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228A - 드럼세정용 세정건 - Google Patents

드럼세정용 세정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228A
KR20210107228A KR1020200021860A KR20200021860A KR20210107228A KR 20210107228 A KR20210107228 A KR 20210107228A KR 1020200021860 A KR1020200021860 A KR 1020200021860A KR 20200021860 A KR20200021860 A KR 20200021860A KR 20210107228 A KR20210107228 A KR 2021010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leaning
outer tube
tube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829B1 (ko
Inventor
조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02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8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4Arrangements of conduit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드럼세정용 세정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드럼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하며, 상단이 확장 형성되어 드럼 입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되고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가이드관 외부로 노출되며 가이드관 하부로 노출된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드럼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외측관, 및 외측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외측관 외부로 노출되며 외측관과 완전히 분리되어 드럼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는 내측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세정용 세정건{Cleaning gun for drum}
본 발명은 드럼세정용 세정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하여 드럼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드럼세정용 세정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액상의 화학(chemical) 물질은 빗물, 눈, 공기 등의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고 안전한 보관을 위하여 드럼(Drum) 내부에 수용된다. 드럼은 플라스틱제 원통형 용기로, 상면에 화학물질의 출입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는 마개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드럼은 재활용되는데, 내부에 화학물질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잔존할 수 있으므로 세척 후 재활용해야 한다. 드럼 내부를 세척하지 않고 새로운 화학물질을 보관할 경우, 잔존하는 화학물질과 이물질로 인해 새로운 화학물질이 변질되어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 처분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드럼 내부를 세척하였으나, 작업자가 일일이 세척하다보니 작업자가 화학물질에 노출됨은 물론,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며, 드럼 내부가 완전하게 세척되지 않아 화학물질과 이물질이 여전히 묻어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드럼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세정건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885호 (2012. 02. 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럼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하여 드럼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드럼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하며, 상단이 확장 형성되어 상기 드럼 입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관 하부로 노출된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외측관, 및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외측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외측관과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는 내측관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세정용 세정건은,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단과 하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외측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구멍은 상기 외측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관은 상기 삽입부와 중첩되는 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2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이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제2 노즐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구멍은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세정용 세정건은,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사이가 이격되어 세정액이 통과하는 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로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이 용착된 용착접착부가 형성되어 세정액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세정용 세정건은, 상기 외측관 하부로 노출된 상기 내측관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로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볼수용부, 및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로 굴러 상기 유입구를 막고, 세정액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역류방지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액공급장치와 연결된 외측관이 세정액을 공급받아 드럼 내부로 분사하고, 석션장치와 연결된 내측관이 드럼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드럼 내부가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특히,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 노즐구멍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세정액이 상방으로 분사되어 드럼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세정용 세정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은 드럼(도 4의 D 참조) 내부를 세정하는 것으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드럼(D)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할 수 있다.
드럼세정용 세정건(1)은 세정액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외측관(20)이 세정액을 공급받아 드럼(D) 내부로 분사하고, 석션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내측관(30)이 드럼(D)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드럼(D) 내부가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특히,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 노즐구멍(20a)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세정액이 상방으로 분사되어 드럼(D)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드럼세정용 세정건(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드럼세정용 세정건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은 가이드관(10)과, 외측관(20), 및 내측관(30)을 포함한다.
가이드관(10)은 드럼세정용 세정건(1)을 드럼(D) 입구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드럼(D) 입구라 함은, 드럼(D)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어 화학물질이 주입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가이드관(10)은 화학물질 또는 세정액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풀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이 확장 형성되어 드럼(D) 입구를 덮는 덮개부(11)와, 덮개부(11)로부터 연장되어 드럼(D) 입구를 통과하여 드럼(D) 내부에 수용되는 삽입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1)는 너비가 드럼(D)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드럼(D) 입구를 덮으며, 삽입부(12)는 덮개부(11)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너비가 드럼(D) 입구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드럼(D) 입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D) 입구를 통과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덮개부(11)와 삽입부(12)로 구분하였으나, 덮개부(11)와 삽입부(12)는 가이드관(10)이 구획된 것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관(10)은 중앙에 외측관(20)이 관통한다.
