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267A -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267A
KR20210109267A KR1020200024331A KR20200024331A KR20210109267A KR 20210109267 A KR20210109267 A KR 20210109267A KR 1020200024331 A KR1020200024331 A KR 1020200024331A KR 20200024331 A KR20200024331 A KR 20200024331A KR 20210109267 A KR20210109267 A KR 2021010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rotrusion
seat
tub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682B1 (ko
Inventor
노일훈
Original Assignee
노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일훈 filed Critical 노일훈
Priority to KR102020002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82B1/ko
Priority to PCT/KR2021/002012 priority patent/WO2021172806A1/ko
Priority to EP21760384.4A priority patent/EP4112433A1/en
Priority to US17/802,524 priority patent/US20230098423A1/en
Priority to CN202190000323.4U priority patent/CN219325894U/zh
Publication of KR2021010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3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4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opes Or Cabl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과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 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 시트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를 수용하는 시트 튜브;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을 포함하고, 앞바퀴와 연결된 헤드 튜브와 뒷바퀴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중간에 탑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Partitioning bicycle and its frame}
본 발명은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과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 부분을 프레임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앞뒤 방향으로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좁은 승강기나 또는 일반적인 승용차의 짐칸에 넣어서 운반하기가 매우 어려웠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가운데를 접어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이 겹치게 하여 그 길이를 줄이는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브레이크 와이어와, 변속 와이어는 그대로 연결된 상태에서 프레임만 접철되는 구조로서,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의 완전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각각 별도로 이송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한번의 프레임의 접는 동작만으로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공간 축소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승용차의 짐칸에 넣기 위해서는 바퀴의 지름이 매우 작아야 하고, 일반적으로 바퀴의 지름이 큰 일반자전거는 짐칸이 큰 특별한 차 이외에는 넣기가 힘들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접철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기구적인 보강으로 인하여 길이는 줄었으나, 무게는 상대적으로 늘어나고, 안전성은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기존 자전거 제작에서 가장 큰 문제는 기어와 브레이크선의 분리와 재결합이다. 자전거의 앞뒤 파트의 분리와 브레이크/기어변속선의 분리와 재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휴대성이 크게 떨어지기에 일반적인 출퇴근용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브레이크/기어변속 와이어의 분리와 재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분리형 프레임방식을 택한 타사들의 경우 뒷브레이크와 기어 변속이 없는 바이크로만 출시한 선례도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접이식 자전거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서, 앞바퀴만 분리하는 앞바퀴 분리형 자전거도 개발된 바 있으나, 분해 이후에, 다시 앞바퀴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 앞바퀴 정렬이 틀어질 수 있고, 기존의 프레임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앞바퀴를 분리한다 해도 뒷바퀴 부분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여전히 승용차의 짐칸에 넣기가 어려웠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바퀴를 지지하는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를 지지하는 뒷바퀴 부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이들을 별도로 이송 및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와이어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까지 분리가 가능하며, 완전 분리후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서로 겹쳐지게 임시로 고정할 때, 복수개의 관절부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한번 더 접어서 공간을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으며,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다시 연결할 때는, 바퀴 정렬 작업이나 와이어 장력 재조정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보강 막대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핸들 스템의 정렬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는, 핸들 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 시트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를 수용하는 시트 튜브;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을 포함하고, 앞바퀴와 연결된 헤드 튜브와 뒷바퀴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중간에 탑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탑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체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방 탑 막대;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1 체결축 및 상기 제 1 체결축을 가압할 수 있는 체결 레버를 갖는 상기 탑 체결부가 형성되는 후방 탑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운 체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방 다운 막대;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2 체결축을 갖는 상기 다운 체결부가 형성되는 후방 다운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결합부는, C형 홈부이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역U형 홈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 사이에 전체적으로 X자 형태 또는 대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막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후방 탑 막대의 전방과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후방 또는 상기 시트 튜브의 하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는 제 1 분기 막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전방과 상기 시트 튜브의 상방 또는 상기 후방 탑 막대의 후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며, 상기 제 1 분기 막대와 함께 전체적으로 