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938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938A
KR20210108938A KR1020217000352A KR20217000352A KR20210108938A KR 20210108938 A KR20210108938 A KR 20210108938A KR 1020217000352 A KR1020217000352 A KR 1020217000352A KR 20217000352 A KR20217000352 A KR 20217000352A KR 20210108938 A KR20210108938 A KR 2021010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vity
component
composition
tocopherol
re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타카하시
유스케 카와노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이 양호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a) 토코페롤 및 그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b)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c)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은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도 양호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는 치육 조직의 말초 순환 촉진 작용(혈행 촉진 작용)을 갖는 점에서 치주병 예방에 유용하며, 치마제 등의 구강용 조성물에 널리 배합되어 있다. 이들 성분에 의한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 구강 내로의 체류성을 높이는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8-120753호 공보)은 비타민E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을 높이기 위해서 비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로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지만 배합하는 타성분의 영향에 의해 구강 내 체류성이 저하되기 쉬워 제제 외관 등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2012-97057호 공보)에는 크산탄검 1.4질량% 이상과 알킬황산염 1.4질량% 이상을 특정 비율로 병용하고, 또한 양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해서 배합함으로써 양치질 시의 거품의 지속성을 높이고,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약용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만 크산탄검량이 비교적 많음으로써 저온 보관 조건하에서는 튜브 용기로부터 압출하기 어려워져 사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8-1207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9705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도 양호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특정값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을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병용해서 배합하면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현저한 구강 내 체류 효과가 발현되어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을 지견했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토코페롤 및 그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c)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이상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함으로써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에도 액 분리가 억제되어 외관 안정성이 양호하며, 저온 보존 후에도 수용 용기로부터 압출하기 쉬워 사용성도 양호한 구강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는 것에 도달했다.
구강용 조성물용의 점결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은 공지이지만 일반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 10만 이상, 보통은 30만 정도의 가교형의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이 사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하인 (c) 저중량 평균 분자량의 폴리아크릴산염, 바람직하게는 직쇄형상의 폴리아크릴산염이 (b) 성분과 병용함으로써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을 높이는 작용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우수한 구강 내 체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판명했다. 그리고 (a), (b), 및 (c)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크산탄검 등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배합량을 많게 하지 않아도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을 높여서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각별히 현저한 작용 효과를 부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용 효과는 (c)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을 초과하는 폴리아크릴산염 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하이어도 염의 형태는 아닌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달성할 수 없는 것이었다.
후술하는 비교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c)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면 (b)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0의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고 있어도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뒤떨어졌다(비교예 1, 3). 이 경우 폴리아크릴산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도 나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0의 폴리아크릴산염 함유의 비교예 3은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도 나빴다. (b)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면 (c)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무기 점결제(무수규산(증점성))를 함유하고 있어도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뒤떨어져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도 나빴다(비교예 2).
또한, (c) 성분을 함유하지 않을 경우에는 (b) 성분과 함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을 함유하고 있어도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a), (b),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a) 성분이 고율로 구강 내에 체류하고,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 및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도 양호했다.
특허문헌 2는 크산탄검, 알킬황산염,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3자의 조합에 의한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의 향상이며,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은 (b) 및 (c) 성분에 의한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의 향상이며, 외관 안정성 및 저온 보존 후의 사용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토코페롤 및 그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b)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c)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2〕
〔1〕에 있어서, (a) 성분이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및 니코틴산 토코페롤로부터 선택되는 구강용 조성물.
〔3〕
〔1〕 또는 〔2〕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 10,000 이하인 구강용 조성물.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b)가 질량비로서 0.1~3인 구강용 조성물.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c))/(a)가 질량비로서 1~30인 구강용 조성물.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 성분의 함유량이 0.4~1.4질량%, (c) 성분의 함유량이 0.1~2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성분의 함유량이 0.05~1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치마제 조성물인 구강용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 안정성 및 사용성이 양호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a) 성분에 의한 약효가 충분히 발현되고, 치육염, 치주염 등의 치주병의 예방 또는 억제에 유효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a) 토코페롤 및 그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b)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c)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이상 20,000 이하의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한다.
