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42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9423A KR20210109423A KR1020200124741A KR20200124741A KR20210109423A KR 20210109423 A KR20210109423 A KR 20210109423A KR 1020200124741 A KR1020200124741 A KR 1020200124741A KR 20200124741 A KR20200124741 A KR 20200124741A KR 20210109423 A KR20210109423 A KR 20210109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or
- contact
- axial direction
- connector
- 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결합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악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11)와,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12)와, 내부 및 외부 콘택트(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13)를 구비하고, 내부 및 외부 콘택트(11, 12) 중의 적어도 일방이,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22)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결합부(12f)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인슐레이터(13)가,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31)와, 제1인슐레이터부(31)에 대하여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부(32)를 구비하고 있고,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보다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결합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악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11)와,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12)와, 내부 및 외부 콘택트(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13)를 구비하고, 내부 및 외부 콘택트(11, 12) 중의 적어도 일방이,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22)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결합부(12f)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인슐레이터(13)가,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31)와, 제1인슐레이터부(31)에 대하여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부(32)를 구비하고 있고,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보다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로를 구성하는 내외(內外)의 배선과 그들 배선간의 인슐레이터(insulator)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중심도체(中心導體)와 외부도체(外部導體)의 사이에 인슐레이터를 설치한 동축 케이블 등의 전송로는, 신호라인(信號line)이 되는 중심도체의 인덕턴스나 도체간의 커패시턴스(정전용량)가 단위길이별로 일정하여 신호의 전송특성이 우수하고,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特性 impedance)Z[Ω]가, 단위길이별 인덕턴스L[H] 및 커패시턴스C[F]의 값에 대응하는 소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송로를 다른 기기류(機器類)에 접속하는 경우에,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기기측의 기준 임피던스에 일치시키는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면, 특성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전송로의 경계점에서 신호가 반사하여 파형이 변형된다고 하는 영향이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전송로를 다른 기기류에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는, 반사에 의한 특성 임피던스의 악화를 회피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특허문헌1에는, 메일·피메일(雌雄)의 커넥터 부재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내외 콘택트의 대향면적이 크고 거리가 짧을수록 또한 양 콘택트간의 인슐레이터의 유전율(誘電率)이 높을수록 정전용량이 커지는 점에 착목하여 특성 임피던스(Z=(L/C)1/2)를 조정하기 위해, 피메일측의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부분의 저(低) 임피던스를 보상할 수 있도록, 메일측의 핀콘택트(pin contact) 부분을 고(高) 임피던스 구간으로 하여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도록 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당해 공보의 단락0031, 단락0085-0086 등을 참조).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메일·피메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에, 각 부품의 치수의 불균일이나 결합하는 각도의 불균일 등이 발생하면, 메일·피메일 커넥터의 인슐레이터 상호간의 대향면 사이에 간극(間隙)이 발생함으로써, 인슐레이터층이 도중에 끊어지는 것에 의한 유전율의 변화에 기인하여 전송로를 따라 일정하게 설정된 특성 임피던스에 부정합이 발생해 버려, 전송특성이 악화되어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악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전송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와,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 중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 콘택트 및 외부 콘택트 중의 적어도 일방의 결합부가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할 때에,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인슐레이터부가 용이하게 탄성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결합부의 상대측 콘택트와의 결합을 위한 탄성변형이나 탄성회복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탄성회복후의 인슐레이터와 내부 콘택트 및 외부 콘택트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간극공간의 발생에 의한 유전율 변화로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2)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대략 분할통 모양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과, 당해 복수의 결합폴 부분을 복수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체적으로 외팔보로 지지하는 지지통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지지통 부분보다 상기 축방향의 일방측의 범위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실시하면, 결합부의 결합에 있어서, 복수의 결합폴 부분이 지름방향으로 휘어서 제1인슐레이터부를 압축시키거나, 제1인슐레이터부와 함께 탄성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슐레이터와 내부 콘택트 혹은 외부 콘택트와의 사이에 간극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슬릿의 각각의 폭이, 상기 지지통 부분에 지지되는 상기 복수의 결합폴 부분의 기단측에서 크고, 상기 복수의 결합폴 부분의 선단측에서 작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실시하면, 복수의 결합폴 부분에 응력집중을 생기게 하는 것과 같은 구멍 등을 형성하지 않고, 복수의 결합폴 부분의 필요한 휨량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릿 폭의 확대에 의하여 제1인슐레이터부의 지름방향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인슐레이터와 내부 및 외부 콘택트와의 사이에 간극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부측에 하중이 걸리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4)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단면이, 상기 외부 콘택트 또는 상기 내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인슐레이터를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를 향해서 지름방향으로 돌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대측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도, 내부 콘택트의 돌기부에 의하여 제1인슐레이터부의 축선방향 변위가 제한되어, 닿는 부분에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제2인슐레이터부측에 큰 하중이 걸리는 일도 없다.