외측관(20)은 드럼(D)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관으로, 일 측이 세정액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측관(20)은 화학물질 또는 세정액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콕시(PFA, perfluoroalkoxy) 재질로 형성되며, 가이드관(1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가이드관(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측관(20)은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20a)이 형성되어 드럼(D)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세정액공급장치로부터 외측관(20)으로 공급된 세정액은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20a)을 통하여 드럼(D) 내부로 분사된다. 제1 노즐구멍(20a)은 외측관(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외측관(20)으로 공급된 세정액은 제1 노즐구멍(20a)을 통해 방사상으로 분사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세정액이 방사상으로 분사되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분사됨으로써, 드럼(D)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구멍(20a)은 외측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므로, 드럼(D) 내주면의 다양한 높이에 일괄적으로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관(10)과 외측관(2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10a)이 형성되며, 공간(10a)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밀폐링(13)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간(10a)의 상단과 하단은 한 쌍의 밀폐링(13)에 의해 밀폐된다. 가이드관(10)과 외측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10a)에 한 쌍의 밀폐링(13)이 배치됨으로써, 가이드관(10)이 외측관(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드럼(D)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D)의 높이가 낮은 경우, 가이드관(10)은 외측관(20)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드럼(D)의 높이가 높은 경우, 가이드관(10)은 외측관(20)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를 늘릴 수 있다. 드럼(D)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가 조절됨으써, 드럼(D)의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외측관(20)은 삽입부(12)와 중첩되는 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0b)이 형성되고, 삽입부(12)는 공간(10a)과 연통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2 노즐구멍(1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관(20)은 삽입부(12)와 중첩되는 부분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0b)이 형성되고, 관통구멍(20b) 하측으로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20a)이 형성된다. 외측관(20)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0b)이 형성되고, 삽입부(12)에 복수 개의 제2 노즐구멍(12a)이 형성됨으로써, 외측관(20)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은 관통구멍(20b)과 제2 노즐구멍(1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드럼(D)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노즐구멍(12a)은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관통구멍(20b)은 수평하게 형성되므로, 세정액의 수압에 의해 가이드관(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드럼(D)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관통구멍(20b)이 제1 노즐구멍(20a) 또는 제2 노즐구멍(12a)과 같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관통구멍(20b)을 통해 상방으로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가이드관(10)이 상방으로 밀려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관(10)이 상방으로 밀려 움직이면,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가 바뀌므로 드럼(D)의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본원 발명은 관통구멍(20b)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세정액의 수압에 의해 가이드관(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노즐구멍(12a)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외측관(20)은 중앙에 내측관(30)이 관통한다.
내측관(30)은 드럼(D) 내부에 분사되어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관으로, 일 측이 석션장치와 연결되어 세정액을 흡입할 수 있다. 내측관(30)은 화학물질 또는 세정액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콕시(PFA, perfluoroalkoxy)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관(2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외측관(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내측관(30)은 외측관(2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내부가 외측관(20)과 완전히 분리되어 드럼(D)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내측관(30)은 외측관(20)으로부터 세정액이 분사된 후 드럼(D)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할 수도 있고, 외측관(20)으로부터 세정액이 분사됨과 동시에 세정액을 흡입할 수도 있다.