(a) 성분은 토코페롤, 토코페롤의 유도체이며, 토코페롤의 유도체로서는 토코페롤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a) 성분은 혈류 촉진 및 조직 수복 작용을 갖는 약효 성분이며, 치육염, 치주염 등의 치주병의 예방 또는 억제에 유효한 성분이다.
토코페롤은, 예를 들면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토코페롤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는 상기 토코페롤의 아세트산, 니코틴산, 숙신산, 리놀렌산 등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나 이들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아세트산 에스테르, 니코틴산 d-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니코틴산 에스테르, 숙신산 d-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숙신산 에스테르, 리놀렌산 d-α-토코페롤, 리놀렌산 dl-α-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리놀렌산 에스테르, 숙신산 토코페롤칼슘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토코페롤아세트산 에스테르, 토코페롤니코틴산 에스테르, 특히 토코페롤아세트산 에스테르가 구강 내 체류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a) 성분은 구(舊)화장품 원료 기준(장원기(粧原基)) 또는 의약부외품 원료 규격 2006에 적합품을 사용 가능하며, DSM Nutrition Japan K.K.제, Eisai Food & kagaku Co., Ltd.제, BASF Japan Ltd.제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유효성 및 맛의 점에서 조성물 전체의 0.05~1%(질량%, 이하 마찬가지)가 바람직하고, 0.08~1.0%가 보다 바람직하고, 0.1~0.5%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구강 내 체류성이 충분히 향상되고, 또한 조성물 중에 충분히 가용화되어 고온 보존 후에도 외관 안정성이 얻어지고, 맛도 좋다.
(b) 성분은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이들은 음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며,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 성 향상에 기여한다.
알긴산염은 알긴산의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긴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은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의 점으로부터, 특히 크산탄검, 카라기난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산탄검이다.
(b) 성분은 CP Kelco, Inc.제, KIMICA Corporation제, Sansho Co., Ltd.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b)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4~1.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0%이다. 배합량이 0.4% 이상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충분히 우수하고,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이 충분히 얻어진다. 1.4% 이하이면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c) 성분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 이상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이다. (c) 성분은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을 향상하는 작용을 나타내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액 분리의 억제나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의 확보에도 기여한다.
(c) 성분의 폴리아크릴산염은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 및 외관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특히 6,000 이상이며, 또한 2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 이하, 특히 8,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 향상 효과가 뒤떨어지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이 뒤떨어진다. 20,000을 초과하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 향상 효과가 저하되고,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c) 성분의 폴리아크릴산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의 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5,000~2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10,000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일본 특허 제574085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및 측정 조건에서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낸다(이하 마찬가지).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다각도 레이저 광산란 검출기(GPC-MALLS)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이며, 조건은 이하와 같다.
이동상: 0.3M NaClO4
NaN3 수용액 칼럼: TSKgelα-M 2개
프리 칼럼: TSKguardcolumn α
표준 물질: 폴리에틸렌글리콜
(c) 성분의 폴리아크릴산염은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의 점으로부터 직쇄형상의 폴리아크릴산염(비가교형 폴리아크릴산염)이 바람직하다.
염으로서는 1가염이 바람직하고,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며, 나트륨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아크릴산염으로서는 Polysciences Inc.나 Toagosei Co., Ltd.로부터 판매되어 있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시판품으로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1,000); 직쇄형상, Polysciences Inc.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6,000); 직쇄형상, Toagosei Co., Ltd.제, AC-10NP, AC-10NPD, ARONT-5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8,000); 직쇄형상, Polysciences Inc.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20,000); 직쇄형상, Toagosei Co., Ltd.제, ARONA-20U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 성분의 폴리아크릴산염은 통상 치마제에 사용되는 점결제의 가교형의 폴리아크릴산염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낮고, 점결제로서 공지의 폴리아크릴산염과는 상이한 것이다.
