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489A - 회전하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회전하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489A
KR20230003489A KR1020227037341A KR20227037341A KR20230003489A KR 20230003489 A KR20230003489 A KR 20230003489A KR 1020227037341 A KR1020227037341 A KR 1020227037341A KR 20227037341 A KR20227037341 A KR 20227037341A KR 20230003489 A KR20230003489 A KR 20230003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tray
tray
cage
angular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세 카를로스 트레조 올베라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Abstract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한 제빙기로서, 세장형 케이지가 회전하는 중심 회전축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를 포함하는 제빙기이다.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 슬롯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를 포함한다. 얼음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긴 슬롯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얼음 조각으로 얼게 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공동을 포함한다. 모터는 중심 회전축을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세장형 케이지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중심 회전축을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회전하는 제빙기
본 출원은 전반적으로 냉동 기기용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 기기(appliances)에는 전형적으로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 또는 냉동 섹션이 있다. 신선식품실은 과일, 야채, 음료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곳이고, 냉동실은 냉동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식품을 보관하는 곳이다. 냉장고에는 신선식품실을 0 ℃ 이상의 온도(예: 0.25 ℃ ~ 4.5 ℃)에서 유지하고 냉동실을 0 ℃ 이하(예: 0 ℃ ~ -20 ℃)의 온도에서 유지하는 냉장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는 많은 얼음 조각의 비입방형 형상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사각 얼음(ice cubes)"으로 지칭되는 얼음 조각을 만들기 위한 장치(unit)가 종종 구비된다. 이러한 제빙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실에 위치하며 대류에 의해, 즉 얼음 트레이에 담긴 물 위로 냉기를 순환시켜 물을 사각 얼음으로 얼림으로써 얼음을 제조한다. 얼린 얼음 조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은 종종 제빙 장치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얼음 조각은 냉동실을 주변 공기와 차단하는 도어의 분배 포트를 통해 저장통으로부터 분배할 수 있다. 얼음 분배는 일반적으로 저장통과 냉동실 도어의 분배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얼음 전달 구조(mechanism)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빙기는 통상적으로 사각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공동(cavity)을 갖는 얼음 트레이를 포함한다. 물을 상기 공동에 주입한 다음 얼려 사각 얼음을 형성한다. 그 후, 사각 얼음이 얼음 트레이 밖으로 밀려나거나 얼음 트레이가 뒤집혀서 사각 얼음이 얼음 트레이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종래의 얼음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이 많고 제한된 비율과 모양을 가지는 사각 얼음을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얼음 조각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회전 얼음 트레이 조립체(assembly)를 갖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세장형 케이지(elongated cage)가 회전하는 중심 회전축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세장형 케이지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을 갖는다. 얼음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얼음 조각으로 동결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공동을 포함한다. 모터는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세장형 케이지에 결합된다. 제어부는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물을 얼음 조각으로 동결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각도 위치에 얼음 트레이를 위치시키는 단계; 얼음 트레이에 물을 채우는 단계; 얼음 트레이가 제1 각도 위치에 있는 동안 얼음 트레이의 물을 부분적으로 동결시키는 단계;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얼음 트레이를 제2 각도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얼음 트레이가 제2 각도 위치에 있는 동안 얼음 조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얼음 트레이의 물을 완전히 얼리는 단계; 및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2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3 각도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얼음 조각을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조각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냉장 기기는, 목표 온도가 0°C 이상인 냉장 환경에서 식품 품목들을 저장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C 이하인 영하 환경에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증발기; 및 상기 신선식품실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한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기는 세장형 케이지가 회전하는 중심 회전축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를 포함한다. 세장형 케이지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을 갖는다. 얼음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얼음 트레이는 얼음 조각으로 얼게 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공동을 포함한다. 모터는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세장형 케이지에 연결된다. 제어부는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장형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다.