(5)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와 동등한 비유전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결합부에서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6)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슐레이터 부분에 간극을 생기게 하지 않도록, 제1인슐레이터부를 안정된 위치 및 자세로 배치할 수 있다.
(7) 본 발명은,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와,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 중에서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 및 제2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 중에서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 및 제2피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인슐레이터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가 결합할 때에, 메일측 커넥터 부재의 제1인슐레이터부가 용이하게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피메일측 커넥터가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와의 결합을 위한 탄성변형이나 탄성회복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인슐레이터와 내부 및 외부 콘택트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간극공간의 발생에 의한 유전율 변화로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단이,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외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메일측 커넥터 부재의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단이 외부 콘택트보다 먼저 피메일측 커넥터의 인슐레이터에 압접하게 되고, 지름방향 뿐만 아니라 축선방향에 있어서도,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의 인슐레이터가 제1인슐레이터부를 통하여 간극 없이 접속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9)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외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제1메일측 결합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제1메일측 결합부 이상으로 상기 축선방향의 길이가 긴 제1피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의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제1인슐레이터부의 형상 및 자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 커넥터 부재의 내부 콘택트 상호간 및 외부 콘택트 상호간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의 변형이나 대피에 의하여 커패시터가 변화되어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의 측면도, (b)는 도3(a) 중의 B3-B3 단면도, (c)는 도3(b) 중의 C3 방향의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외부 콘택트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외부 콘택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5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제1인슐레이터부의 종단면도, (b)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내부 콘택트를 제1인슐레이터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측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리셉터클측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사시도, (c)는 그 리셉터클측의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구성을 구비하는 실시예1의 커넥터에 대해서 시간영역 반사율 측정(時間領域 反射率 測定)을 한 결과를, 제1인슐레이터부와 같은 탄성소재를 설치하지 않는 비교예와 비교 가능하게 나타낸 그래프로서, 종축은 임피던스를, 횡축은 측정대상요소에 의한 신호지연량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9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플러그측의 요부의 측면도, (c)는 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11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측면도, (b)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시간영역 반사율의 측정결과를 비교예 및 제1실시형태와 비교 가능하게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종축은 임피던스를, 횡축은 측정대상요소에 의한 신호지연량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의 측면도, (b)는 도3(a) 중의 B3-B3 단면도, (c)는 도3(b) 중의 C3 방향의 도면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외부 콘택트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외부 콘택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5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제1인슐레이터부의 종단면도, (b)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내부 콘택트를 제1인슐레이터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측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리셉터클측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사시도, (c)는 그 리셉터클측의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구성을 구비하는 실시예1의 커넥터에 대해서 시간영역 반사율 측정(時間領域 反射率 測定)을 한 결과를, 제1인슐레이터부와 같은 탄성소재를 설치하지 않는 비교예와 비교 가능하게 나타낸 그래프로서, 종축은 임피던스를, 횡축은 측정대상요소에 의한 신호지연량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9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측의 요부 종단면도, (b)는 그 플러그측의 요부의 측면도, (c)는 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11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측면도, (b)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내부 콘택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시간영역 반사율의 측정결과를 비교예 및 제1실시형태와 비교 가능하게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종축은 임피던스를, 횡축은 측정대상요소에 의한 신호지연량에 대응하는 지연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1에서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인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이, 각각 도1의 좌우방향인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각각의 접속단(接續端)측에서 플러그(10)를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리셉터클(20)에 셸(shell) 결합 깊이(Lf)의 요철결합상태로 결합시키거나, 리셉터클(20)로부터 비결합상태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의 결합부의 구조에 특징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동축 커넥터나 동축 플러그 등으로서 다른 기기나 기판, 케이블 등에 접속/실장되는 단부(도1에서의 플러그(10)의 우단부 및 리셉터클(20)의 좌단부)의 구조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접속/실장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동축 케이블이나 기기측에 대한 접속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고, 예를 들면 공지의 인쇄기판에 대한 실장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7-41347호 공보 참조), 동축 케이블과 기기기판간의 접속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344491호 공보 참조), 면실장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16178호 공보 참조), 안테나의 외부접속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38375호 공보 참조), 정밀기기에 대한 접속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25766호 공보 참조) 등이 적용 가능하다.