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62A -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62A
KR20190058462A KR1020197005632A KR20197005632A KR20190058462A KR 20190058462 A KR20190058462 A KR 20190058462A KR 1020197005632 A KR1020197005632 A KR 1020197005632A KR 20197005632 A KR20197005632 A KR 20197005632A KR 20190058462 A KR20190058462 A KR 2019005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ules
head portion
development device
body portion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서린 윈드릿지
Original Assignee
매치스틱 몽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치스틱 몽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매치스틱 몽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61J17/1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conjoined with soft cushions or toy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본체 부분(3) 및 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헤드 부분(5)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듈들(11)은 헤드 부분(5)의 표면(9)으로부터 돌출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본 발명은 입을 치료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치아 발육 중인 어린 아이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의도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teeth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치아 발육 링들(teething rings)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이 공지되어 있고, 치아 발육중인 어린 아이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의도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통상적으로 탄성중합체 또는 겔-충전된(gel-filled) 플라스틱 재료로서 압축가능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아이는, 치아 발육이 발생하는 잇몸들(gums)의 영역들에서 고통 및 불편함을 덜기 위해 압축가능한 재료 위를 씹는다(chew on). 겔-충전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잇몸 영역이 또한, 아이가 디바이스를 씹으면서 차가워지도록, 냉장고 또는 냉동기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 8 내지 13개월에 잇몸들을 처음 뚫고 나오는 것(break through)은 유아의 입의 전방부의 앞니들(incisors)이다. 그러나, 치아 발육 동안 발생하는 많은 불편함은, 13 내지 33개월 사이의 어느 때까지도 뚫고 나오려는 경향이 없는 입의 후방 쪽의 더 큰 어금니들(molars)에 의해 실제로 유발된다. 아이가 입의 전방부의 불편함을 덜기 위해 이전에 언급된 디바이스들을 용이하게 씹을 수 있지만, 링들 및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아이의 입의 후방부에 접근하는 것은 종종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입의 후방부 쪽에서 경험되는 고통 및 불편함은 이러한 공지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덜어질 수 없다.
겔들 및 분말들의 형태의 치아 발육 의약품이 또한, 공지되고 있고, 아이의 잇몸들에 직접적으로 도포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는, 의약품을 부모 또는 보호자의 손가락에 놓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후, 손가락은 아이의 잇몸 상에 문질어진다. 대안적으로, 의약품이 치아 발육 링 또는 유사한 치아 발육 디바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후, 디바이스는 이들을 위해 씹기 위해 아이에게 간단히 주어진다. 손가락 상이든 치아 발육 디바이스 상이든 배치된다면, 입의 최후방 영역들에 도달하기 위해 충분히 긴 손가락 또는 디바이스 상에 의약품을 유지시키는 것은 어렵다. 손가락 또는 디바이스가 입에 진입하자마자, 의악품은 하나의 단일 위치에서 떨어지는 경향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단지 즉시 의약품의 전체 양을 멀리 빨아드릴 것이다. 또한, 의약품이 손가락을 사용하여 도포되고 있는 경우에, 아이가 이미 다수의 치아들로 손가락을 아래로 씹고(chew down) 있다면, 보호자는 자신이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치아 발육 치료들 및 디바이스들의 이전에 언급된 단점들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체 부분, 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헤드 부분(head portion), 및 헤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노듈들(nodules)을 포함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노듈”은, 예를 들어, 칫솔들 및 다른 치아 발육 디바이스들 상에서 발견되는 브리스틀들과 비교하여, 둥근 최상부 및 비교적으로 짧은 높이, 또는 길이를 가지는 럼프(lump) 또는 돌기(protuberance)이다.
각각의 노듈은 직경(D)을 가지며, 그리고 노듈들은, 임의의 2개의 인접한 노듈들 사이의 거리가 D와 동일하거나 D보다 더 작도록 헤드 부분의 표면 상에 배열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인접한 노듈들 사이의 거리는 D보다 더 작다.
각각의 노듈은 헤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높이(H)만큼 돌출하며, 여기서 H는 직경(D)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노듈들은 헤드 부분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들은 헤드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체 부분은 세장형(elongate)일 수 있으며, 그리고 헤드 부분은 본체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이격된 위치들에서 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본체 부분의 대향 측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이러한 핸들 부재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제,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의 전방도, 후방도 및 측면도 각각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서 “IV” 및 “V”로 마킹된 디바이스의 헤드 부분의 영역들의 상세도들이다.
