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75U - 킥보드용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용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75U
KR20170001075U KR2020160003703U KR20160003703U KR20170001075U KR 20170001075 U KR20170001075 U KR 20170001075U KR 2020160003703 U KR2020160003703 U KR 2020160003703U KR 20160003703 U KR20160003703 U KR 20160003703U KR 20170001075 U KR20170001075 U KR 20170001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ink
shaft
pin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향옥
Original Assignee
장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향옥 filed Critical 장향옥
Priority to KR2020160003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7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Abstract

본 고안은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는, 조향축과 발판이 서로 절첩되도록 하되, 조향축과 발판이 링크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하고,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하부레버가 연결되어 있어 발판을 접거나 반대로 펴는 과정에서 하부레버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크걸림봉으로부터 후크가 이탈하거나 끼워짐으로써 발판을 접거나 펴는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킥보드용 폴딩 장치{Folding Apparatus for Kick Board}
본 고안은 조향축과 발판이 서로 절첩되도록 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향축과 발판이 링크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하부레버가 연결되어 있어 발판을 접거나 반대로 펴는 과정에서 하부레버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크걸림봉으로부터 후크가 이탈하거나 끼워짐으로써 발판을 접거나 펴는 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접힌 상태에서 펼칠 때는 발을 이용하여 쉽게 펼 수 있도록 한,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어른아이 할것없이 다양한 연련층을 대상으로한 가벼운 놀이기구 역할과 아울러 근거리 이동수단으로서 킥보드(kick board)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들 사용되고 있는 킥보드는 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발판과 조향축을 절첩부에 의해 서로 절첩되게 하여 필요시 조향축과 발판을 최대한 접근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킥보드의 경우, 발판과 조향축을 절첩하는구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그 절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는것으로, 이는 조향축(4)의 지지편(41)에 관통된채 발판(5)상에 설치된 가이드편(1)의 가이드홈(11)을 타고 이동되도록한 작동핀(2)이 가이드홈(11) 양단의 고정홈(12)에 위치되었을때 작동핀(2) 일단에 이 작동핀(2)을 당기도록 설치된 제1클램프(21)를 작동시키는것에 의해 작동핀(2)이 일측으로 당겨지면서 작동핀(2) 타측에 설치된 고정구(22)와 클램프(21) 선단부가 양 가이드편(1)을 강하게 협지되도록하여 작동핀(2)이 가이드편(1) 양단의 임의 고정홈(12)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킥보드의 발판(5)과 조향축(4)간의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것이며, 이상태에서 다시 발판(5)과 조향축(4)을 다시 절첩하려할 경우에는 조향축(4)의 지지편(41)에 설치된 별도의 제2클램프(3)를 작동시켜 가이드홈(11) 양단의 임의 고정홈(12)에 위치된 작동핀(2)을 고정홈(1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들어올린 상태에서 조향축(4)을 회동시켜 작동핀(2)으로 하여금 또다른 고정홈(12)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목적한 절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에 적용되는 절첩구조는, 조향축(4)이 발판(5)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작동핀(2)이 가이드홈(11)의 고정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클램프(21)를 작동시켜 사이에 조향축(4)의 지지편(41)이 끼워진 양 가이드편(1)을 협지하는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것이어서 제1클램프(21)를 잠그거나 풀기위해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첩동작에 있어서도 절첩동작이 제1클램프(21)의 동작만으로 끝나는것이 아니고, 잠금상태를 풀기위해서는 항상 고정홈(12)에 끼워진 작동핀(2)을 가이드홈(11)측으로 상승시키기위한 또다른 제2클램프(3)의 역할이 반드시 요구되는것이어서, 이 역시 킥보드의 절첩동작을 매우 번거롭게하는 요인으로 작용할뿐만아니라 그만큼 킥보드의 절첩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게됨과 동시에 소요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게되어 킥보드의 생산단가를 높이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되어 제품의 생산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에 들어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킥보드가 보급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절첩을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클램프들을 작동시켜야 하는 바, 쪼그려 앉아 수작업으로 절첩 작업을 할 때 무거운 킥보드 무게에 의해 작업자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킥보드가 좌우로 떨어지게 되며, 이 경우 킥보드에 설치된 전자식 컨트롤러가 파손되거나 엘이디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더불어, 클램프들은 킥보드의 조향축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탑승 상태에서 미세한 무게 중심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있으며, 조향축 중심에서 돌출되어 있음으로 인해 자칫 주행이나 취급시 장애물에 부딪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킥보드의 절첩구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2202호, 특허문헌 1)에는 가이드편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대경부와 소경부로 구성하여 조향축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의 대경부와 소경부가 가이드편의 가이드홈과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위치접촉되도록 하여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탄성 스프링을 이용하여 작동핀을 누르는 동작으로 절첩동작을 간편하게 하고자 하였다.
