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39A -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 Google Patents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39A
KR20210109939A KR1020200025200A KR20200025200A KR20210109939A KR 20210109939 A KR20210109939 A KR 20210109939A KR 1020200025200 A KR1020200025200 A KR 1020200025200A KR 20200025200 A KR20200025200 A KR 20200025200A KR 20210109939 A KR20210109939 A KR 2021010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auxiliary lamp
generation device
power generation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069B1 (ko
Inventor
김관락
Original Assignee
김관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락 filed Critical 김관락
Priority to KR102020002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5Searchlights, e.g. adjustable from with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실린더의 상부에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기로 빛을 조사하는 보조램프를 구비하여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마스트와, 헤드램프 및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의 양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리프트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전장치에 의해 충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야간 작업시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보조램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a forklift with visibility}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실린더의 상부에 구동휠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기로 빛을 조사하는 보조램프를 구비하여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fork lift)는 고중량의 화물(荷物)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인 포크, 램과, 이와 같은 포크, 램을 승강(昇降) 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마스트(mast)를 구비하여 화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며, 또는 이것을 필요한 위치로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의 일측에는 마스트 상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 되는 캐리지(carriage)인 리프트가 설치된다.
또, 상기 지게차는 운전석 상측으로 야간 작업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을 비추는 헤드램프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게차는 헤드램프의 전방으로 마스트가 위치하기 때문에 헤드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간섭이 이루어져 원활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램프의 전방으로 마스트 위치됨으로써 마스트에 빛 간섭이 이루어져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파렛트(Pallet)나 이송대상물까지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헤드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파렛트나 이송 대상화물까지 도달하지 못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함은 물론 시야 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지게차가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헤드램프의 조사각 조절장치가 제시되고 있지만 이 역시 원활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헤드램프를 보조하는 보조램프가 제시되고 있으나, 자가발전이 아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선, 커넥터, 고정 클램프, 브래킷과 같은 많은 부품이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부피가 커 이러한 부품들이 오히려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928736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87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의 주간 작업은 물론 야간 작업시에도 운전자의 원활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보조램프 부품을 최소화하여 보조램프 부품으로 인한 시야 방해를 해소하고 비용절감과 배터리 수명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시야성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스트와, 헤드램프 및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의 양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리프트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전장치에 의해 충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야간 작업시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보조램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리프트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로드의 신장 및 수축 동작에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한쌍의 벨트와, 상기 각 벨트와 결합되어 벨트의 인출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을 갖는 한쌍의 구동휠과, 상기 각 구동휠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한쌍의 발전기와, 상기 각 발전기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보조램프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제어보드와 2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원격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지게차 운전석의 스위치로 보조램프를 ON/OFF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게차의 야간 작업시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원활한 시야 확보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보조램프의 가동을 자가 발전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공급장치나 전력 케이블과 같은 부품을 최소화함으로써 비용절감을 이루고 배터리의 내구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보조램프의 가동을 위한 전력공급장치나 전력 케이블과 같은 부품을 배제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항상 운전자의 시야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를 통해 설치되는 발전장치와 보조램프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리프트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승강되어 리프트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헤드램프와 보조램프를 통해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100)는 발전장치(110)와 보조램프(120)를 구비한다.
상기 발전장치(110)는 지게차(100)의 마스트(130) 양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한쌍의 리프트 실린더(111)의 실린더 로드(111a)의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전장치(110)는 리프트 실린더(111)를 구성하는 실린더 로드(111a)의 신장 및 수축 동작에 연동하여 인출되는 한쌍의 벨트(112)와, 상기 각 벨트(112)와 결합되어 벨트(112)의 인출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113a)을 갖는 한쌍의 구동휠(113)과, 상기 각 구동휠(113)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한쌍의 발전기(114)와, 상기 각 발전기(114)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모듈(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장치(110)의 구동휠(113)과 발전기(114) 및 충전모듈(115)은 브래킷(116)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모듈(115)은 한쌍의 구동휠(113) 사이에 결합되며 제어보드와 2차 전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충전모듈(115)은 발전기(114)를 통해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2차 전지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이다.
