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051A -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051A
KR20210109051A KR1020217026990A KR20217026990A KR20210109051A KR 20210109051 A KR20210109051 A KR 20210109051A KR 1020217026990 A KR1020217026990 A KR 1020217026990A KR 20217026990 A KR20217026990 A KR 20217026990A KR 20210109051 A KR20210109051 A KR 2021010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bore
locking
threaded
screw
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게리 앤더슨
올루스 나일리 보라타브
가오주 펑
애덤 스캇 레굴라
앨렉산더 라마르 로빈슨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 공정에서 사용되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1월 25일 출원된 미국 예비 출원 일련번호 제62/796,880호의 U.S.C §119 하에서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로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개시 내용은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폭 감쇠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지 롤들을 사용하여 시트 유리를 인발함으로써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유리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휴대용 모바일 장치들에서 태블릿들, 컴퓨터 모니터들 및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들에서 사용된다.
광학 디스플레이용 유리를 제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공정(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으로도 알려짐)에 의한 것이다. 이 공정은 문헌에서 플로트 및 슬롯 기술들이라고 지칭되는 다른 공정들과 비교하여 깨끗한 표면 품질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그 전체가 결합되는 미국 특허 번호 제3,338,696호 및 제3,682,609호(Dockerty)는 성형 웨지(wedge)의 에지(edge)들 또는 둑(weir)들 위로 용융 유리를 유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그 내용들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그 전체가 결합되는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5/0268657호 및 제2005/0268658호를 참조하라. 용융 유리는 성형 웨지의 수렴 성형 표면들 위로 유동하고, 별도의 유동은 두개의 수렴 성형 표면들이 만나는 정점 또는 루트에서 재결합하여 유리 리본 또는 시트를 성형한다. 따라서, 성형 표면들과 접촉했던 유리는 유리 시트의 내부 부분에 위치하고, 유리 시트의 외부 표면들은 비접촉이다.
시트가 진전함에 따라 시트는 중력 및 풀링(pulling) 장비의 힘으로 두께가 감소한다. 특히, 풀링 롤들은 성형 웨지의 루트의 하류에 배치되고 리본이 성형 웨지를 떠나는 속도를 조정하여 완성된 시트의 두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풀링 장비는 점성 유리가 냉각되고 당겨질 만큼 충분히 단단해지도록 충분히 하류에 위치한다. 접촉된 에지 부분들은 완성된 유리 시트로부터 나중에 제거된다. 유리 리본이 성형 웨지의 루트로부터 내려감에 따라, 이것은 냉각되어 단단하고 탄력있는 유리 리본으로 형성되고, 이것은 절단되어 더 작은 유리 시트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에 의해 생성된 유리 시트는 루트에서 점성 유리 리본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폭의 손실은 시트 폭 감쇠(attenuation)라고도 지칭되는 인발 공정의 점성 영역 내에서 측면으로 유리 리본의 수축으로 인한 것이다. 인발 공정의 점성 단계 동안 리본의 측면 수축은, 점성 유리 시트 내의 불안정한 속도 윤곽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시트 폭 변동으로 알려진 불안정성과 또한 관련이 있다.
다운드로우 공정의 점성 영역 내에서 시트 폭의 손실은 또한 시트의 가장자리들에서 누적된 두께 또는 비드(bead)들로서 나타난다. 비드들과 시트의 중심 사이의 두께와 온도에서의 차이들로 인해 이러한 에지 비드들의 형성은 많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에지 비드들의 형성은 인발 공정 동안 불안정한 리본 형상을 생성하는 일시적인 응력들 및/또는 유리 냉각 시 시트의 특정 영역들에서 영구적인 응력들을 유발할 수 있다. 에지 비드들은 또한 작업자가 유리 리본을 원하는 곡률 반경으로 구부리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것들은 유리가 특정 응용 분야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되는 경우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엘리베이션(single-elevation) 에지 롤 또는 이중-엘리베이션(dual-elevation) 에지 롤들을 사용하는 퓨전 드로우 시스템들과 같은 시트 유리를 인발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업계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퓨전 드로우 시스템들의 구현의 특정 양태들을 최적화하기 위해 퓨전 드로우 시스템 하드웨어의 다양한 양태들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 내용은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기술을 이용하는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에서 성형 웨지의 루트로부터와 같이 시트 유리를 인발하기 위한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또한 슬롯 인발 공정, 이중 퓨전 공정, 플로트 공정과 같은 다른 유리 성형 공정들에도 적용 가능하며,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과 관련된 일부 실시예들의 설명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은 시트 폭 감쇠량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그리하여 유리 시트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을 허용하는 증가된 사용 가능한 시트 폭을 생성한다. 또한 공정 안정성 및 제품 속성 향상을 위해 비드 질량을 줄이고 에지 질량 분포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에 개시된 장치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들 및 퓨전 드로우에서 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에지 롤 쌍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에지 롤들의 회전축들에 대해 원하는 경사 각도를 얻을 수 있다. 아래 나열된 디자인 피쳐들은 모두 시트 성형 웨지의 루트 아래에서 시트 폭 감쇠를 줄이거나 리본을 가로질러 장력을 유도하여 시트 폭을 늘리는 것으로 지향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선들은 퓨전 인발 공정이 공정 개선을 위해 실질적으로 더 얇은 비드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두께 요동 및 시트 폭 변동과 같은 단부의 유동 불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에 나사적으로 맞물린 슬라이드 나사로서, 상기 슬라이딩 케이블은 상기 슬라이드 나사가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 나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나사; 및 상기 슬라이드 나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슬라이드 나사와 맞물리는 제어 샤프트로서, 상기 슬라이드 나사는 상기 제어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제어 샤프트;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는 칼라 피스 및 나사산 부싱을 포함한다. 상기 칼라 피스는, 그를 통해 나사산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그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잠금 부분, 및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제2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 부싱은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보어 및 수나사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는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수나사 부분을 나사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암나사적이며, 상기 나사산 부싱이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 내로 나사 결합될 때,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중앙 보어 및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는 그를 통해 상기 나사산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동축으로 정렬된다.