특허문헌 1은 조작을 위한 부품이 킥보드 좌우로 돌출되지 아니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주행 또는 취급 중의 충격에 의해 스위치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핀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는 운전 중에 조향축이 갑자기 유동하는 문제를 발생시켜 운전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 형상을 위하여 가이드편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 가이드편은 보드 전방에 고정된 형상을 취하는 바, 보드 상의 가용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성인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보드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소형화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222202 (2001.02.19)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조향축과 발판이 링크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하부레버가 연결되어 있어 발판을 접거나 반대로 펴는 과정에서 하부레버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크걸림봉으로부터 후크가 이탈하거나 끼워짐으로써 발판을 접거나 펴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하부레버와 상부레버가 조향축의 중심선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 부품의 좌우 돌출로 인한 장애물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 모두의 안전을 제공하고 하중 편심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링크 연결 방식을 통해 발판의 가용 면적을 최대화하여 발판 면적 설계의 효율성을 기하려는 것이다.
특히, 접힌 상태에서 펼 때 간편하게 발로 하부레버를 밀어 펼치게 되므로 사용의 취급 간편함을 최대화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핸들이 설치된 조향축(4)과, 상기 조향축(4)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5)으로 이루어진 킥보드의 조향축(4)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케 하여 절첩되도록 조향축(4)과 발판(5) 사이에 설치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4)과 연결되어 있는 조향축연결부재(100)와; 상기 조향축연결부재(100)와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부핀(240) 및 하부핀(250)에 의해 연결되며 내측에 링크삽입공간(2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발판연결부재(200)와; 상부 일측이 상기 상부핀(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310)와, 상기 제1링크(310)의 타측 외주면에 상부가 제1링크핀(3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발판(5)의 제1회전축(5a)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제2회전축(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제2링크(320)와, 상기 제1링크핀(321)의 하측으로 제2링크(320)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후크걸림봉(330)과, 상기 상부후크걸림봉(330)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두 개의 제2링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레버축(340)과, 상기 레버축(340) 하부에 설치되어 두 제2링크(320)를 연결하는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 구성된 링크장치(300)와; 중간 부분이 상기 레버축(340)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축(3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하여금 제1링크(310)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410)이 레버축(340)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레버(400)와; 일측이 상기 하부핀(250)에 하부핀(25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과; 일측이 상기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 타측에 연결되어 있되, 일측 하부는 하부레버회전핀(610)에 의해 상기 발판연결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후크걸림봉(330)이 끼워지는 제1후크부(6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후크걸림봉(350)이 끼워지는 제2후크부(6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후크부(630)의 하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레버(400)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상부레버지지부(65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레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연결부재(100)는, 파이프 형상을 취해 상기 조향축(4)을 감싸 조향축(4)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권취관부(110)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공간에 축삽입공간(13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기 권취관부(110)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연결부재(200)는, 각각 일측 내주면이 상기 플레이트부(120)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고 서로 이격된 채 마주보는 위치에 링크삽입공간(211)을 형성한 채 하향 경사지게 평행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경사부(210)와; 상기 두 경사부(210)의 하부를 연결하되 중간 일측에 상향 돌출되고, 하부레버회전핀(610)이 설치된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220)와; 상기 두 경사부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0)와; 두 경사부(210) 및 경사부(210)들 사이의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부핀(240)과; 상기 상부핀(240) 하부에 위치한 채 두 경사부(210) 및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하부핀(25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10)는 상부핀(240)을 축으로 한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축삽입공간(130)에 삽입되며, 상기 두 개의 제2링크(320) 사이에는 상부레버삽입공간(322)이 형성되어 상부레버(400)의 상측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레버(400)는 레버축(340)으로부터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제1링크(310)를 향한 회전시 상기 제1링크(310) 단부에 상단 저부가 걸릴 정도가 