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479B1 - 애완견용 칫솔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479B1
KR100871479B1 KR1020070073300A KR20070073300A KR100871479B1 KR 100871479 B1 KR100871479 B1 KR 100871479B1 KR 1020070073300 A KR1020070073300 A KR 1020070073300A KR 20070073300 A KR20070073300 A KR 20070073300A KR 100871479 B1 KR100871479 B1 KR 10087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bristles
bi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택
Original Assignee
이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택 filed Critical 이병택
Priority to KR102007007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6Toothbrush for cleaning animal teeth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의 중앙에 홈이 핸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하는 한편, 둘레면과 하부면 및 상기 홈에 쿠션재가 설치되게 하여 칫솔질 도중 치아로 칫솔을 물 경우 치아가 칫솔에 부딪히면서 고통이 수반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치아가 파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헤드를 애완견의 치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 및 애완견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애완견 특유의 용기부 상방구조에 축적되는 치태를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애완견, 칫솔, 쿠션재, 파절방지, 고통방지

Description

애완견용 칫솔{A toothbrush for a petdog}
본 발명은 애완견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의 중앙에 홈이 핸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하는 한편, 둘레면과 하부면 및 상기 홈에 쿠션재가 설치되게 하여 칫솔질 도중 치아로 칫솔을 물 경우, 치아가 칫솔에 부딪히면서 고통이 수반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치아가 파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헤드를 애완견의 치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 및 애완견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애완견 특유의 용기부 상방구조에 축적되는 치태를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애완견의 치아는 사람의 치아의 면(aspect) 구조 발달과 달리 육식 동물 특유의 교두(cusp) 발달에 의한 치아 구조를 갖는데, 치아의 교두와 교두 사이 골이 상당히 깊게 형성된다.
또한 치아 치경선의 치은 만곡부위가 하나의 치아에 두 개씩 형성되고, 잇몸 상부에는 특유의 융기부(도 9 참조)가 형성되어, 치태 축적에 쉽게 노출되는데, 애완견은 융기부 상방에 주로 치태가 축적되어 일반적인 칫솔질로는 치아의 청결성이 떨어지는 한편, 잇몸에 과도한 자극을 주게 된다.
그리고 애완견은 인내력의 한계 때문에 칫솔질 시간을 짧게 하여야 하는데, 시간이 길어지거나 칫솔질을 싫어하는 애완견인 경우 칫솔질 도중 치아로 칫솔을 물게 되어 치아가 딱딱한 재질로 된 칫솔의 헤드에 부딪히게 된다.
그래서 고통을 주게 되는 한편, 치아가 파절되기도 한다.
종래 "V"자 홈을 갖는 헤드에 강모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칫솔이 미국 특허청의 특허출원공개 제US2002/0083539A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V"자 홈 상부의 수평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강모는 상악 제4소구치를 제외한 상, 하악 소구치 부분의 칫솔질시 치아가 아닌 잇몸을 칫솔질하게 되어 잇몸(치은)에 과도한 자극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모는 상, 하악 대구치 교합면 칫솔질시 짧은 강모의 길이로 인하여 혀쪽의 교합면 교두들과의 강모 바닥 부분이나 헤드 프레임부위에 부딪힐 위험성에 의해 치아에 가해지는 유해한 압(측방압)에 의해 치아가 파절될 가능성도 있었다.
그리고 종차에 따른 치아 두께와 길이가 다양한 한편, 치열에서조차도 치아 두께와 길이가 다양하여, 이러한 다양한 치아에 대처하여 공통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짧은 강모가 "V"자 홈의 공간에 고정되어 예를 들어 치아가 얇고 작은 상, 하악 제1소구치의 경우 칫솔질을 위해서는 헤드 부위 강모 깊숙이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치아 아래 잇몸에 과도한 자극을 주게된다.
치아가 크고 두꺼운 상악 제4소구치나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고정된 "V"자 공간의 적용시 부분적 협소화 및 부분적 광범위화로 인한 강모의 효과적인 칫솔질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헤드의 중앙에 홈이 핸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게 하는 한편, 둘레면과 하부면 및 상기 홈에 쿠션재가 설치되게 하여 칫솔질 도중 치아로 칫솔을 물 경우 치아가 칫솔에 부딪히면서 고통이 수반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치아가 파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헤드를 애완견의 치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 및 애완견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애완견 특유의 용기부 상방에 축적되는 치태를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용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모를 갖는 헤드가 핸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애완견용 칫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각 모서리마다에 원형의 돌출부(110a)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각 돌출부(110a)들의 사이마다에 원호를 이루는 함몰부(110b)(110c)가 형성되게 하고, 중앙에 핸들(120) 방향으로 길게 홈(101)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홈(101)의 양쪽이 다단계의 단(102)(103)(104)으로 형성되게 하며, 홈(101)의 양쪽과 각 단(102)(103)(104)에 강모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헤드(110)의 둘레면과, 상부면 홈(101)과, 저면 중앙에 쿠션재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헤드(110)의 선단부의 강모는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중단부와 후단부의 강모는 끝이 모이게 사선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것과, 상기 중단부의 강모 높이는 후단부의 강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애완견용 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헤드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칫솔질 도중 치아로 칫솔을 물 경우 치아가 헤드에 부딪히면서 고통이 수반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치아가 파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를 애완견의 치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 및 애완견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사선 방향을 이루면서 끝부분이 모이게 되는 강모들에 의해 애완견 특유의 용기부 상방에 축적되는 치태를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애완견용 칫솔 본체(100)는 헤드(110)와, 핸들(12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110)는 옆으로 긴 판체로 형성되는데, 각 모서리 마다 에는 원형의 돌출부(110a)가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부분에는 완만한 곡선의 제1함몰 부(110b)가 형성되며, 앞쪽과 뒤쪽을 이루는 부분에는 원호를 이루는 제2함몰부(110c)가 형성된다.