(c) 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0%, 더 바람직하게는 0.4~0.8%이다. 0.1% 이상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충분히 향상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이 충분히 얻어진다. 2% 이하이면 (c) 성분 자체의 맛의 영향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 성분과 (c) 성분의 양비를 나타내는 (c)/(b)는 질량비로서 0.1~3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c)/(b)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 및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이 보다 우수하다.
또한, (a) 성분과 (b) 성분 및 (c) 성분의 양비를 나타내는 ((b)+(c))/(a)는 질량비로서 1~3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16이다. ((b)+(c))/(a)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 내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 및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이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c)/(b)의 질량비와 ((b)+(c))/(a)의 질량비가 각각 상기 범위 내이면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이 더 향상되고, 또한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 및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이 더 개선되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페이스트형상, 겔형상 또는 액형상의 치마제(크림 치약, 겔형상 치약, 액형상 치약, 액체 치약 등), 세구제, 마우스 스프레이, 도포제, 부착제 등으로 조제할 수 있지만 특히 치마제 조성물, 특히 크림 치마제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이 경우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또한 임의 성분으로서 제형 등에 따라 상기 이외의 공지 성분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크림 치약 등의 치마제 조성물에는 연마제, 점결제, 점조제, 계면활성제, 또한 감미제, 방부제, 착색제, 향료, 유효 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고, 이들 성분과 물을 혼합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한 양이다.
연마제는, 예를 들면 무수규산, 결정성 실리카, 비결정성 실리카, 실리카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제3인산 칼슘, 제4인산 칼슘, 인산 수소칼슘 무수화물, 인산 수소칼슘2수화물 등의 인산 칼슘계 연마제, 제올라이트, 피로인산 칼슘, 탄산 칼슘, 탄산 수소나트륨,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 마그네슘, 제3인산 마그네슘, 규산 지르코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합성 수지계 연마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사용성의 관점으로부터 무기 연마제인 무수규산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인산 칼슘계 연마제, 특히 무수규산이 바람직하다(배합량은 통상 5~60%, 크림 치약의 경우에는 10~55%).
또한, 점결제는 (b) 성분 이외의 유기 점결제나, 실리카겔, 알루미늄실리카겔, 비검,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 점결제를 들 수 있다(배합량은 통상 0.3~10%이며, 무기 점결제의 배합량은 1~5%가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b) 성분이 점결제로서도 작용하는 점에서 (b) 성분 이외에 유기 점결제는 배합하지 않아도 좋다(배합량 0%).
점조제는 소르비톨, 멀티톨, 락티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배합량은 통상 5~70%).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가 12~14개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황산염, 아실아미노산염, 아실타우린염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아미노산염 및 아실타우린염의 아실기는 각각 탄소수 12~14개, 특히 12개가 좋다.
구체적으로 알킬황산염으로서는 라우릴황산염, 미리스틸황산염, 아실아미노산염으로서는 라우로일글루탐산염, 미리스토일글루탐산염 등의 아실글루탐산염, 라우로일사르코신염 등의 아실사르코신염을 들 수 있고, 아실타우린염으로서는 라우로일메틸타우린염을 들 수 있다.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좋다. 특히, 알킬황산염, 아실사르코신염, 아실타우린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개의 탄화수소기(라우릴기)를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알킬황산염(나트륨염)이 다른 계면활성제보다 맛의 점에서 우수한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수크로오스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범용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올아미드,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가 적합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14~30개,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평균 부가 EO)가 3~30개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평균 부가 EO가 5~100개가 바람직하고, 20~6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올아미드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12~14개가 바람직하다.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2~18개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6~18개, 평균 부가 EO가 10~40개가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2~14개의 아실기를 갖는 아실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들 수 있다. 아실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으로서는 라우로일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으로서는 야자유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통상 0.01~15%, 특히 0.01~10%이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0.1~3%, 특히 0.5~2%가 좋다. 또한, 알킬황산염의 배합량은 1.2% 이하, 특히 1.0% 이하, 또한 0.8% 이하이어도 좋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0.01~10%가 좋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0~3%가 좋다.
