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90B1 - 알에프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알에프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90B1
KR102580290B1 KR1020210053549A KR20210053549A KR102580290B1 KR 102580290 B1 KR102580290 B1 KR 102580290B1 KR 1020210053549 A KR1020210053549 A KR 1020210053549A KR 20210053549 A KR20210053549 A KR 20210053549A KR 102580290 B1 KR102580290 B1 KR 10258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conductor
connector
slot
join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817A (ko
Inventor
조완연
김슬기
이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Priority to KR102021005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3Connection between two cabl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접속을 수행하는 알에프 동축 커넥터이며, 전기접속을 위한 연결 과정에서 연결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동축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신호 누설에 따른 신호들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알에프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중심도체(111)가 구비되는 커넥터(100)와; 제2중심도체(3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100)의 양측으로 상기 제1중심도체(111)가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되게 하는 한 쌍의 소켓(200)과; 상기 소켓(20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를 상기 소켓(200)에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외주를 감싸는 슬롯(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알에프 동축 커넥터 {RF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접속을 수행하는 알에프 동축 커넥터이며, 전기접속을 위한 연결 과정에서 연결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동축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신호 누설에 따른 신호들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알에프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에프(RF:radio frequency) 동축 커넥터는 전기부품이나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용도와 성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접속되게 연결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동축 커넥터가 실장되어 동축케이블을 이용하거나, 동축 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할 수 있고, 동축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부품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등에 의한 간섭신호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6431호를 살펴보면, RF 동축 커넥터이며, 인쇄회로기판, RF 모듈, 동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고주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RF 동축 커넥터이며, 소켓과 소켓 사이에 어댑터가 결합되는 RF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원통형상의 제1외부도체와, 상기 제1외부도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중심도체와, 상기 제1외부도체와 제1중심도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절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절연체는 제1중심도체와 제1외부도체의 중심부에서 양측에 설치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켓의 중심도체와 커넥터(어댑터)의 중심도체가 접속되는 삽입홈과 접속돌부 부분이 삽입부를 통해 끼워지는데, 상기 삽입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갖음으로 상기 삽입부의 절개부에 의해 중심도체의 접속부분이 노출되는 형태로 동축 커넥터의 중심도체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누설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 기타 외부 전기전자신호에 의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6431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켓의 중심도체와 커넥터의 중심도체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외부로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형태의 슬롯부를 마련하고, 상기 슬롯부는 커넥터의 이음돌부에 이중 관 형태로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중심도체의 접속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동축 커넥터의 중심도체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누설되지 않게 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 기타 외부 전기전자신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중심도체가 구비되는 커넥터와;
제2중심도체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의 양측으로 상기 제1중심도체가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한 쌍의 소켓과;
상기 소켓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를 상기 소켓에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제1중심도체와 제2중심도체의 접속부 외주를 감싸는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동축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커넥터의 중심도체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누설되지 않아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 기타 외부 전기전자신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에프 동축 커넥터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동축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에프 동축 커넥터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동축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3은 동축 커넥터의 실시도이다.
이에 따른 알에프 동축 커넥터(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제1중심도체(111)가 구비되는 커넥터(100); 커넥터(100)의 양측에 끼워져 제1중심도체(111)에 제2중심도체(311)를 접속되게 하는 한 쌍의 소켓(200);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외주를 감싸는 슬롯(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알에프 동축 커넥터(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가 구비되며, 한 쌍의 커넥터(1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100)는, 내측에 제1중심도체(111)가 끼움 결합되는 제1몸체(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10)는 내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제1중심도체(111)가 끼워져 지지되게 하며, 상기 제1몸체(110)에 끼워진 제1중심도체(111)는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일부 노출되면서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1중심도체(111)가 끼워진 양단 내측에는 제1절연체(120)가 끼워지는 홈을 갖는다.
상기 제1중심도체(111)는 제2중심도체(311)의 끝단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돌부(111a)가 양끝단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111a)가 형성된 측으로 절개홈을 갖으면서 상기 끼움돌부(111a)가 억지 끼움을 위한 유격을 갖으면서 제2중심도체(311)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0)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동축 커넥터(1)의 길이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와 제1몸체(110) 사이에 끼워지는 제1절연체(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체(120)는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돌출된 제1중심도체(111)와 제1몸체(110)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 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제1중심도체(111)의 절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가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되는 접속부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데,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 외주로 끼워지는 제1이음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이음부(130)는 제1중심도체(111)가 일부 노출된 측의 제1몸체(110)에서 관 형태로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슬롯(300)에 마련된 제2이음부(320) 외주로 상기 제1이음부(130)가 끼워지게 한다.