되도록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레버(400)는 중간에 좌우 방향으로 손가락삽입홈(4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하부레버(600)는 제2후크부(630)의 하부에 손잡이부(640)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640)에 하방으로 가압시 하부레버회전핀(610)을 축으로 하부레버(600)가 회전하면서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부터 제2후크부(630)가 이탈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판(5)은 제1회전축(5a)과 제2회전축(5b) 사이에 내외로 관통된 관통홀(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레버(600)의 손잡이부(640)는 발판(5)이 조향축(4)을 향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5c)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조향축과 발판이 링크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프링에 의해 하부레버가 연결되어 있어 발판을 접거나 반대로 펴는 과정에서 하부레버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크걸림봉으로부터 후크가 이탈하거나 끼워짐으로써 발판을 접거나 펴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 하부레버와 상부레버가 조향축의 중심선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 부품의 좌우 돌출로 인한 장애물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 모두의 안전을 제공하고 하중 편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링크 연결 방식을 통해 발판의 가용 면적을 최대화하여 발판 면적 설계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접힌 상태에서 펼 때 간편하게 발로 하부레버를 밀어 펼치게 되므로 사용의 취급이 간편해진다.
도 1은 종래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조향축연결부재와 발판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링크장치에 상부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하부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조향축과 발판이 서로 직각 상태를 유지할 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조향축과 발판이 서로 절첩 상태를 유지할 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의 폴딩 장치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폴딩 장치가 설치되는 킥보드에 서술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킥보드는 상부에 핸들이 설치된 조향축(4)과, 상기 조향축(4)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5)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폴딩 장치는 이러한 킥보드의 조향축(4)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케 하여 절첩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절첩된 상태에서 펼쳐 사용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도록 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킥보드용 폴딩 장치는 크게 조향축연결부재(100), 발판연결부재(200), 링크장치(300), 상부레버(400),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 하부레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조향축연결부재(1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4)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권취관부(110)와 플레이트부(120)로 구성된다.
권취관부(110)는 도시된 것처럼 원통의 파이프 형상을 취해 상기 조향축(4)을 감싸 조향축(4)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플레이트부(120)는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공간에 축삽입공간(13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기 권취관부(110)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발판연결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연결부재(100)와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부핀(240) 및 하부핀(250)에 의해 연결되며 내측에 링크삽입공간(2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발판연결부재(200)는 조향축연결부재(100)에 완전히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발판연결부재(200)는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부(210), 바닥부(220), 회전연결부(230), 상부핀(240), 하부핀(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부(210)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측 내주면이 상기 플레이트부(120)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고 서로 이격된 채 마주보는 위치에 링크삽입공간(211)을 형성한 채 하향 경사지게 평행하게 위치한다.
바닥부(220)는 상기 두 경사부(210)의 하부를 연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일측에는 상향 돌출된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회전연결부(230)는 도 2,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두 경사부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바닥부(2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회전연결부(230)에는 도 6,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부핀(240)은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경사부(210) 및 경사부(210)들 사이의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하부핀(250)은 상기 상부핀(240) 하부에 위치한 채 두 경사부(210) 및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링크장치(300)는 제1링크(310), 제2링크(320), 상부후크걸림봉(330), 레버축(340) 및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링크(3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일측이 상기 상부핀(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링크(310)는 중간 부분이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축삽입공간(130)에 삽입된다.
도 2는 제1링크(310)가 조향축연결부재(100)를 향해 회전한 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도면과 같이 제1링크(310)의 하부 및 중간 일측이 상기 축삽입공간(130)에 삽입되어 있음이 나타나 있다.
