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056B1 -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4056B1 KR101784056B1 KR1020150016199A KR20150016199A KR101784056B1 KR 101784056 B1 KR101784056 B1 KR 101784056B1 KR 1020150016199 A KR1020150016199 A KR 1020150016199A KR 20150016199 A KR20150016199 A KR 20150016199A KR 101784056 B1 KR101784056 B1 KR 101784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protrusions
- chewing gum
- main body
- de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의 품종별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분석 및 저작 기능 분석을 기초로 치태 내지 치석 제거에 보다 효과적인 덴탈 츄잉 껌을 제공한다.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부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가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돌출부들 중의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반려견의 치석 내지 치태 제거를 위한 덴탈 츄잉 껌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반려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반려견의 치아 상태의 관리와 치주 질환 치료의 중요성이 점차 증진되고 있다. 치주 질환은 작은 동물들의 구강 질병들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것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애완 품종은 치주 질환에 걸리기 쉬우며, 생후 2년이 될 때까지 개의 약 80%, 고양이의 약 70%가 다양한 형태의 치주 질환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치주 질환은 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치태(입 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세균들이 타액 내의 특정 성분과 서로 엉겨 붙어 형성), 치석(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태가 굳어져 형성) 등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바, 치주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치태 내지 치석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치태 내지 치석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치아 솔질, 치아 위생 껌 및 씹는 장난감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방법에 따르더라도 반려견의 치태 내지 치석 제거의 확실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특히, 치태, 치석 제거를 위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관해 진행되는 기존의 연구 활동은, 껌 속에 치약 또는 다른 약제 성분을 포함하여 치태, 치석을 제거하는 기술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보조적으로 덴탈 츄잉 껌이 치아와 마찰하여 치태, 치석이 제거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반려견의 구강 구조는 치아의 크기, 치아의 형상, 상악, 하악의 크기 등에서 사람의 구강 구조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반려견의 품종들 간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종래의 덴탈 츄잉 껌의 형상은, 이와 같은 반려견의 구강 구조의 과학적 분석을 기초로 구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치태 내지 치석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견의 품종별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분석 및 저작(咀嚼) 기능 분석을 기초로 치태 내지 치석 제거에 보다 효과적인 형상을 갖는 덴탈 츄잉 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부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가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돌출부들 중의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있어서,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본체부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들은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표면에 돌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요철 형상, 톱니 형상 및 물결 무늬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에 있어서, 본체부의 단면의 직경은 4mm 이상이며, 돌출부의 높이는 4.2mm 내지 8.2mm의 범위 또는 4.6mm 내지 6.9mm의 범위이다.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의 최대 폭은 1.9mm 내지 4.9mm의 범위 또는 2.2mm 내지 4.1mm의 범위이다. 본체부의 길이는 45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에 있어서, 본체부는 코일 형태로 휘어지면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은, 반려견의 품종별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저작 기능적 분석을 기초로 치태 내지 치석 제거에 보다 효과적인 덴탈 츄잉 껌의 형상을 제공하므로, 기존의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과 비교하여 충분한 저작 시간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치아의 전체 표면과 효과적으로 마찰이 가능하여 치석 내지 치태 제거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1a, 도1b, 도1c, 도1d는 반려견 구강 구조의 치아 인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덴탈 츄잉 껌의 형상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주요 측정 대상들(구강 내 치아 평가 대상들)을 표시한 이미지이다.
도1a는 상악의 치아 인상을 아래로부터 찍은 이미지이다.
도1b는 하악의 치아 인상의 측면 이미지이다.
도1c는 하악의 치아 인상 중 첫번째 구치와 네번째 소구치를 위에서 찍은 이미지이다.
도1d는 상악의 치아 인상과 하악의 치아 인상을 결합한 상태에서 찍은 측면 이미지이다.