지지 브래킷이 또한 개시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은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로서, 각각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 및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로서, 각각 상기 측면 지지 표면들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대상물이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과 접촉될 때, 상기 대상물의 수직 위치 및 자세는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의 각각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물의 측면 위치 또는 자세는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의 각각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피쳐들 및 이점들이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지거나, 또는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 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 예들을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된 주제의 본질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뼈대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추가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들은 청구한 주제의 원리들 및 동작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면들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논의된 실시예들은 도시된 배열들 및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다운드로우 공정에서 인발되는 유리 시트/리본과 소통하는 단일-엘리베이션 에지 롤러들의 예시적인 선행 기술 배열을 도시한다.
도 1c, 도 1d 및 도 1e는 다운드로우 공정에서 인발되는 유리 시트/리본과 소통하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들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의 수평 조정성을 예시한다.
도 2d 내지 도 2e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에서 에지 롤러들의 하부 쌍의 경사(tilt) 각도 조정성을 예시한다.
도 3a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를 위해 구성된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선행 기술 상부 전이 부분의 예시이다.
도 3b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를 위해 구성된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상부 전이 부분의 예시이다.
도 4a 내지 4f는 에지 롤러들에 대한 밀봉 및 열 장벽을 제공하고 에지 롤러들이 상부 전이 부분 내로 및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내부의 내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게 하는 밀봉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도 4a는 작동 위치에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 및 밀봉 플레이트를 갖는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상부 전이 부분의 등각도이다. 도 4b는 밀봉 플레이트를 통해 직선으로 연장하는 에지 롤러들의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는 삽입도가 있는 도 4a로부터의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 및 밀봉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하부 에지 롤러들이 하향 경사로 배향되어 있는 밀봉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에지 롤러들의 확대 단면도를 보여주는 삽입도가 있는 도 4a로부터의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 및 밀봉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상부 전이 부분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밀봉 플레이트 구조의 등각 분해도이다. 도 4e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부 전이 부분과 함께 제 자리에 있는 밀봉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f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부 전이 부분을 갖는 위치에 있는 밀봉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5b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를 위한 수냉 쉴드들/매니폴드들의 특정 열 보호 허용량을 예시한다.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제 위치에 있는 다양한 냉각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의 등각도이다. 냉각액 유동 채널은 각 냉각 플레이트에 내부적으로 제공되어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논의 목적으로 도면들에서 가시적인 것으로 예시된다. 도 5b는 확대도를 제공하는 삽입부와 함께 상부 에지 롤러 어셈블리 및 관련된 상단 냉각 플레이트 중의 하나의 등각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하부 에지 롤러들이 상부 에지 롤러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정렬되도록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도 6a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의 등각도이다. 도 6b는 하부 에지 롤러들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보이는 것이 뷰가 되도록 상단 냉각 플레이트와 상부 가장자리 롤러가 제거된 도 6a의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에 언급된 평면 B-B를 통해 취해진 도 6b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베벨 기어 배열을 보여주는 메커니즘의 등각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에지 롤러 측면 정렬 어셈블리의 나사산이 있는 슬라이드 나사를 위한 동축 잠금 칼라를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하부 에지 롤러 구동 어셈블리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도 8a는 브래킷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내는 슬라이딩 테이블의 단부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슬라이드 테이블 및 브래킷 어셈블리의 등각도이다. 도 8c는 브래킷의 등각도이다. 도 8d는 본 개시 내용의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9는 관찰 창과 보론 여과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밀봉 플레이트를 보여준다.
본 설명은 세부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은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특정될 수 있는 피쳐(feature)들의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발광 코팅들 및 장치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요소들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사한 숫자 지정이 주어졌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단", "바닥", "외측", "내측" 등과 같은 용어는 편의상 단어이며 제한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룹이 요소들의 그룹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될 때마다, 그룹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인용된 임의의 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그룹이 요소들의 그룹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 기술될 때마다, 그룹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인용된 그 요소들 중의 임의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값의 범위는 인용될 때 범위의 상한과 하한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부정관사 "a" 및 "an" 및 상응하는 정관사 "the"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유익한 결과를 여전히 획득하면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많은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원하는 이점들 중의 일부는 다른 피쳐들을 사용하지 않고 설명된 피쳐들 중의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많은 수정들 및 개조들이 가능하고 특정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임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하기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은 주어진 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에 상응하는 등가물들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보호 범위가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피쳐들의 상응하는 사용없이도 본 개시 내용의 피쳐들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시적 또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예시할 목적으로 제공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에 대한 수정 및 그의 치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에서 단일-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의 예시적인 종래 기술 배열을 도시한다. 에지 롤러(150)들은 다운드로우 공정에서 인발되는 유리 시트/리본(110)과 맞물린다. 유리 시트(110)는 성형 웨지(미도시)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성형 웨지 루트(20)의 하류에 도시되어 있다. 단일-엘리베이션 에지 롤러(150)들의 각각은 관련된 단일-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155)에 제공된 적절한 구동 모터(155a)에 의해 구동된다. 유리 시트(110)의 에지를 따라 영역(112)은 에지 롤러(150)들의 사용에 의해 얻어진 추가적인 유리 시트 폭을 나타낸다.