X자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기 막대의 분기 공간을 통과하는 제 2 분기 막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시,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와, 상기 제 1 분기 막대 및 상기 제 2 분기 막대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접철되어 공간을 축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시트 튜브와 상기 제 2 분기 막대 사이에 링크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는 제 3 접철 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탑 막대의 후방에는 제 1 관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후방에는 제 2 관절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 1 분기 막대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관절부, 상기 제 2 분기 막대의 후방에는 형성되는 제 4 관절부, 상기 제 3 접철 막대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5 관절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탑 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종 와이어를 앞측 와이어와 뒷측 와이어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분리 장치는, 상기 전방 탑 막대에 설치되고,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전방 고정대; 상기 전방 고정대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구속 돌기가 형성되는 전방 가동대; 상기 전방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앞측 와이어가 고정 나사로 고정되는 촉형 돌기부; 상기 전방 고정대의 링크축에 링크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회동시 상기 전방 가동대가 임시로 후진되어 상기 촉형 돌기부가 해제 모드로 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구속 돌기를 구속하여 안내하는 원호형 캠홀이 형성되는 회동캠판; 상기 촉형 돌기부와 걸림 모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쇠; 상기 걸림쇠의 걸림 모드시 상기 걸림쇠와 함께 전후진될 수 있고, 상기 뒷측 와이어가 고정되는 후방 가동대; 상기 후방 탑 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동대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봉 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후방 고정대; 및 누름 동작시에만 상기 회동캠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회동캠판에 형성된 원호형 다폭홀의 광폭부에 대응되는 몸통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누름시에는 후진되면서 상기 원호형 다폭홀의 협폭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목부가 타측에 형성되는 안전 누름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핸들 스템을 분리하여 핸들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후방 탑 막대의 상기 제 1 체결축에 체결하여 상기 체결 레버로 상기 핸들 스템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스템은 일측에 C형 스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핸들 스템을 상기 헤드 튜브에 고정하는 핸들 스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스템 고정 장치는,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이 상기 핸들 스템 방향으로 조임 회동시 상기 핸들 스템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정렬 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이 제 1 해제 레버 및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제 1 레버; 및 일단이 상기 제 1 레버의 체결 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중간이 상기 헤드 튜브의 타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 2 해제 레버가 형성되는 제 2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분리된 상기 앞바퀴측과 상기 뒷바퀴측이 서로 겹쳐져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튜브와 상기 시트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를 임시 고정시키는 임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적어도 상기 뒷바퀴를 회전 지지하는 뒷바퀴 마운트부, 시트 스테이, 체인 스테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앞바퀴 마운트부에 설치된 제 1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선단과 대응되는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 튜브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돌기와 대응되는 제 2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탑 막대에 설치된 제 3 돌기가 억지 삽입되도록 상기 제 3 돌기와 대응되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 3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돌기는 스프링이 설치된 원뿔형 탄성 돌기이고, 상기 제 1 삽입홀은 원형홀이며, 상기 제 2 돌기는 둥근 머리 육각 돌기 또는 4각 돌기 등 다각 돌기이고, 상기 제 2 삽입홀은 육각홀 또는 다각홀이며, 상기 제 3 돌기는 구형 돌기이고, 상기 제 3 삽입홈은 억지물림식 탄성 줄홈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은, 핸들 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 시트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를 수용하는 시트 튜브;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을 포함하고, 앞바퀴와 연결된 헤드 튜브와 뒷바퀴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중간에 탑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앞바퀴를 지지하는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를 지지하는 뒷바퀴 부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이들을 별도로 이송 및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와이어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까지 분리가 가능하며, 완전 분리후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서로 겹쳐지게 임시로 고정할 때, 복수개의 관절부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한번 더 접어서 공간을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으며,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다시 연결할 때는, 바퀴 정렬 작업이나 와이어 장력 재조정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보강 막대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핸들 스템의 정렬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확대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1단계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의 1단계 분리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리형 자전거의 다운 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의 2단계 분리 상태(완전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의 3단계 분리 상태(바퀴 겹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의 4단계 보관 상태(핸들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의 확장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와이어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및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와이어 분리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3은 도 14의 분리형 자전거의 핸들 고정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핸들 스템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들이다.