도 1은 냉장고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가정용 프렌치 도어 하단 장착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로서 열린 위치의 도어와 신선식품실의 제빙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명료함을 위해 제빙기의 프레임 측벽에 있는 신선식품실을 제거한 종래 제빙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얼음 트레이 조립체가 구비된 제빙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빙기의 프레임이 제거된 도 4의 제빙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빙기의 정면 사시도로서 제빙기의 모터/기어박스 조립체가 제거된 모습이다;
도 7은 도 6의 제빙기의 정면도로서 제빙기의 얼음 트레이 케이지가 제거된 모습이다;
도 8은 도 4의 제빙기의 단면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빙기의 상면 사시도로서 얼음 트레이 케이지 위에 물 충전 조립체가 배치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A는 도 9의 제빙기의 단면선 10A-10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초기 상태의 제빙기의 얼음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4의 제빙기의 단면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에 있는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와 제1 얼음 트레이에 형성된 얼음 껍질(shell)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에서 제2 위치인 동결 위치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C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2 위치인 동결 위치에 있는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D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2 위치인 동결 위치에 있는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 및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에 있는 제빙기의 제3 얼음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에서 제3 위치인 공간 위치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B는 도 10B의 제빙기의 단면도로서, 제3 위치인 공간 위치에 있는 제빙기의 제1 얼음 트레이와 제1 얼음 트레이에서 배출된 얼음 조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빙기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얼음 트레이를 가지는 도 6의 제빙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속 냉동 얼음 분배기 및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시스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이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짐 방지 다리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기울어짐 방지 다리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버몰드된 레벨링 다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으로 표시된 가정용 냉장고 형태의 냉장 기기를 나타낸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가정용 냉장고(20)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20) 이외의 냉장 기기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일 양태에서, 냉동실(22) 위에 수직으로 배치된 신선식품실(24)을 포함하는 냉장고(20)의 바닥 장착 구성이 도시된다. 그러나, 냉장고(20)는 적어도 하나의 신선식품실(24) 및 제빙기(50)를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구성, 예를 들어 상부 장착형 냉장고(신선식품실 위에 냉동실이 배치됨), 나란히 배치되는 냉장고(신선식품실이 냉동 구획 옆에 있음), 독립형 냉장고 또는 냉동고 등을 가질 수 있다(도 2).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도어(26)는 냉장고(20)의 캐비닛(29)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신선식품실(24)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도어(26)는 신선식품실(24)의 입구를 가로질러 전체 측방향 거리에 걸쳐 있는 단일 도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신선식품실(24)을 둘러싸기 위해 신선식품실(24)의 입구의 전체 측방향 거리에 전체적으로 걸쳐 있는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프렌치형 도어(26)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중앙 플립 멀리언(center flip mullion)(31)(도 2)은 도어(26)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밀봉이 상기 도어(26)의 대향하는 측면(27)(도 2) 사이의 위치에서 신선식품실(24)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는 표면을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도어(26)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멀리언(31)은 도어(26)가 닫힐 때 도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도어(26)가 열릴 때 다른 방향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도어(26)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중앙 멀리언(31)의 외부 노출 표면은 중앙 멀리언(31)이 제1 방향에 있을 때 도어(2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앙 멀리언(31)이 제2 방향에 있을 때는 도어(26)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각도를 형성한다. 멀리언(31)의 밀봉부와 외부로 노출된 표면은 신선식품실(24)의 측면 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공조한다.
적어도 얼음 조각, 선택적으로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8)(도 1)는 신선식품실(24)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도어(26) 중 하나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28)는 레버, 스위치, 근접 센서 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여 냉동된 얼음 조각이 신선식품실(24) 내에 배치된 제빙기(50)의 얼음 통(54)(도 2)으로부터 분배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얼음 통(54)의 얼음 조각은 구멍(62)을 통해 얼음 통(54)을 빠져나올 수 있고 분배기(28)와 얼음 통(54) 사이의 도어(2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얼음 통로(ice chute)(32)(도 2)를 통해 분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22)은 신선식품실(24) 아래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하나 이상의 냉동기 바스켓(미도시)을 포함하는 서랍 조립체(미도시)는 냉동실(22)에 저장된 식품 품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냉동실(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서랍 조립체는 핸들(25)을 포함하는 냉동실 도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25)을 잡고 냉동실 도어(21)를 당겨 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동기 바스켓이 냉동실(2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된다.
냉동실(22)은 냉동실(22)에 저장된 식료품을 냉동 및/또는 냉동 상태로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냉동실(22)은 냉동실(22)의 열에너지를 제거하는 냉동기 증발기(미도시)와 열 통신되어 냉장고(20)의 운전 중 내부의 온도를 0°C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고,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3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20 ℃의 온도로 유지한다.
냉장고(20)는 신선식품실(24)을 형성하는 내부 라이너(34)(도 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신선식품실(24)은 냉장고(20)의 상부에 위치되어 그 안에 저장된 식료품의 부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신선식품실(24)은 일반적으로 0 ℃ 이상의 시원한 온도에서 신선식품실(24)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신선식품실(24) 내의 식료품이 동결되지 않도록 한다. 냉각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5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 내지 4.5 ℃이다. 일부 양태에 따르면, 냉동기 증발기에 의해 열 에너지가 제거된 시원한 공기는 신선한 신선식품실(24)로 불어넣어 내부의 온도를 0 ℃ 초과, 바람직하게는 0°C 내지 10°C,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하도록 한다. 0 ℃ 내지 5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 내지 4.5 ℃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별도의 신선 식품 증발기(미도시)는 선택적으로 냉동실(22)과 독립적으로 신선식품실(24)내의 온도를 별도로 유지하기 위해 전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선식품실(24)의 온도는 하위 범위 및 해당 범위에 속하는 개별 온도를 포함하여 0 ℃ 에서 4.5 ℃ 사이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시원한 온도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는 0.25 ℃ 와 4 ℃ 사이 온도의 합리적으로 가까운 허용 오차 내에서 신선식품실(24)내의 시원한 온도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제빙기(5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기(50)는 프레임(52), 얼음 통(54), 공기 핸들러 조립체(70) 및 기존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74)를 포함한다. 얼음 통(54)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74)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 조각을 저장하고, 공기핸들러 조립체(70)는 냉각된 공기를 얼음 트레이 조립체(74)와 얼음 통(54)으로 순환시킨다. 제빙기(50)는 임의의 적절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신선식품실(24) 내에 고정된다. 프레임(52)은 일반적으로 얼음 통(54)을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모양이다. 프레임(52)은 신선식품실(24)로부터 제빙기(50)를 열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절연 벽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부재(미도시)는 냉장고(20)의 신선식품실(24) 내 제빙기(50)의 프레임(52)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빙기(50)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52)의 측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기(50)는 절연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얼음 통(54)은 개방된 전방 단부 및 개방된 상부를 갖는 하우징(56)을 포함한다. 