도2a는 말티즈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2b는 미니어쳐 푸들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2c는 시츄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3은 반려견의 저작 모션을 화상 해석 프로그램으로 추적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1a 내지 도1d에 표시된 측정 대상들 중 치아 간 간격을 품종별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의 돌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결 무늬 형상의 돌기를 구비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코일 형태로 휘어지면서 연장하는 형태를 갖는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a는 상악의 치아 인상을 아래로부터 찍은 이미지이다.
도1b는 하악의 치아 인상의 측면 이미지이다.
도1c는 하악의 치아 인상 중 첫번째 구치와 네번째 소구치를 위에서 찍은 이미지이다.
도1d는 상악의 치아 인상과 하악의 치아 인상을 결합한 상태에서 찍은 측면 이미지이다.
도2a는 말티즈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2b는 미니어쳐 푸들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2c는 시츄의 치아 인상의 대표적인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이다.
도3은 반려견의 저작 모션을 화상 해석 프로그램으로 추적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1a 내지 도1d에 표시된 측정 대상들 중 치아 간 간격을 품종별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의 돌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결 무늬 형상의 돌기를 구비한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코일 형태로 휘어지면서 연장하는 형태를 갖는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치석 제거를 위한 덴탈 츄잉 껌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반려견의 치석, 치태 제거를 위한 덴탈 츄잉 껌을 개발하기 위해, 반려견의 특정 품종들에 대하여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분석과 저작 기능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사육두수가 높은 3종류의 실험 견(말티즈, 푸들, 시츄)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류의 실험견들 중에서 치아를 발치하지 않은 25 마리(즉, 말티즈 9 마리, 미니어쳐 푸들 8 마리, 시츄 8 마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 선택된 품종들은 국내에서 반려견의 사육두수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일종의 토이 품종으로서, 통상 평균적인 반려견의 크기보다 그 크기가 작다. 또한, 본 분석을 실행함에 있어서 반려견의 노화에 따른 오차를 제외하기 위해, 분석 대상 애완견의 연령은 7년 이하로 제한하였다.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분석에 있어서는, 각 실험 견들의 치아 인상(teeth impression)을 제작한 후, 제작된 치안 인상에 기초하여 주요 측정 대상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해부학적 분석을 위한 실험 견의 마취에 앞서, 혈액 분석과 흉부 X선을 통해 실험 견의 몸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개에서 이상 소견은 없었다. 실험 견의 마취를 위해 틸레타민(tiletamine), 졸라제팜(zolazepam), 트라마톨(tramadol), 그리고 메데토미딘(medetomidine)의 조합물(Tiletamine HCl 25mg/ml, zolazepam HCl 25mg/ml, tramadol HCl 40mg/ml 및 medetomidine HCl 0.2mg/ml) 과 마취제(anesthesia)(0.03ml/kg)가 정맥 주사되었고, 치아 인상을 위해 옐로우 스톤과 알지네이트(alginate)이 함께 사용되었다. 옐로우 스톤으로 만들어진 치아 인상은 디지털 캘리퍼스(digital calipers)로 측정되었다.
도1a 내지 도1d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실험 견의 치아 인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측정 대상들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측정 대상들은 다음과 같다.
-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 Widest Distance from Maxilla to Mandible)
-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 사이의 간격(A)
-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을 잇는 가상의 직선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전치(앞니)의 후면까지의 길이(B)
- 상악의 세번째 소구치(PM3), 네번째 소구치(PM4), 첫번째 구치(M1) 각각의 길이(L), 폭(W) 및 높이(H),
- 하악의 네번째 소구치(PM4), 첫번째 구치(M1)의 각각의 길이, 폭(W) 및 높이(H)
- 상악의 세번째 소구치(PM3)의 정점과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 사이의 간격(G1)
-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과 첫번째 구치(M1)의 정점 사이의 간격(G2)
- 하악의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과 첫번째 구치(M1)의 정점 사이의 간격(G3)
- 하악의 첫번째 구치(M1)의 정점과 두번째 구치(M2)의 정점 사이의 간격(G4)
저작 기능 분석과 관련하여서는, 실제로 실험 견이 껌을 저작하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여러 각도로부터 촬영한 후, 공지의 화상 해석 프로그램(Adobe After Effect®)을 이용하여 치아의 모션을 추적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3에는 그 결과로서 상악과 하악의 송곳니(C) 및 네번째 소구치(PM4)의 모션의 추적 결과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과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견의 해부학적 분석, 관련 측정치들에 대한 검토 결과가 상세히 기술된다.