즉, 각 모서리마다 에는 돌출부(110a)가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돌출부(110a) 사이에는 완만한 곡선의 제1함몰부(110b)가 형성되며, 앞쪽과 뒤쪽을 이루는 돌출부(110a) 사이에는 원호를 이루는 제2함몰부(110c)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110)의 중앙에는 핸들(120)의 방향으로 길게 홈(101)이 형성되는데, 이 홈(101)의 양쪽에 점차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다수개의 단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헤드(110)의 둘레면에는 상부쿠션(105)과 하부쿠션(107)이 협동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쿠션(105)의 중앙 즉, 상기 홈(101)에는 상부중앙쿠션재(106)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하부중앙쿠션재(108)가 설치된다.
상기 쿠션(105)(107) 및 상, 하부중앙쿠션재(106)(108)는 소프트한 고무재질로 된다.
상기 헤드(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단 중 헤드(110)의 선단부(도면상 왼쪽)에 형성되는 단은 도 3 도시와 같이 홈(101)에서 제1단(102)이 상부로 돌출 되고, 제1단(102)에서 제2단(103)이 상부로 돌출 되며, 제2단(103)에서 제3단(104)이 상부로 돌출 되는데, 홈(10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 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01)의 양쪽 및 각 단(102)(103)(104)에는 수직으로 제1강모(112)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110)의 후단부(도면상 오른쪽)에 형성되는 단은 도 5 도시와 같이 홈(101)에서 제1단(102)이 상부로 돌출 되고, 제1단(102)에서 제2단(103)이 상부로 돌출 되며, 제2단(103)에서 제3단(104)이 상부로 돌출 되는데, 홈(10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 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01)의 양쪽 및 각 단(102)(103)(104)에는 끝이 모이게 사선을 이루면서 제3강모(116)설치된다.
상기 헤드(110)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중앙인 중단부에 형성되는 단은 도 4 도시와 같이 홈(101)에서 제1단(102)이 상부로 돌출 되고, 제1단(102)에서 제2단(103)이 상부로 돌출 되는데, 홈(101)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 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01)의 양쪽 및 각 단(102)(103)에는 끝이 모이게 사선을 이루면서 제2강모(114)가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제1강모(112)의 간격(g), 제2강모(114)간격(g) 및 제3강모(116)의 간격(g)은 0.2mm로 되는데, 애완견의 크기에 따라 점차 간격을 증가하여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강모(112)의 높이(h)는 제3강모(116)의 양쪽 강모 높이(h)와 같게 되는데, 제2강모(114)의 양쪽 끝 강모의 높이(h)는 제1 및 제3강모(112)(116)에 비해 높게 된다.
상기 핸들(120)은 도 6 및 도 7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좋은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논슬립돌기(12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끝부분에는 걸이구멍(1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헤드(110)과 핸들(120)이 연결되는 목부(130)는 도 9 및 도 10 도시와 같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물림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림각도조절수단의 일 실시 예로는 헤드(110) 측과 핸들측(120)에 각기 원형의 결속판(131)을 구비하고, 상기 두 결속판(131)의 마주 대하는 면에 호형을 따라 물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두 결속판을 결속하는 결속볼트(13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판(131)의 물림이 탄성 유동 가능하여 사용자의 힘에 의한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상기 결속볼트(132)가 가압스프링(133)을 매개로 결속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림각도조절수단에 의한 조절각도는 10°내외로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헤드(110)의 형상이 각 모서리에 돌출부(110a)가 형성되고, 측면을 이루는 돌출부(110a) 사이에는 완만한 곡선의 제1함몰부(110b)가 형성되며, 앞쪽과 뒤쪽을 이루는 돌출부(110a) 사이에는 원호를 이루는 제2함몰부(110c)가 형성되어, 애완견들이 선호하는 뼈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110)의 둘레면에는 상부쿠션(105)과 하부쿠션(107)이 협동하여 설치되고, 홈(101)에는 상부중앙쿠션재(106)가 설치되며, 하부면에는 하부중앙쿠션재(108)가 설치되어, 칫솔질시 최후방 치아 뒤쪽 부위와 부딪혀도 애완견에게 고통을 주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치아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측방압)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며, 칫솔질 도중 헤드(110)를 물어도 치아가 손상(파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그리고 헤드(110)의 선단부에는 수직을 이루는 제1강모(112)가, 중단부와 후단부에는 사선을 이루는 제2 및 제3강모(114)(116)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핸들(120)에 형성되는 논슬립돌기(121)에 의해 칫솔질 시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하고, 걸이구멍(122)에 의해 칫솔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사선으로 설치되는 제2강모(114)와 사선으로 설치되는 제3강모(116)에 의해 소구치의 치아구조에 적합하게 되는데, 수지그로 설치되는 제1강모(112)는 전치부(견치포함), 그리고 구치부(대구치) 교합면 칫솔질시 사용케 된다.
상기 제1강모(112), 제2강모(114), 제3강모(116)는 절단(교합면) 쪽에서의 앞, 뒤 방향으로 칫솔질시 치경부의 앞쪽과 뒤쪽 및 교합면을 동시에 칫솔질 되게 한다. 상기에 있어, 제2강모(114)와 제3강모(116)는 도 11 도시와 같이 융기부 상방에 축적되는 치태를 과도한 자극 없이도 깨끗하게 제거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 헤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 헤드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부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한 다른 실시 예의 측면도,
도 9,10은 도 8 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사용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01 : 홈
102 : 제1단 103 : 제2단
104 : 제3단 105 : 상부쿠션
106 : 상부중앙쿠션재 107 : 하부쿠션
108 : 하부중앙쿠션재 110 : 헤드
110a : 돌출부 110b,110c : 함몰부
112 : 제1강모 114 : 제2강모
116 : 제3강모 120 : 핸들
121 : 논슬립돌기 122 : 걸이구멍
130 : 목부
131 : 결속판 132 : 결속볼트 133 : 가압스프링