일반적으로 "1"로 지정되는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다. 디바이스(1)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식용 실리콘 고무(food grade silicone rubber)와 같은 적절한 압축가능한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moulded). 디바이스(1)는 본체 부분(3) 및 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헤드 부분(5)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리고 예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어린 아이에게 매력적이도록 동물(예컨대, 원숭이, 기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 부분(3)은 세장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헤드 부분(5)은 본체 부분(5)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헤드 부분(5)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헤드 부분 위에 형성되는 동물의 면을 가지는 하부 표면(7)을 갖는다. 헤드 부분의 상부 표면(9)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이고, 이 상부 표면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듈들(11)을 갖는다. 도 4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듈(11)은 직경(D)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노듈들(11)은, 임의의 2개의 인접한 노듈들(11) 사이에 길이 방향 및/또는 횡 방향으로의 거리(X)는 D와 동일하거나 D보다 더 작도록, 헤드 부분(5)의 상부 표면(9)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인접한 노듈들 사이의 거리(X)는 D보다 더 작다.
도 5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듈(11)은 헤드 부분(5)의 상부 표면(9)으로부터 높이(H)만큼 돌출한다.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직경(D)의 두 배 이하이다. 도 2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노듈들(11)은 헤드 부분(5)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열들은 헤드 부분(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는 본체 부분(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부재(13, 1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핸들 부재(13, 19)는 이격된 위치들에 본체 부분(3)에 부착되는 제1 단부(15, 21) 및 제2 단부(17, 23)를 갖는다. 예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 부분(3)의 대향 측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이러한 핸들 부재들(13, 19)을 더 포함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사용시에, 디바이스는, 이들의 불편함을 덜기 위해 압축가능한 헤드 부분(5) 및 노듈들(11) 위를 간단히 씹고 있는 치아 발육 중인 아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치아 발육 의약품, 예컨대 치아 발육 겔 또는 분말이 헤드 부분(5)의 상부 표면(9)에 도포된다. 의약품은 보급될 것이고, 노듈들(11) 사이의 갭들을 충전할 것이며, 그리고 따라서 노듈들에 의해 헤드 부분(5) 상에서 리테이닝될(retained) 것이다. 그 후, 아이는 아이의 입에 헤드 부분을 배치할 수 있고, 헤드 부분 위를 씹을 수 있고, 그리고 그렇다면, 의약품을 고통 또는 불편함이 존재하는 잇몸들(gums)의 영역에 도포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듈들을 디바이스의 헤드 부분 상에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은 기본적인 치아 발육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치아 발육 의약품이 아이의 잇몸들을 치료하기 위해 디바이스 상에 효과적으로 리테이닝될 수 있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체 부분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 부분을 갖는 것은, 아이가, 단지 전방 잇몸 영역을 사용하여 씹는 것 대신에, 입의 전방 및 후방 잇몸 영역들 양자 모두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상대적으로 서로 근접한 노듈들을 가지는 것은, 의약품이 최후방 잇몸 영역들을 치료할 수 있기 전에 디바이스로부터 의약품이 떨어지거나 흡입되는 것 대신에, 의약품이 또한 전방 및 후방 잇몸 영역 양자 모두를 치료하기에 충분히 길게 디바이스 상에 리테이닝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이가 이미 다수의 치아들을 가지고 있다면, 부모 또는 보호자가 손가락을 아이의 입에 배치해야 하는 것(이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음)을 회피한다. 강모들(bristles) 대신에 상대적으로 짧은 노듈들을 활용하는 것은 또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면서 보다 긴 강모들로 아이가 질식할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노듈들은 또한, 아이의 잇몸들 상에서 치료가 끝날 수 없는 경우에, 디바이스의 헤드 상에 배치되는 임의의 겔 또는 분말이 긴 강모들 사이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과 대조적으로, 여전히 아이의 잇몸들에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치아 발육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또한, 자신들의 치아에 칫솔질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배우고 있는 어린 아이들을 위한 훈련용 칫솔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짧은 노듈들은 치아들 및 잇몸들로부터 형성물들을 부드럽게 제거한다. 치아 발육 의약품과 유사하게, 치약은 노듈들 사이의 갭들에 유지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헤드 부분을 본체 부분에 연결시키는 넥(neck) 또는 웨브(web)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수정들 및 개선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Claims (9)

  1. 본체 부분(body portion),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헤드 부분(head portion), 및
    상기 헤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노듈들(nodules)을 포함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teething device).
  2.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듈은 직경(D)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노듈들은, 임의의 2개의 인접한 노듈들 사이의 거리가 D와 동일하거나 D보다 더 작도록 상기 헤드 부분의 표면 상에 배열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임의의 2개의 인접한 노듈들 사이의 거리는 D보다 더 작은,
    치아 발육 디바이스.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듈은 상기 헤드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높이(H)만큼 돌출하며, 상기 H는 직경(D)의 2배 이하인,
    치아 발육 디바이스.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듈들은 상기 헤드 부분에 걸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들(rows)로 배열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듈들은 상기 헤드 부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들로 배열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은 세장형이며, 그리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이격된 위치들에서 상기 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가지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부분의 대향 측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핸들 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핸들 부재는 이격된 위치들에서 상기 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가지는,
    치아 발육 디바이스.
