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643A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643A
KR20210107643A KR1020217017506A KR20217017506A KR20210107643A KR 20210107643 A KR20210107643 A KR 20210107643A KR 1020217017506 A KR1020217017506 A KR 1020217017506A KR 20217017506 A KR20217017506 A KR 20217017506A KR 20210107643 A KR20210107643 A KR 2021010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ass
compound represented
resin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다부치
Original Assignee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 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26Mixtures of 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08G59/621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68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에폭시 수지와, 해당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에폭시 수지로서, 하기 일반식 (1) 및 하기 일반식 (2)로 각각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경화제로서,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여기서,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프로필기, 또는 n-, i-, 혹은 t-부틸기이다.)
Figure pct00021

(여기서, R3은, H, CH3, 또는 C2H5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997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출원이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렉트로닉스 분야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와, 해당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수지 조성물로서는,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경화됨으로써, 절연 시트의 용도로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포함하기 때문에, 절연 시트의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0-094887호 공보
그러나, 무기 필러를 배합하는 것 이외에,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충분히는 검토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해당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 하기 일반식 (1) 및 하기 일반식 (2)로 각각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로서,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여기서,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프로필기, 또는 n-, i-, 혹은 t-부틸기이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3은, H, CH3, 또는 C2H5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에서, 비교적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조성물에서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기 필러로서, 질화붕소 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화 후에 있어서의 경화물이 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무기 필러가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화 후에 있어서의 경화물의 응집 파괴가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열전도율의 측정에 있어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조성물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물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을 형성하게 되는 성분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중합에 의해 경화물이 되는 중합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의 열전도성이 보다 높아진다고 하는 점에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플라스틱 배합 약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성분의 함유 비율은,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은, 전체 체적을 100체적%로 하였을 때, 무기 필러를 10체적% 이상 60체적%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체적% 이상 50체적%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중합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상기 무기 필러를, 30질량부 이상 9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의 함유 비율이 상기와 같은 체적%의 범위 내가 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첨가제를 0.005질량부 이상 0.1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 0.03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성분으로서, 에폭시 수지와, 해당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성 성분은,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합계로,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에 대한 경화제의 당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2/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3/2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경화제로서,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여기서,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프로필기, 또는 n-, i-, 혹은 t-부틸기이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3은, H, CH3, 또는 C2H5이다.)
상기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에 대한,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질량비는, 0.01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상 0.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의 보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중,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1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에폭시 수지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함유 비율 중, 가장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의 보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중,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 8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질량은,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질량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의 보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에 대한,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과의 질량비[일반식 (2)/일반식 (1)]는,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의 보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제 중, 상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경화제에 있어서의 성분의 함유 비율 중, 가장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화물의 보다 양호한 열전도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하기 식 (1b)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상기 식 (1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4,4'-옥시비스페놀과 1-클로로-2,3-에폭시 프로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1b)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3,3'-옥시비스페놀과 1-클로로-2,3-에폭시 프로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2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하기 식 (2b)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하기 식 (2c)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상기 식 (2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2,5-디-tert-부틸히드로퀴논과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2b)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2,5-디-에틸히드로퀴논과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2c)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2,5-디-iso-프로필히드로퀴논과 1-클로로-2,3-에폭시 프로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는, 상기 일반식 (1),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이외에,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기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1) 및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 수지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서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 중, 하기 식 (3a)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2