감미제는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네오헤스페리딘디히드로칼콘, 아스파르틸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방부제는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벤조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청색 1호, 황색 4호, 2산화티탄을 들 수 있다.
향료는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원터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안더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메리유, 로렐유, 카모밀유, 캐러웨이유, 마조람유, 베이유, 레몬그라스유, 오리가남유, 파인니들유, 네롤리유, 로즈유, 자스민유, 이리스콘크리트, 앱설루트페퍼민트, 앱설루트로즈, 오렌지플라워 등의 천연 향료 및 이들 천연 향료의 가공 처리(전류부 커팅, 후류부 커팅, 분류, 액액 추출, 에센스화, 분말 향료화 등)한 향료, 및 멘톨, 카르본, 아네톨, 살리실산 메틸, 신나믹알데히드, 3-l-메톡시프로판-1,2-디올, 리날로올, 리나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N-치환-파라메탄-3-카르복사미드,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르빌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티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산알, 이소아밀알코올, 헥센올, 디메틸술피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의 단품 향료, 또한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애플 플레이버, 바나나 플레이버, 파인애플 플레이버, 그레이프 플레이버, 망고 플레이버, 버터 플레이버, 밀크 플레이버, 프루트 믹스 플레이버, 트로피컬 프루트 플레이버 등의 조합 향료 등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향료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실시예의 향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향료 소재는 조성물 전체의 0.000001~1%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소재를 사용한 부향용 향료로서는 조성물 중에 0.001~2.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의 비이온성 살균제; 염화 세틸피리디늄 등의 양이온성 살균제; 덱스트라나아제, 뮤타나아제, 라이소자임,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용균 효소, SOD(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 등의 효소;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불화나트륨, 불화제1주석 등의 불화물; 트라넥삼산,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디히드로콜레스테롤,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레틴산 등의 항염증제; 질산 칼륨, 락트산 알루미늄 등의 지각 과민 개선제;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클로로필,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아연, 산화아연, 시트르산 아연 등의 아연 화합물;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등의 구리 화합물; 비타민A, 비타민B군, 비타민C 등의 비타민류; 황백이나 차 등의 생약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효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 배합할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의 pH(25℃)는 통상 범위이어도 좋고, pH5~9, 특히 pH6~8이 좋다. 또한, 공지의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 조정해도 좋고, 예를 들면 염산이나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 있어서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표 1~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의 치마제 조성물(크림 치약)을 상법에 의해 조제하고, 하기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를 표 1~표 3에 병기했다.
(1)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구강 내 체류성의 평가 방법
1.5㎝×1.5㎝로 커팅한 7주령 웅성 헤어리스 마우스의 피부(Japan SLC, Inc.; LABOSKIN)를 6웰 플레이트에 두고, 인공 타액(50mM KCl, 1mM CaCl2, 0.1mM MgCl2, 1mM KH2PO4, pH7.0)을 5mL 첨가하여 2시간 정치했다. 투과 면적(약 0.8㎠)이 일정해지도록 유리 프레임을 상기 피부 상에 얹고, 각 예의 치마제 조성물 5g을 인공 타액으로 3배 희석한 액을 300μL씩 주입하여 5분간 정치했다. 그 후 상기 희석액을 버리고, 5mL의 물을 첨가하여 진탕기를 사용해서 160rpm으로 1분간 세정했다. 상기 세정을 반복해서 총 2회 행했다.
세정액을 버리고 피부를 튜브에 회수하고, 1mL의 에탄올(EtOH 90%)을 첨가하여 볼텍스 믹서로 5분간 추출 조작을 행했다. 추출액을 회수하고, 메탄올로 등배 희석 후 하기 시험 조건에 따라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하기 기기를 사용)에 의해 절대 검량선법으로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a) 성분)를 정량했다.
