(20)를 정반(A)에 나사체결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2개의 구멍(12)을 형성하였다. 이 하부몸체(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V형 노치(11)의 양쪽 편에는 상부몸체(10)와 체결하기 위한 나선홈(13)을 형성하였다.
상부몸체(10)는 상부몸체(1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상부몸체(1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 노치(21)의 양쪽 편에는 하부몸체(20)와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선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원형 노치(21)의 중앙에는 볼트(24)를 체결하여 축(B) 고정시 축(B)을 하부몸체(20)의 V형 노치면에 가압시키기 위한 나선공(23)을 형성하였다.
한편, V형 노치(11)의 최대폭과 반원형 노치(21)의 최대폭을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V형 노치(11)와 반원형 노치(21)는 전체적으로 측정 대상물인 축(B)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하부몸체(20)와 하부몸체(20)를 1조로 하는 한 쌍의 지그를 이용한 축(B)의 고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축(B)은 캠샤프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먼저 2개의 하부몸체(20)를 서로 대향되게, 축(B)의 길이를 고려하여, 정반(A)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부몸체(20)의 V형 노치(11)홈에 축(B)을 올려놓는다. 이후, 2개의 상부몸체(10)를 각각의 상부몸체(10)에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부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나선공(23)을 통하여 볼트(24)를 조이면 볼트의 하단(24)이 축(B)의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V형 노치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축(B)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그에 의해 측정 대상물인 축(B)이 정반(A)상에서 온전히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도시하지 않는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축(B)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측정후 축(B)을 이격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고정시와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축(B)을 3차원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측정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정반(A)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사결합되며 그 상단부 중앙에는 V형 노치(11)가 형성된 한 쌍의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단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하단 중앙에는 상기 V형 노치(11)와 대응되도록 반원형 노치(21)가 형성된 한 쌍의 상부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V형 노치(11)와 반원형 노치(21)는 그 사이에 상기 축(B)의 양단을 고정시켜 상기 축(B)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10)에는 이 상부몸체(10)에 나사결합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반원형노치(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B)을 하부몸체(20)의 V형 노치(11)에 밀착가압하는 볼드(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KR2019950047019U 1995-12-26 1995-12-26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KR0140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019U KR0140176Y1 (ko) 1995-12-26 1995-12-26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019U KR0140176Y1 (ko) 1995-12-26 1995-12-26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67U KR970044967U (ko) 1997-07-31
KR0140176Y1 true KR0140176Y1 (ko) 1999-05-15

Family

ID=1943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019U KR0140176Y1 (ko) 1995-12-26 1995-12-26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1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38B1 (ko) * 2008-03-31 2010-08-24 홍석중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1400479B1 (ko) * 2012-08-29 2014-05-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정비용 밸브 고정 장치
KR20190040109A (ko) 2017-09-27 2019-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판형 핵연료 검사용 고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판형 핵연료 검사 방법
KR101998271B1 (ko) 2018-06-07 2019-07-09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20190002088U (ko) * 2018-02-07 2019-08-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나사마이크로미터 기준봉의 측정장치
KR102027430B1 (ko) 2018-06-07 2019-10-01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38B1 (ko) * 2008-03-31 2010-08-24 홍석중 초경합금의 자기포화도 측정기
KR101400479B1 (ko) * 2012-08-29 2014-05-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정비용 밸브 고정 장치
KR20190040109A (ko) 2017-09-27 2019-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판형 핵연료 검사용 고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판형 핵연료 검사 방법
KR20190002088U (ko) * 2018-02-07 2019-08-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나사마이크로미터 기준봉의 측정장치
KR101998271B1 (ko) 2018-06-07 2019-07-09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102027430B1 (ko) 2018-06-07 2019-10-01 황보성 검사 대상물 고정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6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176Y1 (ko) 3차원 측정을 위한 축 고정용 지그
US4608759A (en) Vernier and/or dial caliper comparative reading point checking selective accessory attachments and their combinations
JPH0245125B2 (ko)
US4413416A (en) Measuring device
US7222541B2 (en) Measuring torsional distortion with an easily applied clip device (saw)
KR100208825B1 (ko) 커넥팅 로드의 플랜지 조립면 측정 지그
KR100408703B1 (ko) 소형시편을 이용한 인장시험을 위한 시편지지대
JPH09203699A (ja) 平板状試験片の把持装置
KR200148999Y1 (ko) 깊은홈측정용블럭게이지
SU996894A1 (ru)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 турбинной лопатки с елочным замком на вибростенде при усталостных испытани 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6490804B1 (en) Comparison gauge for automotive starters
JPS5939601Y2 (ja) マイクロメ−タ−
CN215909793U (zh) 检测夹具组件及具有其的量针示值检定装置
KR20050062187A (ko) 인터널 발란스 장착 장치
KR0135858Y1 (ko) 3차원 측정을 위한 피스톤 고정용 지그
KR100251210B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특성 측정용 지그
KR20050107692A (ko) 하중 떨림 현상이 감소되도록 제작된 인장 재료 시험기의시편 고정장치
KR19980035655U (ko) 내, 외경 측정장치
JP3682748B2 (ja) ワークの基準孔検査装置
KR0135859Y1 (ko) 3차원 측정을 위한 피스톤 고정용 지그
JP2002014019A (ja) バネ部材における加工部の耐久性評価用治具
KR100210302B1 (ko) 스냅링 삽입홈 내경 측정기
JP2001165835A (ja) バネ部材におけるバネ部の耐久性評価方法および試料固定用治具
KR100209777B1 (ko) 3차원 측정기의 측정 헤드부 구조
KR19990007593U (ko) 커넥팅로드 측정용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