1. 구강 구조의 해부학적 분석
가.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
본원 발명자는, 대체로 반려견의 경우 상악과 하악 사이의 간격이 사람에 비해 크므로, 덴탈 츄잉 껌의 두께가 반려견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간격에 비해 얇은 경우 덴탈 츄잉껌이 저작 과정에서 치아 전체 표면과 효과적으로 마찰하기 어렵다는 점을 착안하여, 델탈 츄잉껌의 최적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반려견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정하였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을 측정한 결과는 평균 약 4mm을 중심으로 그 간격의 변동 범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시츄의 경우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도 약 4m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과 하악 사이에 간격이 가장 큰 부위에서는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 간에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덴탈 츄잉 껌들의 형상을 측정해 본 결과, 통상 덴탈 츄잉 껌의 두께는 3.5mm보다 작았다. 따라서,이러한 덴탈 츄잉 껌은 저작 과정에서 치아 전체 표면과 효과적으로 마찰하기 어렵다.
나. 주요 치아의 길이, 폭, 높이
치태 내지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려견의 상악의 세번째 전구치(PM3), 네번째 전구치(PM4) 및 첫번째 구치(M1)와 하악의 네번째 소구치(PM4), 첫번째 구치(M1)와 같은 중요 치아들에 대한 치태 내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반려견의 경우, 예를 들어 네번째 전구치와 첫번째 구치 부분은 효과적으로 칫솟질을 해주기가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치아들의 측정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표1의 측정치들과 관련해서는, 만-휘트니 U 테스트(Mann-Whitney U test)가 통계적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0.05보다 작은 P값(유의 확률)이 통계적 유효 숫자로서 고려되었다. 예컨대, 말티즈의 상악의 세번째 소구치(PM3)의 길이 값들의 군과 미니어쳐 푸들의 상악의 세번째 소구치(PM3)의 길이 값들의 군에 대하여 P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 두 군은 통계적으로 서로 다른 것으로 본다. 이를 표시하기 위해 아래 표1에서는 6.06±0.41과 5.36±0.60에 서로 다른 인덱스들, "a","b"를 덧붙였다. 각 비교 군들에 대하여 P값이 0.05보다 큰 경우에는, 동일한 인덱스를 덧붙였다. 즉, 표1에서 서로 동일한 인덱스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없는 것이다.