도 1c 내지 도 1e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에지 롤러(250)들은 상부 에지 롤러(251)들 및 다운드로우 공정에서 인발되는 유리 시트(110)와 맞물리는 한 세트의 하부 에지 롤러(252)들을 포함한다.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250)들의 각각은 연관된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를 갖는다. 연관된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들의 각각은 상부 에지 롤러(251)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세트의 구동 모터(255a)들 및 하부 에지 롤러(252)들을 구동을 위한 제2 세트의 구동 모터(255b)들을 갖는다.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는 상부 에지 롤러(251)들과 하부 에지 롤러(252)들 사이의 수직 간격(VS)을 원하는 간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직 간격(VS)은 상부 에지 롤러(251)들의 회전축(종방향 축과 동일)과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회전축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된다. 예시된 예에서, 수직 간격(VS)은 3.67 인치에서 6.67 인치 사이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직 간격(VS)은 3.67 인치 내지 5.67 인치 사이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직 간격(VS)은 3,67 인치 내지 5.67 인치 사이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치수들은 다양한 유리 제형들에 대한 다양한 공정 레시피들 중에서 요구 사항들에서의 임의의 변화들을 수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스핀들들 및 구동 모터(255b)들과 같은 그들의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갖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어셈블리는 수직 키 및 잭스크류를 사용하는 키홈과 같은 적절한 구조들을 사용하여 정렬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는 상부 에지 롤러(251)들 및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방향/수평 조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는 상부 에지 롤러(251)들과 하부 에지 롤러(252)들 사이의 측면 간격(LS)이 원하는 간격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한 상부 에지 롤러(251)들 및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는 상부 에지 롤러(251)들의 측면 위치가 고정되고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면 위치가 상부 에지 롤러(251)들에 대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부 에지 롤러들은 고정되고 상부 에지 롤러들은 조정 가능하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상부 및 하부 에지 롤러들 모두는 조정 가능하다. 측방향 간격(LS)은 +3.0 인치("+"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이 상부 에지 롤러(251)들보다 유리 시트(110) 쪽으로 더 연장됨(즉, 더 큰 침지)을 나타냄)와 -3.0 인치("-"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이 상부 에지 롤러(251)들보다 적게 연장됨을 나타냄) 사이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방향 간격(LS)은 +2.0 인치와 -2.0 인치 사이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방향 간격(LS)은 +1.0 인치와 -1.0 인치 사이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들 2 개의 구성은 도 2a 및 2c에 각각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수들은 다양한 유리 제형들에 대한 다양한 공정 레시피들 간의 요구 사항들에서의 변화들을 수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스핀들 및 구동 모터(255b)와 같은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전체 하부 에지 롤러 어셈블리가 도브테일(dovetail)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상단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810)의 하반부(bottom half)는 지지 브래킷(860)에 장착될 수 있다(도 8a-8b 참조). 이러한 슬라이드 테이블 메카니즘에서,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직선 이동은 슬라이드 나사(880)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2d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예에서,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회전축(AX)의 경사 각도는 상부 에지 롤러(251)들의 회전 축에 대해 5°까지 조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와 함께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틸팅(tilting)은 상기 도브테일 슬라이드 테이블(800) 및 지지 브래킷(860)의 특정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치수들은, 유리 시트 폭 감쇠를 최소화하고 유리 시트의 에지 비드 두께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에지 롤링의 이점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이한 유리 제형들에 대한 상이한 공정 레시피들 간의 요구사항들에서의 임의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종래 기술 시스템의 단일-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155)를 위해 구성된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상부 전이(transition) 부분(300A)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상부 전이 부분(300A)은 에지 롤러(150)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접근 개구부(305A)를 포함한다. 접근 개구부(305A)는 에지 롤러(150)들이 상부 전이 부분(300A) 내부로 인발되는 유리 시트(110)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를 위해 구성된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상부 전이 부분(300B)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전이 부분(300B)은 에지 롤러(250)들을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접근 개구부(305B)를 포함한다. 접근 개구부(305B)는 에지 롤러(250)들이 상부 전이 부분(300B) 내부로 인발되는 유리 시트(110)에 도달하도록 허용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251, 252)들이 상부 전이 부분(300B) 및 퓨전 다운드로우 시스템의 내부로 침투하여 유리 시트(110)에 도달하도록 허용하면서 밀봉 및 열 장벽을 제공하는 밀봉 플레이트(400)를 도시하는 예시이다.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들(251, 252)의 측면도와 밀봉 플레이트(400)의 단면도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밀봉 플레이트(400)는 에지 롤러들(251, 252)을 위해 각각 관통 홀들을 제공하는 두 세트의 부싱(bushing)들(410, 420)로 구성된다. 이 예에서, 상부 부싱(410)은 상부 에지 롤러(251)들을 수용하는 직선 관통 홀들을 제공하는 직선 내부 표면을 갖는다. 하부 부싱(420)은 하부 에지 롤러(252)들을 수용하기 위해 이중 테이퍼지며(tapered), 그 롤러들이 경사질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수용하는 내부 표면(422)을 갖는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표면(422)은 각도 T1 및 T2으로 이중 테이퍼진다. 상부 전이 부분(300B)의 외측을 향하는 하부 부싱(420)의 개구부는 각도 T1으로 테이퍼지고, 상부 전이 부분(300B)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 부싱(420)의 개구분는 각도 T2로 테이퍼진다. 이 예에서, 각도 T1과 T2는 6°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T1 및 T2는 4°와 8°사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 T1 및 T2는 3°와 9°사이이다.