Claims (5)

  1. 강모를 갖는 헤드가 핸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애완견용 칫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각 모서리마다에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각 돌출부들의 사이마다에 원호를 이루는 함몰부가 형성되게 하고, 중앙에 핸들 방향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홈의 양쪽이 다단계의 단으로 형성되게 하며, 홈의 양쪽과 각 단에 강모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둘레면과, 상부면 홈과, 저면 중앙에 쿠션재가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선단부의 강모는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중단부와 후단부의 강모는 끝이 모이게 사선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부의 강모 높이는 후단부의 강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와 핸들이 연결되는 목부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물림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성하되,
    상기 물림각도조절수단은 헤드 측과 핸들측에 각기 원형의 결속판을 구비하고, 상기 두 결속판의 마주 대하는 면에 호형을 따라 물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두 결속판을 결속하는 결속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판의 물림이 탄성 유동 가능하여 사용자의 힘에 의한 각도 조절되게 상기 결속볼트가 가압스프링을 매개로 결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경용 칫솔.
KR1020070073300A 2007-07-23 2007-07-23 애완견용 칫솔 KR10087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00A KR100871479B1 (ko) 2007-07-23 2007-07-23 애완견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00A KR100871479B1 (ko) 2007-07-23 2007-07-23 애완견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479B1 true KR100871479B1 (ko) 2008-12-05

Family

ID=4037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300A KR100871479B1 (ko) 2007-07-23 2007-07-23 애완견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08B1 (ko) * 2018-12-18 2019-06-11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KR20200025703A (ko) * 2018-08-31 2020-03-10 최순규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20200001151U (ko) 2018-11-26 2020-06-03 김길중 반려동물용 치아청결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3221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3221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703A (ko) * 2018-08-31 2020-03-10 최순규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102100362B1 (ko) * 2018-08-31 2020-04-13 최순규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20200001151U (ko) 2018-11-26 2020-06-03 김길중 반려동물용 치아청결도구
KR101987908B1 (ko) * 2018-12-18 2019-06-11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WO2020130501A1 (ko) * 2018-12-18 2020-06-25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227B1 (en) Orthodontic toothbrush
US5201092A (en) Periodontal toothbrush
US9198501B2 (en) Bristle configuration
US20090158543A1 (en) Toothbrush
JPH0725827U (ja) 歯清掃装置
US20170265638A1 (en) Tooth brush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20160125725A (ko) 칫솔
US20210068526A1 (en) Toothbrush
KR100871479B1 (ko) 애완견용 칫솔
US4625357A (en) Toothbrush
US8166600B2 (en) Toothbrush for pet dog
KR101784056B1 (ko)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
JPH0430304B2 (ko)
US20170280864A1 (en) Three toothbrush designed to adapt to the 3 different mouth shapes (narrow, average, wide)
US8561248B2 (en) Flexible, ergonomic toothbrush with replaceable bristles
JP6746770B1 (ja) ブラッシング方法
US11464323B2 (en) Toothbrush
US20140283321A1 (en) Toothbrush
JP3065391U (ja) 歯ブラシ構造
CN205180707U (zh) 一种儿童牙刷
KR101349545B1 (ko) 교정자용 칫솔
EP4027938B1 (en) Veterinary medical device
US20180352944A1 (en) Dental hygeine device utilizing axial forces and related methods
US20140088627A1 (en) Tongue cleaning apparatus
KR20090007274U (ko) 애완견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