즉, 상기 2차 전지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사이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여러 번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충전모듈(115)은 용량을 초과하여 전기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충전방지회로가 부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모듈(115)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원격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지게차(100) 운전석의 스위치(미도시)로 상기 보조램프(120)를 ON/OFF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램프(120)는 상기 발전장치(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전장치(110)에 의해 충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야간 작업시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한다.
상기 보조램프(120)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램프(120)는 상기 충전모듈(115)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점등되는 부분이다.
상기 보조램프(120)는 일반적으로 지게차(100)의 상부 양쪽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 헤드램프(140)를 통해 얻을 수 없는 파렛트나 이송 대상화물 및 사각지역과 음영지역까지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마스트(130)의 상부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조램프(120)는 사각지역이나 음영지역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게 조사각과 광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램프(120)는 LED로 구성된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전기 사용 효율을 높이고, 빛의 확산을 방지하고 직진성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램프(120)는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높기 때문에 최고 90%까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보조램프(120)의 ON/OFF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게차(100)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램프(120)의 점등과 소등 및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보조램프(120)의 점등과 소등 및 회전을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램프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고 회전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제어기술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와 보조램프의 조립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브래킷(116)의 내측에 축(113a)을 갖는 한쌍의 구동휠(113)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각 구동휠(113)의 양측면 중앙에 상기 발전기(114)를 결합한다.
또, 상기 브래킷(116)의 내측 중앙에 상기 충전모듈(115)을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브래킷(116)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램프(120)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충전모듈(115)과 발전기(114) 및 보조램프(120)는 전기배선(117)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 상기 브래킷(116)의 하부를 지게차(100)의 리프트(131)와 포크(132)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마스트(130)의 상부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112)를 각 구동휠(113)에 결합한 후 벨트(112)의 일단은 리프트 실린더(111)의 본체에 형성되는 벨트 지지브래킷(118)에 고정,결합하고, 타 일단은 풀리(pully)(미도시)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형성되거나, 무게추(미도시)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11a)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110)와 보조램프(120)가 구비된 지게차(100)의 운행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3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위해 한쌍의 리프트 실린더(111)의 실린더 로드(111a)를 신축시킨다.
상기 실린더 로드(111a)가 신축동작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휠(113)과 결합된 벨트(112)가 상,하로 인출하게 되면서 구동휠(113)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마스트(130)의 레일 또는 랙을 따라 리프트(131)와 포크(132)가 승강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113)의 회전동작시 발전기(114) 축이 회전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전기는 전기배선(117)을 통하여 상기 충전모듈(115) 내의 2차 전지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모듈(115)의 2차 전지에 충전된 전기는 추후 지게차(100)의 야간작업시 보조램프(120)의 점등을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100)를 이용하여 야간작업시 운전자는 원격통신모듈 또는 운전석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보조램프(120)를 ON시킨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램프(120)가 점등 되어 이미 점등된 메인 헤드램프(140)가 밝히지 못하는 위치 예컨대, 파렛트나 이송 대상화물 및 사각지역과 음영지역까지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게차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써 작업의 안전성 및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지게차 110 : 발전장치
111 : 리프트 실린더 111a : 실린더 로드
112 : 벨트 113 : 구동휠
113a : 축 114 : 발전기
115 : 충전모듈 116 : 브래킷
117 : 전기배선 118 : 벨트 지지브래킷
120 : 보조램프 130 : 마스트
131 : 리프트 132 : 포크
140 : 헤드램프

Claims (5)

  1. 마스트와, 헤드램프 및 리프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의 양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리프트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의 신축동작에 연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장치와;