도 4d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면, 밀봉 플레이트(400)는 상부 부싱(410)들을 포함하는 제1 밀봉 플레이트 부분(401) 및 하부 부싱(420)들을 포함하는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을 포함한다. 도 4c에서 상부 부싱(410)들과 하부 부싱(420)들 사이의 간격(43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밀봉 플레이트 부분(401)과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은 밀봉 플레이트의 밀봉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분리 간격(430)이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리 간격(430)은 0.47 인치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분리 간격(430)은 0.0 내지 0.55 인치일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 플레이트 부분(401) 및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을 포함하는 밀봉 플레이트 어셈블리(400)는 후면 플레이트(450)에 고정됨으로써 상부 전이 부분(300B)에 조립된다. 제1 밀봉 플레이트 부분(401)은 먼저 후면 플레이트(450)에 고정된다. 그 다음,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은 후면 플레이트(450)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나사산 볼트(455)를 사용하여 제1 밀봉 플레이트 부분 위에 후면 플레이트(450)에 고정된다.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은 2개의 볼트(455)들로 정렬되고 나사산 볼트(455)들에 끼워진 너트(456)들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롯(404)들을 포함한다. 도 4e는 완전히 조립된 밀봉 플레이트 어셈블리(4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슬롯(404)들은 제2 밀봉 플레이트 부분(402)의 위치가 위에서 논의된 원하는 분리 간격(430)을 선택하도록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도 4f는 도 4e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조립된 밀봉 플레이트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 및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구현된 특정 열 보호 스킴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개시된다.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의 위치는 열적으로 매우 적대적인 환경에 있으므로 장비, 베어링들, 씨일들, 구동 모터들 및 서비스들 등의 열 보호가 매우 중요하다. 열 보호 스킴은 복수의 액체-냉각된 냉각 플레이트들(510, 520, 530, 540)(즉, 라디에이터들)을 포함한다. 냉각 플레이트들은 열전도율이 좋고 고온 환경에서 내구성이 좋은 모든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냉각 플레이트들(510, 520, 530, 540)에 적합한 선택이다. 각각의 냉각 플레이트들은 밀봉된 채널들 또는 통로들(515, 525, 535, 545)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냉각제 액체가 펌핑되어 냉각 플레이트들로부터 열을 추출한다. 액체 냉각제는 물 또는 자동차 라디에이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비부식성 액체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전면 냉각 플레이트(520, 530)들은 상부 전이 부분(300B)과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 사이에 위치된다. 상부 냉각 플레이트(510)는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의 상단 측에 위치된다. 또한, 냉각 플레이트(540)는 냉각을 유지하기 위해 서보 모터들을 둘러싸는 전기 구동 모터(255a, 255b)들의 각각을 위한 캡슐 또는 상자를 형성하는 다중 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에지 롤러(251)들의 몸체 및 구동 모터(255a)들은 상단 냉각 플레이트(510)에 부착되어 상부 에지 롤러의 구동 모터(255a)들의 냉각을 극대화한다. 액체 냉각제의 유동은 한 쌍의 냉각제 공급 매니폴드(501)와 냉각제 리턴 매니폴드(502)를 통해 관리된다. 냉각 플레이트(510, 520, 530, 540)들의 위치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특정 위치들에 한정되지 않으나, 그들의 냉각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들에 배치해야 한다. 냉각 플레이트들의 크기는 그들의 냉각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조정되어야 한다.