도 25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임시 고정 장치의 제 1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임시 고정 장치의 제 2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7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의 임시 고정 장치의 제 3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핸들(H)이 설치되고 앞바퀴(FW)와 연결된 핸들 스템(11)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10)와, 시트 스테이(21) 또는 체인 스테이(22)를 이용하여 뒷바퀴(RW)와 연결되며, 시트(S)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SP)를 수용하며, 페달(P)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 튜브(20)와, 상기 헤드 튜브(10)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30) 및 상기 헤드 튜브(10)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상기 앞바퀴(FW)와 연결된 헤드 튜브(10)와 상기 뒷바퀴(RW)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2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30)에 중간에 탑 체결부(TC)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40)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D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상기 탑 체결부(TC)와 상기 다운 체결부(DC)를 분해하면, 상기 헤드 튜브(10)가 설치된 상기 앞바퀴(FW) 부분과, 상기 시트 튜브(20)가 설치된 상기 뒷바퀴(RW) 부분을 서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확대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프레임(30)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체결부(TC)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도 10의 제 1 결합부의 일종인 C형 홈부(G1)가 형성되는 전방 탑 막대(30-1)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C형 홈부(G1)와 체결되는 제 1 체결축(J1) 및 상기 제 1 체결축(J1)을 가압할 수 있는 체결 레버(L)를 갖는 상기 탑 체결부(TC)가 형성되는 후방 탑 막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운 프레임(40)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운 체결부(DC)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도 10의 제 2 결합부의 일종인 역U형 홈부(G2)가 형성되는 전방 다운 막대(40-1)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역U형 홈부(G2)와 체결되는 제 2 체결축(J2)을 갖는 상기 다운 체결부(DC)가 형성되는 후방 다운 막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반드시 상기 C형 홈부(G1)와, 상기 역U형 홈부(G2)에만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홈이나 홀 등의 결합부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상기 후방 탑 막대(30-2)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탑 막대(30-2)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 사이에 전체적으로 X자 형태 또는 대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막대(X)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막대(X)는, 상기 후방 탑 막대(30-2)의 전방과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의 후방 또는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는 제 1 분기 막대(X1) 및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의 전방과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방 또는 상기 후방 탑 막대(30-2)의 후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며, 상기 제 1 분기 막대(X1)와 함께 전체적으로 X자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기 막대(X1)의 분기 공간을 통과하는 제 2 분기 막대(X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상기 제 1 분기 막대(X1)와 상기 제 2 분기 막대(X2)를 서로 교차시켜서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특히, 각각의 막대들이 물고기의 Y자 뼈대와 같은 Y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구조적으로 무게(또는 체적) 대비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 주행시 공기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1단계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1단계 분리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다운 체결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상기 탑 프레임(30) 또는 상기 다운 프레임(40)에 설치되고, 각종 와이어를 앞측 와이어(W1)와 뒷측 와이어(W2)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분리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탑 체결부(TC)의 상기 체결 레버(L)를 도 8의 (b)에서 (a)와 같이 회동 및 해제시키고, 상기 와이어 분리 장치(50)를 분리한 후, 상기 탑 프레임(30)의 상기 전방 탑 막대(30-1)를 상기 후방 탑 막대(30-2)로부터 먼저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전방 탑 막대(30-1)가 분리되기 전에는 제 1 틈새(Q1)와 같이 틈새가 거의 없도록 견고하게 조립되어 상기 전방 다운 막대(40-1)가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도 9의 (a)와 같이, 일단 상기 전방 탑 막대(30-1)를 분리하여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캡 방식으로 상기 제 1 틈새(Q1)가 제 2 틈새(Q2)로 벌어지면서 상기 전방 탑 막대(30-1)와 함께 상기 전방 다운 막대(40-1) 역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역으로 조립시 상기 전방 탑 막대(30-1)와 상기 전방 다운 막대(40-1)가 상술된 체결축들에 쉽게 들어가서 회전되면서 조여짐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만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홈, 홀, 회전캠 장치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체결 레버(L)가 풀려진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서 힘이 아랫방향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후방 탑 막대(30-2)가 상방으로 회전되기 어렵고, 이로 인해서 사용자가 탑승시에는 절대로 분리될 수 없는 매우 안전한 구조이다.