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플러그(10)는,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11)와,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며 통모양의 셸 형상을 이루는 외부 콘택트(12)와, 내부 콘택트(11) 및 외부 콘택트(12)의 사이에 위치하는 두께가 두꺼운 통모양의 인슐레이터(13)를 구비하고 있다.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는, 선재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인슐레이터(13)의 중심을 관통하는 대략 원형단면의 관통부(11a)와, 그 관통부(11a)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서 인슐레이터(13)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도1에서 좌측)으로 돌출하는 제1메일측 결합부(11b)(돌출단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제1메일측 결합부(11b)의 선단은 대략 원추형상을 하고 있다. 여기에서 내부 콘택트(11)는 외부 콘택트(12)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은,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에 결합할 때의 삽입방향(이하, 간단하게 결합방향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내부 콘택트(11)의 선단과 외부 콘택트(12)의 선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리셉터클(20)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된 내부 콘택트(21) 및 외부 콘택트(22)와, 내부 콘택트(21) 및 외부 콘택트(22)의 사이에 위치하며 두께가 두꺼운 대략 원통모양의 절연소재(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콘택트(21)는,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의 제1메일측 결합부(11b)에 요철결합하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모양의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를 구비하고 있고, 인슐레이터(23)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외부 콘택트(22)는, 내부 콘택트(21)에 대하여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며 튜브모양(통모양)의 셸 형상을 하고 있고, 내부 콘택트(21) 및 인슐레이터(23)를 둘러싸면서 이들 쌍방보다 축선방향의 타방측(도6(a)에서 우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1에서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는, 그 결합방향의 전단(前端)측이며 내부 콘택트(11)의 제1메일측 결합부(11b)보다 결합방향의 후방측(도1에서 우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22)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2메일측 결합부(12f)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리셉터클(20)은,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 및 외부 콘택트(12)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로서, 내부 콘택트(11)의 제1메일측 결합부(11b)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와는 별도로,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플러그(10)는, 내부 콘택트(11) 및 외부 콘택트(12) 중의 적어도 일방, 예를 들면 쌍방의 축선방향의 일방측(도1의 좌측)에, 리셉터클(20)의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 및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에 각각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메일측 결합부(11b) 및 제2메일측 결합부(12f)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측의 인슐레이터(13)는,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고 두께가 두꺼운 대략 원통모양의 제1인슐레이터부(31)와, 제1인슐레이터부(31)에 대하여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며 대략 동일한 직경이고 두께가 두꺼운 원통모양의 제2인슐레이터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은, 외부 콘택트(12)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어, 리셉터클(20)측의 두께가 두꺼운 원통모양의 인슐레이터(23)의 끝면(23a) 및 내부 콘택트(21)의 끝면(21a)에 소정의 축선방향 접촉압으로 닿아 결합상태로 면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부(31)는, 수지제 절연부인 제2인슐레이터부(32)와 동등한 비유전율, 예를 들면 비유전율 2∼5 정도의 범위내로 설정된 특정한 비유전율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2인슐레이터부(32)에 용이하게 고착 또는 일체로 성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부(31)는,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적어도 대략 원통모양의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인슐레이터부(31)는, 예를 들면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LIM(Liquid Injection Molding) 성형에 의하여 일체화 상태로 성형 가능한 실리콘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단체부품(單體部品)으로서 대략 원통모양으로 성형된 후에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공지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 가능한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제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인슐레이터부(32)는, LIM 성형에 적당한 소재,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1에서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에 있어서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는, 플러그(10)의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대략 분할통(分割筒) 모양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과, 그들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을 복수의 슬릿(12c)을 사이를 두고 일체적으로 외팔보로 지지하는 지지통 부분(1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인슐레이터부(31)는, 외부 콘택트(12)의 지지통 부분(12b)보다 축방향의 일방측의 범위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에서 제2인슐레이터부(32)의 일단면(32a)에 고착(固着)되어 있다.