스핀들 하우징들은 롤 샤프트들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들 및 씨일들을 포함한다. 내부 캐비티는 순환 오일 형태로 연속 윤활을 사용한다. 스핀들 하우징은 액체 냉각제용 채널/통로들의 미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냉각 플레이트는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어셈블리를 위한 수냉식 쉴드들/매니폴드들의 허용을 포함한다. 금속 스핀들 하우징들은 롤 샤프트들에 대한 적절한 베어링 및 씨일 치수를 유지하면서 가까운 수직 중심선들을 허용하도록 최소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내부 액체 냉각 홀들은 이 치수도 가장 최소화하도록 위치된다. 스핀들 어셈블리 설계는 하부 스핀들들이 상부 스핀들 위치에서 사용되도록 반전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내부 오일 윤활 경로들은 임의의 물리적 기계적 또는 배관 변경 없이 어느 방향에서든 완전한 윤활 "습윤"이 달성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상부 및 하부 설계, 추가 예비 부품 또는 작업자 오류를 모두 제거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의 다른 피쳐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이 상부 에지 롤러(251)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 측방향 조정의 방향이 도 6a에서 양방향 화살표 L에 의해 표시된다. 조정은 화살표 L로 표시된 두 반대 방향에서의 선형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능력은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 동안에 즉석에서 조정들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작동 동안에 열적 및 기계적 부하로 인해 상온에서 정렬된 경우에도 하부 및 상부 에지 롤러들이 오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고 필요하다. 상부 에지 롤러(251)들과 하부 에지 롤러(252)들이 정렬되지 않으면, 유리 시트는 바람직하지 않은 두 세트의 롤러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아래로 인발될 수 없다. 즉석에서 정렬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방향 조정을 위한 선형 운동은 도 6c 및 도 6d에 상세히 도시된 슬라이드 나사(600) 배열에 의해 달성된다. 하부 에지 롤러(252)들은 선형 운동 플랫폼(650)(도 6a, 6c 및 6d 참조)에 장착되는 본체 부분(252a)(도 6a 및 6c 참조)을 갖는다. 선형 운동 플랫폼(650)은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회전 축들(즉, 종축들)에 수직으로 배향된 슬라이드 나사(600)에 의해 구동된다. 슬라이드 나사(600)는 끼워지고 그리고 선형 운동 플랫폼(650)은 슬라이드 나사(600)를 나사적으로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나사산 척 부분(미도시)을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나사(6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선형 운동 플랫폼(650)이 도 6a에서 양방향 화살표 L로 표시된 방향들과 매칭하는 슬라이드 나사(600)에 평행한 두 개의 반대 방향 중의 하나로 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나사(600)의 나사산의 방향, 즉 왼손잡이형인지 오른손잡이형인지에 따라 회전 방향과 플랫폼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나사(600)의 일단에는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면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슬라이드 나사(6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제어 노브(610)가 포함된다.
도 6b,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나사(600)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슬라이드 나사와 맞물리는 제어 샤프트(621)가 제공된다. 슬라이드 나사(600)는 제어 샤프트(621)를 돌려서 회선시킬 수 있다. 제어 샤프트(621)와 슬라이드 나사(660)는 베벨 기어 배열(630)를 통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작업자로 하여금 제어 샤프트(621)에 부착된 제2 제어 노브(620)를 사용하여 상이한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나사(600)를 돌릴 수 있게 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베벨 기어 배열(630)은 제2 제어 노브(620)에 부착된 제1 베벨 기어(631) 및 슬라이드 나사(600)에 부착된 제2 베벨 기어(632)를 포함하고, 두 베벨 기어는 도 6d에 도시된 직교 구성으로 서로 맞물린다. 제1 베벨 기어(631)는 연관된 제2 제어 샤프트(621)를 통해 제2 제어 노브(620)에 부착되고, 제1 베벨 기어(631)는 제2 제어 샤프트(621)의 단부에 부착된다. 베벨 기어 배열(630)은 작업자가 제2 제어 노브(6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선형 운동 플랫폼(650)을, 그리고 차례로 하부 에지 롤러(252)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예에서, 베벨 기어 배열(630)은 슬라이드 나사(600)와 제2 제어 샤프트(621) 사이의 직교 관계를 위해 구성된다. 그러나, 베벨 기어 배열(6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드 나사(600)와 제2 제어 샤프트(621) 사이의 다양한 원하는 각도 관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노브(610)는 베벨 기어 배열(630)의 반대편에 있는 슬라이드 나사(600)의 단부에 제공된다.
비록 도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구성이 작업자의 수동 조작으로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면 조정을 수행하지만, 당업자는 이를 슬라이드 나사(600) 및/또는 제2 제어 샤프트(621)를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나사산이 있는 슬라이드 나사(600)를 위한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700)가 개시되어 있다. 잠금 칼라 어셈블리(700)는 슬라이드 나사(600) 위로 끼워지고, 선형 운동 플랫폼(650)(도 7a 참조)에 고정되며,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측방향 조정이 완료된 후 슬라이드 나사(600)가 의도치 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잠금 칼라 어셈블리(700)는 칼라 피스(701) 및 나사산 부싱(760)을 포함한다. 칼라 피스(701)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 즉 잠금 부분(710) 및 고정 부분(720)을 포함하는 통합된 피스이다. 잠금 부분은 그를 통해 슬라이드 나사(600)를 수용하기 위해 그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보어(705)를 갖는다. 고정 부분(720)은 잠금 부분의 중앙 보어(705)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제2 중앙 보어(705A)를 갖는다.
도 7c를 참조하면, 고정 부분(720)의 제2 중앙 보어(705A)는 나사산 부싱(760)의 수 나사산 부분(762)을 나사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암나사형이고 잠금 부분(710)의 제1 중앙 보어(705)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나사산 부싱(760)은 나사산 부싱(760)이 고정 부분(720)의 제2 중앙 보어(705A) 내로 나사 결합될 때 나사산 부싱(760)의 중심 보어(765)와 잠금 부분(710)의 중심 보어(705)가 그를 통해 슬라이드 나사(600)를 수용하기 위해 동축으로 정렬되도록, 그것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암나사형 중심 보어(765)를 갖는다.