상기 경화제는, 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 (3a)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 등의 경화제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민계 경화제,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 이외의 페놀계 경화제, 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아미노디페닐술폰, 디시안디아미드, 디아미노디페닐메탄,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3) 이외의 페놀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 수지, 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 수지, 나프탈렌형 페놀 수지, 비스페놀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질화붕소 필러, 질화알루미늄 필러, 질화규소 필러, 질화갈륨 필러, 알루미나 필러, 탄화규소 필러, 이산화규소 필러, 산화마그네슘 필러, 다이아몬드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필러로서는, 열전도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질화붕소 필러가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는, 질화붕소 필러를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화붕소 필러를 9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질화붕소 필러의 배합량을 바꿈으로써, 경화물의 열전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무기 필러는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글리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경화 촉진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산제, 점착성 부여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공 보조제, 안정제, 소포제, 난연제, 증점제, 안료 등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이미다졸류,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 아민계 경화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아민계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3불화붕소모노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경화 촉진제를 0.5질량부 이상 1.5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합성 성분(에폭시 수지 등)은 중합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물(경화된 수지)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시트상으로 경화되어,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에 사용되어도 된다. 해당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은, 예를 들어 시트상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회로층이 접착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은, 시트상의 수지 조성물 경화물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도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 조성물은,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경화되고, 파워 모듈에 사용되어도 된다. 해당 파워 모듈은, 예를 들어 금속 베이스 회로 기판의 회로층 상에 반도체 칩 또는 파워 IC 등의 발열 소자가 실장되고, 이들 소자가 일단 실리콘 겔에 의해 밀봉되고, 또한 실리콘 겔 상에 수지 몰드가 실시되어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파워 모듈은, 시트상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갖기 때문에, 이 파워 모듈도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예시대로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의 수지 조성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와 같이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경화물에 대해, 열전도성 등의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
하기의 에폭시 수지, 경화제, 경화 촉진제, 및 무기 필러를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폭시 수지:
상기 식 (1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과의 중축합물)(제품명 「YSLV-80DE」닛테츠 케미컬 & 머티리얼사제)
상기 식 (2a)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
(화학명: 2,5-디-t-부틸히드록시퀴논디글리시딜에테르)(제품명 「YDC-1312」닛테츠 케미컬 & 머티리얼사제)
경화제: 상기 식 (3a)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
(화학명: 4,4',4"-메틸리딘트리스페놀)(제품명 「Tris P-PHBA-S」혼슈 가가쿠사제)
경화 촉진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TPP-K(등록 상표), 혹코 가가쿠 고교사제)
무기 필러: 질화붕소 필러(BN 필러)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당량비 1:1로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였다.
또한,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의 경화 촉진제를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였다.
또한,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을 100체적%로 하였을 때, 무기 필러가 48체적%가 되도록 무기 필러를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였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성분으로서, 에폭시 수지를 34.7질량%, 경화제를 0.3질량% 포함하고 있었다. 즉,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이 되는 중합성 성분(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을 35.0질량%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성분(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필러를 65질량부 포함하고 있었다.
(실시예 2)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로서, R3이 H인 페놀 화합물 대신에, R3이 CH3인 페놀 화합물을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경화제로서 하기 식 (4)의 경화제를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3
(단, 식 (4)에 있어서, m은, 1 이상이다.)
(비교예 2)
에폭시 수지로서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고, 경화제로서 상기 식 (4)의 경화제를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4
(단, 식 (5)에 있어서, n은, 1 이상이다.)
(비교예 3)
에폭시 수지로서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필 시험(접착력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전해 구리박(두께: 35㎛)의 편면에 도포하여, 수지층(두께: 145㎛)을 갖는 시트를 2매 제작하였다.
다음에, 2매의 시트를 열 프레스(3.0MPa, 120℃, 20min)하여 수지층끼리를 접합하고, 시트의 배면으로부터 구리박을 1매 박리하였다.
그리고, 이 구리박을 박리한 면에 알루미늄판을 배치시키고, 열 프레스(2.0MPa, 120℃, 20min)에 의해 시트를 알루미늄판에 전착시키고, 또한 해당 시트로부터 구리박을 박리함으로써, 반경화 상태의 시트를 얻었다.
다음에, 이 반경화 상태의 시트에 피착체(구리박 1oz)를 적층하고, 열 프레스(2.0MPa, 180℃, 120min)에 의해 수지층과 피착체를 일체화시킴과 함께, 수지층을 충분히 경화시킨 후, 20㎜×100㎜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잘라낸 것의 피착체를 폭 10㎜ 폭으로 가공(에칭)해 박리 시험용 테스트 피스를 제작하였다.
해당 테스트 피스를 50㎜/min의 박리 속도로 90°필 시험을 실시하고, 피착체와 수지층의 밀착 정도를 접착력에 의해 평가하였다.
<열전도율>
열전도율은 트랜지스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전해 구리박 A(두께: 105㎛)의 편면에 도포하여, 수지층 B(두께: 100㎛)를 갖는 시트를 2매 제작하였다.
다음에, 2매의 시트를 열 프레스(3.0MPa, 120℃, 20min)하여 수지층끼리를 접합하고, 시트의 배면으로부터 구리박을 1매 박리하였다.
그리고, 이 구리박을 박리한 면에 알루미늄판 C를 배치하고, 열 프레스(2.0MPa, 180℃, 120min)에 의해 시트를 알루미늄판에 전착시키고, 수지층 B가 충분히 열경화한 열전도 시트를 얻었다.
이 열전도 시트에 있어서의 구리박을 10×15㎜의 사이즈로 에칭하고, 이 부분에, 트랜지스터 D(TO-220형 「C2233」)를 땜납 E로 고정하고, 알루미늄판 C에 「1W/mㆍK의 방열 그리스」를 적량 도포하여, 여기에 히트 싱크 F를 첩부하였다. 히트 싱크 F의 일부는 냉각수 G(20±3℃)에 침지하였다. 트랜지스터 D에 거는 전압과 전류를 조정하여 트랜지스터의 소비 전력이 10 내지 40W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트랜지스터의 방열부의 바로 밑, 및 알루미늄판 각각에 장착한 열전대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트랜지스터의 방열부의 바로 밑의 온도(Tj)로부터, 알루미늄판의 온도(Ts)를 끌어 와, 그것을 전력으로 나누고, 그 역수로부터 열전도율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15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인 실시예 1, 2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접착력이 동일한 정도였던 비교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경화물의 열전도율이 높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화시킨 경화물을, 전기 절연성 시트재로서 이용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A: 구리박
B: 수지층
C: 알루미늄판
D: 트랜지스터
E: 땜납
F: 히트 싱크
G: 냉각수

