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205A - 얼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205A
KR20210109205A KR1020200024169A KR20200024169A KR20210109205A KR 20210109205 A KR20210109205 A KR 20210109205A KR 1020200024169 A KR1020200024169 A KR 1020200024169A KR 20200024169 A KR20200024169 A KR 20200024169A KR 20210109205 A KR20210109205 A KR 2021010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zing
drum
ice
cover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462B1 (ko
Inventor
구하서
Original Assignee
구하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하서 filed Critical 구하서
Priority to KR102020002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4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2Freezing surface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서포트 프레임(10);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을 구비한 프리징 드럼(20); 상기 프리징 드럼(20)에 내장된 냉각관(40); 상기 냉각관(40)의 냉기에 의해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상기 프리징컵(26)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워터 슬리브(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24);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22);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컵(26)의 외측단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컵(26)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커버(24)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30)는 상기 프리징컵(26)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되어 상기 냉각관(40)에 의해 프리징컵(26)의 내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음 제조장치{Ic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얼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사이즈의 프리징 드럼을 이용하여 얼음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만들어진 얼음이 자유 낙하될 수 있고, 얼음을 만들어주는 주요 부분을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얼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제조장치(제빙장치)는 압축기의 압력에 의하여 냉매가 제빙관으로 이동되고 응축기를 거쳐 열교환을 함에 따라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종래의 얼음 제조장치는 격자형으로 복수개의 제빙홈이 배열되어 정치식으로 설치된 제빙판과, 상기 제빙판의 뒤쪽에 배치된 냉매 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빙홈들에는 두 개의 구멍을 형성한 것이 있다.
상기 제빙판은 사각형츠로 틀이 짜여져 있는 것으로서, 제빙판에는 상하 좌우 격자형으로 복수개의 제빙홈이 배열되어 있다. 제빙판이 정치식으로 설치된다는 것은 세워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빙판은 세워져 있으면서 동시에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제빙판을 한 군데 고정을 해서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놓은 것이다.
상기 얼음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빙판의 앞쪽으로 물을 쏴주면, 상기 제빙판이 냉각관에 의해 냉각되어 있으므로, 제빙판의 각각의 제빙홈 내부에어 물이 얼어서 얼음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빙판의 각각의 제빙홈에 얼음이 생기면, 상기 제빙판의 앞쪽에서 핫가스를 쏴주어서 얼음을 녹이는데, 핫가스에 의해서 얼음의 둘레부만 약간 녹아서 각각의 제빙홈에 있는 얼음의 둘레부만 약간 녹으면서 얼음이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각각의 제빙홈로부터 빠져서 낙하된다. 이때, 얼음에서 약간 녹은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얼음을 제빙홈 내부에 잡고 있어서, 제빙판의 제빙홈에서 얼음이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상기 제빙판의 각 제빙홈마다 두 개의 구멍을 뚫어놓은 것이며, 각 제빙홈의 구멍을 통해서 제빙홈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서 얼음이 각 제빙홈에서 빠져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제빙홈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서 제빙홈으로부터 얼음 탈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얼음 제조장치의 경우 제빙판의 앞쪽에서 물을 쏘아서 각각의 제빙홈 내부에 얼음이 생기도록 하는데,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쏘아준 물이 냉매 파이프를 적시게 되고, 상기 얼음 제조장치를 수도 없이 많이 쓰다 보니까 냉매 파이프에 물때가 생기고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물때나 곰팡이 등과 같은 이물질은 일반 사람이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위생의 문제도 생긴다. 즉, 냉매 파이프 쪽으로 물이 유입되어 물때나 곰팡이 등과 함께 오염되어 위생의 문제가 많이 생기고, 물때나 곰팡이 등의 청소를 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물때나 곰팡이 등의 청소를 위해서는 얼음 제조장치 자체를 분해해야 하는데, 이러한 얼음 제조장치의 분해와 청소 후 재조립으로 인하여 유지 관리에 있어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9900호(2014년10월0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02287호(2015년03월06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사이즈의 프리징 드럼을 이용하여 얼음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만들어진 얼음이 자유 낙하될 수 있고, 얼음을 만들어주는 주요 부분인 프리징 드럼을 자동 세척할 수 있으며, 물때나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위생에 있어서도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얼음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을 구비한 프리징 드럼; 상기 프리징 드럼에 내장된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냉기에 의해 상기 프리징 드럼의 상기 프리징컵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워터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리징 드럼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컵의 외측단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컵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는 상기 프리징컵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프리징컵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징 드럼에 구비된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의 상기 개방부가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는 상기 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와, 상기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프리징컵의 내부와 연통된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원형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은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징 드럼은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두 개의 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서포트 트레이부;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 드럼의 양쪽 측면에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는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는 상부가 개방된 단면 채널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패널 연결바아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연결바아에 상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 연결바아는 단면 채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드럼 장착패널에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는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의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상기 모터축에 상기 구동기어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상기 프리징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배출 가이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징 드럼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의 아래에는 스팀노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을 