전방 커버(58)는 하우징(56)의 전방 단부를 둘러싸기 위해 하우징(56)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얼음 통(54)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될 때, 하우징(56)과 전방 커버(58)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74)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 조각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얼음 통(54)의 내부 공동(54a)을 형성한다. 전면 커버(58)는 나사, 너트 및 볼트 또는 도구 없이 손으로 하우징(56)으로부터 전면 커버(58)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탭 시스템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마찰 피팅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면 커버(58)는 접착제, 용접, 제거 불가능한 고정부재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하우징(56)로부터 제거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양한 다른 예에서, 리세스(59)는 사용자가 제빙기(50)에서 얼음 통(54)을 쉽게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 전면 커버(58)의 측면에 형성된다. 구멍(62)은 전면 커버(58)의 바닥에 형성된다. 회전 나사송곳(미도시)은 얼음 통(54)의 길이를 따라 연장시킬 수 있다. 회전 나사송곳이 회전함에 따라 얼음 통(54)의 얼음 조각은 얼음 분쇄기(미도시)가 배치된 구멍(62)을 향해 얼음을 밀어낸다. 상기 얼음 분쇄기는 사용자가 분쇄 얼음을 요청할 때 운반되는 얼음 조각을 분쇄하기 위해 제공된다. 나사송곳은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공기 핸들러 조립체(70)의 나사송곳 모터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구멍(62)은 도어(26)가 닫힐 때 얼음 통로(32)(도 2)와 정렬된다. 이러한 정렬은 나사송곳이 얼음 통(54)에 저장된 냉동 얼음 조각을 디스펜서(28)에 의해 분배될 얼음 통로(32) 내로 밀어넣는 것을 허용한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프레임(102),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 및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을 포함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도 3에 도시된 통상적인 제빙기(50)의 얼음 트레이 조립체(74)를 대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02)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를 각각의 구획, 예를 들어 냉동실(22) 또는 신선식품실(24)의 상부 벽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신선식품실(24)로부터 제빙기(50)를 열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절연 벽을 포함할 수 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정된 구획 또는 프레임(5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프레임(102)은 각 구획의 상부 벽에 있는 장착 구멍(미도시)과 정렬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위치된 복수의 장착 탭(104)을 포함한다. 장착 탭(104)은 고정부재(미도시)가 프레임(102)을 각각의 구획에 고정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프레임(102)은 장착 위치, 예를 들어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 및 공기 덕트(118)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포켓 또는 슬롯을 제공하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복수의 개구(106a, 106b)가 프레임(102)의 한 단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106a)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치수가 정해지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구(106b)는 원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명료함을 위해 프레임(102)이 제거된 경우로써,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는 공기 덕트(118) 및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에 인접하게 위치된 것을 나타낸다.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는 제빙기(50)의 제어기(200)(도 1)와 연결된다. 모터는 차례로 중심 회전축(C)을 중심으로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박스 조립체(기어 미도시)를 구동한다. 중심 회전축(C)은 프레임 부재(1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여기서 명료함을 위해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가 제거된 경우로써, 프레임 부재(136)는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와 맞물리도록 설계된 허브(138)를 포함한다. 허브(138)는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의 모터에 동력이 공급될 때 중심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를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변속기 기어(114)를 보여주기 위해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는 제거된다. 변속기 기어(114)는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를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에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 변속기 기어(114) 및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 각각은 함께 맞물리도록 치수가 정해진 복수의 기어 톱니를 갖고, 이는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의 모터(미도시) 회전이 전달 기어(114)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차례로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가 중심 회전 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일례로, 복수의 기어 톱니(115)는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말단부에 곡선 배열로 위치하며, 그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전달 기어(114)의 톱니와 함께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이 예에서, 전달 기어(114)는 다른 각도(즉, 전달 기어(114)의 회전 축은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중심 회전 축(C)에 대해 각을 이룬다)가 고려될 수 있지만, 기어 톱니(115)가 약 90도 이격된 각도로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와 맞물릴 수 있게 하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베벨 기어가 도시되어 있지만,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를 회전시키기 위해 다른 적절한 기어 디자인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미도시)에서,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어 톱니의 배열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전달 기어(114)로서 적절한 평 기어 등과 맞물릴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모터/기어박스 어셈블리(1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덕트(118)의 입구 단부(118a)는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도 3)의 격자형 출구(72), 또는 물을 얼음으로 동결시키기에 충분한 다른 냉기 공급원과 나란히 위치한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기 덕트(118) 및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는 냉기, 즉 물의 빙점 미만(예를 들어, 0 ℃ 이하,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와 -30 ℃ 사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와 -20 ℃ 사이의 온도)에서 공기가 공기 덕트(118)를 통해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로부터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는 특히 제빙기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냉기를 냉각시키는 제빙기 증발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결합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는 시스템 증발기로부터 받은 공기 또는 냉동실 전체로 이동하는 냉기와 같은 또다른 냉기 공급원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3 개의 얼음 트레이가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이 다양한 다른 개수의 얼음 트레이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여기서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는 명료함을 위해 제거된 경우로서, 각각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복수의 공동(14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7개의 공동(142)을 포함한다, 그러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임의의 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공동(142)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나중에 얼음 조각으로 동결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공동(142)은 개방된 상부 부분(144) 및 하부 부분(146)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방된 상부 부분(144)은 원통형이고 하부 부분(146)은 원추형이다. 이때, 공동(142)에 의해 형성되는 얼음 조각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동(142)의 상부(144) 및 하부(146)는 원하는 대로 다른 형상, 예를 들어 구형, 원통형, 입방체, 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아이스 큐브 모양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트레이는 각각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146)는 탄력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유연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어, 하부(146)는 힘이 가해질 때 변형되어 얼어붙은 사각 얼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간다.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고정된 편심 배출기 바(152)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배출기 바(152)의 중심은 중심 회전축(C)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특히,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각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하부(146)가 배출기 바(152)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140A, 140C, 140C)의 공동(142)은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내부 공동(134)으로 연장된다. 내부 공동(134)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기 덕트(118)와 유동적으로 소통하는 유로 "A"를 형성된다.
