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051A -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051A
KR20210107051A KR1020217022634A KR20217022634A KR20210107051A KR 20210107051 A KR20210107051 A KR 20210107051A KR 1020217022634 A KR1020217022634 A KR 1020217022634A KR 20217022634 A KR20217022634 A KR 20217022634A KR 20210107051 A KR20210107051 A KR 2021010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bogie
elevator car
elevator
ri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케이쓰 브리스터
클라리쎄 마리 바모스
마이클 조셉 트레소그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0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6Chutes; Helter-skelters with forced removal of the passenger from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0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escalators or similar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planes mounted on springs; with movable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2031/002Free-f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어트랙션 시스템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와 교차하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립체와, 지지부를 갖고,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와, 보기에 연결된 캐빈과 캐빈의 캐빈 돌출부를 갖는 놀이기구 차량을 포함한다. 놀이기구 차량은 보기를 통해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보기는 놀이기구 경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로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부는 놀이기구 차량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놀이 공원 어트랙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놀이 공원 어트랙션의 놀이기구 차량을 운송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아래에서 설명 및/또는 청구되는 본 기술의 다양한 양태와 관련될 수 있는 당해 기술의 다양한 양태를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하며 선행 기술의 인정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놀이 공원은 놀이 공원의 게스트를 즐겁게 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놀이 공원은 게스트를 태우는 놀이기구 차량을 갖는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은 어트랙션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게스트가 경험하는 특정 감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어트랙션의 경우, 수직 운송 시스템(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리프트 또는 기타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트랙션의 레벨 사이에서 놀이기구를 운송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놀이기구 차량의 고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 차량이 레벨 사이에서 운송될 때 게스트가 특정 감각을 생성하는 능력은 수직 운송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놀이기구 차량의 고도의 변화와 관련된 게스트 경험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 양태의 요약이 아래에 설명된다. 이러한 측면은 단지 독자에게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러한 측면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시스템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와 교차하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립체와, 지지부를 갖고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보기(bogie)에 결합된 캐빈(cabin)과 캐빈의 캐빈 돌출부를 갖는 놀이기구 차량을 포함한다.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보기를 통해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기는 놀이기구 경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내로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놀이기구 차량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은 모션 베이스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에 대해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모션 베이스는 캐빈과 보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은 캐빈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기는 보기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보기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맞물리도록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보기를 유도하는 것; 및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캐빈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 ―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적재된 위치에 있는 반면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함 ―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시스템의 컨트롤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a tangib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하며,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션 베이스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에 대해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을 작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모션 베이스는 캐빈과 보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은 캐빈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기는 보기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보기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맞물리도록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보기를 유도시키도록;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캐빈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맞물리도록 캐빈을 작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적재된 위치에 있는 반면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 및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립체를 갖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차량에 인접해 있는 도 1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는 도 1 및 도 2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할 때 놀이기구 차량이 작동되는 도 1 내지 도 3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적재된 위치에 있는 도 1 내지 도 4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가 피치된 위치에 배치된 도 1 내지 도 5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오프셋 지지부 및 캐빈 돌출부를 갖는 도 1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 내의 적재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어트랙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을 운송하기 위해 도 1의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지 않을 수 있다.