구비한 프리징 드럼; 상기 프리징 드럼에 내장된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냉기에 의해 상기 프리징 드럼의 상기 프리징컵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워터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 드럼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컵의 외측단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컵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는 상기 프리징컵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프리징컵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하고, 상기 로테이션 드럼은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이 두 개의 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관은 상기 프리징컵과 접촉되는 면이 납짝한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냉각관은 복수개의 콘택트 냉각관부와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에 상기 납짝한 면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의 상기 납짝한 면이 상기 프리징컵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는 상기 프리징컵의 측면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와, 상기 프리징컵의 내측단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와 상기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는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을 구비한 프리징 드럼; 상기 프리징 드럼에 내장된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냉기에 의해 상기 프리징 드럼의 상기 프리징컵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워터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 드럼의 측면에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 죠오는 상기 기어의 외주면에 구비된 죠오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를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기어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죠오에 치합된 아이들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아이들 기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들 기어는 상기 로테이션 드럼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와 마주하는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제조장치는 냉각관의 내부로 들어온 기화 가스가 열교환에 의해 프리징 드럼의 주요부인 로테이션 드럼을 냉각시키고 로테이션 드럼 내부의 복수개의 프리징컵도 냉각시킨 상태에서 로테이션 드럼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프리징컵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프리징컵의 내부에서 얼음이 형성되는데, 상기 로테이션 드럼이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프리징컵에 얼음이 만들어진 다음에는 프리징 드럼의 구성인 커버의 하부 아이스 배출홀을 통해서 얼음을 자유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얼음을 만들기도 수월하고 신속하며 얼음의 수집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리징 드럼에서 로테이션 드럼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프리징 드럼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에 의해 프리징 드럼을 자동 세척할 수 있다. 프리징 드럼의 주요부인 로테이션 드럼과 프리징컵과 커버를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며, 이처럼 프리징 드럼의 자동 세척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하여 세척과 같은 유지 보수에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물때나 곰팡이 등의 유해물질이 끼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위생에 있어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제조장치의 우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프리징 드럼의 기어와 모터 및 구동기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냉각관과 로테이션 드럼 내부의 프리징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냉각관과 로테이션 드럼의 프리징컵과 워터 슬리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과 도 9은 도 6에 도시된 냉각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제조장치의 일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제조장치의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얼음 제조장치와 겸용으로 사용하는 눈꽃 빙수제조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얼음 제조장치는 서포트 프레임(10)에 프리징 드럼(20)이 장착되고, 프리징 드럼(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에는 냉각관(40)이 내장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내부에 있는 프리징컵(26)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슬리브(3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은 서포트 트레이부(12)와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는 서포트 바닥편과, 상기 서포트 바닥편의 양쪽에서 상향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서포트 측벽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가 상부가 개방된 단면 채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측벽부의 상부에는 지지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측벽부에 패널 연결바아(16)가 결합된다. 상기 패널 연결바아(16)는 사이드 서포트편의 상하단부에 상부 서포트편과 하부 서포트편을 구비한 단면 채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패널 연결바아(16)의 하부 서포트편이 상기 서포트 측벽부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턱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상기 서포트 측벽부의 상기 지지턱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측벽부의 지지턱부가 밑에서 패널 연결바아(16)를 지지한 상태에서 패널 연결바아(16)가 서포트 측벽부의 지지턱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의 한 쌍의 서포트 측벽부에 각각 하나씩 패널 연결바아(16)가 결합된다. 한 쌍의 패널 연결바아(16)가 서포트 트레이부(12)에 결합되어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에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이 결합된다. 드럼 장착패널(14)의 하부가 서포트 트레이부(12)의 좌우 한 쌍의 서포트 측벽부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패널 연결바아(16)에 결합된다.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은 둘레부에 하부 테두리편과 상부 테두리편과 전후방 테두리편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의 하부 테두리편이 상기 패널 연결바아(16)의 상부 서포트편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의 하부 테두리편이 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패널 연결바아(16)의 상부 서포트편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에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이 결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커버(24)과 로테이션 드럼(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4)은 원형 루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커버(24)은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24)은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에 지지된다. 커버(24)은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4)의 아이스 배출홀은 서포트 트레이부(12)의 위쪽에 배치되어,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프리징컵(26)에서 생성된 얼음이 커버(24)의 아이스 배출홀을 통해서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로 낙하되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4)의 아이스 배출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스팀노즐(52)이 구비된다. 스팀노즐(52)의 선단부는 커버(24)의 아이스 배출홀 아래에 배치되고, 스팀노즐(52)의 기단부는 물공급관(54)에 연결되고, 물공급관(54)에는 펌프(56)가 구비되어, 상기 펌프(56)의 작동에 의해 물공급관(54)을 통해서 스팀노즐(52)의 선단부로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팀노즐(52)에서 토출되는 물은 로테이션 드럼(22)에 구비된 프리징컵(26)의 개방부 쪽으로 일정 압력으로 분사된다.
