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19A -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 Google Patents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719A
KR20210108719A KR1020200023661A KR20200023661A KR20210108719A KR 20210108719 A KR20210108719 A KR 20210108719A KR 1020200023661 A KR1020200023661 A KR 1020200023661A KR 20200023661 A KR20200023661 A KR 20200023661A KR 20210108719 A KR20210108719 A KR 2021010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teething
teether
gums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20002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719A/ko
Publication of KR2021010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Teats having orthodontic properties, e.g. for promoting correct teeth develo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부에 의해 유아의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TEETHER WITH IMITATION NIPPLE}
본 발명은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부에 의해 유아의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기의 유아의 경우 치아가 자라는 시기이기 때문에, 자라는 치아로 인하여 간지러움을 느끼게 되고 다양한 물질들을 본능적으로 빨거나 씹게 된다. 이때, 금속성 물질이나 플라스틱 등 딱딱한 재질을 지속적으로 씹게 되는 경우에는 자라나는 치아의 치아열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유아의 치아 발육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치발기는 이러한 구강기에 있는 유아의 치아가 예쁘게 자라고 치아열이 바르게 형성되도록 부드러운 물질로 형성되어 유아가 마음껏 물어뜯을 수 있도록 제조된 제품이다.
하지만 종래의 치발기는 단순히 유아가 좋아하는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정도에 그쳐서 유아가 쉽게 실증을 느껴 오래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발기는 유아의 잇몸 전체를 고루 자극하지 못하였으며, 치발기가 유아의 입에서 자주 빠져 유아가 바닥에 떨어진 것을 다시 주워서 치발기를 입에 넣게 될 경우, 바닥에 묻어 있는 먼지나 세균 등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한편, 치발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7957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부에 의해 유아의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는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치발기부; 및 상기 치발기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갈 젖꼭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치발기부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발기부는 유아의 잇몸 모양과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발기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몸체부의 구멍과 상기 공갈 젖꼭지의 내측 공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흐름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는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에 의해 유아의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치발기만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금세 지루함을 느껴 치발 작용의 지속시간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재사용 횟수도 줄어들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치발기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물게 되면 어금니 부분을 포함하여 자연스럽게 치발기부를 깊숙히 물게 되어 치발기가 잇몸 깊숙이 삽입될 수 있어서 잇몸 전체 영역에 치발기가 삽입 배치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공갈 젖꼭지를 물고 있으려는 유아의 습성 때문에 유아의 구강이 공갈 젖꼭지를 잡고 있게 되므로 치발기가 입에서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발기부가 어금니용 치발기부 및 앞니용 치발기부를 포함하여 유아의 잇몸 형태와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치발기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가 형성되어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고루 자극함으로써 치아 발육 및 치아열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가 유아의 잇몸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가 유아의 잇몸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는 치발기부(10)와, 상기 치발기부(10)에 일체로 형성된 공갈 젖꼭지(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치발기부(10)는 유아의 잇몸(100) 전체 영역을 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유아의 잇몸(100) 모양과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30)에 고정되며, 유아가 치발기부(10)를 씹을 때 유아의 잇몸 중 어금니 부분과 맞닿는 어금니용 치발기부(11)가 양단에 형성되고, 유아가 치발기부(10)를 씹을 때 유아의 잇몸 중 앞니 부분과 맞닿는 앞니용 치발기부(12)가 양단의 어금니용 치발기부(11)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어금니용 치발기부(11)와 앞니용 치발기부(12)를 포함하는 치발기부(10)의 표면 전체에는 유아의 치아 발육을 도모하기 위한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치발기부(10)의 중앙 상단에는 공갈 젖꼭지(20)가 일체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갈 젖꼭지(20)의 내측 공간과 몸체부(30)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31)을 연통하는 공기 흐름 통로(32)가 치발기부(10)와 몸체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공기 흐름 통로(32)와 몸체부(30) 하단의 구멍(31)을 통해 상기 공갈 젖꼭지(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공갈 젖꼭지(20)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유아가 공갈 젖꼭지(20)를 씹으면 압력에 의해 공갈 젖꼭지(20) 내부의 공기가 공기 흐름 통로(32) 및 몸체부(30)의 구멍(31)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되고, 이후 유아가 공갈 젖꼭지(20)를 씹지 않을 때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몸체부(30)의 구멍(31) 및 공기 흐름 통로(32)를 통해 공갈 젖꼭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3에서는 몸체부(30)의 하단에만 구멍(3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공갈 젖꼭지(20)의 상단에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고 공기 흐름 통로(32)가 몸체부(30) 하단의 구멍(31)과 공갈 젖꼭지 상단의 구멍(미도시)을 연결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몸체부(30)의 하단에는 유아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40)가 형성되며, 몸체부(30)와 치발기부(10) 및 치발용 돌기(13)는 유아의 피부 및 잇몸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소프트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위생 처리된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생존을 위해 '빨기 반응'을 가지고 태어나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빨거나 무엇이든지 입에 넣고 있기를 즐기게 된다. 그리고 아기의 빨기 반응은 모유나 분유를 먹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아기들이 입으로 규칙적인 리듬을 발생시킴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치발기부(10)에 공갈 젖꼭지(2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20)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부(10)에 의해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자발적으로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줄 수 있다. 즉, 치발기만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금세 지루함을 느껴 치발 작용의 지속시간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재사용 횟수도 줄어들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치발기부(10)에 공갈 젖꼭지(2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치발기부(10)가 어금니용 치발기부(11) 및 앞니용 치발기부(12)를 포함하여 유아의 잇몸(100) 형태와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치발기부(10)의 표면 전체에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13)가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공갈 젖꼭지(20)를 입에 넣고 빨면서 자연스럽게 치발기부(10)를 씹으면 어금니용 치발기부(11) 및 앞니용 치발기부(12)의 치발용 돌기(13)가 각각 유아 잇몸(100)의 어금니 부분 및 앞니 부분과 맞닿게 되면서 유아의 잇몸(100) 전체 영역을 고루 자극하여 치아 발육 및 치아열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유아가 공갈 젖꼭지(20)를 물게 되면 자연스럽게 치발기부(10)를 깊숙히 물게 되어 치발기가 잇몸(100) 전체에 배치되면서 어금니 부분의 잇몸(100)까지 들어가게 되어 잇몸(100) 전체에 치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공갈 젖꼭지(20)를 물고 있으려는 유아의 습성 때문에 치발기가 쉽게 입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는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자극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입에 넣고 빨면 자연스럽게 치발기에 의해 유아의 잇몸 전체가 자극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치발기만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금세 지루함을 느껴 치발 작용의 지속시간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재사용 횟수도 줄어들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치발기부에 공갈 젖꼭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치발기를 자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치발기의 사용 지속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가 공갈 젖꼭지를 물게 되면 어금니 부분을 포함하여 자연스럽게 치발기부를 깊숙히 물게 되어 치발기가 잇몸 깊숙이 삽입될 수 있어서 잇몸 전체 영역에 치발기가 삽입 배치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공갈 젖꼭지를 물고 있으려는 유아의 습성 때문에 유아의 구강이 공갈 젖꼭지를 잡고 있게 되므로 치발기가 입에서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발기부가 어금니용 치발기부 및 앞니용 치발기부를 포함하여 유아의 잇몸 형태와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치발기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가 형성되어 유아의 잇몸 전체 영역을 고루 자극함으로써 치아 발육 및 치아열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치발기부
11 : 어금니용 치발기
12 : 앞니용 치발기
13 : 치발용 돌기
20 : 공갈 젖꼭지
30 : 몸체부
31 : 구멍
32 : 공기 흐름 통로
40 : 손잡이부
100 : 유아 잇몸