도 10을 간략히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는 얼음 트레이(140A)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배치되고, 얼음 트레이(140B)는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 배치되며, 얼음 트레이(140C)는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I)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위치(I, II, III)는 중심 회전축(C)을 중심으로 각이 지도록 이격되어 있다. 특히, 제1, 제2 및 제3 위치(I, II, III)는 서로에게서 120도 이격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더 많은 얼음 트레이가 사용되는 경우, 그들 사이의 각도 간격이 변경될 것임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4개의 트레이는 서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5개의 트레이는 서로 72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트레이의 배열에 따라 여러 개의 고정 위치 또는 빈 위치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140A)는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있을 때, 얼음 트레이(140A)의 각 공동(142)은 프레임(102)의 충전 물통(156)에 형성된 각각의 충전 포트(154) 아래에 위치하도록 치수 및 위치가 정해진다. 충전 물통(156)은 프레임(10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얼음 트레이(140A)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있을 때 얼음 트레이(140A)의 공동(142)과 정렬되도록 치수 및 위치가 정해진다. 충전 물통(156)의 바닥 벽(156a)은 경사져 있어 충전 물통(156)에서 흐르는 물이 분리되어 독립적인 충전 포트(154)를 통해 얼음 트레이(140A)의 각각의 공동(142)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충전 포트(154)는 일반적으로 물 충전 위치(I)에 위치한 얼음 트레이의 각 공동(142) 위에서 중앙에 위치한다. 특히, 바닥 벽(156a)은 물 충전 프로세스(즉,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공동(142)을 채우기 위해 제빙기(50)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 마지막에 충전 물통(156)에 잔류 물이 거의 또는 전혀 남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충전 물통(156)로부터 잔류 물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팅, 예를 들어 소수성 재료가 바닥 벽(156a)에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충전 조립체(170)는 프레임(102)의 상부 벽에 형성된 기다란 세장형 개구(102b) 위의 프레임(102)에 부착될 수 있다. 물 충전 조립체(170)는 일반적으로 입구 통로(172) 및 흐름 전환기(182)를 포함한다. 입구 통로(172)는 물 충전 밸브(미도시) 아래에 위치되도록 윤곽이 형성되고 설계되며 폐쇄된 입구 단부(174)와 개방된 출구 단부(176)를 포함한다. 입구 통로(172)의 바닥 벽(179)은 물의 흐름을 개방된 출구 단부(176)로 향하게 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또한 전체 입구 통로(172)는 물의 흐름을 개방된 출구 단부로 향하게 하기 위해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입구 통로(172)는 물 충전 프로세스 마지막에 잔류 물이 입구 통로(172)에 거의 또는 전혀 남아 있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입구 통로(172)로부터 잔류 물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팅, 예를 들어 소수성 재료가 바닥 벽(179)에 적용될 수 있다. 개방 출구 단부(176)는 흐름 전환기(182)의 입구(184) 위에 위치된다.