KR1020197005632A 2016-07-26 2017-07-25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KR20190058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2940.5 2016-07-26
GB1612940.5A GB2552512A (en) 2016-07-26 2016-07-26 An improved teething device
PCT/GB2017/052163 WO2018020229A1 (en) 2016-07-26 2017-07-25 An improved teet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62A true KR20190058462A (ko) 2019-05-29

Family

ID=5689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632A KR20190058462A (ko) 2016-07-26 2017-07-25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159973A1 (ko)
EP (1) EP3490521A1 (ko)
JP (1) JP2019523075A (ko)
KR (1) KR20190058462A (ko)
CN (1) CN108601708B (ko)
CA (1) CA3032131A1 (ko)
GB (1) GB2552512A (ko)
RU (1) RU2019101915A (ko)
WO (1) WO2018020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975B2 (en) * 2017-06-01 2019-06-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197584B2 (en) * 2018-04-11 2021-12-14 Busy Baby LLC Teething spoon
WO2021211846A1 (en) * 2020-04-16 2021-10-21 Nuni Pacifier cover and teether
USD1013882S1 (en) 2020-04-16 2024-02-06 Luke Haynie Pacifier shield accessory
US20220125685A1 (en) * 2020-10-27 2022-04-28 Nina D. Farzin Oral Device For A Baby
USD1015548S1 (en) 2021-07-26 2024-02-20 Nuni Pacifier
GB2609909A (en) * 2021-08-09 2023-02-22 Matchstick Monkey Ltd Moulded infant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1759A (en) * 1994-04-26 1998-01-27 Smith; Jennifer Maria Oral hygiene device
US7607189B2 (en) * 2004-07-14 2009-10-27 Colgate-Palmolive Oral care implement
CN2793086Y (zh) * 2005-03-23 2006-07-05 毛文升 按摩皂
CN201019685Y (zh) * 2007-01-11 2008-02-13 董永泰 清洁布
US20090248073A1 (en) * 2008-03-28 2009-10-01 Kliegman Adriana B Baby teething devices having teething ridges
CN201683293U (zh) * 2010-05-14 2010-12-29 谭官蓉 一种便携式牙刷
US20140075763A1 (en) * 2012-09-16 2014-03-20 Stephanie Karns Eating or oral care utensil
WO2014099718A1 (en) * 2012-12-21 2014-06-26 Carlon Holdings Llc Omnidirectional oral care brush
WO2015127301A1 (en) * 2014-02-20 2015-08-27 Entegris, Inc. Nodule ratios for targeted enhanced cleaning performance
CN204484812U (zh) * 2015-01-05 2015-07-22 佛山市早教通电子有限公司 磨牙棒装置
CN204655538U (zh) * 2015-05-25 2015-09-23 浙江润强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多功能婴幼儿磨牙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2131A1 (en) 2018-02-01
EP3490521A1 (en) 2019-06-05
RU2019101915A (ru) 2020-08-26
GB201612940D0 (en) 2016-09-07
RU2019101915A3 (ko) 2020-10-06
JP2019523075A (ja) 2019-08-22
WO2018020229A1 (en) 2018-02-01
CN108601708B (zh) 2021-02-19
CN108601708A (zh) 2018-09-28
US20190159973A1 (en) 2019-05-30
GB2552512A (en)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462A (ko) 개선된 치아 발육 디바이스
US9295616B2 (en) Teether
US5334218A (en) Teething pacifier with semi-circular teething member
US20090005810A1 (en) Teething device
JP2008067732A (ja) 口腔筋トレーニング器具
US20090249571A1 (en) Device for massaging the jaw or cleaning the teeth,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device
PL216191B1 (pl) Smoczek do utrzymywania prawidłowego uzębienia u dziecka
KR102119019B1 (ko)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JP2005516681A (ja) 歯固め
WO2016191826A1 (en) Dental trays or mouthguards
US20090035048A1 (en) Finger toothbrush
WO2009002583A1 (en) Infant toothbrush
KR101784056B1 (ko)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Diwanji et al. Modified bluegrass appliance: a nonpunitive therapy for thumb sucking in pediatric patients—a case report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KR20210108719A (ko) 공갈 젖꼭지 겸용 치발기
KR101976272B1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Gairuboyina et al. Non-nutritive sucking habits: a review
CN211024202U (zh) 一种多功能牙胶
WO2021020476A1 (ja) ブラッシング方法
JP2007130117A (ja) 噛む歯ブラシ
US20190307650A1 (en) Multi-purpose teething device
KR101189599B1 (ko) 개선된 구조의 치아발육기
US20190388304A1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CN209984617U (zh) 一种婴幼儿口欲啃咬器
US20240156568A1 (en) Bite-safe dental ca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