도 17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와이어 분리 장치(5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및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7의 (a)의 외관 사시도와, 도 17의 (b)의 부품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분리 장치(50)는, 상기 전방 탑 막대(30-1)에 설치되고, 일측에 가이드 레일(R1)이 형성되는 전방 고정대(51)와, 상기 전방 고정대(51)의 상기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구속 돌기(52a)가 형성되는 전방 가동대(52)와, 상기 전방 가동대(52)에 설치되고, 상기 앞측 와이어(W1)가 고정 나사(F)로 고정되는 촉형 돌기부(53)와, 상기 전방 고정대(51)의 링크축(51a)에 링크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회동시 상기 전방 가동대(52)가 임시로 후진되어 상기 촉형 돌기부(53)가 해제 모드로 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구속 돌기(52a)를 구속하여 안내하는 원호형 캠홀(CH)이 형성되는 회동캠판(54)과, 상기 촉형 돌기부(53)와 걸림 모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쇠(55)와, 상기 걸림쇠(55)의 걸림 모드시 상기 걸림쇠(55)와 함께 전후진될 수 있고, 상기 뒷측 와이어(W2)가 고정되는 후방 가동대(56)와, 상기 후방 탑 막대(30-2)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동대(56)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봉(57a) 또는 가이드 레일(R2)이 형성되는 후방 고정대(57) 및 누름 동작시에만 상기 회동캠판(54)이 회동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회동캠판(54)에 형성된 원호형 다폭홀(PH)의 광폭부에 대응되는 몸통부(58a)가 일측에 형성되고, 누름시에는 후진되면서 상기 원호형 다폭홀(PH)의 협폭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목부(58b)가 타측에 형성되는 안전 누름핀(5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와이어 분리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따라서,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와이어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레버(L)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촉형 돌기부(53)와 상기 걸림쇠(55)가 일정한 장력에 의해서 서로 걸림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앞측 와이어(W1)의 장력이 상기 뒷측 와이어(W2)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변속 와이어를 잡아 당기면, 그 와이어 장력이 상기 앞측 와이어(W1)와 상기 뒷측 와이어(W2)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나 변속기로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레버(L)를 회동시켜서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전방 탑 막대(30-1)가 자유롭게 되어 상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안전 누름핀(58)을 누르면, 상기 안전 누름핀(58)이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기고 후진되면서 상기 원호형 다폭홀(PH)의 협폭부에 상기 목부(58b)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회전캠판(54)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어서, 자유로워진 상기 회동캠판(54)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속 돌기(52a)가 상기 원호형 캠홀(CH)에 의해 안내되어 후진되면서, 상기 촉형 돌기부(53) 역시 임시로 후진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촉형 돌기부(53)에 의해 걸림 결합된 상기 걸림쇠(55)가 자유로워져서 헐거워질 수 있 수 있다.
이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탑 막대(30-1)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촉형 돌기부(53)가 상기 걸림쇠(55)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촉형 돌기부(53)와 상기 걸림쇠(55)의 체결은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촉형 돌기부(53)는 경사면이 형성된 선단부가 상기 걸림쇠(55)와 미끌어지면서 순간 결합되고, 이처럼 상기 촉형 돌기부(53)와 상기 걸림쇠(55)를 걸림결합시킨 후, 상기 회동캠판(54)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촉형 돌기부(53)가 전진되면서 일정한 장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회동캠판(54)을 이용하여 분리되기 이전과, 이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체결후, 번거로운 와이어 장력 재조정 작업을 생략하여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도 6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2단계 분리 상태(완전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10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 및 와이어들을 서로 완전히 분리하여 각자 별도로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앞바퀴 부분은 자동차의 트렁크에 보관하고 뒷바퀴 부분은 뒷자석의 남는 공간에 보관하는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동 및 보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형으로 인한 공간 활용도가 늘어나서 더욱 큰 바퀴를 장착하거나 좁은 공간에도 다양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탑 프레임(30)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체결부(TC)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도 10의 C형 홈부(G1)가 형성되는 전방 탑 막대(30-1)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C형 홈부(G1)와 체결되는 제 1 체결축(J1) 및 상기 제 1 체결축(J1)을 가압할 수 있는 체결 레버(L)를 갖는 상기 탑 체결부(TC)가 형성되는 후방 탑 막대(3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운 프레임(40)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운 체결부(DC)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역U형 홈부(G2)가 형성되는 전방 다운 막대(40-1)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역U형 홈부(G2)와 체결되는 제 2 체결축(J2)을 갖는 상기 다운 체결부(DC)가 형성되는 후방 다운 