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이러한 임의의 실제 구현을 개발할 때, 구현예마다 상이할 수 있는,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조건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 특정 결정을 내려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설계, 제조 및 제작에 대한 일상적인 사업일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놀이 공원은 게스트를 즐겁게 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갖는 어트랙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놀이 공원은 게스트가 경험하는 특정 감각을 생성하기 위해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게스트를 운반하는 놀이기구 차량을 갖는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경로는 놀이기구 차량 내의 게스트의 특정 모션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방식으로 놀이기구 차량이 주행되도록 하는 루프, 커브, 언덕 등과 같은 상이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놀이기구 경로를 따른 놀이기구 차량의 이동은 놀이기구 차량에서 게스트를 즐겁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놀이 공원 어트랙션 설계자는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에 의해 어트랙션의 상이한 레벨 사이에서 운송될 때 엘리베이터 내에서 놀이기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어트랙션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 차량이 레벨 사이를 이동할 때 게스트가 특정 감각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은 기존 놀이기구 경로의 구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놀이기구 차량 내에 배치된 게스트에게 전방으로 피치된(pitched) 감각을 생성하면서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고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을 어트랙션 시스템의 상이한 레벨로 운송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조립체를 갖는 어트랙션 시스템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게스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현재 인식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조립체는 엘리베이터 조립체에 대한 놀이기구 차량의 용이한 진입 및/또는 빠져나옴을 가능하게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트랙션 시스템이 승용차를 피치할 때 그리고 엘리베이터 조립체가 놀이기구 차량을 운송할 때 인터페이스는 놀이기구 차량을 지지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놀이 공원에서 구현될 수 있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제 1 경로(104)를 따라 주행(예를 들어, 이행)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차량(102)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ride vehicle)"은 놀이 공원의 게스트를 유지 및 운송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 및/또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차량(102)은 게스트가 들어갈 수 있는 캐빈(106)을 포함할 수 있다. 게스트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모션하는 동안 캐빈(106) 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차량(102)은 제 1 경로(104)를 따라 제 1 방향(108) 및/또는 제 2 방향(110)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102)의 주행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에서 게스트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은 보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기(112)는 보기가 제 1 경로(10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휠을 가진 카트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경로(104)는 보기(112)가 제 1 경로(104)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보기(112)가 직접 결합되는 트랙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1 경로(104)는 보기(112)가 따라서 주행할 수 있는 루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기(112)는 제 1 경로(104)를 따라 주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은 캐빈(106)과 보기(112) 사이에 배치된 모션 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베이스(114)는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이동(예를 들어, 상승, 서지, 회전, 요, 피치, 롤, 연장, 후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베이스(114)는 스테와트(Stewart) 플랫폼, 평행 링크장치 조립체, 볼 및 소켓 조립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이 제 1 경로(104)를 따라 주행할 때, 모션 베이스(114)는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이동시킬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02)이 제 1 경로(104)를 따라 주행할 때 보기(112)에 대한 캐빈(106)의 이동은 게스트가 느끼는 특정 감각(예를 들어, 무중력)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놀이기구 차량(102)이 제 1 경로(104)를 따라 특정 속도로 게스트를 즐겁게 하기 위해 주로 특정 방식으로 주행하는 놀이기구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쇼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고, 게스트를 즐겁게 하기 위해 공연자, 쇼 요소 및 다른 쇼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로(104)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엘리베이터 조립체(116)에 결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놀이기구 차량(102)을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를 향해 및/또는 엘리베이터 조립체(116)에서 멀어지게 유도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제 1 경로(104)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상이할 수 있는 주행 방법을 놀이기구 차량(102)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레벨들 또는 섹션들 사이에서 제 1 수직 방향(118) 및/또는 제 2 수직 방향(120)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결합되고 및/또는 이를 따라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4)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경로(104)는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놀이기구 차량(102)을 엘리베이터 카(124)로 유도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 카(124)를 수용한 후, 엘리베이터 카(124)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어트랙션(100)의 다른 레벨 또는 섹션으로 운송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카(124)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제 1 경로(104)로부터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통해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상이한 레벨 또는 섹션으로 운반할 수 있다.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제 1 경로(104)와 상이한 어트랙션(100)의 레벨에 있는 제 2 경로(126)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02)은 제 2 경로(126)를 따라 제 1 방향(108) 및/또는 제 2 방향(110)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경로(126)는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향해 및/또는 엘리베이터 경로(122)에서 멀어지게 유도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4)는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제 2 경로(126)의 레벨까지 주행하고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경로(122)로부터 제 2 경로(126)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제 1 경로(104)와 제 2 경로(126) 사이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을 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단일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연결된 제 1 경로(104) 및 제 2 경로(126)를 갖는 것으로 어트랙션 시스템(100)을 도시하지만,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임의의 개수의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임의의 개수의 각각의 레벨에 배치된 임의의 개수의 경로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각각의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수의 놀이기구 차량(102)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특정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128)을 포함하고 및/또는 제어 시스템(128)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시스템(128)은 놀이기구 차량(102)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124)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102)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28)은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대용량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제거 가능한 메모리, 또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제어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또한 랜덤 액세스 가능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절한 메모리 포맷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2)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을 작동시키기 위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28)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34)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34)는 