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에는, 각각의 선단측이면서 축선방향의 동일범위 내에, 등각도 간격으로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12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돌기부(12d)가 전체로서 대략 환상(環狀)으로 전후 테이퍼 가이드를 구비하는 돌기형상을 함으로써,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은,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의 내경을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소정량만 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인슐레이터부(31)는, 일단면(31a)의 근방에서 중심구멍(31b)의 직경이 작아지는 내돌출부(31c)를 구비하고 있고,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의 관통부(11a)와 제1메일측 결합부(11b)와의 사이의 단차부(11c)가, 제1인슐레이터부(31)의 내돌출부(31c)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인슐레이터부(31)가 내부 콘택트(11)에 결합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내경(D)보다 약간 대경(大徑)이 되는 자유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이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내에 넣어질 때에,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의 근방 부분이 내부 콘택트(11)의 단차부(11c)에 접촉되거나,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선단측이나 복수의 슬릿(12c)내로 돌출함으로써 제1인슐레이터부(31)로부터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축선방향의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부(32)의 일단면(32a)은,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에 있어서의 지지통 부분(12b)으로부터 결합방향인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에서 선단측까지의 길이(Lm)(도4(a) 참조)보다 충분하게 작은 돌출길이(La)(도3(a), (b) 참조)만큼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축선방향길이(Lb)(도5(a) 참조)는, 리셉터클(20)에 대한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의 결합깊이(Lf)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이 외부 콘택트(12)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제1인슐레이터부(31)의 형상 및 치수의 설정에 의하여,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이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내로 넣어질 때에, 제2인슐레이터부(32)를 지름방향으로 압축시키지 않고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지름방향 및 축선방향으로 압축시킨 후에,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에 추종하여 탄성적으로 회복시키거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사이의 복수의 슬릿(12c)내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 및 복수의 슬릿(12c)이 각각 4개가 되는 90도 분할(4분할)의 대략 분할통 모양을 하고 있지만,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면 그 분할수(分割數)는 임의이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슬릿(12c)의 각각의 폭(w)은 서로 같고 또한 지지통 부분(12b)에 지지되는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에서 선단측까지의 길이(Lm)의 범위내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물론, 외부 콘택트(12)의 복수의 슬릿(12c)의 폭(w)은 서로 비동일하더라도 좋고,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에서 선단측까지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은, 이와 같이 결합깊이(Lf)만큼 요철결합 하는 제2메일측 결합부(12f) 및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를 외부 콘택트(12, 22)측에 구비함과 아울러 그 결합깊이(Lf)보다 리셉터클(20)의 내부 깊숙한 곳 측에서 요철결합하는 제1메일측 결합부(11b) 및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를 내부 콘택트(11, 21)측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20)의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는, 플러그(10)의 제1메일측 결합부(11b)의 길이보다 긴 오목모양 깊이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1메일측 결합부(11b)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20)에 대한 플러그(10)의 결합방향으로의 삽입 초기에, 리셉터클(20)의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에 최초로 결합하는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에 지름방향의 휨이 발생된다.
이때에,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용이하게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콘택트(12)의 상대측 콘택트와의 결합을 위한 탄성변형이나 탄성회복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외부 콘택트(12)의 탄성회복후의 인슐레이터(13)와 내부 콘택트(11) 및 외부 콘택트(12)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간극공간의 발생에 의한 유전율 변화로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10)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와 리셉터클(20)의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가 결합할 때에,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이 지름방향으로 휘어서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압축시키거나, 제1인슐레이터부(31)와 함께 탄성회복하게 되기 때문에, 플러그(10)의 리셉터클(20)에 대한 결합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슐레이터(13)와 내부 콘택트(11) 혹은 외부 콘택트(12)와의 사이에 유전율 변화를 야기하는 것 같은 간극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와 동등한 비유전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커넥터(1)의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결합부에서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슐레이터층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제2인슐레이터부(32)나 내부 콘택트(11) 및 외부 콘택트(12)에 대하여 안정된 위치 및 자세로 또한 필요한 충전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10)의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이,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그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이 외부 콘택트(12)보다 먼저 리셉터클(20)의 인슐레이터(23)에 압접하게 되어, 지름방향 뿐만 아니라 축선방향에 있어서도,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인슐레이터(13, 23)가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사이에 두고 간극 없이 접속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일·피메일의 결합상태에 있어서의 제1인슐레이터부(31)의 형상 및 자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내부 콘택트(11, 21) 상호간 및 외부 콘택트(12, 22) 상호간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13, 23)의 변형이나 대피에 의하여 커패시터가 변화되어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1)
상기의 제1실시형태의 구성을 구비하고,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실리콘 고무로 하고 인슐레이터(13)의 제1인슐레이터부(31) 및 제2인슐레이터부(32)를 일체로 LIM 성형하고, 플러그(10)의 인슐레이터(13) 및 리셉터클(20)의 인슐레이터(23)의 비유전율을 모두 3.5로, 특성 임피던스Z를 50Ω으로 각각 설정한 커넥터(1)를 제작하여 TDR(시간영역 반사율 측정)에 의한 전파지연의 측정을 하였다.