흐름 전환기(182)는 입구(184)로부터 복수의 물 포트(188) 각각으로의 복수의 흐름 경로(W)를 형성도록 설계되고 위치된 복수의 측벽(18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물 포트(188)는 물 충전 위치(I)에 위치한 얼음 트레이의 각각의 공동(142) 위에서 일반적으로 중앙에 위치된다. 복수의 측벽(186)은 각각의 물 포트(188)로의 물의 흐름을 균등화하기 위한 래비린스 또는 미로형 통로를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흐름 전환기(182)는 물이 각 충전 포트(188)에 동일하게 흐르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얼음 트레이의 각각의 공동(142)에 연결된다. 흐름 전환기(182)의 바닥 벽(189)이 경사질 수 있거나(도 10a 참조) 전체 흐름 전환기(182)가 물의 흐름을 충전 포트(188)로 향하게 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흐름 전환기(182)는 물 충전 프로세스 마지막에 흐름 전환기(182)에 잔류 물이 거의 또는 전혀 남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흐름 전환기(182)로부터 잔류 물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팅, 예를 들어 소수성 재료가 바닥 벽(189)에 적용될 수 있다. 충전 포트(154)와 유사하게, 충전 포트(188)는 얼음 트레이(140A)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있을 때 얼음 트레이(140A)의 공동(142)과 정렬되도록 설계되고 위치가 지정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프레임(102)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서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개방된 상부 부분(144)을 둘러싸거나 덮는 외부 만곡된 벽(102a)을 갖도록 윤곽이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얼음 조각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 있을 때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 밖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 만곡된 벽(102a)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서 얼음 트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얼음 트레이로부터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 트레이 또는 그 안의 사각 얼음 조각에 바로 인접하거나 심지어 접촉할 수도 있다. 외부 만곡된 벽(102a)에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개방된 상부(144)가 주변 환경에 노출되도록 개구부(103)가 형성되는데 이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와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I) 사이에서 기 결정된 각도 범위를 회전하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 결정된 각도 범위는 120도 이지만, 이 각도는 얼음 트레이의 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일 방향(R)(도 11b, 12B)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이 제1 위치, 물 충전 위치(I)에서 제2 위치, 동결 위치(II)로 제3 위치, 공동 위치(III)로 그리고 다시 제1 위치, 물 충전 위치(I)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2B는 제어기(200)가 프로그램되어 이동시키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다양한 위치를 나타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3개의 얼음 트레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얼음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서, 얼음 트레이의 수는 원하는 사각 얼음 생산 속도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먼저 도 10B을 참조하면,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에서 얼음 트레이(140A)는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얼음 트레이(140B)는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 얼음 트레이(140C)은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I) 있다. 작동은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모두 비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시작하여 설명한다(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00)는 물이 프레임(102)의 충전 물통(156)을 채우도록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물 충전 밸브(미도시)를 열린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물이 충전 물통(156)을 따라 흐를 때, 이는 충전 포트(154)를 통해 얼음 트레이(140A)의 각각의 공동(142)으로 배출된다. 제어기(200)는 충전 물통(156) 내로 방출되는 물의 양이 충전 물통(156)에 과도한 물을 남기지 않고 또는 공동(142)을 과도하게 채우지 않고 얼음 트레이(140A)의 공동(142)을 채우기에 충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 충전 조립체(170)가 사용되는 경우 유사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기(200)는 또한 냉기가 강판 출구(72)로부터 배출되고 공기 덕트(118)의 입구 단부(118a)로 그리고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유로 "A"를 따라 유동하도록 공가 핸들러 조립체(7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공기 핸들러 조립체(70)는 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얼음 트레이를 따라 기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기(20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냉기가 유로(A)를 통과함에 따라 냉기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냉각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는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단부에 도달하면 개구부(106a, 106b)를 통해 프레임(102) 밖으로 나간다. 바람직하게는, 개구(106a, 106b)의 위치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냉기류가 얼음 트레이의 길이를 따라, 특히 공동(142)의 하부(146)를 따라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장려된다.
제어기(200)는 또한 충분한 시간 동안 얼음 트레이(140A)를 제1 위치, 물 충전 위치(I)에 머물도록 구성되는데 적어도 물은 공동(142)의 주변부와 공동(142)의 개방된 상부 부분(144)이 동결되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껍질을 형성한다. 각 공동(142)의 중심부에 있는 물은 액체 상태로 유지되도록 얼음 껍질을 형성하되, 얼음 껍질은 고체로 되어 있어 얼지 않은 물이 각 공동(142)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시간은 몇 분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개의 트레이 어레이의 경우 전술한 시간은 20 내지 30분이 될 수 있다. 서미스터(192)(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됨)는 프레임(102)을 빠져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개구(106a, 106b)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200)는 서미스터(19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00)는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각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기 결정된 온도 이하의 냉각 공기에 노출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시간 및 온도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기(200)는 적어도 공동(142)의 주변부 및 공동(142)의 개방된 상부 부분(144)을 따라 물이 동결되어 전술한 얼음 껍질을 형성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시간이 경과하면,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00)는 모터/기어박스 조립체(112)에 전원을 공급하여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를 회전시키고, 이는 얼음 트레이(140A)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로 이동하고, 얼음 트레이(140B)는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로, 얼음 트레이(140C)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로 이동하도록 한다. 얼음 트레이(140C)는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에 있을 때, 제어기(200)는 얼음 트레이(140A)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얼음 트레이(140C)에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도 11D 참조).