    상기 발전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전장치에 의해 충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야간 작업시 사각지역과 음영지역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보조램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리프트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로드의 신장 및 수축 동작에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한쌍의 벨트와, 상기 각 벨트와 결합되어 벨트의 인출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을 갖는 한쌍의 구동휠과, 상기 각 구동휠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도록 결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한쌍의 발전기와, 상기 각 발전기로부터 발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램프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제어보드와 2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원격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지게차 운전석의 스위치로 보조램프를 ON/OFF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KR1020200025200A 2020-02-28 2020-02-28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KR10234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00A KR102341069B1 (ko) 2020-02-28 2020-02-28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00A KR102341069B1 (ko) 2020-02-28 2020-02-28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39A true KR20210109939A (ko) 2021-09-07
KR102341069B1 KR102341069B1 (ko) 2021-12-20

Family

ID=7779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00A KR102341069B1 (ko) 2020-02-28 2020-02-28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825A (ko) 2022-01-27 2023-08-03 김태형 지게차용 라인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47B1 (ko) 2022-08-11 2022-11-28 김진호 사각지대 해소용 거울이 장착된 지게차
KR102471950B1 (ko) 2022-08-11 2022-11-28 김진호 사람에 대한 충돌 방지 센서가 구비된 지게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77A (ja) * 2002-03-14 2003-09-25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
JP2006335520A (ja) * 2005-06-02 2006-12-14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荷役制御装置
KR20150000871U (ko) 2013-08-20 2015-03-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광부가 형성된 지게차 포크
KR20170014089A (ko) * 2015-07-28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라이팅 시스템
JP2018502778A (ja) * 2015-01-09 2018-02-01 ジェイ.ダブリュ. スピー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用の追跡及び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358064A (zh) * 2018-01-24 2018-08-03 南京工业大学 一种自供电塔机旋转吊具装置
KR101928736B1 (ko) 2018-04-12 2018-12-14 세원셀론텍(주) 리프트를 이용한 지게차 에너지 회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677A (ja) * 2002-03-14 2003-09-25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
JP2006335520A (ja) * 2005-06-02 2006-12-14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荷役制御装置
KR20150000871U (ko) 2013-08-20 2015-03-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광부가 형성된 지게차 포크
JP2018502778A (ja) * 2015-01-09 2018-02-01 ジェイ.ダブリュ. スピー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用の追跡及び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14089A (ko) * 2015-07-28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라이팅 시스템
CN108358064A (zh) * 2018-01-24 2018-08-03 南京工业大学 一种自供电塔机旋转吊具装置
KR101928736B1 (ko) 2018-04-12 2018-12-14 세원셀론텍(주) 리프트를 이용한 지게차 에너지 회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825A (ko) 2022-01-27 2023-08-03 김태형 지게차용 라인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69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820B2 (en) Modular photovoltaic light and power cube
KR102341069B1 (ko) 시야 확보 기능을 갖는 지게차
ES2403189T3 (es) Estación de recarga y vehículo eléctrico asociado
WO2011058699A1 (ja) 電源システム
CN116691401A (zh) 伸缩埋地式机器人充电桩
KR20090057877A (ko)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시스템, 및타이어형 포털 크레인의 이동 방법
AU2011100774A4 (en) A portable lighting tower
KR101071407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led 가로등
KR102359734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보조 조명을 구비한 지게차
JP3198313U (ja) ソーラー発電照明装置
CN210793410U (zh) 一种可折叠的升降杆太阳能照明拖车
JP2011116532A (ja) 作業車の電源取出装置
JP3149146U (ja) Led照明移動台車
JP3151060U (ja) Led照明移動台車
CN218480486U (zh) 可收纳式照明结构
CN211976592U (zh) 一种移动式车型太阳能抢险照明灯
CN213453352U (zh) 一种用于美术作品展览的照明装置
CN218843892U (zh) 一种安装有光伏的升降停车位
CN218936253U (zh) 一种由发电机组自主供电的防碰撞移动灯塔
US11913611B2 (en) Hybrid light tower
CN214332371U (zh) 一种新型移动式太阳能充电照明车
JP5851754B2 (ja) 作業車両
CN218936134U (zh) 一种智慧灯杆
CN218914660U (zh) 一种智慧城市用的照明设备
CN214875666U (zh) 一种稳定性较高的人工智能火星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