말티즈 | 미니어쳐 푸들 | 시츄 | ||
상악 세번째 소구치(PM3) | 길이(L) | 6.06±0.41 a | 5.36±0.60 b | 7.09±0.22 c |
폭(W) | 2.87±0.33 a | 3.16±0.27 a, b | 3.21±0.17 b | |
높이(H) | 3.20±0.38 a | 3.22±0.46 a | 4.02±0.13 b | |
상악 네번째 소구치(PM4) | 길이(L) | 11.99±0.55 a | 12.91±0.69 b | 11.37±0.72 a |
폭(W) | 5.27±0.36 a | 5.60±0.17 a | 4.39±0.18 b | |
높이(H) | 6.41±0.45 a | 6.69±0.15 a | 4.77±0.60 b | |
상악 첫번째 구치(M1) | 길이(L) | 8.27±0.45 a | 8.89±0.27 b | 7.82±0.42 a |
폭(W) | 9.04±0.68 a | 9.59±0.48 a, b | 8.53±0.68 b | |
높이(H) | 4.16±0.37 a | 4.26±0.33 a | 3.60±0.42 b | |
하악 네번째 소구치(PM4) | 길이(L) | 6.53±0.23 a | 6.66±0.45 a | 5.79±0.42 b |
폭(W) | 3.74±0.22 a | 3.86±0.23 a | 3.40±0.30 b | |
높이(H) | 4.52±0.33 a | 4.80±0.39 a | 3.61±0.40 b | |
하악 첫번째 구치(M1) | 길이(L) | 13.77±0.67 a | 14.33±0.63 a | 12.18±0.03 b |
폭(W) | 5.46±0.38 a | 5.86±0.23 a, b | 5.14±0.42 b | |
높이(H) | 7.22±0.58 a | 7.64±0.48 a | 5.91±0.64 b |
(단위:mm)
다. 치아 간 간격
상악의 세번째 소구치(PM3)의 정점과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 사이의 간격(G1),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과 첫번째 구치(M1)의 정점 사이의 간격(G2), 하악의 네번째 소구치(PM4)의 정점과 첫번째 구치(M1)의 정점 사이의 간격(G3), 하악의 첫번째 구치(M1)의 정점과 두번째 구치(M2)의 정점 사이의 간격(G4)이 디지털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인 측정 결과는 도6에 품종별로 도시되었다.
다. 상악의 소구치 말단 사이의 간격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 사이의 간격(A),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을 잇는 가상의 직선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전치(앞니)의 후면까지의 길이(B)가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2와 같다.
말티즈 | 미니어쳐 푸들 | 시츄 | |
A | 39.11±0.91 a | 38.89±0.99 a | 47.63±0.27 b |
B | 41.53±0.66 a | 46.25±0.20 b | 32.50±0.62 c |
(단위:mm)
라. 분석 결과
상술한 측정 결과들에 따르면,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 사이에 상악/하악 및 치아의 구조적인 특징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는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의 치아들은 그 구조가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시츄는 앞선 두 품종들과는 구조상 차이가 좀 더 분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컨대, 치아 크기 면에서, 시츄는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에 비해 일반적으로 작았다. 또한, 치아 간격 면에서도, 시츄는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에 비해 일반적으로 작았다.
2. 저작 기능 분석
실험 견들의 저작 모션을 분석한 결과, 저작 모션 중에 각 치아는 특정한 움직임 패턴을 갖는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 상악과 하악의 송곳니(C)와 네번째 소구치(PM4)의 이동을 추적한 결과, 대략 타원형의 움직임 패턴이 나타났다. 또한, 타원형 움직임 패턴의 수평 방향의 폭으로 나타날 수 있는 치아의 전후 이동 범위에 있어서는, 상악 보다 하악의 치아가 더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덴탈 츄잉 껌은 상술한 해부학적 분석 및 저작 기능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안출된 것이다.