막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3단계 분리 상태(바퀴 겹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3단계로 서로 분리된 상기 앞바퀴(FW)와 상기 뒷바퀴(RW)를 서로 겹쳐지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4단계 보관 상태(핸들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4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핸들 고정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어서, 도 14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4단계로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100)을 확장 상태에서 접철 상태로 접은 다음, 상기 헤드 튜브(10)로부터 상기 핸들 스템(11)을 분리하여 핸들(H)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후방 탑 막대(30-2)의 상기 제 1 체결축(J1)에 체결하여 상기 체결 레버(L)로 상기 핸들 스템(11)을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튜브(10)는 이러한 임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 스템(11)은 일측에 C형 스템 홈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100)의 확장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100)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100)은 상기 후방 탑 막대(30-2)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와, 상기 제 1 분기 막대(X1) 및 상기 제 2 분기 막대(X2)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접철되어 공간을 축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막대(X)는, 상기 시트 튜브(20)와 상기 제 2 분기 막대(X3) 사이에 링크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는 제 3 접철 막대(X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막대(X)는 이외에도, 강도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전방 탑 막대(30-2)와 상기 헤드 튜브(10) 사이에 분기된 형태의 제 4 보강 막대(X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시 공간 축소를 위해 하방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탑 막대(30-2)의 후방에는 제 1 관절부(K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의 후방에는 제 2 관절부(K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분기 막대(X1)의 후방에는 제 3 관절부(K3)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기 막대(X2)의 후방에는 제 4 관절부(K4)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접철 막대(X3)의 후방에 제 5 관절부(K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탑 막대(30-2)를 하방으로 접철하면, 나머지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2), 상기 제 1 분기 막대(X1), 상기 제 2 분기 막대(X2), 상기 제 3 접철 막대(X3)가 연동되어 하방으로 접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접철 막대(X3)는 상기 시트 튜브(20)와 간섭되고, 사용자의 탑승시 몸무게에 의해 상기 후방 다운 막대(40-1)가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방을 누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역방향으로는 접철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핸들 스템 고정 장치(60)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들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상기 핸들 스템(11)을 상기 헤드 튜브(10)에 고정하는 핸들 스템 고정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스템 고정 장치(60)는,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이 상기 핸들 스템(11) 방향으로 조임 회동시 상기 핸들 스템(11)에 형성된 정렬홈(11b)에 삽입될 수 있는 정렬 돌기(61a)가 형성되며, 타단이 제 1 해제 레버(61b) 및 체결 돌기(61c)가 형성되는 제 1 레버(61) 및 일단이 상기 제 1 레버(61)의 체결 돌기(61c)와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62a)가 형성되고, 중간이 상기 헤드 튜브(10)의 타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 2 해제 레버(62b)가 형성되는 제 2 레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탑승시 상기 핸들 스템(11)이 항상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제 1 해제 레버(61b)가 상기 걸고리(62a)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쉽게 해제될 수 없고, 만약, 해제시에는 상기 제 2 해제 레버(62a)를 조작하여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2중 안전 장치로 인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부품의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임시 고정 장치(70)의 제 1 체결부(71)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임시 고정 장치(70)의 제 2 체결부(72)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7는 도 1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임시 고정 장치(70)의 제 3 체결부(73)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1000)는, 서로 분리된 상기 앞바퀴측과 상기 뒷바퀴측이 서로 겹쳐져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튜브(10)와 상기 시트 튜브(20)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를 3점 지지형태로 임시 고정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임시 고정 장치(7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뒷바퀴(RW)를 회전 지지하는 뒷바퀴 마운트부(M2), 시트 스테이(21), 체인 스테이(22)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앞바퀴 마운트부(M1)에 설치된 제 1 돌기(T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돌기(T1)의 선단과 대응되는 제 1 삽입홀(71a)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71)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 