<사용 기기>
·펌프: SHIMADZU CORPORATION, LC-20AD
·시료 도입부: SHIMADZU CORPORATION, SIL-20AC
·검출기: SHIMADZU CORPORATION, SPD-20A
·칼럼 항온조: SHIMADZU CORPORATION, CTO-20AC
·용리액 유량: 1mL/min
<시험 조건>
·검출기: 자외 흡광 광도계(측정 파장: 273㎚)
·칼럼: COSMOSIL 5C18-MS-II
·칼럼 온도: 40℃
·용리액: 메탄올
대조로서 비교예 1의 치마제 조성물로 처치한 경우의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의 정량값을 100%로 하고, 각 치마제 조성물로 처치한 경우의 (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율(%)을 산출했다. 단, 실시예 16, 17의 대조품은 비교예 1의 (a) 성분을 니코틴산 토코페롤(실시예 16과 동 물질), 토코페롤(실시예 17과 동 물질)로 변경했다. 또한, 실시예 18, 19의 대조품은 각각 비교예 1의 아세트산 토코페롤 양을 0.5%(실시예 18과 동량), 1.0%(실시예 19와 동량)로 변경했다.
또한,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a) 성분)의 구강 내 체류성은 구강 내 체류율 110% 이상의 것을 우수하여 합격이라고 판단하고, 120% 이상의 것은 보다 우수하고, 130% 이상의 것은 더 우수하고, 140% 이상의 것은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2)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의 평가 방법
치마제 조성물을 구경 8㎜의 래미네이트 튜브 용기에 50g 충전하고, 각 조성에 대해서 3개를 50℃에서 1개월간 보존했다. 실온에 방치 후 상기 튜브 용기로부터 치마제 조성물을 갱지 상에 10㎝ 압출하고, 용기의 입구 근처 부분에 있어서의 액 분리의 상황을 관찰함과 아울러, 갱지에 배어 나온 액이 있을 경우에는 액의 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액 분리의 정도를 평가했다.
3개의 평가점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고온 보존 후의 외관 안정성(액 분리의 없음)을 판정했다.
평점 기준
4점; 압출했을 때 액 분리는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3점; 압출했을 때 액 분리는 거의 없고(1㎝ 미만), 사용상 문제없다
2점; 압출했을 때 입구 근처 부분에 1~2㎝의 액 분리가 확인된다
1점; 압출했을 때 입구 근처 부분에 2㎝를 초과하여 액 분리가 확인된다
평가 기준
◎: 3.5점 이상 4.0점 이하
○: 3.0점 이상 3.5점 미만
△: 2.0점 이상 3.0점 미만
×: 2.0점 미만
(3)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의 평가 방법
치마제 조성물을 구경 8㎜의 래미네이트 튜브 용기에 50g 충전하고, 각 조성에 대해서 3개씩을 -5℃, 1개월간 보존했다. 실온에 방치 후 상기 튜브 용기로부터 치마제 조성물을 압출하고,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을 평가했다.
3개의 평가점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저온 보존 후의 용기로부터의 압출의 용이함을 판정했다.
평점 기준
4점; 튜브 용기로부터 스무드하게 압출할 수 있다
3점; 튜브 용기로부터 약간 스무드하게 압출할 수 있다
2점; 튜브 용기로부터 약간 압출하기 어렵다
1점; 튜브 용기로부터 압출하기 어렵다
평가 기준
◎: 3.5점 이상 4.0점 이하
○: 3.0점 이상 3.5점 미만
△: 2.0점 이상 3.0점 미만
×: 2.0점 미만
사용 원료의 상세를 하기에 나타낸다.