Claims (4)

  1. 에폭시 수지와, 해당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 하기 일반식 (1) 및 하기 일반식 (2)로 각각 표시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로서,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여기서,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의 프로필기, 또는 n-, i-, 혹은 t-부틸기이다.)
    Figure pct00018

    (여기서, R3은, H, CH3, 또는 C2H5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로서, 질화붕소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가,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인, 수지 조성물.
KR1020217017506A 2018-12-21 2019-12-11 수지 조성물 KR20210107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9970 2018-12-21
JP2018239970 2018-12-21
PCT/JP2019/048511 WO2020129776A1 (ja) 2018-12-21 2019-12-11 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643A true KR20210107643A (ko) 2021-09-01

Family

ID=711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06A KR20210107643A (ko) 2018-12-21 2019-12-11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01191A4 (ko)
JP (1) JPWO2020129776A1 (ko)
KR (1) KR20210107643A (ko)
CN (1) CN113166372A (ko)
WO (1) WO20201297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887A (ja) 2008-10-16 2010-04-30 Nitto Shinko Kk 絶縁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748B2 (ja) * 1999-07-13 2010-06-30 新日鐵化学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5037370B2 (ja) * 2008-01-23 2012-09-26 新日鐵化学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5457304B2 (ja) * 2010-08-26 2014-04-02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フェノール性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CN109293883A (zh) * 2011-11-02 2019-02-01 日立化成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树脂片、预浸料坯、层叠板、金属基板、印刷配线板和功率半导体装置
US9724276B2 (en) * 2012-08-09 2017-08-08 Valspar Sourcing, Inc. Dental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226664B2 (ja) * 2013-09-19 2017-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ポキシ組成物、及び、熱伝導性シート
JP7056649B2 (ja) * 2017-03-30 2022-04-19 味の素株式会社 ペースト状樹脂組成物
CN107163503B (zh) * 2017-06-02 2020-04-07 江苏华海诚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光电耦合器封装的环氧树脂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4887A (ja) 2008-10-16 2010-04-30 Nitto Shinko Kk 絶縁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1191A4 (en) 2022-08-24
CN113166372A (zh) 2021-07-23
EP3901191A1 (en) 2021-10-27
WO2020129776A1 (ja) 2020-06-25
JPWO2020129776A1 (ja)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390B1 (ko) 다층 수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수지 시트 경화물의 제조 방법, 그리고, 고열전도 수지 시트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39555A1 (en)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KR20130076773A (ko)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 시트 및 수지 조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금속박이 부착된 수지 조성물 시트, b 스테이지 시트, 반경화의 금속박이 부착된 수지 조성물 시트, 메탈 베이스 배선판 재료, 메탈 베이스 배선판, led 광원 부재, 그리고 파워 반도체 장치
JP6477483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樹脂層付きキャリア材料、金属ベース回路基板および電子装置
JP2009292881A (ja) 高熱伝導性エポキシ樹脂系組成物
JP2008280436A (ja) 電気部品用固定用接着シート、電気部品の固定方法
JP2016106395A (ja) 回路基板用積層板、金属ベース回路基板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
KR101612596B1 (ko) 적층체 및 파워 반도체 모듈용 부품의 제조 방법
JP2011116913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ワーモジュール
JP2017098376A (ja) 樹脂組成物、回路基板、発熱体搭載基板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6575321B2 (ja) 樹脂組成物、回路基板、発熱体搭載基板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TWI820139B (zh) 樹脂組成物、樹脂構件、樹脂薄片、b階段薄片、c階段薄片、附有樹脂之金屬箔、金屬基板及電力半導體裝置
KR20210107643A (ko) 수지 조성물
JP2019077859A (ja) 樹脂組成物
CN112739739B (zh) 树脂组合物
JP7231363B2 (ja) 樹脂組成物
JP4075268B2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112823187A (zh) 树脂组合物
WO2021251454A1 (ja) 熱伝導性シート、及び、該熱伝導性シートを備える半導体モジュール
JP2022110408A (ja) 樹脂組成物、及び、熱伝導性シート
JP2022060909A (ja) 樹脂組成物、及び、熱伝導性シート
JP2023107225A (ja) 積層体、及び半導体装置
JP2017098378A (ja) 樹脂組成物、回路基板、発熱体搭載基板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4083780A (ja) 半導体用マウントペースト
JP2015220389A (ja) 回路基板および電子部品実装基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