상기 커버(24)에 워터 슬리브(3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 슬리브(30)는 커버(24)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와, 상기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에서 분기되어 프리징컵(26)의 내부와 연통된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는 원형 루프 형상의 외주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가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에는 물공급관(54)(미도시)이 연결된다.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의 내부로 물공급관(54)을 통해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는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와 연통된다.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의 양쪽 옆으로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가 돌출된다.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에 좌우 양쪽으로 한 쌍의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가 돌출된 구조가 된다. 상기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는 커버(2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는 커버(24)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가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와 커버(24)의 안쪽면까지 연통된 구조가 된다.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로 유입되는 물이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를 통해서 커버(24)의 안쪽면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은 원형 드럼 형상으로 구성된다. 로테이션 드럼(2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프리징컵(26)이 복수개의 셋트로 배열된다. 로테이션 드럼(22)을 종단면으로 볼 때에 복수개의 프리징컵(26)들이 두 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각 열의 프리징컵(26)들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가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에서 좌우 양쪽으로 두 개가 분기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들이 두 개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로테이션 드럼(22)이 배치된다. 상기 프리징컵(26)의 외측단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컵(26)의 개방부는 커버(24)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대각선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30)는 프리징컵(26)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하게 된다. 워터 슬리브(30)의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로 들어온 물이 상기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를 통해서 커버(24)의 안쪽면으로 들어오고, 커버(24)의 안쪽면으로 들어온 물이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의 각각의 프리징컵(26) 외측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과하여 각각의 프리징컵(26)의 내부에 물이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은 중심부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샤프트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가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양쪽 드럼 장착패널(14)에 결합된다. 베어링을 매개로 로테이션 드럼(22)의 좌우 양쪽 샤프트가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양쪽 드럼 장착패널(14)에 결합된다. 로테이션 드럼(22)이 서포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가 된다. 로테이션 드럼(22)은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안쪽면에 냉각관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의 좌우 양쪽 측면 중에서 한쪽의 측면에는 기어(37)가 구비된다. 디스크 형상의 기어(37)가 로테이션 드럼(22)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기어(37)의 중심부가 로테이션 드럼(22)의 중심부에 일치하도록 상기 기어(37)가 로테이션 드럼(22)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 중에서 상기 기어(37)와 마주하는 드럼 장착패널(14)에는 모터(38)가 장착된다. 모터(38)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39)가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구동모터(38)의 모터축은 구동기어(39)의 중심부에 구비된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다. 구동기어(39)의 한쪽면에서 돌출된 구동 샤프트에 커넥터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구동모터(38)의 모터축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8)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모터축이 구동기어(39)의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므로, 상기 구동모터(38)의 모터축이 구동기어(39)의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구동기어(39)는 로테이션 드럼(22)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기어(37)에 치합된다. 상기 구동기어(39)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구동 죠오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39) 외주면의 구동 죠오는 로테이션 드럼(22)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기어(37) 외주면의 죠오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38)에 의해 구동기어(39)가 회전하면 기어(37)가 회전하고, 기어(37)가 한쪽 측면에 장착된 로테이션 드럼(22)도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에서 회전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냉각관 수용 공간부에는 냉각관(40)이 배치된다. 냉각관(40)은 코일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관(40)은 복수개의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42)에 납짝한 면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42)의 납짝한 면이 상기 프리징컵(26)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42)는 프리징컵(26)의 측면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상기 프리징컵(26)의 내측단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의 납짝한 면이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양쪽 측면에 면으로 접촉되고, 복수개의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의 납짝한 면이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내측단(즉, 프리징컵(26)에서 개방부가 형성된 외측단과 반대되는 단부인 내측단)에 면으로 접촉된다.