통상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은 개질된 밀 글루텐으로 대표되는 씹거나 먹을 수 있는 성분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덴탈 츄잉 껌이 치아와 마찰하여 효과적으로 치태 내지 치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덴탈 츄잉 껌이 소정치 이상의 기계적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덴탈 츄잉 껌이 너무 높은 기계적 경도를 가지면 부서지지 쉽고, 반려견이 부서진 덴탈 츄잉 껌을 삼키는 경우 더 이상 저작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저작 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츄잉 껌이 부서지지 않고 오래 저작될 수 있도록 질기고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질기고 유연한 재료는 기계적 경도가 낮기 때문에 치태 내지 치석 제거에 유효한 치아와의 마찰을 일으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치석 내지 치태 제거를 위한 재질의 기계적 경도와 효과적인 마찰에 관한 요구들은 서로 상충되는 면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덴탈 츄잉 껌은, 반려견의 상악과 하악 사이의 큰 공간에 비해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치아의 전체 표면과 마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덴탈 츄잉 껌은 납작한 판 형태이어서, 반려견의 저작 행위에 의해 (예컨대 2 조각 이상으로) 부서지기 쉽다. 작은 조각들로 부서진 덴탈 츄잉 껌은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반려견에 의해 삼켜지기 쉽고, 충분한 저작 시간이 확보될 수 없다. 덴탈 츄잉 껌을 질기고 유연한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저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츄잉 껌의 기계적 경도 감소에 따른 마찰력 감소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치석 내지 치태 제거에 반드시 바람직하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100)을 도시한다.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1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 상에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부(110)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20)와 본체부(11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본체부(110)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이다. 본체부(110)는 그 내부에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L)으로 본체부(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코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코어부(160)와 코어부(160)의 길이 방향의 측면을 감싸는 외부 코팅부(140)를 더 포함한다. 코어부(160)는 덴탈 츄잉 껌(100)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또는 공지의 다른 목적, 예컨대 반려견 취향의 맛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목적에 따라 코어부(160)는 외부 코팅부(140)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일정한 기계적 경도를 갖는 재료로 구성된 본체부(110) 상에 복수의 돌출부(120)들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츄잉 껌(100)(특히, 본체부(110))이 저작 과정에서 쉽게 2 조각으로 부서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한 체적(또는 단면의 두께)을 갖는 본체부(110) 상에 복수의 돌출부(120)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악과 하악의 치아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공간에 있어서도,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사이에 본체부(110)가 적절하게 접촉하게 되고, 본체부(110) 상의 돌출부(120)들 사이의 대략 V자 형태의 공간에 치아가 적절히 삽입하여 접촉하게 되어서 돌출부(120)들이 치아의 전체 표면과 효과적으로 마찰할 수 있다.
도 6은, 도5에 A로 표시된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 상에 형성된 돌기부(130)는 톱니 바퀴 형상이다.
도 7은, 톱니 바퀴 형상 대신 물결 무늬 형상을 취한 돌기부(130)를 갖는 덴탈 츄잉 껌(100)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탈 츄잉 껌(200)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델탈 츄잉 껌의 본체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덴탈 츄잉 껌(100)의 본체부(110)와 유사한 단면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210)는 그 길이 방향으로 코일 형태로 휘어지면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덴탈 츄잉 껌의 길이(L, 덴탈 츄잉 껌(100)의 일단부로부터 나머지 단부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면, 도5에 도시된 형태의 덴탈 츄잉 껌(100)의 돌출부(120)에 비해 돌출부(220)의 외부 면적과 길이가 더 커지게 되므로, 저작 과정에서 치아와 돌출부(220)의 마찰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덴탈 츄잉 껌의 본체부(110, 210)의 직경, 돌출부(120, 220)의 형상, 높이, 배치, 돌출부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 등을 상술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더욱 개선될 수 있다.