한편, 상기 제1이음부(130)는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 이동을 위한 유격을 갖을 수 있고, 상기 제1이음부(130)의 유격을 통해 커넥터(100)가 슬롯(3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임의 기울기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음부(130)는, 선단 내주로 돌출되면서 슬롯(300)의 선단 외주로 돌출된 제2걸림돌부(322)에 걸리는 제1걸림돌부(131);가 마련되고, 상기 제1걸림돌부(131)는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에 끼워져 전후 이동 가능한 제1이음부(130)가 상기 제2이음부(320)로부터 후퇴 이동 중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기능을 수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걸림돌부(131)는 커넥터(100)의 양측단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이음부(130)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체결턱(141); 및
제1절연체(120)의 내측에 상기 제1체결턱(141)이 끼워지게 하는 제1체결홈(142);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체결턱(141)은, 제1중심도체(111)의 외측에 둘레로 돌출되는데, 상기 제1절연체(12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의 후단에 단턱이 마련되면서 끼움시 단턱에 의한 걸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체결홈(142)은, 제1절연체(120)의 내측으로 제1중심도체(111)가 조립되는 구멍 내주 둘레에 상기 제1체결턱(141)이 끼워지게 하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홈(142)은 상기 제1체결턱(141)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제1체결홈(142)에 제1체결턱(141)이 끼움 결합되면서 걸리고, 이를 통해 제1중심도체(111)에 제1절연체(120)를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하면서 상기 제1절연체(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소켓(200)은;
제2중심도체(3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100)의 양측으로 상기 제1중심도체(111)가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소켓(200)은 커넥터(100)의 양측에 각각 끼워져 제1중심도체(111)에 제2중심도체(311)를 전기접속되게 하는데, 상기 소켓(200)의 타단에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중심도체(311)에 단자 접속되면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축 커넥터(1)를 이용해 상호 연결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소켓(200)은,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가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형성되고, 제2중심도체(311)가 구비되게 슬롯(300)이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부(211)를 갖는 제2몸체(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210)는 내측 중앙에 슬롯(300)이 끼워져 지지되게 하는데, 상기 슬롯(300)이 끼워지기 위한 조립부(211)가 관통구멍으로 상기 슬롯(300)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210)의 일단으로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가 삽입되는 삽입부(212)가 상기 조립부(211)에 연통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부(211)와 삽입부(212)의 경계에는 이들을 구획하면서 슬롯(300)이 끼워져 안착되게 하는 단턱이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12)는 제1이음부(130)의 외주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이음부(130)의 개구단에 외향 경사면(2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음부(130)의 외주와 삽입부(212)의 내주 사이의 간격에 의해 상기 커넥터(100)가 기울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경사면(212a)이 기울어진 커넥터(100)의 지지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롯(300)은;
상기 소켓(20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를 상기 소켓(200)에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외주를 감싸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300)은, 소켓(200)의 조립부(211)에 끼워지는데, 내측에 제2중심도체(311)가 조립되는 제3몸체(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몸체(310)는 조립부(211)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몸체(310)의 일측에는 제2절연체(330)가 끼워지는 홈을 갖고, 상기 제3몸체(310)는 상기 조립부(211)의 내측에 끼워지면 조립부(211)와 삽입부(212) 사이의 단턱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3몸체(310)의 내측으로 제2중심도체(3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중심도체(311)는 소켓(200)의 외측방으로 일부 노출되면서 인쇄회로기판에 단자 접속되게 하며, 상기 제2중심도체(311)에 제1중심도체(111)가 접속되는 측에는 상기 제1중심도체(111)의 끼움돌부(111a)가 끼워지는 끼움홈부(311a)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슬롯(300)은,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 내측에 끼워지는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외주를 감싸는 제2이음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이음부(320)는 커넥터(100)에 끼워지는 측으로 제3몸체(310)의 일단에 일체로 돌출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이음부(320)의 내측으로 조립부(211)를 통해 끼워지는 제2절연체(330)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이음부(32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21)는 관체인 제2이음부(320)에 등간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321)를 통해 제2이음부(320)가 오므라지게 할 수 있고, 상기 절개부(321)를 통해 커넥터(100)와 소켓(200)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커넥터(100)가 기울어질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제2이음부(320)는, 