얼음 트레이(140A)는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 머물면서 유로”A”를 따라 흐르는 냉기에 계속 노출된다. 이 냉기는 얼음 트레이(140A)의 공동(142)에 있는 물을 얼음 조각으로 단단하게 얼게 한다. 제어기(200)는 얼음 틀(140C)의 공동(142)에 얼음 껍질이 형성되고 얼음 트레이(140A)의 공동(142) 내의 물이 완전히 동결될 때까지(도 12A 참조)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가 각각의 위치에서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유지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시간은 20분 내지 30분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기(200)는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를 회전시켜 얼음 트레이(140A)는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I)로, 얼음 트레이(140B)은 제1 위치인 물 충전 위치(I)로, 얼음 트레이(140C)는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로 이동시킨다. 얼음 트레이(140A)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에서 제3 위치인 공동 위치(III)로 이동함에 따라 공동(142)의 하부(146)가 편심 배출기 바(152)의 외부 표면과 접촉한다. 편심 배출기 바(152)는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중심 회전축 “C”에서 오프셋되도록 위치되어 얼음 트레이(140A)의 계속된 회전이 배출기 바(152)가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의 계속된 회전으로 인해 공동(142)의 바닥 부분(146)과 접촉하여 변형되도록 한다. 일 예에서, 배출기 바(152)의 길이방향 축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의 중심 회전 축 "C" 아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으므로, 얼음 트레이의 계속되는 회전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기 바(152)에 충돌할 것이다. 배출기 바(152)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의 회전 동안 얼음 트레이가 배출기 바(152)에 충돌할 때 변경하기 위해 중심 회전축 "C"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서 얼음 트레이(140A)은 제2 위치, 동결 위치 (II)에서 배출기 바(152)와 접촉하기 시작하고 제3 위치, 공동 위치(III) 이후에 배출기 바(152)와 접촉하지 않게 움직인다. 배출기 바(152)는 제3 위치, 공동 위치(III)를 향해(즉, 도 11C에 대해 왼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데 이는 얼음 트레이(140A)가 제2 위치인 동결 위치(II)로부터 회전할 때까지 얼음 트레이(140A)가 배출기 바(15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얼음 트레이(140A)가 배출기 바(152)와 접촉하는 시점과 무관하게, 얼음 트레이(140A)의 하부(146)의 변형은 얼음 트레이(140A)의 얼어붙은 얼음 조각을 물리적인 압박으로 압력을 가하여 얼음 조각을 얼음 트레이(140A)로부터 개구부(103)를 통해 프레임(102)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도 12B 참조). 얼음 트레이(140A)에서 배출된 얼음은 얼음 트레이 조립체(100)의 하부에 위치한 얼음 통(54, 도 3 참조)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어기(200)는 각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에 대해 전술한 단계를 반복하여 더 많은 얼음 조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개구(106a)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얼음 트레이 케이지(1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모양 및 크기의 얼음 조각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얼음 트레이를 삽입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빙기(50) 전체를 각각의 구획에서 제거하거나 제빙기(50)를 실질적으로 분해하여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에 접근하지 않고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교체할 수 있다. 개구(106a)는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를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하여 상이한 모양 및/또는 크기의 얼음 조각의 혼합물이 제빙기(5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3개의 별개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3개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있으며, 여기서 제1 위치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물로 채워지는 위치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안에서 물의 동결이 완료되는 위치에 해당하며, 제3 위치는 동결된 사각 얼음이 배출된 직후의 위치에 해당한다. 3 개 보다 많은 얼음 트레이가 있는 실시예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제2 위치와 제3 위치 또는 제3 위치와 제1 위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3개의 얼음 트레이(140A, 140B, 140C)가 있는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다. 3개 이상의 얼음 트레이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각도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얼음 트레이가 있는 경우 제1 위치는 수직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서 90도, 제3 위치는 제2 위치에서 90도, 따라서 제3 위치는 제1 위치에서 180도가 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출원의 제빙기는 냉동기 도어에 장착 및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여전히 냉동실 내에 배치되지만, 적어도 제빙기(및 가능하게는 얼음 통)가 냉동실 도어의 내부 표면에 장착된다. 얼음 틀(ice mold)과 얼음 통은 분리된 요소일 수 있으며, 하나는 냉동실 캐비닛 내에 남아 있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 도어에 있을 수 있다.
시스템 증발기를 포함하는 신선식품실 또는 냉동실의 증발기에서 냉기가 냉동실 도어로 유입될 수 있다. 냉기는 냉동실 도어 위 또는 내부로 연장되는 덕트, 또는 냉동실 라이너의 측벽 또는 냉동실 라이너의 천장에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와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배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냉기 덕트는 냉동실의 천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얼음 틀을 가로질러 냉기를 배출하는 제빙기(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얼음 통이 냉동실 도어 내부에도 있는 경우, 냉기는 얼음 통을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흘러 얼음 조각을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냉기는 냉동실의 증발기로 다시 연장되는 덕트를 통해 냉동실로 되돌아갈 수 있다. 유사한 덕트 구성이 냉기가 냉동실 도어 위 또는 내부의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곳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얼음 틀은 얼음 수확을 위해 뒤집힌 상태로 회전될 수 있거나(중력 또는 트위스트 트레이를 통해) 스위퍼 핑거 타입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냉동기 증발기로부터의 냉기 도관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기체 및/또는 액체 유체를 사용하는 전열 냉각기 또는 다른 대안적인 냉각 장치 또는 열 교환기가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 얼음 틀에서 얼음 형성을 촉진 및/또는 가속화하기 위해 덕트된 냉기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냉각되는 히트 파이프 또는 다른 열 전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빙기는 냉동실 서랍에 사용하거나 장착되기 적합하도록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빙기는 캐비닛의 내부 또는 신선 식품 도어의 신선식품실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얼음 틀과 얼음 통은 분리된 요소일 수 있으며, 하나는 신선 식품 캐비닛 내에 남아 있고 다른 하나는 신선 식품 도어에 있을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스템 증발기와 같은 신선 식품 또는 냉동실의 다른 증발기로부터 냉기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냉기는 신선 식품 도어 위 또는 내부로 연장되는 덕트, 또는 신선 식품 라이너의 측벽 또는 신선 식품 라이너의 천장에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덕트와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배관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냉기 덕트는 신선식품실의 천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제빙기(신선 식품 문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단부는 얼음 트레이를 가로질러 냉기를 배출한다. 