1. 돌출부들의 형상 및 배치
본 발명에서, 돌출부(120, 220)들은 저작 과정에서 반려견의 치아가 덴탈 츄잉 껌(100, 200)의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에 적절히 삽입되어 접촉되도록, 돌출부(120, 220)들 사이에 대략 V자 형태의 공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번의 저작 행위에 의해 덴탈 츄잉 껌(100, 200)이 개별 치아의 전체 표면과 실질적으로 마찰하기 위해서는, 치아가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으로 파고 들어가기 쉽고, 일단 치아가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으로 파고 들어가면 치아의 전체 표면이 돌출부(120, 220)들과 마찰하게 되도록 돌출부(120, 220)의 형상 및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의 형상을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덴탈 츄잉 껌에서는, 본체부(110, 2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각 돌출부(120, 220)는 돌출할수록 폭이 감소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20, 220)들은 본체부(110, 21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부(120, 220)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본체부(110, 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 사이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역삼각형 내지 V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 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120, 220)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려견의 치아가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에 쉽게 파고 들어가게 되고, 일단 치아가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에 파고 들어가게 되면 치아의 전체 표면이 돌출부(120, 220)와 마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120, 220)는 그 돌출부(120, 220) 전체 표면에 걸쳐서 복수의 돌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돌기부는 도시의 목적상 생략되었으나, 도 8의 돌출부(220)도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음) 돌기부(130)는 돌출부(120, 220) 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복수의 요철의 형태를 가지거나, 톱니 바퀴 또는 물결 무늬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치아로부터 치석 내지 치태를 긁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돌출부(120, 220) 자체도 치아의 표면과 마찰하여 치아 표면으로부터 치석 내지 치태를 제거하는 역할을 일부 수행하지만, 돌출부(120, 220)는 일차적으로 돌기부(130)들이 치아의 전체 표면과의 마찰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고, 돌기부(130)가 실질적으로 치아 표면과 마찰하여 치아 표면으로부터 치석 내지 치태를 좀 더 세밀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치아의 전체 표면이 돌기부(130)와 효과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치석 내지 치태가 제거되는 효과가 향상된다.
2. 본체부의 직경, 덴탈 츄잉 껌의 직경 및 돌출부의 높이
여기서, 덴탈 츄잉 껌의 직경이란 본체부(110, 210)의 직경(D1) 및 돌출부(120, 220)의 높이(H1)를 함께 고려한 것으로서, 본체부(110, 210)의 직경(D1)에 돌출부의 높이(H1)의 두 배를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본체부(110, 210)의 직경은 품종별 상악과 하악 사이의 최대 간격(WDMM), 상악과 하악 사이의 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약 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려견이 입을 벌렸을 때의 상악의 치아와 하악의 치아 간의 간격을 고려할 때, 본체부(110, 210)의 직경은 약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덴탈 츄잉 껌의 재질에 따라 본체부의 직경의 수치 범위를 다소 다르게 설정할 수 있지만, 본체부(110, 210) 직경을 4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덴탈 츄잉 껌이 저작 행위에 의해 쉽게 2 조각으로 부서지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은 치아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역할을 하므로, 돌출부의 높이(H1)는 품종별 치아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어쳐 푸들과 말티즈는 통계적으로 유사한 치아 구조를 갖는데 반해, 시츄는 상기 품종들과는 상이한 치아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측정 결과에 따르면, 말티즈와 미니어쳐 푸들의 경우, 치아 높이는 최대값이 약 7.2mm, 최소값은 약 3.2mm, 평균은 (5.2 ± 2.6)mm로 측정되었다. 덴탈 츄잉 껌(100, 200)이 한번의 저작 활동에서 가능한한 치아의 전체 표면과 마찰하기 위해, 돌출부(120, 220)의 높이(H1,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120, 220)들 사이의 공간의 깊이)는 치아의 높이보다는 조금 더 길게, 예컨대 약 1mm 만큼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120, 220)의 높이(H1)는, 약 4.2mm 내지 약 8.2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부(110, 210)의 직경이 약 4mm라고 가정했을 때, 덴탈 츄잉 껌(100, 200)의 직경은 약 12.4mm(4.2mm*2 + 4mm) 내지 약 20.4mm(8.2mm * 2 + 4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시츄의 경우, 치아의 높이는 최대값이 약 5.9mm, 최소값은 약 3.6mm, 평균은 약 (4.4 ± 1.0)mm로 측정되었다. 