선단 외주로 돌출되면서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 선단 내주에 돌출된 제1걸림돌부(131)에 걸리는 제2걸림돌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돌부(322)는 제1이음부(130)에 형성된 제1걸림돌부(131)가 상기 제1이음부(130)가 후퇴 이동 중 걸리도록 하면서 제1이음부(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부(322)는 제1걸림돌부(131)가 형성된 측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슬롯(300)은; 제1중심도체(111)와 제3몸체(310) 사이에 끼워지는 제2절연체(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절연체(330)는 상기 제3몸체(310)의 조립부(211)를 통해 끼워지는데, 상기 제2절연체(330)는 내측 중심에 제2중심도체(311)가 끼워지는 구멍을 갖음으로, 상기 제2절연체(330)가 제2중심도체(311)와 제3몸체(310) 사이에 끼워져 이들의 절연 기능을 하면서 상기 제2중심도체(311)를 제3몸체(310) 중심에 지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슬롯(300)은, 제2중심도체(311)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2체결턱(341); 및
제2절연체(330)의 내측에 상기 제2체결턱(341)이 끼워지게 하는 제2체결홈(342);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체결턱(341)은, 제2중심도체(311)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는데, 상기 제2절연체(33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의 후단에 단턱이 마련되면서 끼움시 단턱에 의한 걸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체결홈(342)은, 제2중심도체(311)가 끼워진 제2절연체(330)의 중앙 구멍 내주 일측 둘레에 상기 제2체결턱(341)이 끼워지게 하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342)은 상기 제2체결턱(341)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제2체결홈(342)에 제2체결턱(341)이 끼움 결합되면서 걸리고 이를 통해 제2중심도체(311)와 제2절연체(330)를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하면서 상기 제2중심도체(311)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롯(300)은, 제3몸체(310)의 조립부(211) 내측에 돌출되는 제3체결턱(351); 및
제2절연체(330)의 외측에 상기 제3체결턱(351)이 끼워지게 하는 제3체결홈(352);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체결턱(351)은, 제3몸체(310)의 내주 둘레로 돌출되는데, 상기 제2절연체(33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의 후단에 단턱이 마련되면서 끼움시 단턱에 의한 걸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3체결홈(352)은, 제3몸체(310)에 끼워진 제2절연체(330)의 내주 둘레로 상기 제3체결턱(351)이 끼워지게 하는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체결홈(352)은 상기 제3체결턱(351)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제3체결홈(352)에 제3체결턱(351)이 끼움 결합되면서 걸리고 이를 통해 제2절연체(330)와 제3몸체(310)가 단순 끼움 구조로 조립되면서 상기 제2절연체(3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알에프 동축 커넥터(1)에 대한 사용 상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알에프 동축 커넥터(1)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100)의 양측으로 한 쌍의 소켓(200)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커넥터(100)의 제1중심도체(111)와 상기 소켓(200)의 제2중심도체(311)가 서로 전기접속되는데, 상기 소켓(200)은 인쇄회로기판에 단자 접속되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축 커넥터(1)를 이용해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켓(200)의 내측으로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외주를 슬롯(300)이 감싸면서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에 마련된 제1걸림돌부(131)의 돌출된 면이 상기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의 외주에 밀착되면서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에 대한 전기적 신호의 간섭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상기 커넥터(100)가 기울어지는 구조를 통해 동축 커넥터(1)가 전기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동축 커넥터(1)의 전기적 연결을 지속시킬 수 있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은 소켓(200)의 제2중심도체(311)와 커넥터(100)의 제1중심도체(111)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외부로 상기 접속부를 감싸는 형태의 슬롯(300)가 마련되고, 상기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와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가 이중 관 형태로 RL워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가 노출되지 않고, 동축 커넥터(1)의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 기타 외부 전기전자신호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알에프 동축 커넥터 100; 커넥터
110; 제1몸체 120; 제1절연체
130; 제1이음부 200; 소켓
210; 제2몸체 300; 슬롯
310; 제3몸체 320; 제2이음부
330; 제2절연체

Claims (6)

  1. 제1중심도체(111)가 구비되는 커넥터(100)와;
    제2중심도체(3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100)의 양측으로 상기 제1중심도체(111)가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되게 하는 한 쌍의 소켓(200)과;
    상기 소켓(20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제2중심도체(311)를 상기 소켓(200)에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의 접속부 외주를 감싸는 슬롯(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가 제2중심도체(311)에 접속되는 접속부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데, 슬롯(300)의 제2이음부(320) 외주로 끼워지는 제1이음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롯(300)은 소켓(200)의 조립부(211)에 끼워지는데, 내측에 제2중심도체(311)가 조립되는 제3몸체(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100)는 제1중심도체(111)와 제1몸체(110) 사이에 끼워지는 제1절연체(120);