제어 시스템(128)에 의해 활성화될 때 엘리베이터 카(124), 놀이기구 차량(102) 및/또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다른 양태(예를 들어, 쇼 피스, 프로젝터, 조명 효과, 음향 효과 등)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124)의 액추에이터(134)의 활성화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제 1 수직 방향(118) 및/또는 제 2 수직 방향(1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24)의 액추에이터(134)는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놀이기구 차량(10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124) 내의 구성요소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124)의 다른 양태를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놀이기구 차량(102)의 액추에이터(134)의 활성화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제 1 경로(104) 및/또는 제 2 경로(126)를 따라 제 1 방향(108) 및/또는 제 2 방향(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놀이기구 차량(102)은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이동시키기 위해 모션 베이스(114)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28)은 또한 어트랙션 시스템(10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136)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센서(136)는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그리고 검출된 파라미터를 제어 시스템(128)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된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제어 시스템(128)은 그에 따라 액추에이터(134)와 같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28)은 놀이기구 차량(102)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124)의 사전 프로그래밍된 모션 또는 이동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어트랙션 시스템(100)을 작동할 수 있다. 즉, 제어 시스템(128)은 작동 중인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136)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이 작동 중인 시간 및/또는 기간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한,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대한, 제 1 및/또는 제 2 놀이기구 경로(104, 126)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124) 및/또는 놀이기구 차량(102)의 배치 또는 위치, 엘리베이터 카(124) 및/또는 놀이기구 차량(102)의 속도, 다른 적절한 파라미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의 특정 작동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136)는 압력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시스템(128)은 검출된 작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어트랙션 시스템(100)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28)은 액추에이터(134) 및/또는 센서(136)를 사용하여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제어 시스템(128)은 케이블, 시각 요소, 오디오 요소, 쇼 피스, 및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다른 쇼 효과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여기에 설명된 요소들(예를 들어, 놀이기구 차량(102)) 중 하나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액추에이터(134)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센서(136)는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카(124)에 접근하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도시하는 도 1의 놀이기구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차량(102)은 엘리베이터 조립체(116)의 외부의 경로(예를 들어, 제 1 경로(104))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24)는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12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경로(122)는 각각 리 세스(154)를 포함하는 2개의 트랙(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는 엘리베이터 베이스(150) 및 엘리베이터 카(124)를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리세스(154)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플랜지(158)를 갖는 프레임(156)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24)는 엘리베이터 카(124)가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제 1 수직 방향(118) 및/또는 제 2 수직 방향(1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랜지(158)에 결합된 엘리베이터 휠(16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124)는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로서, 엘리베이터 휠(160)은 하나 또는 양쪽 트랙(152)을 따라 엘리베이터 휠(16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잠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프레임(156)은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특정 위치에 엘리베이터 카(124)를 실질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트랙(152)에 대해 프레임(156)을 잠금 및/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된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안팎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고 그리고 위치되어 있는 개구(16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62)는 트랙(1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트랙(152)은 놀이기구 차량(102)의 폭(166)보다 더 넓은 서로의 거리(164)에 걸쳐 있다.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24)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안팎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개구(162) 및 놀이기구 차량(102)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102)의 캐빈(106)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이 작동하는 동안 게스트가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빈(106)은 또한 오목부(168)에서 게스트를 커버하기 위해 오목부(168) 위로 연장되는 지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02)은 캐빈(106)의 캐빈 측벽(174)에 배치된 캐빈 돌출부(172)(휠, 롤러, 스톱, 멈춤쇠, 돌출부) 및/또는 보기(112)의 보기 측벽(178)에 배치된 보기 돌출부(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캐빈 돌출부(172)는 보기(112) 주위로 이동하는(예를 들어, 회전하는) 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빈 돌출부(172)는 고정될 수 있다. 캐빈 돌출부(172)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의해 포착되고, 그리고 일부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2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124)는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은 지지부(182) 및/또는 가이드(184)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부(182)는 캐빈(106)의 각각의 캐빈 돌출부(172)와 맞물리거나 포착하도록 구성된 브래킷, 돌출부 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184)는 보기(112)의 보기 돌출부(176)와 맞물리거나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는 주로 놀이기구 차량(102)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캐빈 돌출부(172) 및 보기 돌출부(176)를 각각 갖는 것으로 캐빈(106) 및 보기(112)를 주로 언급하였지만,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캐빈(106) 및/또는 보기(112)는 각기 지지부(182)와 결합되고 그리고 가이드(18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플랜지, 브래킷, 돌출부 등과 같은 고정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빈(106) 및 보기(112)는 각각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엘리베이터 카(124)는 또한 캐빈(106) 및 보기(112)와 일치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은 엘리베이터 카(124)의 기초부(186)로부터 연장되어 U자형 단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놀이기구 차량(102)은 엘리베이터 카(124)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이 캐빈 돌출부(172)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에 접촉하거나,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보기(112)는 기초부(186)에 접촉하고 그리고 기초부(18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엘리베이터 카(124)의 측면(188)이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도시하지만,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124)는 또한 측면(188)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기(112)가 엘리베이터 카(124)에 삽입될 때, 캐빈(106)은 또한 측면(188)에서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에 접촉할 수 있다. 