마찬가지로, 덴탈 츄잉 껌(100, 200)이 한번의 저작활동에서 가능한 한 치아 전체와 마찰하기 위해, 돌출부(120, 220)의 높이(H1)는 치아의 높이 보다는 조금 더 길게, 예컨대 약 1mm 만큼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120, 220)의 높이는 약 4.6mm 내지 약 6.9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10, 210)의 직경이 약 4mm라고 가정했을 때, 덴탈 츄잉 껌(100, 200)의 직경은 약 13.2mm(4.6mm * 2 + 4mm) 내지 약 17.8mm(5.9mm * 2 + 4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 돌출부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W1)은 치아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말티즈, 미니어쳐 푸들의 경우, 치아의 폭은 최대값이 약 5.9mm, 최소값은 약 2.9mm, 평균은 약 (4.5 ± 1.2)mm로 측정되었다.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W1)이 너무 작으면 저작 과정에서 치아가 효과적으로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을 파고 들어가기 어렵고,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W1)이 너무 크면 치아가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을 파고 들어가더라도 돌출부(120, 220)와 치아 표면 간의 마찰이 줄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W1)은 치아의 폭보다 조금 작게, 예컨대 약 1mm만큼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0, 220)들 사이 공간의 최대폭(W1)은 약 1.9mm 내지 약 4.9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시츄의 경우, 치아의 폭은 최대값은 약 5.1mm, 최소값은 약 3.2mm, 평균이 약 (4.2±0.8)mm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돌출부(120)들 사이 공간의 최대폭(W1)은 약 2.2mm 내지 약 4.1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4. 덴탈 츄잉 껌의 길이
덴탈 츄잉 껌(100, 200)의 길이(L)는 반려견의 구강 크기, 즉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 사이의 간격(A)과 상악의 네번째 소구치들(PM4) 말단을 잇는 가상의 직선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전치의 후면까지의 길이(B)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껌의 길이가 A 및 B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은 경우, 반려견이 한번에 껌을 삼킬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저작 시간이 감소되고, 치석 내지 치태를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저작 시간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말티즈와 미니어쳐 푸들의 경우, A = 약 39.3mm, B = 약 43.4mm로 측정되었으며, 시츄의 경우 A = 약 47.6 mm, B = 약 32.5 mm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덴탈 츄잉 껌(100, 200)의 길이(L)는 약 4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약 60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반려견이 종종 앞다리로 껌을 드는 습관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덴탈 츄잉 껌(100, 200)의 길이(L)는 약 120mm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상술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형상 또는 수치 범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 반려견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3 종류의 반려견(말티즈, 미니어쳐 푸들, 시츄)의 해부학적 분석 및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본원 발명의 덴탈 츄잉 껌의 돌출부들의 형상 및 배치, 본체부의 직경, 덴탈 츄잉 껌의 직경 및 돌출부의 높이, 돌출부들 사이 공간의 최대 폭, 덴탈 츄잉 껌의 길이 등은,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 반려견이 종류의 변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본체부
120: 돌출부
130: 돌기부
160: 코어
120: 돌출부
130: 돌기부
160: 코어
Claims (14)
-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는 원 형상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는 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은 역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간들은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4.2mm 내지 8.2mm의 범위이고,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의 최대 폭은 1.9mm 내지 4.9mm의 범위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단면의 직경은 4mm 내지 12mm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길이 방향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외부 코팅부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는, 그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요철 형상, 톱니 형상 및 물결 무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4.6mm 내지 6.9mm의 범위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의 최대 폭은 2.2mm 내지 4.1mm의 범위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는 45mm 이상인,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코일 형태로 휘어지면서 연장하는, 반려견용 덴탈 츄잉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16716 | 2014-09-03 | ||