튜브(10)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돌기(T2)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돌기(T2)와 대응되는 제 2 삽입홀(72a)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72)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탑 막대(30-1)에 설치된 제 3 돌기(T3)가 억지 삽입되도록 상기 제 3 돌기(T3)와 대응되는 제 3 삽입홈(73a)이 형성되는 제 3 체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기(T1)는 스프링이 설치된 원뿔형 탄성 돌기이고, 도 2의 상기 제 1 삽입홀(71a)은 원형홀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기(T2)는 부품들이 서로 회전되지 않도록 둥근 머리 육각 돌기이고, 도 2의 상기 제 2 삽입홀(72a)은 육각홀이며, 도 2의 상기 제 3 돌기(T3)는 구형 돌기이고, 도 2의 상기 제 3 삽입홈(73a)은 억지물림식 탄성 줄홈부일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홀과 돌기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 삽입홈(73a)에는 누름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돌기(T3)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100)은, 핸들(H)이 설치되고 앞바퀴(FW)와 연결된 핸들 스템(11)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10)와, 시트 스테이(21) 또는 체인 스테이(22)를 이용하여 뒷바퀴(RW)와 연결되며, 시트(S)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SP)를 수용하며, 페달(P)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 튜브(20)와, 상기 헤드 튜브(10)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20)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30) 및 상기 헤드 튜브(10)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20)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FW)와 연결된 헤드 튜브(10)와 상기 뒷바퀴(RW)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2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30)에 중간에 탑 체결부(TC)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40)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D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구성들은 상술된 본 발명의 분리형 자전거(1000)의 그것들과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앞바퀴(FW)를 지지하는 앞바퀴 부분과 상기 뒷바퀴(RW)를 지지하는 뒷바퀴 부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이들을 별도로 이송 및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상기 와이어 분리 장치(50)를 이용하여 와이어까지 분리가 가능하며, 완전 분리후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서로 겹쳐지게 임시로 고정할 때, 복수개의 관절부들(K1~K5)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한번 더 접어서 공간을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으며, 앞바퀴 부분과 뒷바퀴 부분을 다시 연결할 때는, 바퀴 정렬 작업이나 와이어 장력 재조정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보강 막대(X)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스템(11)의 정렬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2000)의 측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2000)는, 상술된 상기 분리형 자전거(1000)에서 상기 제 2 분기 막대(X2) 및 제 3 접철 막대(X3)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형 자전거(2000)는 부품의 개수를 줄여서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조립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H: 핸들
FW: 앞바퀴
RW: 뒷바퀴
S: 시트
SP: 시트 포스트
P: 페달
10: 헤드 튜브
11: 핸들 스템
20: 시트 튜브
21: 시트 스테이
22: 체인 스테이
TC: 탑 체결부
DC: 다운 체결부
30: 탑 프레임
30-1: 전방 탑 막대
30-2: 후방 탑 막대
40: 다운 프레임
40-1: 전방 다운 막대
40-2: 후방 다운 막대
G1: C형 홈부
G2: 역U형 홈부
J1: 제 1 체결축
J2: 제 2 체결축
L: 체결 레버
X: 보강 막대
X1: 제 1 분기 막대
X2: 제 2 분기 막대
X3: 제 3 접철 막대
X4: 제 4 보강 막대
K1: 제 1 관절부
K2: 제 2 관절부
K3: 제 3 관절부
K4: 제 4 관절부
K5: 제 5 관절부
W1: 앞측 와이어
W2: 뒷측 와이어
50: 와이어 분리 장치
51: 전방 고정대
52: 전방 가동대
53: 촉형 돌기부
54: 회동캠판
55: 걸림쇠
56: 후방 가동대
57: 후방 고정대
58: 안전 누름핀
60: 핸들 스템 고정 장치
61: 제 1 레버
62: 제 2 레버
70: 임시 고정 장치
71: 제 1 체결부
72: 제 2 체결부
73: 제 3 체결부
100, 200: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1000, 2000: 분리형 자전거

Claims (14)

  1. 핸들 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
    시트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를 수용하는 시트 튜브;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을 포함하고,
    앞바퀴와 연결된 헤드 튜브와 뒷바퀴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중간에 탑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가 형성되는, 분리형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체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방 탑 막대;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1 체결축 및 상기 제 1 체결축을 가압할 수 있는 체결 레버를 갖는 상기 탑 체결부가 형성되는 후방 탑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다운 체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방 다운 막대; 및
    일단이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 2 체결축을 갖는 상기 다운 체결부가 형성되는 후방 다운 막대;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C형 홈부이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역U형 홈부인, 분리형 자전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 사이에 전체적으로 X자 형태 또는 대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막대;
