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62B1 -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 Google Patents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62B1
KR102100362B1 KR1020180103480A KR20180103480A KR102100362B1 KR 102100362 B1 KR102100362 B1 KR 102100362B1 KR 1020180103480 A KR1020180103480 A KR 1020180103480A KR 20180103480 A KR20180103480 A KR 20180103480A KR 102100362 B1 KR102100362 B1 KR 10210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s
cap
gingival
toothbr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703A (ko
Inventor
최순규
Original Assignee
최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규 filed Critical 최순규
Priority to KR102018010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53Bristles having a shape which is not a straight line, e.g. curved, "S", hook, loo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칫솔모를 구부려만든 곡선모 칫솔에 관한것으로서,
칫솔이 U자형태의 단면을 가진 칫솔에서 외측 가장자리칫솔모의 끝단부가 칫솔면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 칫솔질할때 칫솔모가 치아면을 타고 치은열구 속으로 들어가게되어 잇몸을 보호하며 치아면의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위하여 칫솔의 가장외측에 양측의 칫솔모다발의 끝단부가 각각 칫솔면의 중앙을 향하여 약25도에서 65도의 곡선형태로 구부려서 양쪽테두리 칫솔모가 각각 마주 보게 구부려진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The tooth brush of the curved bristle by bending}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칫솔헤드의 양 외측방 열에 식모된 칫솔모의 끝단부를 칫솔면의 내측 중앙을 향하도록 구부려서, 칫솔모의 끝단부가 치은열구의 틈새 속에 진입이 잘 되게함으로써 치태를 효과적이며 안정적으로 제거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사 후에 빨리 치태를 제거하여 세균들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칫솔은 일반적으로 치아를 닦는데 주력해 오고 있었다. 기존의 칫솔은 칫솔모를 일률적 길이로 식모하였기 때문에 칫솔면이 평평하므로 치아의 돌출부위의 치태는 잘 닦지만, 치은열구 같이 미세한 틈새부위는 치태제거가 어려워서 치주염의 근원지가 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치은열구라는 특수 틈새에 있는 치태를 제거하는 칫솔과 칫솔질 방법을 연구하는데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다. 칫솔모의 미세화 및 첨형화로 틈새속의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려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3줄모. 2줄모, 1줄모로 칫솔모 다발 수를 줄이고 있고, 최근에는 세계적인 오랄비 칫솔회사에서도 칫솔모 다발을 첨형으로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진국의 칫솔들도 치은염의 원인인 치은열구 내의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존의 칫솔모들은 한결같이 길이가 일정하므로 그 칫솔면이 평탄하다. 그래서 여러 칫솔모의 끄트머리가 동시에 좁고 깊은 치은열구 속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Bass씨가 오래전에 주장한 45도 칫솔질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본인도 평탄면을 U자형태 [도2] 의 칫솔면으로 변화시켜서 치은열구 칫솔을 발명(특허 제10-1444003호)하여 칫솔면의 중앙부가 우묵한 구조를 갖게함으로써 치아의 교두정이 칫솔면에 치받치지 않게하여 칫솔질할 때 치은열구쪽 칫솔모가 치은열구 내부 공간으로 칫솔모가 잘 진입하게 하였다. 그러나 치은열구는 풍융부 아래쪽에 있는 아주 복잡한 입체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직선형태의 칫솔모를 가지고는 치은열구 틈새 속으로 진입하게 하는데 문제가 있고, 또한 일반적인 칫솔질 방법으로는 미세한 틈새 속안에서 직선 칫솔모를 가지고서는 치태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본인은 위 특허를 획기적으로 개량할 필요를 느꼈다. 칫솔모의 대변신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칫솔대의 디자인 변화로는 안된다. 작금에 나와있는 칫솔과 차별화를 시킬 수 없다. 치은열구의 틈새속으로 진입이 잘되는 더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기술을 가진 칫솔모의 발명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었다. 오직 새 칫솔모만이 새로운 칫솔이다.
칫솔의 기능은 닦는 것이다. 치은열구 내부의 치태를 치솔모 끄트머리가 닦으려는 부위에 접촉하여 치아면을 비벼주어 마찰에의한 치테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은 치솔모 끝부분을 구부려주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U자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칫솔면칫솔에서 양측테두리 칫솔모가 칫솔면의 중앙쪽으로 구부려진 곡선모 칫솔를 만드는데 있다.
칫솔면이 U자를 이루어서 1측은 교합면 위에 걸쳐있고,반대측은 치아의 설측이나, 또는 협측을 따라서 치은열구 내부로 진입하는 구조의 칫솔질을 하는데, 치은열구쪽으로 들어가는 칫솔모 중에서 치아면을 타고가는 칫솔모는 끝단부가 내측으로 구부려졌기 때문에 칫솔모의 끄트머리가 치아 풍융부의 아랫쪽 치아면의 표면에 부딪치게 되고, 잇몸쪽의 칫솔모는 끄트머리가 잇몸을 찌르지 않고, 칫솔모의 몸체가 잇몸에 부딪치므로 잇몸이 보호된다. 그래서 잇몸보호 하며, 치아면의 치태제거가 효과적이다.