도7은 그 결과를, 임피던스[Ω]를 종축, 지연시간[ps]을 횡축으로 하는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고, 동 도면 중의 점선이 실시예1을, 실선이, 플러그측의 인슐레이터를 실시예1의 제2인슐레이터부(32)와 동일한 절연소재만으로 형성하고,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내주면 부근에 플러그 삽입시의 휨을 허용하는 데에 필요한 간극을 형성한 비교예1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 및 실시예1 모두 그 전송로 길이에 대응하는 전파지연 시간영역(傳播遲延 時間領域)에 있어서, 커넥터 결합부에 대응하는 지연구간 이외에서는 특성 임피던스가 대략 50Ω 부근의 임피던스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대해서, 커넥터 결합부에 대응하는 구간에서는 반사에 기인하는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가, 특히 비교예1의 경우에는 현저한 증가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1의 경우에는,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가 비교예1의 경우와 비교하여 1/2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대하여 지름방향의 탄성변형이 용이한 제1인슐레이터부(31)를 구비하는 실시예1의 경우에,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양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는, 상기의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와 대략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플러그(10)의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구성이 상기의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는 다른 것이다.
또,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리셉터클(20)은, 내부 콘택트(11)의 제1메일측 결합부(11b)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피메일측 결합부(21b)와, 외부 콘택트(12)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를 대응하는 상대측의 콘택트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콘택트(12)에 있어서의 제2메일측 결합부(12f)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12e)의 각각의 폭이, 지지통 부분(12b)에 지지되는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에서는 큰 폭(w2)으로,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선단측에서는 작은 폭(w1)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비해 용이하게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에 응력집중을 생기게 하는 것 같은 구멍 등을 형성하지 않고,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필요한 휨량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이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압축하도록 지름방향으로 휠 때에, 제1인슐레이터부(31)를 부분적으로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기단측의 슬릿(12e)내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의 필요한 휨을 확실하게 허용하면서, 인슐레이터(13)와 내부 및 외부 콘택트(11, 12)와의 사이에 간극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슐레이터부(32)측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된다.
(제3실시형태)
도10에서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실시형태는, 상기의 제2실시형태의 커넥터(1)와 대략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의 구성이 상기의 제1, 제2실시형태의 어느 것과도 다르고, 외부 콘택트(12)가 상기의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는 다르고, 제2실시형태와는 대략 동일한 것이다. 또한,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인 리셉터클(20)의 구성은 제1, 제2실시형태와 같다.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10)의 내부 콘택트(11)가, 인슐레이터(13)를 관통하는 관통부(11a)와, 제1인슐레이터부보다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제1메일측 결합부(11b)와, 관통부(11a)와 제1메일측 결합부(11b) 사이의 단차부(11c)를 구비하고 있는 데에 추가하여, 단차부(11c)에 대하여 제1메일측 결합부(11b)로부터 먼 측에, 관통부(11a)로부터 제1인슐레이터부(31)를 향하여 지름방향으로 돌기하는 돌기부(11d)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제2인슐레이터부(32)에 비해 용이하게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메일측 결합부(12f)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12a)이 제2피메일측 결합부(22f)내로 넣어질 때에, 제1인슐레이터부(31)가 상대측인 리셉터클(20)측의 인슐레이터(23)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도, 제1,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일단면(31a)의 근방 부분이 내부 콘택트(11)의 단차부(11c)에 닿아 지지되는 등에 더하여, 내부 콘택트(11)의 돌기부(11d)에 의하여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축선방향 변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인슐레이터(13, 23)의 닿는 부분 등에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제2인슐레이터부(32)측에 큰 하중이 걸리는 일도 없다.