KR1020140116716 | 2014-09-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333A KR20160028333A (ko) | 2016-03-11 |
KR101784056B1 true KR101784056B1 (ko) | 2017-10-10 |
Family
ID=5558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6199A KR101784056B1 (ko) | 2014-09-03 | 2015-02-02 |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40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398A (ko) | 2019-02-14 | 2020-08-24 | (주)벨벳케어 | 고양이용 덴탈 껌 |
KR20200104989A (ko) | 2019-02-28 | 2020-09-07 | 양정민 | 반려동물 덴탈 기능성 놀이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6000B1 (ko) * | 2019-06-18 | 2021-04-29 | 주식회사 펫클럽 | 원료육이 코팅된 반려동물용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641611B1 (ko) * | 2023-08-16 | 2024-02-28 | 조앤강 주식회사 | 반려견 구강케어용 덴탈 껌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8436A (ja) * | 2000-08-22 | 2002-02-26 | Takayuki Kamiyama | ドッグフード |
US20040137118A1 (en) * | 2003-01-09 | 2004-07-15 | Axelrod Glen S. | Animal chew toy with flossing ribs/projections |
US20060102099A1 (en) | 2004-11-12 | 2006-05-18 | Edwards Philip L | Polymeric dog bone |
KR101009987B1 (ko) * | 2010-05-26 | 2011-01-21 | 주식회사 포켄스 | 애완동물용 덴탈 껌 |
US20130101648A1 (en) | 2011-10-25 | 2013-04-25 | T.F.H. Publications, Inc. | Ascophyllum nodosum animal chews |
-
2015
- 2015-02-02 KR KR1020150016199A patent/KR101784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8436A (ja) * | 2000-08-22 | 2002-02-26 | Takayuki Kamiyama | ドッグフード |
US20040137118A1 (en) * | 2003-01-09 | 2004-07-15 | Axelrod Glen S. | Animal chew toy with flossing ribs/projections |
US20060102099A1 (en) | 2004-11-12 | 2006-05-18 | Edwards Philip L | Polymeric dog bone |
KR101009987B1 (ko) * | 2010-05-26 | 2011-01-21 | 주식회사 포켄스 | 애완동물용 덴탈 껌 |
US20130101648A1 (en) | 2011-10-25 | 2013-04-25 | T.F.H. Publications, Inc. | Ascophyllum nodosum animal chew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398A (ko) | 2019-02-14 | 2020-08-24 | (주)벨벳케어 | 고양이용 덴탈 껌 |
KR20200104989A (ko) | 2019-02-28 | 2020-09-07 | 양정민 | 반려동물 덴탈 기능성 놀이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333A (ko) | 2016-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38001A (en) | Canine and feline toothbrush | |
US5647302A (en) | Animal dental hygiene device | |
Akaltan et al. |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wo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s on tooth stabilization and periodontal health | |
KR101784056B1 (ko) |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 |
EP2389800A2 (en) | Pet dental chew | |
KR20090003238A (ko) | 애완동물용 츄 용품 | |
CN108601641A (zh) | 动物牙齿卫生装置 | |
US20150223594A1 (en) | Toothbrush for human or non-human subjects | |
Yi et al. | Long‐term follow‐up of cross‐arch fixed partial dentures in patients with advanced periodontal destruction: evaluation of occlusion and subjective function | |
Van der Weijden et al. | Mechanical plaque removal in step‐1 of care | |
KR20090105197A (ko) | 다용도 칫솔 | |
EP0655209A1 (en) | Toothbrush | |
Wiggs et al. | Dental disease in rodents | |
US20170280864A1 (en) | Three toothbrush designed to adapt to the 3 different mouth shapes (narrow, average, wide) | |
KR102299312B1 (ko) | 고양이용 덴탈 껌 | |
KR100871479B1 (ko) | 애완견용 칫솔 | |
Ray Jr et al. | Dental homecare: teaching your clients to care for their pet's teeth | |
JP3149503U (ja) | 噛む歯ブラシ | |
JP2007130117A (ja) | 噛む歯ブラシ | |
CN107149506A (zh) | 一种预防儿童龋齿的涂氟装置及其制作方法 | |
Capello | We are not smaller rabbits, either-dentistry of other rodent species and ferrets. | |
Kim et al. |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gum for cats considering their anatomical features of dentition | |
EP1558108B1 (en) | Interdental brush | |
KR102641611B1 (ko) | 반려견 구강케어용 덴탈 껌 | |
JP2002058436A (ja) | ドッグフー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