상기 냉각관(40)은 양쪽 옆으로 연장된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를 구비하는데,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는 로터리 조인트(36)에 연결된다. 상기 냉각관(40)의 유입관부에 연결된 유입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의 내부와 상기 냉각관(40)의 배출관부에 연결된 배출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의 내부에는 통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관(40)의 유입관부에는 팽창밸브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관(40)의 유입관부에 로터리 조인트(36)가 연결되고, 유입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의 내부 통로에는 냉매 유입관이 연결되는데, 상기 냉매 유입관과 로터리 조인트(36)의 내부 통로 사이의 경로에 팽창밸브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냉각관(40)의 유입관부에 팽창밸브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냉각관(40)에 팽창밸브가 연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관(40)의 유입관부는 로터리 조인트(36)에 연결되고, 유입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에는 냉매 유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냉매 유입관으로 냉매가 들어오면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기화 가스가 형성되고, 상기 기화 가스는 상기 유입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 내부의 통로를 통해서 상기 유입관부를 통과하여 냉각관(40)의 내부로 들어온다.
상기 냉각관(40)의 내부로는 상기 유입관부를 통해서 기화 가스가 들어와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기화 가스가 상기 배출관부측 로터리 조인트(36) 내부의 통로를 지나서 콤프레서 쪽으로 공급되고, 상기 콤프레서로 유입된 기화 가스는 냉각 사이클의 응축기에 의해서 다시 액상의 냉매로 만들어진 다음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다시 기화 가스로 변해서 상기 냉각관(40)의 유입관부를 통해서 냉각관(40)의 내부로 기화 가스가 들어오게 된다.
상기 냉각관(40)은 로테이션 드럼(22)의 냉각관 수용 공간부에 내장되어 내부로 지나가는 기화 가스에 의해 로테이션 드럼(22)을 냉각시키게 된다. 즉, 상기 팽창밸브로 인해서 액상의 냉매가 통과되면서 기화되고, 기화 가스가 냉각관(40)의 내부로 들어가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면서, 로테이션 드럼(22)과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을 냉각시킨다. 냉각관(40)은 로테이션 드럼(22)의 복수개의 프리징컵(26)에 물이 공급되었을 때에 얼음이 얼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상기 로테이션 드럼(22)과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을 냉각시킨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는 커버(2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더(62)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의 한 쌍의 나란한 드럼 장착패널(14)에는 각각 가이더 마운팅 브라켓이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한 쌍의 나란한 가이더(62) 마운딩 브라켓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더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구에 의해 가이더(6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더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에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24)의 하부에 상기 가이더(62)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더(62)는 와이어가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된 망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의 한쪽 측면에서 볼 때에 가이더(62)가 커버(24)의 아래에서 앞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각관(40)에 의해 로테이션 드럼(22)이 냉각(냉각관(40)의 내부로 지나가는 기화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있고,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복수개의 프리징컵(26)도 냉각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로테이션 드럼(22)과 냉각관(40)은 상기 구동모터(38)와 구동기어(39)와 기어(37)에 의해 서포트 프레임(10)에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워터 슬리브(30)에 의해서 복수개의 프리징컵(26)에 물이 공급되면 프리징컵(26)의 내부에 얼음이 생기게 되며, 내부에 얼음이 형성된 프리징컵(26)의 개방부가 로테이션 드럼(22)의 회전에 의해 커버(24)의 하부 아이스 배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프리징컵(26)에서 얼음이 낙하하여 상기 가이더(62)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가이더(62) 위로 낙하하는 얼음을 가이더(62) 아래에 배치시킨 용기 등에 담아내면 된다.