신선 식품 도어의 내부에 얼음 통이 있는 경우, 냉기가 얼음 통을 가로질러 아래쪽으로 흘러 얼음 조각을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냉기는 전용 제빙기 증발기 구획 또는 냉동실 구획과 같은 관련 증발기가 있는 구획으로 다시 연장되는 덕트를 통해 신선식품실로 되돌아갈 수 있다. 냉기가 신선 식품 도어 위 또는 내부의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유사한 덕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냉동기 증발기(또는 유사하게 신선 식품 증발기)로부터의 냉기 도관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기체 및/또는 액체 유체를 사용하는 전열 냉각기 또는 다른 대안적인 냉각 장치 또는 열 교환기가 그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얼음 틀에서 얼음 형성을 촉진 및/또는 가속화하기 위해 덕트된 냉기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냉각되는 히트 파이프 또는 다른 열 전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원 발명의 제빙기는 신선 식품 서랍에 장착 및 사용하기 위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2초 정도로 매우 빠른 동결 시간을 달성하는 자동 얼음 디스펜서 및 아이스크림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는 인스턴트 아이스크림용 제빙기 옆에 아이스크림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또한 액체 질소를 통해 인스턴트 아이스 캔디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시스템 도표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 플레이트 뒤 또는 도어 아래에 바닥을 비추고 사용자가 야식을 위해 냉장고를 탐색할 때 동작 감지기에 의해 활성화되는 실내등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기기의 기울어짐 방지 다리가 제공된다. 기울임 방지 다리는 냉장고 문을 열 때 냉장고 제품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실시예는 장착 브래킷에 기울어짐 방지 다리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장착 브라켓은 냉장고 전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기울어짐 방지 다리는 장착 브래킷의 구멍에 끼워져 있다. 특히 구멍은 장착 브래킷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싱을 통해 연장된다. 장착 브라켓의 하면에는 롤러가 부착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은 부싱과 롤러가 장착 브래킷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되어 기기에 부착된다. 장착 브래킷에는 왼쪽 및 오른쪽 회전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가 회전하여 열리고 닫히는 쪽에 따라 회전 핀(미도시)과 도어 스토퍼(미도시)가 왼쪽 또는 오른쪽 회전 구멍에 고정된다.
기울어짐 방지 다리가 구멍에 끼워지면 기울어짐 방지 다리의 상단을 도구(예: 망치 및 센터 펀치)로 두드려 상단이 약간 확장되도록 한다. 상단부가 확대되어 기울어짐 방지 다리 부분이 브래킷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기울임 방지 다리를 브래킷에서 쉽게 제거할 수 없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레벨링 다리의 바닥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즉, 고무 물질)로 오버몰딩된 레벨링 다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이 사양을 읽고 이해하면 수정이나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다른 면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20)

  1.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는 제빙기에 있어서;
    회전하는 중심 회전축을 갖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슬롯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얼음 조각으로 동결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트레이;
    상기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세장형 케이지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케이지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공동 각각이 각각의 물 충전 포트 아래에 위치되도록 제1 각도 위치에 얼음 트레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충전 포트는 충전 물통의 바닥 벽에 배출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1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얼음 트레이 위로 연장되는 물 충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충전 조립체는 물 충전 조립체의 복수의 충전 포트에 물을 균등하게 흐르게 하기 위한 미로형 통로가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가 기 결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얼음 트레이의 얼음 조각이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내부 세장형 공동을 통해 연장되는 배출기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 바는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얼음 트레이의 복수의 공동이 상기 기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배출기 바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의 복수의 공동 중 하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기 바가 상기 복수의 공동의 하부에 접촉하여 변형되면 상기 복수의 공동으로부터 얼음 조각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케이지는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3 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각각의 슬롯은 각각의 얼음 트레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얼음 트레이는 제빙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케이지는 프레임에 배치되고 공기 덕트로부터 상기 세장형 케이지를 통해 프레임의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공기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덕트와 프레임의 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는 상기 프레임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빙기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4. 물을 얼음 조각으로 동결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각도 위치에 얼음 트레이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얼음 트레이에 물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1 각도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얼음 트레이의 물을 부분적으로 동결시키는 단계;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얼음 트레이를 제2 각도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2 각도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얼음 트레이의 물을 완전히 얼려 얼음 조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2 각도 위치에서 제3 각도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얼음 조각을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위치에서 상기 얼음 트레이의 복수의 공동은 물을 수용하기 위해 위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조각을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얼음 트레이가 상기 제2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3 각도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얼음 트레이 하부를 배출기 바와 접촉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위치와 상기 제2 각도 위치, 상기 제2 각도 위치와 상기 제3 각도 위치 또는 상기 제3 각도 위치와 상기 제1 각도 위치 중 하나 이상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가 존재하는, 방법.