(실시예2)
상기의 제3실시형태의 구성을 구비하고,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실리콘 고무로 하고 인슐레이터(13)의 제1인슐레이터부(31) 및 제2인슐레이터부(32)를 일체로 LIM 성형하고, 플러그(10)의 인슐레이터(13) 및 리셉터클(20)의 인슐레이터(23)의 비유전율을 모두 3.5로, 특성 임피던스Z를 50Ω으로 각각 설정한 커넥터(1)를 제작하여 TDR(시간영역 반사율 측정)에 의한 전파지연의 측정을 하였다.
도12는 그 결과를, 임피던스[Ω]를 종축, 지연시간[ps]을 횡축으로 하여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상기의 비교예1 및 실시예1과 비교하는 것으로서, 동 도면 중의 1점쇄선이 실시예2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 실시예1 및 실시예2 모두 그 전송로 길이에 대응하는 전파지연 시간영역에 있어서, 커넥터 결합부에 대응하는 지연구간 이외에서는 특성 임피던스가 대략 50Ω 부근의 임피던스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대해서, 커넥터 결합부에 대응하는 구간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에 기인하는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가, 특히 비교예1의 경우에는 현저하게 발생하고, 실시예1의 경우에는 비교예1의 경우와 비교하여 1/2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고, 실시예2의 경우에는 비교예1의 경우와 비교하여 1/5 정도(실시예1의 1/2 정도)로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2의 경우에도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10)의 인슐레이터(13)에 제1인슐레이터부(31)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리셉터클(20)의 인슐레이터(23)에, 플러그(10)측으로 노출하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인슐레이터부와 그것에 대해 플러그(1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인슐레이터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 리셉터클의 제1인슐레이터부의 노출 끝면이 내부 콘택트보다 결합방향측(축선방향의 한 쪽)으로 돌출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내부 콘택트 및 외부 콘택트의 쌍방이 통모양인 것과 같을 경우에, 그들의 사이에 장전되는 제1인슐레이터부의 끝면은, 축선방향에서 끝면위치가 서로 다른 내부 콘택트 및 외부 콘택트 중에서 결합방향에 있어서 후방측에 위치하는 콘택트보다 결합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내부 콘택트나 외부 콘택트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비원형의 횡단면이어도 좋고, 제1인슐레이터부(31)의 재료나 단면형상, 제2인슐레이터부(32)의 재료 등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의 변형이나 대피에 의하여 커패시터가 변화되어, 전송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은, 전송로를 구성하는 내외의 배선과 그들 배선간의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전반에 유용하다.
1 : 커넥터
10 : 플러그(메일측의 커넥터 부재)
11 : 내부 콘택트
11a : 관통부
11b : 제1메일측 결합부(결합부)
11c : 단차부
11d : 돌기부
12 : 외부 콘택트
12a : 결합폴 부분
12b : 지지통 부분
12c, 12e : 슬릿
12d : 돌기부
12f : 제2메일측 결합부(결합부)
13 : 인슐레이터(플러그측의 인슐레이터)
20 : 리셉터클(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
21 : 내부 콘택트(상대측 콘택트)
21b : 제1피메일측 결합부
22 : 외부 콘택트(상대측 콘택트)
22f : 제2피메일측 결합부
23 : 인슐레이터(리셉터클측의 인슐레이터)
23a : 끝면
31 : 제1인슐레이터부
31a : 일단면
31b : 중심구멍
31c : 내돌출부
32 : 제2인슐레이터부
w, w1, w2 : 폭
10 : 플러그(메일측의 커넥터 부재)
11 : 내부 콘택트
11a : 관통부
11b : 제1메일측 결합부(결합부)
11c : 단차부
11d : 돌기부
12 : 외부 콘택트
12a : 결합폴 부분
12b : 지지통 부분
12c, 12e : 슬릿
12d : 돌기부
12f : 제2메일측 결합부(결합부)
13 : 인슐레이터(플러그측의 인슐레이터)
20 : 리셉터클(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
21 : 내부 콘택트(상대측 콘택트)
21b : 제1피메일측 결합부
22 : 외부 콘택트(상대측 콘택트)
22f : 제2피메일측 결합부
23 : 인슐레이터(리셉터클측의 인슐레이터)
23a : 끝면
31 : 제1인슐레이터부
31a : 일단면
31b : 중심구멍
31c : 내돌출부
32 : 제2인슐레이터부
w, w1, w2 : 폭
Claims (9)
- 축선방향(軸線方向)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內部 contact)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外部 contact)와,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insulator)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 중의 적어도 일방(一方)이,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彈性素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분할통(分割筒) 모양의 복수의 결합폴 부분(結合 pawl 部分)과, 상기 복수의 결합폴 부분을 복수의 슬릿(slit)을 사이에 두고 일체적으로 외팔보로 지지하는 지지통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지지통 부분보다 상기 축방향의 일방측의 범위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의 각각의 폭이, 상기 지지통 부분에 지지되는 상기 복수의 결합폴 부분의 기단측에서 크고, 상기 복수의 결합폴 부분의 선단측에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단면(一端面)이, 상기 외부 콘택트 또는 상기 내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인슐레이터를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와, 