도 7b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피스(701)의 잠금 부분(710) 및 고정 부분(720)은 중앙 보어(705)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 칼라 피스(701)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부 또는 갭(725)에 의해 정의된다. 갭(725)이 칼라 피스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2개의 부분(710, 720)들은 연결 부분(722)에 의해 연결된다(도 7d 참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분(710)은 중앙 보어(705)를 통해 연장되고 잠금 부분(710)의 일측을 "C"자 형상과 같이 2개의 단부들(711, 712)로 분리되는 반경방향 연장 슬롯(715)을 갖는다. 슬라이드 나사(600)가 부싱(760)의 나사산이 있는 중앙 보어(765)를 통해 나사 조임되고 중앙 보어(705)를 통해 연장될 때, C-형상은 C-형상의 두 단부들(711, 712)을 서로를 향하여 가져오고 중앙 보어(705)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슬라이드 나사(600) 주위를 클램핑함으로써, 잠금 부분(710)이 슬라이드 나사(600)에 클램핑하거나 잠금되게 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클램핑 작용은 나사형 잠금 나사(740)에 의해 달성된다. 잠금 나사(740)를 수용하기 위해, C-형상의 2개의 단부들(711, 7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탭으로 (중앙 보어(705)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평평한 탭(711, 712)들 중의 제1 평평한 탭은 잠금 나사(740)를 나사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나사형 홀을 갖고 두 개의 평평한 탭(711, 712)들 중의 제2 평평한 탭은 잠금 나사(740)가 나사형 홀에 도달하도록 허용하는 나사산이 없는 관통 홀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제1 평평한 탭(711)은 나사형 홀(711A)을 포함하고 제2 평평한 탭(712)은 나사산이 없는 관통 홀(미도시)을 포함한다. 잠금 나사(740)는 제2 평평한 탭(712)의 관통 홀을 통해 삽입되고 나사형 홀(711A)에 나사 결합된다. 잠금 나사(740)는 잠금 나사(740)가 나사 결합될 때 제2 평평한 탭(712)에 대해 밀어서 두 개의 평평한 탭(711, 712)들을 서로 더 가깝게 만들고 슬라이드 나사(600) 주위에 잠금 부분(710)을 클램핑하는 나팔 모양의 헤드(741)를 가지고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나팔 모양의 헤드(741)는 또한 작업자가 손으로 나사(740)를 돌릴 수 있게 하는 핸들 부분(742)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잠금 부분(710)은 중앙 보어(705)의 내부 표면으로 절단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5)과 관련하여 중앙 보어(705)를 가로질러 직접 위치되는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은 C-형상 잠금 부분(710)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고, 잠금 부분(710)의 2개의 단부들(711, 712)이 더 적은 노력으로 함께 모이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종료된다.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의 단부에서의 라운드진 형상은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의 단부에서 응력-완화 기능을 제공하고 잠금 부분(710)이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의 많은 사이클을 겪을 때 임의의 피로 균열을 최소화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나사산 부싱(760)이 칼라 피스(701)에 나사 결합된 후에 나사산 부싱(760)과 칼라 피스(701)를 함께 잠그기 위해 핀(713)이 제공된다. 핀(713)은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717)을 통해 그리고 나사산 부싱(760)의 수나사형 단부에 제공된 수용 홀 내로 삽입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논의된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하부 에지 롤러용 구동 모터(255b)들 및 스핀들과 같은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의 전체 하부 에지 롤러 어셈블리 부분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상단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하반부(810)는 지지 브래킷(8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슬라이드 테이블 메카니즘에서,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선형 운동은 슬라이드 나사(880)의 회전을 통해 달성된다.
슬라이드 테이블(800)을 유지하는 지지 브라켓(860)은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위치 및 자세, 그리고 차례로 하부 에지 롤러(252)들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S1, S2)을 포함한다.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S1, S2)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하반부(810)와 접촉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하반부(810)는 브래킷(860)에 장착되어 높이 조정용 고정 나사(S2)들의 상부에 안착된다. 자세 조정용 고정 나사(S1)들 사이에는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하반부(810)가 위치한다. 높이 조정용 고정 나사(S2)들을 내리거나 올리면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전체 높이나 수직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개별 높이 조정용 고정 나사(S2)들을 선택적으로 내리거나 올리면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일측을 다른 쪽보다 높게 하여 슬라이드 테이블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 조정용 고정 나사(S1)들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수평면에서 슬라이드 테이블(8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고정 나사(S1, S2)들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즉, 보트나 비행기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빌리자면, 고정나사(S1, S2)들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롤(roll), 피치(pitch), 한쪽으로 기울어짐(yaw)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롤러 어셈블리(255)의 평면도인 도 8d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테이블(800)의 한쪽으로 기울어짐을 조정함으로써, 하부 에지 롤러(252)들은 상부 에지 롤러(251)들에 대해 각도 α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브래킷(860)이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862)을 포함하는 지지 브래킷(860)이 개시되며, 각각은 바닥 지지 표면(862)들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S2)들; 및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864)들을 포함한다. 측면 지지 표면(864)들의 각각은 대응하는 측면 지지 표면(864)들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S1)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과 함께, 슬라이드 테이블(800)과 같은 대상물이 지지 브라켓(860) 상에 안착되어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862)들 및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864)들에 접촉될 때, 대상물의 수직 위치 및 자세(즉, 높이, 피치(또는 기울기), 롤)는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862)들의 각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S2)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대상물의 측면 위치 또는 자세(즉, 한쪽으로 기울어짐)는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864)들의 각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S1)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부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 공정에서, 보론(Boron) 여과 시스템이 필요할 수 있다. 보론 여과 시스템은 에지 롤러들이 상부 전이 부분(300A)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밀봉 플레이트에 통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밀봉 플레이트(400)와 유사한 밀봉 플레이트(9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보론 여과 시스템 유닛(930) 및 관찰 창(940)을 수용하도록 수정되었다. 관찰 창(940) 및 보론 여과 시스템 유닛(930)은 상부 에지 롤러 부싱(910) 및 하부 에지 롤러 부싱(920) 아래에 제공된다.