이때, 상기 커버(24)의 내주면에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프리징컵(26)의 개방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나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에 의해 프리징컵(26)의 내부 공간부에 얼음이 꽉 차서 형성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가 프리징컵(26)의 내부 공간부에 얼음이 꽉 차서 만들어진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워터 슬리브(20)로부터의 물 공급이 중지되고, 상기 냉각관(40)의 내부로의 냉각용 기화 가스 공급도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션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프리징컵(26)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커버(24)의 하부에 형성된 아이스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로테이션 드럼(20) 내부의 모든 프리징컵(26)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다 배출된 상태가 되면, 상기 센서가 모든 프리징컵(26)의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감지하여 상기 워터 슬리브(30)에 의해서 물을 다시 공급하고 상기 냉각관(40)의 내부로 기화 가스를 다시 공급하여 로테이션 드럼(22)의 각각의 프리징컵(26) 내부에서 다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워터 슬리브(30)에서 분사되어 얼음으로 만들어지고 남은 물과 로테이션 드럼(22)의 내부에서 생길 수도 있는 물은 상기 박스 형상의 서포트 트레이부(12)로 낙하되어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얼음 제조장치에서는 냉각관(40)의 내부로 들어온 기화 가스가 열교환에 의해 로테이션 드럼(22)을 냉각시키고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복수개의 프리징컵(26)도 냉각시킨 상태에서 로테이션 드럼(22)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프리징컵(26)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에서 얼음이 형성되는데,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이 회전하면서 복수개의 프리징컵(26)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얼음이 프리징컵(26)의 내부에서 다 만들어지면, 상기 커버(24)의 하부 아이스 배출홀을 통해서 얼음을 자유 낙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을 만들기도 수월하고 신속하며 얼음의 수집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고 신속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각관(40)은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냉각관 수용 공간부에 내장된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콤팩트한 사이즈의 로테이션 드럼(22)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얼음 제조장치의 사이즈가 상당히 줄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관(40)이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기화 가스가 코일 형상의 냉각관(4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 통로가 그만큼 충분히 길어지면서 열교환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로테이션 드럼(22)의 각각의 프리징컵(26)의 내부에서 얼음이 보다 확실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테이션 드럼(22)과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회전하면서 프리징컵(26)의 내부에 얼음이 겹겹이 쌓이면서 만들어지는 작용을 하므로,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얼음이 유리알처럼 깨끗한 고품질의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노즐(52)에서 토출되는 스팀은 로테이션 드럼(22)에 구비된 프리징컵(26)의 개방부 쪽으로 분사되는데, 상기 스팀노즐(52)에서 토출되는 스팀에 의해서 프리징 드럼(20) 자체를 세척할 수 있다. 프리징 드럼(20)의 로테이션 드럼(22) 자체는 물론이고 커버(24) 자체도 스팀으로 자동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름 내지 1달 정도의 시간을 잡아서 로테이션 드럼(22)을 회전시키면서 스팀노즐(52)로부터 쏴주는 스팀에 의해 로테이션 드럼(22)과 커버(24) 부분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각관(40)은 복수개의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콘택트 냉각관부(42)는 프리징컵(26)의 측면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상기 프리징컵(26)의 내측단에 납짝한 면이 접촉된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냉각관(40)의 내부로 기화 가스가 지나갈 때에 상기 납짝한 면이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프리징컵(26)에 면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냉각관(40)과 프리징컵(26)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면서 프리징컵(26)의 내부에 얼음이 형성되는 속도를 더 빠르게 하므로, 얼음을 만드는 효율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와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2)의 납짝한 면은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측면에 면으로 접촉되는 한편, 복수개의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44)의 납짝한 면은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내측면에 면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냉각관(40)의 내부로 기화 가스가 지나가면서 냉각관(40)과 복수개의 프리징컵(26) 사이의 열교환률을 더욱 높여줌으로써 프리징컵(26)에서 얼음이 형성되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냉각관(40)으로 기화 가스가 지나갈 때에 로테이션 드럼(22) 내부의 프리징컵(26)과 냉각관(4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냉각관(40)과 로테이션 드럼(22)의 프리징컵(26)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최대한 높여주므로, 프리징컵(26)에서 얼음이 보다 신속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냉각관(40)과 로테이션 드럼(22)의 프리징컵(26) 사이의 열교환이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콤프레서 쪽으로 기화 가스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징 드럼(20)에서 커버(24)는 로테이션 드럼(22)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워터 슬리브(30)에서 물을 공급하여 얼음을 만드는데, 상기 