외측관(20)와 내측관(30) 사이는 이격되어 세정액이 통과하는 유동로(21)가 형성되며, 유동로(2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외측관(20)과 내측관(30)이 용착된 용착접착부(40)가 형성되어 외측관(20)과 내측관(30)을 고정하면서 세정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용착접착부(40)는 외측관(20)의 상단과 내측관(30) 사이, 및 외측관(20)의 하단과 내측관(30) 사이를 용착하여 유동로(21)를 외부와 분리시킨다. 따라서, 내측관(30) 내부에는 석션장치에 의해 흡입된 세정액이 상방으로 유동하고, 내측관(30) 외부의 유동로(21)에는 세정액공급장치로부터 외측관(20)으로 공급된 세정액이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드럼세정용 세정건(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드럼세정용 세정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은 세정액공급장치와 연결된 외측관(20)이 세정액을 공급받아 드럼(D) 내부로 분사하고, 석션장치와 연결된 내측관(30)이 드럼(D)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드럼(D) 내부가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특히,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 노즐구멍(20a)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세정액이 상방으로 분사되어 드럼(D)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드럼세정용 세정건(1)은 드럼(D)의 높이에 대응하여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되는 외측관(20)의 길이가 조절된 후, 드럼(D)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가이드관(10)의 덮개부(11)는 드럼(D) 입구에 안착되어 드럼(D) 입구를 덮고, 드럼(D) 입구를 관통하여 드럼(D) 내부에 수용된 삽입부(12)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2 노즐구멍(12a)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이드관(10)을 관통하는 외측관(20)은 삽입부(12)와 중첩되는 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0b)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가이드관(10) 하부로 노출된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20a)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20) 하부로 노출된 내측관(30)의 하단부가 드럼(D)의 바닥면에 닿으면, 세정액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세정액이 유동로(21)로 공급된다. 유동로(21)로 공급된 세정액은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20a)을 통하여 상방으로 분사되거나, 복수 개의 관통구멍(20b)과 제2 노즐구멍(1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방으로 분사된다. 세정액이 상방으로 분사됨으로써, 드럼(D) 내부에 묻은 화학물질이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관통구멍(20b)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관(10)은 세정액의 수압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내측관(30)은 세정액이 모두 분사된 후에 세정액을 흡입하거나, 세정액이 분사됨과 동시에 세정액을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드럼(D)과 드럼세정용 세정건(1)을 일 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면, 세정액의 흡입이 보다 용이하여 드럼(D) 내부에 세정액이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a)은 내측관(3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된 볼수용부(50)와, 볼수용부(50)에 수용된 역류방지볼(51)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a)은 내측관(30)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된 볼수용부(50)와, 볼수용부(50)에 수용된 역류방지볼(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정용 세정건(1a)은 외측관(20) 하부로 노출된 내측관(30)의 하측 끝단부에 볼수용부(50)가 형성되며, 볼수용부(50) 내부에 역류방지볼(51)이 수용된다. 볼수용부(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하부로 유입구(50a)가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입되고 상부로 유출구(50b)가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출된다. 즉, 유입구(50a)를 통해 볼수용부(50) 내부로 유입된 세정액은 유출구(50b)를 통해 내측관(30)으로 유출된다. 도면 상에는 볼수용부(50)가 내측관(30)의 하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볼수용부(5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수용부(50)는 내측관(30)의 하측 끝단부에 요철 결합될 수도 있고, 내측관(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역류방지볼(51)은 구(球) 형상의 부재로, 볼수용부(50)에 수용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로 굴러 유입구(50a)를 막고 세정액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굴러 유입구(50a)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내측관(30)을 통하여 세정액이 흡입될 때, 역류방지볼(51)은 볼수용부(50) 내부에서 상부로 굴러 유입구(50a)를 개방하고, 세정액이 흡입이 중단될 때, 역류방지볼(51)은 볼수용부(50) 내부에서 하부로 굴러 유입구(50a)를 폐쇄한다. 역류방지볼(51)이 유입구(50a)를 폐쇄함으로써, 석션장치가 동작을 중단하였을 때 내측관(30)으로 이미 흡입된 세정액이 하방으로 역류하여 유입구(50a)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구(50a)는 역류방지볼(51)과 접하는 상측이 역류방지볼(5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므로, 역류방지볼(51)이 하부로 굴렀을 때 용이하게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유출구(50b)는 역류방지볼(51)과 접하는 하측이 편평하게 형성되므로, 역류방지볼(51)이 상부로 굴렀을 때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세정액을 유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볼수용부(50) 내부에 역류방지볼(51)이 수용되어 세정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세정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수용부(50) 내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유입구(50a)를 개폐하는 스윙판이 결합되어 세정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드럼세정용 세정건