상기 관통부에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를 향해서 지름방향으로 돌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와 동등한 비유전율(比誘電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메일·피메일(雌雄)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지름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콘택트와,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지름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콘택트와, 상기 내부 콘택트 및 상기 외부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 중에서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 및 제2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메일·피메일의 커넥터 부재 중에서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대측 콘택트에 대하여 소정의 지름방향 접촉압으로 결합하는 제1 및 제2피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인슐레이터가,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노출하는 제1인슐레이터부와,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에 대하여 상기 축선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부보다 상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의 일단이,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외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제1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외부 콘택트보다 상기 축선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메일측 결합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피메일측의 커넥터 부재의 상기 내부 콘택트가, 상기 제1메일측 결합부 이상으로 상기 축선방향의 길이가 긴 제1피메일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032273 | 2020-02-27 | ||
JP2020032273A JP7147796B2 (ja) | 2020-02-27 | 2020-02-27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9423A true KR20210109423A (ko) | 2021-09-06 |
KR102574785B1 KR102574785B1 (ko) | 2023-09-04 |
Family
ID=7265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741A KR102574785B1 (ko) | 2020-02-27 | 2020-09-25 |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398706B2 (ko) |
EP (1) | EP3872934A1 (ko) |
JP (1) | JP7147796B2 (ko) |
KR (1) | KR102574785B1 (ko) |
CN (1) | CN113314894B (ko) |
TW (1) | TWI783277B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39294A (en) * | 1965-05-28 | 1969-04-15 | Amphenol Corp | Coaxial cable connector |
US5509821A (en) * | 1994-11-14 | 1996-04-23 | Itt Corporation | D-sub connector |
JPH11250976A (ja) * | 1998-03-03 | 1999-09-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防水型同軸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US20070275584A1 (en) * | 2006-05-23 | 2007-11-29 | Micro-Coax, Inc. | Cable interconnect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14741A (en) * | 1968-05-03 | 1970-05-26 | Litton Precision Prod Inc | Low leakage connector for use in high radiation fields |
DE2421321C3 (de) * | 1974-05-02 | 1978-05-11 | Georg Dipl.-Ing. Dr.-Ing. 8152 Feldkirchen-Westerham Spinner | Abgedichtete koaxiale Steckverbindungseinrichtung |
FR2642232B1 (fr) * | 1989-01-20 | 1993-09-03 | Alliance Tech Ind | Interface de connexion ultra miniature pour haute frequence |
FR2715004B1 (fr) * | 1994-01-13 | 1996-03-01 | Radiall Sa | Connecteur coaxial microminiature à verrouillage par encliquetage. |
US6380826B1 (en) * | 2000-03-20 | 2002-04-30 |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 Filter assembly |
DE10055992C2 (de) * | 2000-04-07 | 2003-07-10 | Spinner Gmbh Elektrotech | Verlötbarer koaxialer Steckverbinder |
JP3653029B2 (ja) | 2001-10-24 | 2005-05-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TWM257566U (en) * | 2004-06-04 | 2005-02-21 | Molex Taiwan Ltd | A coaxial connector |
JP4543411B2 (ja) | 2005-06-09 | 2010-09-15 | Smk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DE102005057444B3 (de) * | 2005-12-01 | 2007-03-01 | Spinner Gmbh | Push-Pull-Koaxialsteckverbinder |