커버(24)는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튀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의 좌우 한 쌍의 드럼 장착패널(14)의 사이즈는 프리징 드럼(20)의 측면 면적보다는 더 크게 구성되고,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은 스테인레스판으로 구성되어, 프리징 드럼(20)의 양쪽을 스트레인레스판이 막아주는 구조라서,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양쪽 측면에서 외부로 물이 튀어나가려 하여도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이 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동기어(39)를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의 측면에 구비된 기어(37) 외주면의 죠오에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로테이션 드럼(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39)와 마주하는 대각선 위치에 아이들 리어가 배치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33) 외주면의 아이들 죠오는 로테이션 드럼(22)의 측면에 구비된 기어(37)의 죠오와 치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터(38)에 의해 구동기어(39)가 회전하여 로테이션 드럼(22)을 회전시킬 때에 상기 아이들 기어(33)는 구동기어(39)가 로테이션 드럼(22)의 중심부 쪽으로 밀어주는 힘을 받쳐서 상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구동기어(39)가 로테이션 드럼(22)의 회전 중심부(즉, 서포트 프레임(10)에 결합된 샤프트쪽)으로 편심된 힘이 작용함으로 인한 모터(38)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38)의 과부하로 인한 모터(38)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테이션 드럼(22)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33)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33) 외주면의 아이들 죠오들이 로테이션 드럼(22) 외주면의 상기 죠오에 치합된다. 적어도 세 개의 아이들 기어(33)가 로테이션 드럼(22)을 적어도 세 군데에서 받쳐주는 구조가 된다.
이처럼 적어도 세 개의 아이들 기어(33)가 로테이션 드럼(22)의 둘레부를 적어도 세 군데에서 받쳐주게 되면, 모터(38)에 의해 구동기어(39)가 회전하여 로테이션 드럼(22)을 회전시킬 때에 상기 아이들 기어(33)는 구동기어(39)가 로테이션 드럼(22)의 중심부 쪽으로 밀어주는 힘을 받쳐서 상쇄시키는 부분이 적어도 세 군데이고 상쇄시키는 힘도 적어도 세 배 이상이 되므로, 이러한 모터(38)의 과부하로 인한 모터(38)의 손상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얼음 제조장치와 눈꽃 빙수 제조장치를 함께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눈꽃 빙수 제조장치는 메인 프레임(130)과, 상기 메인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는 냉각관이 구비되어 냉각관에 의해 냉각이 되는 결빙 디스크(140)와, 상기 결빙 디스크(140)의 측면에 얼음이 결빙되도록 상기 결빙 디스크의 측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노즐과, 상기 결빙 디스크(140)의 측면에 결빙되어 있는 얼음을 긁어내서 눈꽃 얼음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칼날을 구비한다. 부호 139는 결빙 디스크(140)에 치합된 구동기어이고, 부호 143은 구동기어를 회전시켜서 결빙 디스크(140)가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이고, 부호 137은 눈꽃 얼음을 받아서 내려오도록 하는 가이더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130)에서 결빙 디스크(140)가 회전하고, 냉각관에 의해 냉각된 결빙 디스크(140)의 측면에는 워터 노즐에 의해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결빙되고, 상기 결빙 디스크(140)의 측면에서는 칼날에 의해 얼음을 긁어내서 눈꽃 얼음으로 만들고, 눈꽃 얼음은 가이더(137)를 타고 내려와서 용기에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얼음 제조장치와 눈꽃 빙수 제조장치를 함께 설치해서 겸용으로 사용하면 얼음을 제조하면서도 눈꽃 빙수도 만들어서 쓸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으며, 얼음 제조장치와 눈꽃 빙수 제조장치 겸용으로 쓰다보니 단가가 낮아지는 것과 같이 비용적인 측면 등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서포트 프레임 12. 서포트 트레이부
14. 드럼 장착패널 20. 프리징 드럼
22. 커버 24. 로테이션 드럼
26. 프리징컵 30. 워터 슬리브
32.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 34.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
36. 로터리 조인트 40. 냉각관
42. 콘택트 냉각관부 44. 이너 사이드 콘택트 냉각관부
52. 스팀노즐

Claims (12)

  1. 서포트 프레임(10);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을 구비한 프리징 드럼(20);
    상기 프리징 드럼(20)에 내장된 냉각관(40);
    상기 냉각관(40)의 냉기에 의해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상기 프리징컵(26)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워터 슬리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24);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22);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컵(26)의 외측단에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리징컵(26)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커버(24)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30)는 상기 프리징컵(26)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로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되어 상기 냉각관(40)에 의해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징 드럼(20)에 구비된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의 상기 개방부가 상기 커버(24)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워터 슬리브(30)는 상기 커버(24)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와, 상기 메인 서플라이 슬리브부(32)에서 분기되어 상기 프리징컵(26)의 내부와 연통된 분기 서플라이 슬리브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4)은 원형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서포트 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두 개의 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은,