10: 가이드관 10a: 공간
11: 덮개부 12: 삽입부
12a: 제2 노즐구멍 13: 밀폐링
20: 외측관 20a: 제1 노즐구멍
20b: 관통구멍 21: 유동로
30: 내측관 40: 용착접착부
50: 볼수용부 50a: 유입구
50b: 유출구 51: 역류방지볼
D: 드럼

Claims (7)

  1.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드럼 내부에 세정액을 분사 및 흡입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에 있어서,
    상단이 확장 형성되어 상기 드럼 입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관 하부로 노출된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외측관, 및
    상기 외측관을 관통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외측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외측관과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인 세정액을 흡입하는 내측관을 포함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단과 하단을 밀폐하는 한 쌍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외측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구멍은 상기 외측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은 상기 삽입부와 중첩되는 면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2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이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제2 노즐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구멍은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 사이가 이격되어 세정액이 통과하는 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로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이 용착된 용착접착부가 형성되어 세정액 유출을 방지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 하부로 노출된 상기 내측관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부로 개방되어 세정액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볼수용부, 및
    상기 볼수용부에 수용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로 굴러 상기 유입구를 막고, 세정액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는 역류방지볼을 더 포함하는 드럼세정용 세정건.
KR1020200021860A 2020-02-21 2020-02-21 드럼세정용 세정건 KR10233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60A KR102334829B1 (ko) 2020-02-21 2020-02-21 드럼세정용 세정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60A KR102334829B1 (ko) 2020-02-21 2020-02-21 드럼세정용 세정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228A true KR20210107228A (ko) 2021-09-01
KR102334829B1 KR102334829B1 (ko) 2021-12-07

Family

ID=7777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60A KR102334829B1 (ko) 2020-02-21 2020-02-21 드럼세정용 세정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413B1 (ko) * 1997-11-18 2000-05-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밸브
JP3169165U (ja) * 2011-04-01 2011-07-21 三田理化工業株式会社 容器洗浄装置
KR20120000885U (ko) 2010-07-27 2012-02-06 양승운 드럼(포장용기) 내부세척 고압/저압 일체형 분사노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165B2 (ja) * 1995-12-20 2001-05-2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高純度フルオロアルキルスルホン酸無水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413B1 (ko) * 1997-11-18 2000-05-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밸브
KR20120000885U (ko) 2010-07-27 2012-02-06 양승운 드럼(포장용기) 내부세척 고압/저압 일체형 분사노즐
JP3169165U (ja) * 2011-04-01 2011-07-21 三田理化工業株式会社 容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829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7731C2 (ru) Бытовая моечная машина, в частности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верхним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контуром
US20110120508A1 (en) Dishwasher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20130025637A1 (en) Siphon break apparatus configured to prevent a siphon effect in a fluid conduit of a dishwasher and an associated method
JP2004267507A (ja) 食器洗い機
KR102334829B1 (ko) 드럼세정용 세정건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KR102006156B1 (ko) 버블캡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733307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553531B1 (ko) 음폐수 이물질 여과장치 및 이물질 여과 방법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20100028282A (ko) 식품 세척기
KR101082633B1 (ko) 좌변기용 배수관
JP4043593B2 (ja) 基板処理装置
JP7271928B2 (ja) 浴槽洗浄装置
KR20190109149A (ko) 유체 여과장치
KR20050036472A (ko) 식기세척기의 에어브레이크어셈블리
CN104420135A (zh) 一种洗衣机排水泵的残水排放结构以及方法
KR101256794B1 (ko) 슬릿 노즐의 비접촉식 세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CN218832678U (zh) 污液回收装置
JP7271929B2 (ja) 浴槽洗浄装置
CN117085448B (zh) 一种工厂用具有预警功能的智能除尘设备
CN115813279A (zh) 污液回收装置
KR970006782Y1 (ko) 이젝터(ejector)
CN109744972B (zh) 喷臂组件和用水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