    상기 제1중심도체(111)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체결턱(141); 및
    상기 제1절연체(120)의 내측에 상기 제1체결턱(141)이 끼워지게 하는 제1체결홈(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롯(300)은 제1중심도체(111)와 제3몸체(310) 사이에 끼워지는 제2절연체(330);
    상기 제2중심도체(311)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2체결턱(341); 및
    상기 제2절연체(330)의 내측에 상기 제2체결턱(341)이 끼워지게 하는 제2체결홈(34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300)은 제3몸체(310)의 조립부(211) 내측에 돌출되는 제3체결턱(351); 및
    상기 제2절연체(330)의 외측에 상기 제3체결턱(351)이 끼워지게 하는 제3체결홈(352);을 더 포함한 알에프 동축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130)는 선단 내주로 돌출되면서 슬롯(300)의 선단 외주로 돌출된 제2걸림돌부(322)에 걸리는 제1걸림돌부(131);를 더 포함한 알에프 동축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00)은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 내측에 끼워지는데, 제1중심도체(111)와 제2중심도체(311)가 접속되는 접속부의 외주를 감싸는 제2이음부(320);를 더 포함한 알에프 동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음부(320)는 선단 외주로 돌출되면서 커넥터(100)의 제1이음부(130) 선단 내주에 돌출된 제1걸림돌부(131)에 걸리는 제2걸림돌부(322);를 더 포함한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0210053549A 2021-04-26 2021-04-26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58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49A KR102580290B1 (ko) 2021-04-26 2021-04-26 알에프 동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49A KR102580290B1 (ko) 2021-04-26 2021-04-26 알에프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17A KR20220146817A (ko) 2022-11-02
KR102580290B1 true KR102580290B1 (ko) 2023-09-20

Family

ID=8404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49A KR102580290B1 (ko) 2021-04-26 2021-04-26 알에프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31B1 (ko) 2011-07-25 2012-07-19 주식회사 엠피디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102065525B1 (ko) 2019-06-04 2020-01-1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US20200044394A1 (en) 2017-04-07 2020-02-06 Radiall Sa Slotted Contact For A Female Connector Of The Jack Type For A 4.3-10 Coaxial Connection System
WO2020112397A1 (en) * 2018-11-28 2020-06-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Locking rf coaxi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2180B (zh) * 2015-06-08 2018-01-26 苏州瑞可达连接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盲插浮动式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31B1 (ko) 2011-07-25 2012-07-19 주식회사 엠피디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20200044394A1 (en) 2017-04-07 2020-02-06 Radiall Sa Slotted Contact For A Female Connector Of The Jack Type For A 4.3-10 Coaxial Connection System
WO2020112397A1 (en) * 2018-11-28 2020-06-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Locking rf coaxial connector
KR102065525B1 (ko) 2019-06-04 2020-01-13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17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142B1 (ko) 자동정렬식 무선주파수 푸쉬온 커넥터
EP028729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packaged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EP3487007B1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3012116B2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KR101060341B1 (ko) 동축 전송 매체 커넥터, 및 동축 전송 매체 어셈블리 조립 방법
US7306484B1 (en) Coax-to-power adapter
US6386888B1 (en) Modular connector
JPS5928955B2 (ja) 電気的コネクタ
KR101166431B1 (ko) 알에프 동축 커넥터
CA2199069C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US5879188A (en) Coaxial connector
US5044990A (en) RF coaxial connector
WO1998016971A9 (en) Subminiature matched impedance rf coaxial connector
KR102580290B1 (ko)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10454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340312B1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 complete EMI shielding
US3828304A (en) Slide-on rf connector
US6416357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w profile after assembly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583433B1 (ko) 저비용 자기적응형 보드 투 보드 무선 주파수 동축 커넥터
CN211789865U (zh) 连接器
CN111370901B (zh) 连接器、插座
US6053755A (en) Connector having an axial resilient inner and outer conductors
JP2004139797A (ja) メス型シールドコネクタ
US202401459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