    서포트 트레이부(12)와,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드럼 장착패널(14);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양쪽 측면에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는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는 상부가 개방된 단면 채널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트레이부(1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패널 연결바아(16)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아(16)에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결바아(16)는 단면 채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장착패널(14)에는 모터(38)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38)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39)가 결합되고,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한쪽 면에는 상기 구동기어(39)에 치합된 기어(3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8)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상기 모터축에 상기 구동기어(39)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리징 드럼(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배출 가이더(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징 드럼(2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결합되며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아이스 배출홀을 구비한 커버(24);
    상기 커버(24)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프리징컵(26)이 구비된 로테이션 드럼(22);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배출홀의 아래에는 스팀노즐(52)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
KR1020200024169A 2020-02-27 2020-02-27 얼음 제조장치 KR10231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69A KR102317462B1 (ko) 2020-02-27 2020-02-27 얼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69A KR102317462B1 (ko) 2020-02-27 2020-02-27 얼음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05A true KR20210109205A (ko) 2021-09-06
KR102317462B1 KR102317462B1 (ko) 2021-10-27

Family

ID=7778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169A KR102317462B1 (ko) 2020-02-27 2020-02-27 얼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46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590A (en) * 1984-11-20 1987-11-03 Westergaard Knud E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blasting using particles of a material that changes its state
US5036673A (en) * 1988-02-01 1991-08-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products
KR19980055877U (ko) * 1998-06-16 1998-10-07 권봉현 직간접식 조각빙 제조기
JP2002508053A (ja) * 1996-06-07 2002-03-12 ユニバーサル・アイス・ブラス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氷を吹き付け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KR20040020657A (ko) * 2002-08-31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KR101449900B1 (ko) 2014-03-19 2014-10-13 주식회사 태성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KR101502287B1 (ko) 2014-11-25 2015-03-18 김진천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KR102071263B1 (ko) * 2019-08-05 2020-01-30 포시엠컴퍼니(주) 아이스볼 메이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590A (en) * 1984-11-20 1987-11-03 Westergaard Knud E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blasting using particles of a material that changes its state
US5036673A (en) * 1988-02-01 1991-08-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products
JP2002508053A (ja) * 1996-06-07 2002-03-12 ユニバーサル・アイス・ブラス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氷を吹き付け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KR19980055877U (ko) * 1998-06-16 1998-10-07 권봉현 직간접식 조각빙 제조기
KR20040020657A (ko) * 2002-08-31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KR101449900B1 (ko) 2014-03-19 2014-10-13 주식회사 태성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KR101502287B1 (ko) 2014-11-25 2015-03-18 김진천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KR102071263B1 (ko) * 2019-08-05 2020-01-30 포시엠컴퍼니(주) 아이스볼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62B1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2953C1 (ru) Льдогенератор
US2729070A (en) Ice cube machine
JP6149303B2 (ja) 氷採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14396A (ko) 정수 장치
JPH01273975A (ja) 小さな透明氷塊の製造装置
KR20230003489A (ko) 회전하는 제빙기
KR102317462B1 (ko) 얼음 제조장치
CN100412474C (zh) 制冰机的搅水机构
JPH0461268B2 (ko)
TW201829968A (zh) 用於經壓縮冰之儲存及分配單元
CN113631877B (zh) 制冰系统及制冷设备
JP3498171B2 (ja) 蓄熱式融氷冷水装置
KR101263308B1 (ko) 조각얼음 제빙장치
EP3907448B1 (en) Ice making system and refrigeration device
JP3839000B2 (ja) オーガー組立体
JP6510352B2 (ja) 製氷装置
CN111829229B (zh) 制冰系统及制冷设备
KR102486682B1 (ko) 눈꽃 빙수 제조장치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JP4278228B2 (ja) 自動製氷機
JP2004347173A (ja) 自動冷却装置
KR20160148332A (ko) 제빙장치
JP6482199B2 (ja) 製氷機構付きアイスディスペンサ
JP5348767B2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200196369Y1 (ko) 얼음컵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