  18. 냉장 기기에 있어서,
    목표 온도가 0 ℃ 이상인 냉장 환경에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신선식품실;
    목표 온도가 0 ℃ 이하인 영하 환경에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
    상기 신선식품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증발기 ; 및
    물을 얼음 조각으로 얼리기 위해 상기 신선식품실 내에 배치된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회전하는 중심 회전축을 갖고,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 슬롯을 갖는 세장형 케이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롯에 수용되며, 얼음 조각으로 동결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트레이,
    상기 세장형 케이지를 중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세장형 케이지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모터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가 기 결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얼음 트레이의 얼음 조각이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내부 세장형 공동을 통해 연장되는 배출기 바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배출기 바는 상기 세장형 케이지의 중심 회전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얼음 트레이의 복수의 공동이 상기 배출기 바와 상기 기 결정된 각도에서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얼음 트레이의 복수의 공동의 하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기 바가 상기 복수의 공동의 하부에 접촉되어 변형될 때 상기 얼음 조각이 상기 복수의 공동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

KR1020227037341A 2020-04-06 2021-03-25 회전하는 제빙기 KR20230003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41,015 US11598566B2 (en) 2020-04-06 2020-04-06 Revolving ice maker
US16/841,015 2020-04-06
PCT/US2021/024031 WO2021206914A1 (en) 2020-04-06 2021-03-25 Revolving ic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489A true KR20230003489A (ko) 2023-01-06

Family

ID=755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341A KR20230003489A (ko) 2020-04-06 2021-03-25 회전하는 제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98566B2 (ko)
KR (1) KR20230003489A (ko)
AU (1) AU2021251644A1 (ko)
BR (1) BR112022019478A2 (ko)
WO (1) WO2021206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4098A1 (en) * 2015-12-31 2023-08-09 Hisense Ronshen (Guangdong) Refrigerator Co., Ltd Ice crushing device and refrigerator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293680B2 (en) *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3406A (en) 1944-09-12 1946-07-02 Barium Steel Corp Ice cube manufacturing apparatus
US2846854A (en) 1954-02-18 1958-08-12 Gen Motors Corp Ice cube maker
US2941379A (en) 1957-06-05 1960-06-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Ice making apparatus
DE1250457B (de) 1964-05-22 1967-09-21 Borg-Warner Corporation, Chicago, 111. (V. St. A.) Thermoelektrischer Stückeis-Bereiter
US3788089A (en) 1971-11-08 1974-01-29 U Line Corp Combination ice cube maker and refrigerator
JPH087015B2 (ja) * 1990-09-20 1996-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6349550B1 (en) 2001-06-25 2002-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transformation detection
US6571567B2 (en) * 2001-09-07 2003-06-03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MXPA04003411A (es) * 2004-04-07 2005-10-11 Mabe De Mexico S De R L De C V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hielos en gabinetes refrigerados.
JP4657626B2 (ja) 2004-05-12 2011-03-23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自動製氷装置
DE102005003242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40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37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Tablet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DE102005003241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43B4 (de) 2005-01-24 2016-02-25 BSH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38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39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E102005003236A1 (de) 2005-01-24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Tablett dafür und Verfahren zur Eisherstellung
EP1918663B1 (en) 2006-10-31 2010-09-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clear ice, and refrigerator featuring such a device
EP2097689A1 (en) 2006-12-28 2009-09-09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US9217599B2 (en) 2009-02-28 2015-12-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introduction into fresh-food icemaker
KR101601653B1 (ko) 2009-06-24 2016-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50303B1 (ko) 2009-07-06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741084B1 (ko) 2010-01-04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504233B1 (ko) 2010-01-04 2015-03-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9420B1 (ko) 2010-01-04 2016-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13415B1 (ko) 2010-01-04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20318003A1 (en) 2010-02-23 2012-12-20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upplying ice thereof
CN101922832B (zh) 2010-08-05 2012-05-2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制冰盘单元、制冰机以及具有该制冰机的冰箱
US20120042681A1 (en) 2010-08-17 2012-02-23 Mcdaniel Aaron Matthew Multifunctional rod for icemaker
KR101523251B1 (ko) 2011-05-03 2015-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8950197B2 (en) 2011-06-22 2015-02-10 Whirlpool Corporation Icemaker with swing tray
KR101907166B1 (ko)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8530A (ko)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8531A (ko)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13876B1 (ko) 2012-01-06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60147B1 (ko) 2012-03-05 2015-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58469B1 (ko) 2012-04-10 2014-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7167B1 (ko) 2012-04-10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165602A1 (en)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US9599385B2 (en) * 2012-12-13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Weirless ice tray
KR101723152B1 (ko) * 2015-06-17 2017-04-0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 방법
US9976788B2 (en) 2016-01-06 2018-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with rotating ice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19478A2 (pt) 2022-11-29
AU2021251644A1 (en) 2022-10-06
US20210310714A1 (en) 2021-10-07
WO2021206914A1 (en) 2021-10-14
US20230175752A1 (en) 2023-06-08
US11598566B2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3489A (ko) 회전하는 제빙기
AU2018258212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cold air supply for an ice maker and with an ice level sensor
US10837689B2 (en) Ice maker with rotating ice tray
US11022358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US11674729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EP1684036B1 (e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3971496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etachable ice storage box
KR20070034714A (ko) 냉장고
WO2021096586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800314B2 (en) Misting ice maker for cup-shaped ice cubes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20230272955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US11649999B2 (en)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KR20090133011A (ko) 냉장고의 제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