제2링크(32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링크(310)의 타측 외주면에 상부가 제1링크핀(3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두 제2링크(320)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레버삽입공간(322)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두 제2링크(320)는 도 6,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발판(5)의 제1회전축(5a)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제2회전축(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2링크(320)는 하부가 상부에 비해 도면과 같이 꺾인 형상을 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부후크걸림봉(330)은 상기 제1링크핀(321)의 하측으로 제2링크(320)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발판(5)이 도 6과 같이 조향축(4)을 기준으로 완전히 펼쳐지도록 회전한 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하부레버(600)의 제1후크부(62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레버축(340)은 상기 상부레버삽입공간(322) 내부에 양단이 상기 두 제2링크(320) 중간 내벽면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부레버(4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불어, 하부후크걸림봉(350)은 양단이 상기 두 제2링크(320)들의 하부 내벽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 7과 같이 발판(5)이 조향축(4)을 기준으로 완전히 접혀지도록 회전한 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하부레버(600)의 제2후크부(63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상부레버(4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상기 레버축(340)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축(3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상부레버(400)의 상단부로 하여금 제1링크(310)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410)이 레버축(340)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레버(400)는 두 제2링크(320) 사이의 공간인 상부레버삽입공간(322)에 삽입되어 있다.
더불어 상부레버(400)의 상단부는 저부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링크(310)에 걸려 하향 회전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해 상부레버(400)는 레버축(340)으로부터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제1링크(310)를 향한 회전시 상기 제1링크(310) 단부에 상단 저부가 걸릴 정도가 되도록 길이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또, 중간에는 중간에 좌우 방향으로 손가락삽입홈(42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손가락을 손가락삽입홈(420)에 걸어 당겨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레버(400)는 도 8의 좌하부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축(340)을 기준으로 제1링크(310) 반대편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단부는 하기 하부레버(600)의 상부 외주면인 상부레버지지부(650)를 눌러 가압하여 하부레버(600)를 회전시켜 상부후크걸림봉(330)을 제1후크부(62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하부핀(250)에 하부핀(25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은 하부레버(600)가 회전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핀(25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 상부후크걸림봉(330)에 제1후크부(620)가 걸리기 전, 후 및 하부후크걸림봉(350)에 제2후크부(630)가 걸리기 전, 후에 하부레버(600)를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여 후크가 걸림봉을 감싼 이후 회전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하부레버(60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 타측에 연결되어 있되, 일측 하부는 하부레버회전핀(610)에 의해 상기 발판연결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판연결부재(200)의 돌출부(221)에 끼워진 하부레버회전핀(610)에 연결된다.
더불어, 상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후크걸림봉(330)이 끼워지는 제1후크부(6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후크걸림봉(350)이 끼워지는 제2후크부(63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하부 중간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판(5)이 펼쳐지도록 상기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 사이의 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부후크걸림봉(330)이 제1후크부(620)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도 8의 좌상단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판(5)이 절첩되도록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 사이의 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후크걸림봉(350)이 제2후크부(630)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후크부(630)의 하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레버(400)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상부레버지지부(65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도 5,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후크부(630)의 하부에 손잡이부(640)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절첩된 상태에서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손잡이부(640)를 가압하게 되면 도 8의 좌상단에서 중상단 도면으로의 변화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레버(600)가 회전하면서 제2후크부(630)가 하향 회전하면서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어 사용자는 발판(5)을 손으로 잡아당겨 링크장치(300)가 가변되면서 발판(5)이 펼쳐지게 된다.
즉, 손잡이부(640)에 하방으로 가압시 하부레버회전핀(610)을 축으로 하부레버(600)가 회전하면서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부터 제2후크부(630)가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손잡이부(640)를 통한 가압을 통해 펼침 동작이 원할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5)은 제1회전축(5a)과 제2회전축(5b) 사이에 내외로 관통된 관통홀(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레버(600)의 손잡이부(640)는 발판(5)이 조향축(4)을 향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5c)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8의 중하단 도면에서 좌하단 도면으로의 변화 즉, 상부레버지지부(650)는 상부레버(400)가 회전할 때, 상부레버(400)의 하단부를 상부레버지지부(650)가 지지하면서 지렛대 역할을 하여 하부레버(600)가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부후크걸림봉(330)이 제1후크부(62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발판(5)을 손으로 간단히 밀면 링크장치(300)의 변화와 맞물려 간편하게 절첩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좌상단 도면에 나타나 있는 상태는 조향축(4)가 발판(5)이 서로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절첩된 상태이다.