    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후방 탑 막대의 전방과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후방 또는 상기 시트 튜브의 하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는 제 1 분기 막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전방과 상기 시트 튜브의 상방 또는 상기 후방 탑 막대의 후방을 연결하고, Y자 형태로 분기되며, 상기 제 1 분기 막대와 함께 전체적으로 X자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분기 막대의 분기 공간을 통과하는 제 2 분기 막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6. 제 5 항에 있어서,
    보관시, 상기 후방 탑 막대와, 상기 후방 다운 막대와, 상기 제 1 분기 막대 및 상기 제 2 분기 막대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접철되어 공간을 축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막대는, 상기 시트 튜브와 상기 제 2 분기 막대 사이에 링크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는 제 3 접철 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탑 막대의 후방에는 제 1 관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다운 막대의 후방에는 제 2 관절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제 1 분기 막대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3 관절부, 상기 제 2 분기 막대의 후방에는 형성되는 제 4 관절부, 상기 제 3 접철 막대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5 관절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절부가 형성되는, 분리형 자전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종 와이어를 앞측 와이어와 뒷측 와이어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분리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분리 장치는,
    상기 전방 탑 막대에 설치되고,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전방 고정대;
    상기 전방 고정대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구속 돌기가 형성되는 전방 가동대;
    상기 전방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앞측 와이어가 고정 나사로 고정되는 촉형 돌기부;
    상기 전방 고정대의 링크축에 링크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회동시 상기 전방 가동대가 임시로 후진되어 상기 촉형 돌기부가 해제 모드로 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구속 돌기를 구속하여 안내하는 원호형 캠홀이 형성되는 회동캠판;
    상기 촉형 돌기부와 걸림 모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쇠;
    상기 걸림쇠의 걸림 모드시 상기 걸림쇠와 함께 전후진될 수 있고, 상기 뒷측 와이어가 고정되는 후방 가동대;
    상기 후방 탑 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동대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봉 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후방 고정대; 및
    누름 동작시에만 상기 회동캠판이 회동될 수 있도록 평상시에는 상기 회동캠판에 형성된 원호형 다폭홀의 광폭부에 대응되는 몸통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누름시에는 후진되면서 상기 원호형 다폭홀의 협폭부에 대응될 수 있도록 목부가 타측에 형성되는 안전 누름핀;
    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핸들 스템을 분리하여 핸들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후방 탑 막대의 상기 제 1 체결축에 체결하여 상기 체결 레버로 상기 핸들 스템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스템은 일측에 C형 스템 홈부가 형성되는, 분리형 자전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스템을 상기 헤드 튜브에 고정하는 핸들 스템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스템 고정 장치는,
    일단이 상기 헤드 튜브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이 상기 핸들 스템 방향으로 조임 회동시 상기 핸들 스템에 형성된 정렬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정렬 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이 제 1 해제 레버 및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제 1 레버; 및
    일단이 상기 제 1 레버의 체결 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중간이 상기 헤드 튜브의 타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이 제 2 해제 레버가 형성되는 제 2 레버;
    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11.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상기 앞바퀴측과 상기 뒷바퀴측이 서로 겹쳐져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튜브와 상기 시트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를 임시 고정시키는 임시 고정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장치는,
    적어도 상기 뒷바퀴를 회전 지지하는 뒷바퀴 마운트부, 시트 스테이, 체인 스테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앞바퀴 마운트부에 설치된 제 1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선단과 대응되는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 튜브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돌기와 대응되는 제 2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탑 막대에 설치된 제 3 돌기가 억지 삽입되도록 상기 제 3 돌기와 대응되는 제 3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 3 체결부;
    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전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는 스프링이 설치된 원뿔형 탄성 돌기이고, 상기 제 1 삽입홀은 원형홀이며,
    상기 제 2 돌기는 둥근 머리 육각 돌기 또는 다각 돌기이고, 상기 제 2 삽입홀은 육각홀 또는 다각홀이며,
    상기 제 3 돌기는 구형 돌기이고, 상기 제 3 삽입홈은 억지물림식 탄성 줄홈부인, 분리형 자전거.