(a) 성분
아세트산 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DSM Nutrition Japan K.K.제
니코틴산 토코페롤
비타민E 니코티네이트, BASF Japan Ltd.제
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BASF Japan Ltd.제
(b) 성분
크산탄검
MONAT GUM DA, CP Kelco, Inc.제
알긴산 나트륨
KIMILOID, KIMICA Corporation제
카라기난
GENUVISCO(등록상표) J-J, Sansho Co., Ltd.제
(c) 성분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1,000)
직쇄형상,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1,000), Polysciences Inc.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6,000)
직쇄형상, JURYMER AC-10NP, Toagosei Co., Ltd.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8,000)
직쇄형상,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8,000), Polysciences Inc.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20,000)
직쇄형상, ARONA-20UN, Toagosei Co., Ltd.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300,000)(비교품)
가교형, 폴리아크릴산 나트륨(Mw: 300,000), Polysciences Inc.제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Claims (8)

  1. (a) 토코페롤 및 그 유기산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b) 크산탄검,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c)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20,000 이하인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및 니코틴산 토코페롤로부터 선택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 10,000 이하인 구강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가 질량비로서 0.1~3인 구강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a)가 질량비로서 1~30인 구강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함유량이 0.4~1.4질량%, (c) 성분의 함유량이 0.1~2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의 함유량이 0.05~1질량%인 구강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마제 조성물인 구강용 조성물.
KR1020217000352A 2018-12-26 2019-12-05 구강용 조성물 KR20210108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2055 2018-12-26
JP2018242055 2018-12-26
PCT/JP2019/047607 WO2020137417A1 (ja) 2018-12-26 2019-12-05 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938A true KR20210108938A (ko) 2021-09-03

Family

ID=7112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352A KR20210108938A (ko) 2018-12-26 2019-12-05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63815B2 (ko)
KR (1) KR20210108938A (ko)
CN (1) CN113038925B (ko)
WO (1) WO20201374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753A (ja) 2006-11-14 2008-05-29 Sunstar Inc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2097057A (ja) 2010-11-05 2012-05-24 Lion Corp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の泡性能及び油溶性成分の口内滞留性を改善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523B2 (ja) * 1993-09-08 2006-02-1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磨組成物
JP5765225B2 (ja) 2009-06-08 2015-08-19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5891749B2 (ja) * 2011-11-30 2016-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MY191247A (en) * 2015-11-30 2022-06-10 Lion Corp Oral composition
JP6648640B2 (ja) * 2016-05-30 2020-02-14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MY192189A (en) * 2016-05-30 2022-08-05 Lion Corp Composition for use in oral cavity
JP2018043933A (ja) 2016-09-12 2018-03-2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10494123A (zh) 2017-04-21 2019-11-22 狮王株式会社 口腔生物膜去除剂和口腔用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753A (ja) 2006-11-14 2008-05-29 Sunstar Inc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2097057A (ja) 2010-11-05 2012-05-24 Lion Corp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の泡性能及び油溶性成分の口内滞留性を改善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38925A (zh) 2021-06-25
JPWO2020137417A1 (ja) 2021-11-11
JP7363815B2 (ja) 2023-10-18
WO2020137417A1 (ja) 2020-07-02
CN113038925B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4656A (ko) 구강용 조성물
JP5251350B2 (ja) 歯磨組成物
EP3238703B1 (e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omposition for oral cavity and liquid composition for oral cavity
WO2007066497A1 (ja) 歯磨組成物
JP2008115115A (ja) 歯磨剤組成物
JP2020011951A (ja) 口腔用組成物
JP2006182662A (ja) 歯磨剤組成物
KR102369401B1 (ko) 구강용 조성물
JP2015117215A (ja) 歯磨剤組成物
JP2009155217A (ja) 歯磨剤組成物
JP2018043933A (ja) 口腔用組成物
JP5574560B2 (ja) 練歯磨剤組成物及び練歯磨剤組成物の安定性向上方法
KR20210108938A (ko) 구강용 조성물
JP7172028B2 (ja) 口腔用組成物
JP2010143842A (ja) 歯磨剤組成物
JP6753142B2 (ja) 口腔用組成物
JP7087782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133220A (ko) 구강용 조성물
JP7087783B2 (ja) 口腔用組成物
JP7275850B2 (ja) 練歯磨剤組成物
KR102531788B1 (ko) 구강용 조성물 및 그 변색 억제 방법
JP2021143151A (ja) 口腔用組成物
JP2024025295A (ja) 口腔用組成物
JP2011006328A (ja) 歯磨組成物
JP2019119677A (ja) 口腔用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