이 상태는 제2후크부(630)에 하부후크걸림봉(350)이 끼워져 있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상태로 말미암은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가 자유 회전하여 사이각이 커지는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게 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중앙 도면과 같이 하부레버(600)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이 해제되어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발판(5) 조작에 의해 우상단 및 우하단 도면과 같이 펼쳐지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의 우하단 도면은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판(5)이 펼쳐진 상태인데, 도면과 같이 제1후크부(620)의 상부에 상부후크걸림봉(330)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하중간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상부레버(400)를 누르게 되면 하부레버(600)가 회전하면서 "딸깍" 소리와 함께 제1후크부(620)에 상부후크걸림봉(330)이 끼움 결합되게 된다.
이 상태 역시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의 회전을 방해하는 상태가 되어 이 각도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절첩 상태로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도 8의 하중간 도면에서 우하단 도면과 같이 상부레버(400)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부레버(400)가 회전하면서 상부레버(400)의 하단부가 상부레버지지부(650)를 지렛대 삼아 강제로 하부레버(6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부(620)와 상부후크걸림봉(330)이 이탈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4 : 조향축 5 : 발판
5a : 제1회전축 5b : 제2회전축
100 : 조향축연결부재 110 : 권취관부
120 : 플레이트부 130 : 축삽입공간
200 : 발판연결부재 210 : 경사부
211 : 링크삽입공간 220 : 바닥부
221 : 돌출부 230 : 회전연결부
240 : 상부핀 250 : 하부핀
300 : 링크장치 310 : 제1링크
320 : 제2링크 321 : 제1링크핀
322 : 상부레버삽입공간 330 : 상부후크걸림봉
340 : 레버축 350 : 하부후크걸림봉
400 : 상부레버 410 : 레버스프링
500 : 하부레버복원스프링 600 : 하부레버
610 : 하부레버회전핀 620 : 제1후크부
630 : 제2후크부 640 : 손잡이부
650 : 상부레버지지부

Claims (5)

  1. 상부에 핸들이 설치된 조향축(4)과, 상기 조향축(4)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5)으로 이루어진 킥보드의 조향축(4)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케 하여 절첩되도록 조향축(4)과 발판(5) 사이에 설치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4)과 연결되어 있는 조향축연결부재(100)와;
    상기 조향축연결부재(100)와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부핀(240) 및 하부핀(250)에 의해 연결되며 내측에 링크삽입공간(2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발판연결부재(200)와;
    상부 일측이 상기 상부핀(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310)와, 상기 제1링크(310)의 타측 외주면에 상부가 제1링크핀(3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발판(5)의 제1회전축(5a)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제2회전축(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제2링크(320)와, 상기 제1링크핀(321)의 하측으로 제2링크(320)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후크걸림봉(330)과, 상기 상부후크걸림봉(330)보다 하부에 위치한 채 두 개의 제2링크(3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레버축(340)과, 상기 레버축(340) 하부에 설치되어 두 제2링크(320)를 연결하는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 구성된 링크장치(300)와;
    중간 부분이 상기 레버축(340)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축(34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하여금 제1링크(310)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410)이 레버축(340)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레버(400)와;
    일측이 상기 하부핀(250)에 하부핀(25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과;
    일측이 상기 하부레버복원스프링(500) 타측에 연결되어 있되, 일측 하부는 하부레버회전핀(610)에 의해 상기 발판연결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후크걸림봉(330)이 끼워지는 제1후크부(6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후크걸림봉(350)이 끼워지는 제2후크부(6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후크부(630)의 하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레버(400)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상부레버지지부(65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레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킥보드용 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연결부재(100)는,
    파이프 형상을 취해 상기 조향축(4)을 감싸 조향축(4)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권취관부(110)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공간에 축삽입공간(13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상기 권취관부(110) 외주면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연결부재(200)는,