  14. 핸들 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헤드 튜브;
    시트가 설치된 시트 포스트를 수용하는 시트 튜브;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연결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헤드 튜브로부터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운 프레임;을 포함하고,
    앞바퀴와 연결된 헤드 튜브와 뒷바퀴와 연결된 상기 시트 튜브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중간에 탑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다운 프레임의 중간에 다운 체결부가 형성되는,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KR1020200024331A 2020-02-27 2020-02-27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과 와이어 분리 장치 KR10244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31A KR102449682B1 (ko) 2020-02-27 2020-02-27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과 와이어 분리 장치
PCT/KR2021/002012 WO2021172806A1 (ko) 2020-02-27 2021-02-17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EP21760384.4A EP4112433A1 (en) 2020-02-27 2021-02-17 Disassemblable bicycle and disassemblable bicycle frame
US17/802,524 US20230098423A1 (en) 2020-02-27 2021-02-17 Separable bicycle and separable bicycle frame
CN202190000323.4U CN219325894U (zh) 2020-02-27 2021-02-17 可分离式自行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31A KR102449682B1 (ko) 2020-02-27 2020-02-27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과 와이어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67A true KR20210109267A (ko) 2021-09-06
KR102449682B1 KR102449682B1 (ko) 2022-09-30

Family

ID=7748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331A KR102449682B1 (ko) 2020-02-27 2020-02-27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과 와이어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8423A1 (ko)
EP (1) EP4112433A1 (ko)
KR (1) KR102449682B1 (ko)
CN (1) CN219325894U (ko)
WO (1) WO202117280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0Y1 (ko) * 2002-07-03 2003-01-03 이태근 스쿠터의 핸들서포터 회전방지구조
US20090256330A1 (en) * 2005-11-30 2009-10-15 Kenneth Marvin Daniels Detachable Bicycle Frame
US20160251052A1 (en) * 2015-02-26 2016-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cycle with detachable head-tube subassembly
JP6195136B2 (ja) * 2015-09-14 2017-09-13 有限会社 デザイン・アンリミテッド 折りたたみ二輪車
JP2017202817A (ja) * 2016-05-13 2017-11-16 裕 中山 X型の補助フレームにて前後方向に寸法縮小する折畳み自転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0Y1 (ko) * 2002-07-03 2003-01-03 이태근 스쿠터의 핸들서포터 회전방지구조
US20090256330A1 (en) * 2005-11-30 2009-10-15 Kenneth Marvin Daniels Detachable Bicycle Frame
US20160251052A1 (en) * 2015-02-26 2016-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cycle with detachable head-tube subassembly
JP6195136B2 (ja) * 2015-09-14 2017-09-13 有限会社 デザイン・アンリミテッド 折りたたみ二輪車
JP2017202817A (ja) * 2016-05-13 2017-11-16 裕 中山 X型の補助フレームにて前後方向に寸法縮小する折畳み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682B1 (ko) 2022-09-30
EP4112433A1 (en) 2023-01-04
CN219325894U (zh) 2023-07-11
US20230098423A1 (en) 2023-03-30
WO2021172806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1494B (zh) 一种车架补强及锁定装置
CN102582479A (zh) 支撑装置
US20220097748A1 (en) Cart
EP3564106A1 (en) Robotrike
CN104620337A (zh) 磁性固定装置和连接器
CN110356448A (zh) 手推车
KR102449682B1 (ko)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과 와이어 분리 장치
CN212914433U (zh) 一种前后轮同步展开折叠的高尔夫球车
CN100425491C (zh) 轻便婴儿车
CN103496390B (zh) 一种折叠式童车
CN112693548B (zh) 可折叠式自行车
CN107226121B (zh) 一种可折叠童车车架
CN212353967U (zh) 可折叠式轨道制动手推车
CN202243599U (zh) 婴儿推车的折叠机构
CN101497346B (zh) 童车的推杆组件
CN201400215Y (zh) 童车的推杆组件
KR20090092206A (ko) 루프캐리어의 사이드레일바와 크로스바의 고정과 해제 장치
CN221023818U (zh) 一种运载装置
CN220535731U (zh) 一种新型儿童推车
CN112722140B (zh) 一种多处可折叠的滑板车
CN210503028U (zh) 一种能防误操作的折叠结构
CN201619592U (zh) 一种卡扣机构及手推车
CN220924246U (zh) 推车
KR20200056078A (ko)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CN220442340U (zh) 一种单键半自动收开婴儿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