Claims (4)

  1.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치발기부; 및
    상기 치발기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갈 젖꼭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발기부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치발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발기부는 유아의 잇몸 모양과 유사한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발기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몸체부의 구멍과 상기 공갈 젖꼭지의 내측 공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흐름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KR1020200023661A 2020-02-26 2020-02-26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KR2021010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61A KR20210108719A (ko) 2020-02-26 2020-02-26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61A KR20210108719A (ko) 2020-02-26 2020-02-26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19A true KR20210108719A (ko) 2021-09-03

Family

ID=7778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661A KR20210108719A (ko) 2020-02-26 2020-02-26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877B1 (ko) 2021-12-30 2022-11-18 앙쥬 주식회사 홀더 장치
KR102642609B1 (ko) 2022-11-30 2024-02-29 이상민 수면 호흡 개선용 구강 착용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877B1 (ko) 2021-12-30 2022-11-18 앙쥬 주식회사 홀더 장치
KR102642609B1 (ko) 2022-11-30 2024-02-29 이상민 수면 호흡 개선용 구강 착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1878A (en) Baby teething gum massager
US6767357B2 (en) Teething ring and bearing plate
US7029491B2 (en) Pacifier
PL216191B1 (pl) Smoczek do utrzymywania prawidłowego uzębienia u dziecka
KR102119019B1 (ko)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ES2209903T3 (es) Tetina de chupete, y chupete con una tetina de este tipo.
KR20210108719A (ko)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US10874593B2 (en) Pacifier to train proper tongue position
KR20190058462A (ko)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FI108276B (fi) Hupitutti
US20170290745A1 (en) Device to Prevent or Reduce Early Childhood Caries
JP3405304B2 (ja) おしゃぶり
CN211024202U (zh) 一种多功能牙胶
JP2013528097A (ja) 乳幼児用おしゃぶり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KR101976272B1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RU2808477C2 (ru) Соска-пустышка для приучения к правильному положению языка
JP6226970B2 (ja) 幼児用の成熟を促す誘導おしゃぶり
US20220151878A1 (en) Studded Pacifier
CN209316549U (zh) 一种牙胶
KR100378140B1 (ko) 유아칫솔인형
US20170290647A1 (en) Pacifier to Prevent or Reduce Early Childhood Caries
JP2001309965A (ja) 乳幼児の口唇運動促進システム及び口唇運動促進方法
WO2016174381A1 (en) Improvements in baby and infant pacifier weaning methods
JP4045065B2 (ja) おしゃぶ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