본 설명은 많은 세부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은 그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피쳐들의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지금까지 설명된 특정의 피쳐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역으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피쳐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다중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피쳐들이 특정 조합들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피쳐들이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에서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이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 지향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도면들에서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그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들을 얻을 수 있도록,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서는 안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과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다양한 구성들 및 실시예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용접된 유리 패키지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균등성, 본 명세서의 정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많은 변형 및 수정의 전체 범위가 부여될 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슬라이딩 테이블;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에 나사적으로 맞물린 슬라이드 나사로서, 상기 슬라이딩 케이블은 상기 슬라이드 나사가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 나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나사; 및
    상기 슬라이드 나사의 상기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슬라이드 나사와 맞물리는 제어 샤프트로서, 상기 슬라이드 나사는 상기 제어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제어 샤프트;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샤프트 및 상기 슬라이드 나사는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구성으로 맞물린 두 개의 베벨 기어들을 포함하는 베벨 기어 배열에 의해 맞물리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슬라이드 나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제2 베벨 기어는 상기 제어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나사는 상기 베벨 기어 배열의 반대편 단부에 제어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샤프트는 상기 베벨 기어 배열의 반대편 단부에 제2 제어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칼라(collar) 피스; 및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보어 및 수나사 부분을 포함하는 나사산 부싱;을 포함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로서,
    상기 칼라 피스는,
    그를 통해 나사산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그를 통해 연장되는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잠금 부분; 및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제2 중앙 보어를 포함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는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수나사 부분을 나사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암나사적이며,
    상기 나사산 부싱이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 내로 나사 결합될 때,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중앙 보어 및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는 그를 통해 상기 나사산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동축으로 정렬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칼라 피스는 통합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는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나사산 부분이 상기 제2 중앙 보어 내로 나사적으로 수용되게 허용하는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제1 중앙 보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라 피스의 상기 잠금 부분 및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중앙 보어에 대해 가로지르는 배향으로 상기 칼라 피스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부 또는 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분은 상기 중앙 보어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잠금 부분의 일 측을 두개의 단부들로 분리하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상기 나사산 부싱이 상기 고정 부분의 상기 제2 중앙 보어 내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산 나사는 상기 나사산 부싱의 상기 나사산 중앙 보어를 통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를 통해 연장될 때,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두개의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다가오고,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의 상기 직경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나사산 나사 상으로 클램핑 또는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두개의 단부들은 외측으로 평평한 탭들 내로 연장되며,
    두개의 상기 평평한 탭들 중의 제1의 평평한 탭은 잠금 나사를 나사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 홀을 포함하며, 두개의 상기 평평한 탭들 중의 제2의 평평한 탭은 상기 잠금 나사가 그를 통해 삽입되고 두개의 상기 평평한 탭들 중의 상기 제1의 평평한 탭 내의 상기 나사산 홀에 도달하게 허용하는 나사산이 없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잠금 나사는 상기 잠금 나사가 상기 제1의 평평한 탭 내로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제2의 평평한 탭에 대해 밀어서 상기 슬라이드 나사 주위에서 상기 잠금 부분을 클램핑함으로써 두개의 상기 평평한 탭들을 서로 더 가깝게 가져오는 나팔 모양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분은,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의 표면 내로 연장되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에 대해 상기 잠금 부분의 상기 중앙 보어를 직접 가로질러 위치되는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은 응력-완화 라운드진 형상으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잠금 칼라 어셈블리.
  14.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로서, 각각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 및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로서, 각각 상기 측면 지지 표면들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을 포함하는 지지 브래킷으로서,
    대상물이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과 접촉될 때, 상기 대상물의 수직 위치 및 자세는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표면들의 각각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물의 측면 위치 또는 자세는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표면들의 각각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고정 나사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지지 브래킷.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수직 자세는 높이, 피치, 및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브래킷.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측면 자세는 상기 대상물의 한쪽으로 기울어짐(yaw)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브래킷.