JP4394708B2 (ja) | 2007-07-04 | 2010-01-06 | Smk株式会社 | 同軸コネクタ |
CN101919121B (zh) * | 2007-10-31 | 2013-06-05 | 康宁吉伯股份有限公司 | 具有伸缩中心导体机构的同轴连接器 |
JP4902018B1 (ja) * | 2011-11-04 | 2012-03-21 | 株式会社木村電気工業 |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製造方法 |
JP2014138375A (ja) | 2013-01-18 | 2014-07-28 | Smk Corp | アンテナユニット |
JP6163455B2 (ja) | 2014-05-28 | 2017-07-12 | Smk株式会社 | 気密型同軸コネクタ |
DE202015001331U1 (de) | 2015-02-19 | 2015-04-15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Dämpfungselement |
JP2017041347A (ja) | 2015-08-19 | 2017-02-23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の実装構造 |
US20180040993A1 (en) * | 2016-01-13 | 2018-02-08 | Shanghai Radiall Electronics Co., Ltd. | Coaxial connection system for rf signals with high rf performance levels |
CN110073550B (zh) | 2016-08-19 | 2021-08-24 | Ppc宽带股份有限公司 | 具有接地连续性的同轴电缆连接器 |
EP3462550B1 (en) | 2017-10-02 | 2021-01-27 | Hosiden Corporation | Connector module and onboard camera using the same |
JP6936710B2 (ja) * | 2017-10-02 | 2021-09-22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カメラ |
-
2020
- 2020-02-27 JP JP2020032273A patent/JP7147796B2/ja active Active
- 2020-09-17 US US17/023,375 patent/US11398706B2/en active Active
- 2020-09-25 KR KR1020200124741A patent/KR1025747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9-25 EP EP20198554.6A patent/EP3872934A1/en active Pending
- 2020-10-14 CN CN202011096504.XA patent/CN113314894B/zh active Active
- 2020-10-14 TW TW109135416A patent/TWI783277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39294A (en) * | 1965-05-28 | 1969-04-15 | Amphenol Corp | Coaxial cable connector |
US5509821A (en) * | 1994-11-14 | 1996-04-23 | Itt Corporation | D-sub connector |
JPH11250976A (ja) * | 1998-03-03 | 1999-09-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防水型同軸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US20070275584A1 (en) * | 2006-05-23 | 2007-11-29 | Micro-Coax, Inc. | Cable interconne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133509A (zh) | 2021-09-01 |
JP7147796B2 (ja) | 2022-10-05 |
CN113314894A (zh) | 2021-08-27 |
TWI783277B (zh) | 2022-11-11 |
CN113314894B (zh) | 2023-07-28 |
EP3872934A1 (en) | 2021-09-01 |
US11398706B2 (en) | 2022-07-26 |
US20210273384A1 (en) | 2021-09-02 |
JP2021136176A (ja) | 2021-09-13 |
KR102574785B1 (ko) | 2023-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4478B1 (ko) | Rf 동축 컨넥터 | |
US10553977B2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 |
JP3012116B2 (ja) | 同軸コネクタ組立体 | |
US7607929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 |
US5474470A (en) | Compensated interface coaxial connector apparatus | |
US20010046802A1 (en) | Quick connect coaxial cable connector | |
US9160096B2 (en) | High speed connector | |
US20180090891A1 (en) | Coaxial connector assembly | |
CN110571551B (zh) | 用于电路板的电插接连接器 | |
KR101926725B1 (ko) | 플러그 커넥션 | |
US20240145978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20220231462A1 (en) | Connector | |
US11588284B2 (en) | Cable arrangement | |
KR20210109423A (ko) | 커넥터 | |
WO2023021981A1 (ja) | 電気コネクタ | |
US20190148867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1916340B2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connecting element, and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 |
WO2022009619A1 (ja) | 電気コネクタ | |
US20230216255A1 (en) | Controlled impedance compressible connector | |
KR102580290B1 (ko) | 알에프 동축 커넥터 | |
JP7435863B2 (ja) | 電気コネクタ対 | |
CN216981016U (zh) | 浮动接头结构 | |
US20240347943A1 (en) | Electrical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 |
CN118431845A (zh) | 一种高频同轴连接器及连接器组件 | |
JP2020077483A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