도 1은 치솔 헤드부분의 치솔모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1
ⓓⓑⓐ의 배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치솔 헤드부분의 치솔모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2
ⓓⓑⓐ의 배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치솔 헤드부분의 치솔모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3
ⓓⓑⓐ의 배열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치은열구치솔의 치솔모가 치아좌,우에 접촉되는 각도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치은열구치솔의 치솔모가 치은열구에 접촉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세설명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표도 및 도1~도5 도시된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솔모 형태와 배열을 ( 도 2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4
) 치은열구에 효과적으로 삽입( 도 5 ⑬ )되도록 하여 치석의 원인이 되는 치태를 손쉽게 제거하므로서 치솔사용의 원래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룰수 있게한다. 치솔헤드 양쪽으로 배열된 치솔모의 끝트머리 형태가 중심부쪽으로 구부려짐( 도 2 )으로서 치은열구내부에 효과적으로 진입되여 ( 도 5 ⑬ )치태 제거작업을 수행하게된다. 이때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5
치솔모는 치아의 풍융부(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6
) 의 표면을 따라 그림과 같이( 가,나 ) 배치됨으로서 잇몸과 치아를 보호하며면서
Figure 112018501570393-pat00007
모 작업을 도우게 된다.
이때
Figure 112020008017653-pat00008
모는 치아 교두정 윗면에 닿아
Figure 112020008017653-pat00009
모가 치은열구내부를 너무 압박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은열구 칫솔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칫솔헤드; 및 상기 칫솔헤드의 상면에 대칭적으로 대향 배치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내측모, 상기 내측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중측모 및 상기 칫솔헤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는 외측모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모는 상기 중측모의 상면 부근 높이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진 후 연장될 때 곡률을 달리하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부의 끝단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칫솔헤드의 상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곡선부는 내측모와 중측모 사이에 상기 끝단이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며, 칫솔질을 할 때, 상기 끝단이 치은열구 속으로 진입하게 되면, 1) 상기 곡선부의 외측 부분은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을 보호하고, 2) 상기 내측모는 치아 교두정 윗면에 맞닿아 상기 끝단이 치은열구 내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은열구 칫솔은 상기 칫솔헤드의 전방에는 최후방 치아의 후면 부위를 닦는데 편리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는 칫솔모가 식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2)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칫솔헤드; 및
    상기 칫솔헤드의 상면에 대칭적으로 대향 배치되는 칫솔모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내측모, 상기 내측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중측모 및 상기 칫솔헤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는 외측모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모는 상기 중측모의 상면 부근 높이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진 후 연장될 때 곡률을 달리하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부의 끝단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칫솔헤드의 상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곡선부는 내측모와 중측모 사이에 상기 끝단이 위치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며,
    칫솔질을 할 때, 상기 끝단이 치은열구 속으로 진입하게 되면, 1) 상기 곡선부의 외측 부분은 잇몸에 접촉하여 잇몸을 보호하고, 2) 상기 내측모는 치아 교두정 윗면에 맞닿아 상기 끝단이 치은열구 내부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열구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의 전방에는 최후방 치아의 후면 부위를 닦는데 편리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는 칫솔모가 식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열구 칫솔
KR1020180103480A 2018-08-31 2018-08-31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10210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80A KR102100362B1 (ko) 2018-08-31 2018-08-31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80A KR102100362B1 (ko) 2018-08-31 2018-08-31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03A KR20200025703A (ko) 2020-03-10
KR102100362B1 true KR102100362B1 (ko) 2020-04-13

Family

ID=6980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80A KR102100362B1 (ko) 2018-08-31 2018-08-31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736B2 (ja) * 1997-11-26 2001-07-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71479B1 (ko) * 2007-07-23 2008-12-05 이병택 애완견용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99U (ja) * 1993-07-20 1995-12-12 株式会社オキナ 歯ブラシ
KR20070001313U (ko) * 2007-09-02 2007-12-24 윤덕하 치아를 감싸면서 구부러진 칫솔모를 가진 칫솔
JP3185736U (ja) * 2013-06-20 2013-08-29 和久 寺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736B2 (ja) * 1997-11-26 2001-07-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71479B1 (ko) * 2007-07-23 2008-12-05 이병택 애완견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03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253B2 (ja) 異なる歯科領域に対し異なるブラシ毛区画を有する歯磨き用マウスピース
RU2021744C1 (ru) Головка зубной щетки (варианты)
JP650990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EP2000046B1 (en) Toothbrush
KR200473116Y1 (ko) 원형모다발과 다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EP0175084B1 (en) Toothbrush
JPH05508566A (ja) 外形輪郭が三次元形状を呈するブラシの毛を有しかつ毛先が丸みを帯び歯肉への刺激を抑えて歯と歯の間を充分に磨けるように改良した歯ブラシ
US5398368A (en) Toothbrush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KR200453026Y1 (ko) 측면양치부 및 전방돌출부가 구비된 칫솔
JP4854280B2 (ja) 歯ブラシ
KR102100362B1 (ko)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JP3163229U (ja) 歯間磨き歯ブラシ
JP5550131B2 (ja) 歯ブラシ
WO2004037038A1 (en) Toothbrush bristl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101164069B1 (ko) 칫솔
JP3143239U (ja) 歯ブラシ
CN213696070U (zh) 一种新型牙刷刷毛
CN218390179U (zh) 一种3d儿童牙刷
JPS59160408A (ja) ハブラシ
JPS6132502Y2 (ko)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JPH0734591Y2 (ja) 歯ブラシ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