KR1020217026990A 2019-01-25 2020-01-22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KR20210109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6880P 2019-01-25 2019-01-25
US62/796,880 2019-01-25
PCT/US2020/014498 WO2020154338A1 (en) 2019-01-25 2020-01-22 Dual-elevation edge roll system for fused downdraw glass for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051A true KR20210109051A (ko) 2021-09-03

Family

ID=7173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990A KR20210109051A (ko) 2019-01-25 2020-01-22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5667B2 (ko)
JP (1) JP2022523654A (ko)
KR (1) KR20210109051A (ko)
CN (1) CN113631521B (ko)
TW (1) TW202045445A (ko)
WO (1) WO20201543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641A (en) * 1887-07-12 Teeeitoey
US1711650A (en) * 1925-12-24 1929-05-07 Western Electric Co Phonograph-record-recording machine
US2620256A (en) * 1948-05-29 1952-12-02 Quentin A Kerns Analyzer
US3196331A (en) * 1962-10-22 1965-07-20 Voltronics Corp Piston trimmer capacitor
US3338696A (en) 1964-05-06 1967-08-29 Corning Glass Works Sheet forming apparatus
BE757057A (fr) 1969-10-06 1971-04-05 Corning Glass Works Procede et appareil de controle d'epaisseur d'une feuille de verre nouvellement etiree
US3635687A (en) 1970-05-26 1972-01-18 Owens Illinois Inc Downdrawing method for producing very thin glass sheets
US4267870A (en) * 1978-11-13 1981-05-19 The Ferry Cap & Set Screw Co. Screw fastener with multi-point wrenching head and locking capabilities
JPH0426420Y2 (ko) * 1987-12-18 1992-06-25
JP2930177B2 (ja) * 1994-11-28 1999-08-03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取付金具を備えた合わせガラス
US6422101B2 (en) * 1997-04-17 2002-07-23 Kerk Motion Products, Inc. Reinforced lead screw with springless anti-backlash nut
US5839321A (en) * 1997-05-16 1998-11-24 Ball Screw & Actuators Co. Backlash compensating assembly
US20050268658A1 (en) 2004-06-02 2005-12-08 Adamowicz John A Glass sheet forming apparatus
US20050268657A1 (en) 2004-06-02 2005-12-08 Adamowicz John A Isopipe mass distribution for forming glass substrates
US7231786B2 (en) 2004-07-29 2007-06-19 Corning Incorporated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sheet
US7371113B2 (en) 2005-12-29 2008-05-13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clamping insert
US8037716B2 (en) 2009-02-27 2011-10-18 Corning Incorporated Thermal control of the bead portion of a glass ribbon
CN102448900B (zh) 2009-07-30 2015-05-27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带及其制造方法
KR102021455B1 (ko) * 2011-05-31 2019-09-1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정밀한 유리 롤 성형 공정 및 기기
US8904822B2 (en) 2012-11-06 2014-12-09 Corning Incorporated Thickness control of substrates
US9388066B2 (en) * 2013-05-31 2016-07-12 Corning Incorporated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glass ribbons
JP2015040139A (ja) 2013-08-20 2015-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管ガラスの製造方法
US20160091130A1 (en) 2014-09-27 2016-03-31 Steven E. Thompson Telescopic flow-thru DE filter grid wand
US10392288B2 (en) 2014-10-03 2019-08-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heet width attenuation of sheet glass
CN207200632U (zh) * 2017-08-09 2018-04-06 徐州天维贝莱机械科技有限公司 聚光光伏模组安装调节装置
CN108962048B (zh) * 2018-08-21 2023-12-01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曲面调节装置及led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31521A (zh) 2021-11-09
WO2020154338A1 (en) 2020-07-30
US20220089470A1 (en) 2022-03-24
TW202045445A (zh) 2020-12-16
CN113631521B (zh) 2023-09-15
JP2022523654A (ja) 2022-04-26
US11485667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8785B (zh) 玻璃形成設備及形成玻璃帶之方法
CN102518917A (zh) 线阵ccd相机调整装置
CN105965336A (zh) 一种节能环保的磨削装置
KR20210109051A (ko) 퓨전 다운드로우 유리 성형을 위한 이중-엘리베이션 에지 롤 시스템
CN215239198U (zh) 一种车铣复合加工专用机床
US20180319694A1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es with coo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10849962U (zh) 一种铝合金门窗加工用定位装置
CN106181636A (zh) 一种角度可调的磨削装置
CN102826764A (zh) 一种大玻璃基板夹具装置
CN210996721U (zh) 一种管道坡口加工装置
JP5671371B2 (ja) 連続プレス装置
CN104440314B (zh) 一种用于多向装夹边框工件的专用夹具
CN106244985A (zh) 一种金属化薄膜加工用镀膜机构
CN215699410U (zh) 一种夹持装置
CN218227340U (zh) 尾座工装夹具及加工设备
CN106181634A (zh) 一种安全环保的磨削装置
CN215588467U (zh) 一种用于铝材生产的升降连接机构
CN211464352U (zh) 一种金属基板整平装置
CN218397340U (zh) 一种管接件加工用边缘磨削设备
CN217727697U (zh) 一种钢结构焊接成型排布固定夹具
CN216655203U (zh) 一种半导体夹取横杆用涂层加工装置
CN214320218U (zh) 一种方便调节的玻片固定架
CN213497026U (zh) 一种电火花加工夹具
CN212303629U (zh) 一种用于半导体芯片安装的定位治具
CN214406618U (zh) 一种零部件制造用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