    각각 일측 내주면이 상기 플레이트부(120)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고 서로 이격된 채 마주보는 위치에 링크삽입공간(211)을 형성한 채 하향 경사지게 평행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경사부(210)와;
    상기 두 경사부(210)의 하부를 연결하되 중간 일측에 상향 돌출되고, 하부레버회전핀(610)이 설치된 돌출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220)와;
    상기 두 경사부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발판(5)의 전방 일측과 제1회전축(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230)와;
    두 경사부(210) 및 경사부(210)들 사이의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부핀(240)과;
    상기 상부핀(240) 하부에 위치한 채 두 경사부(210) 및 플레이트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하부핀(25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310)는 상부핀(240)을 축으로 한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축삽입공간(130)에 삽입되며,
    상기 두 개의 제2링크(320) 사이에는 상부레버삽입공간(322)이 형성되어 상부레버(400)의 상측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레버(400)는 레버축(340)으로부터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제1링크(310)를 향한 회전시 상기 제1링크(310) 단부에 상단 저부가 걸릴 정도가 되도록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레버(400)는 중간에 좌우 방향으로 손가락삽입홈(4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버(600)는 제2후크부(630)의 하부에 손잡이부(640)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640)에 하방으로 가압시 하부레버회전핀(610)을 축으로 하부레버(600)가 회전하면서 하부후크걸림봉(350)으로부터 제2후크부(630)가 이탈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5)은 제1회전축(5a)과 제2회전축(5b) 사이에 내외로 관통된 관통홀(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레버(600)의 손잡이부(640)는 발판(5)이 조향축(4)을 향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5c)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용 폴딩 장치.
KR2020160003703U 2016-06-27 2016-06-27 킥보드용 폴딩 장치 KR201700010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03U KR20170001075U (ko) 2016-06-27 2016-06-27 킥보드용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03U KR20170001075U (ko) 2016-06-27 2016-06-27 킥보드용 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5U true KR20170001075U (ko) 2017-03-22

Family

ID=5849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03U KR20170001075U (ko) 2016-06-27 2016-06-27 킥보드용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45A (zh) * 2019-01-23 2019-06-07 永康市锐鹰工贸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
KR102409882B1 (ko) *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202Y1 (ko) 2000-10-28 2001-05-02 김재호 킥보드의 절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202Y1 (ko) 2000-10-28 2001-05-02 김재호 킥보드의 절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45A (zh) * 2019-01-23 2019-06-07 永康市锐鹰工贸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
CN109850045B (zh) * 2019-01-23 2024-03-29 永康市锐鹰工贸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
KR102409882B1 (ko) *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4759B (zh) 可折叠的儿童围栏
CN114771629B (zh) 儿童推车装置
US7736280B2 (en) Treadmill deck locking mechanism
US6443479B2 (en) Locking device with safety arrangement for collapsable stroller
CN101687518B (zh) 婴儿车
CN110979533B (zh) 一种滑板车
CN104973113A (zh) 婴儿车装置
JPS59106366A (ja) ベビ−カ
JP2016130046A (ja) 折畳式車両
US9315205B2 (en) Folding mechanism of baby stroller
CN104129417B (zh) 折叠旅行婴儿车插销和轮定位机构
CN211731697U (zh) 滑板车结构
CN104176183B (zh) 休闲运动车
EP3428381B1 (en) Telescopic ladder
KR20170001075U (ko) 킥보드용 폴딩 장치
CN107651081B (zh) 滑板车及折叠机构和其折叠、锁紧方法
KR200484935Y1 (ko) 조절레버가 구비된 킥보드용 폴딩 장치
CN108909813B (zh) 可快速折叠的童车
JP7083017B2 (ja) 折りたたみ自転車
CN112793698B (zh) 一种折叠结构
CN108706038A (zh) 前扶手连动折叠的儿童手推车
CN212685828U (zh) 一种滑板车
CN209683917U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两轮骑行车
CN210503028U (zh) 一种能防误操作的折叠结构
EP3601012B1 (en) Folding frame for strollers, baby carriages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