추가로, 이해해야 하는 바와 같이,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다양한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갖는 캐빈(106) 및 보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어트랙션 시스템(100)은 또한 캐빈(106) 및 보기(112)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하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엘리베이터 카(124)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투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24)의 가이드(184)는 각각 제 1 레일(200) 및 제 2 레일(202)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레일(200) 및 제 2 레일(202)은 오프셋되어 있고 그리고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보기 돌출부(176)가 제 1 레일(200)과 제 2 레일(20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레일(200) 및 제 2 레일(202)은 보기 돌출부(176)를 포착하여, 보기(112)가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레일(200)과 제 2 레일(202) 사이에 보기 돌출부(176)의 삽입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제 1 레일(200)은 제 1 단부(204)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레일(202)은 제 2 단부(2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단부(204) 및 제 2 단부(206)는 제 1 레일(200)과 제 2 레일(202) 사이의 개구를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부(204) 및 제 2 단부(206)는 보기 돌출부(176)를 가이드(184) 내로 안내할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부(182)는 제 1 부분(208) 및 제 2 부분(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부분(208) 및 제 2 부분(210)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따라 서로 일정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208)은 제 2 부분(2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부분(208)은 제 2 부분(210)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스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부(182) 중 하나는 U자형 구성으로 될 추가 부분을 갖는 것과 같이 상이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3에서, 각각의 지지부(18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지지부(182)는 대체로 서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캐빈(106)은 지지부(182)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캐빈 돌출부(172)가 각각의 지지부(182)의 제 1 부분(208)을 클리어하도록 (예를 들어, 모션 베이스에 의해) 캐빈(106)은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 1 부분(208)은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더 이상 캐빈 돌출부(172)의 주행 경로(예를 들어, 제 2 방향(110))에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3의 놀이기구 차량(102)은, 지지부(182)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캐빈(106)이 엘리베이터 카(124)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캐빈(106)을 보기(112)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도 1의 모션 베이스(114)(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조립체(116)는 일반적으로 프레임(156)에 대해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프레임(156)에 대해 엘리베이터 베이스(150)가 위치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레임(156)에 대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또한 보기(112)가 프레임(156)에 대해 위치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보기(112)가 특정 각도로 엘리베이터 카(124)에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는 각도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배치하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개구(162)에 연결된 경로의 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또한 엘리베이터 카(124)의 피치를 제어하여 캐빈(106)에 배치된 게스트를 위한 피칭의 감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붕(170)은 캐빈(106)의 측면(216)에서 벽(214)을 통해 캐빈(106)의 나머지에 연결된다. 그러나, 지붕(170)은 캐빈(106)의 나머지 측면에서 캐빈(106)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빈(106) 내의 게스트는 일반적으로 캐빈(106) 외부를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벽(214)은 게스트가 캐빈(106)의 외부를 추가로 볼 수 있게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게스트는 엘리베이터 조립체(116) 내에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어트랙션 시스템(10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요소를 볼 수 있다.
도 4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여기에서 보기(112)는 엘리베이터 카(124)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 있고, 보기 돌출부(176)는 엘리베이터 카(124)의 가이드(184)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즉, 보기(112)의 모든 보기 돌출부(176)는 각각의 가이드(184)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보기(112)가 엘리베이터 카(124)에 의해 완전히 수용되는 동안, 모션 베이스(114)(캐빈(106)과 보기(112) 사이에 배치되지만, 도 4에서는 보이지 않음)는 여전히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작동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션 베이스(114)는 캐빈(106)이 보기(112)를 향하도록 후퇴하여 캐빈 돌출부(172) 각각이 각각의 지지부(182)에 의해 생성된 각도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캐빈 돌출부(172)가 지지부(182)를 제거하여 캐빈 돌출부(172)를 지지부(182)와 제어 가능하게 맞물리게 한 후에 캐빈(106)이 모션 베이스(114)와 같이 보기(112)에 대해 피치하도록, 모션 베이스(114)는 "히빙(heaving)" 모션을 통해 캡을 작동시킨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캐빈(106)이 단지 보기(11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캐빈(106)과 보기(112)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모션 베이스(114)는 캐빈(106)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보기(112)가 엘리베이터 카(124)에 완전히 삽입되는 동안, 모션 베이스(114)는 여전히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보기(112)가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124)가 엘리베이터 경로(122)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 캐빈(106)은 보기(112) 주위로 이동하여 게스트에게 이동 감각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유지되는 동안, 캐빈(106)은 고정 보기(112)에 대해 회전, 피치, 요, 회전, 연장, 후퇴 등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션 베이스(114)는 캐빈 돌출부(172)가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으로부터 떨어져(예를 들어, 위에) 있도록 캐빈(106)을 보기(102)로부터 멀리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빈(106)이 보기(112) 주위로 이동할 때(예를 들어, 피치, 서지, 히브) 캐빈 돌출부(172)는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과의 접촉을 회피한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션 베이스(114)는 전체 캐빈(106)이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으로부터 떨어져(예를 들어, 위에) 있도록 캐빈(106)을 보기(112)로부터 멀리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빈(106)이 요, 흔들림 및/또는 롤 조작을 수행할 때, 캐빈(106)은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과의 접촉을 회피한다.
도 5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서 적재된 위치에 있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즉, 각각의 캐빈 돌출부(172)는 각각의 지지부(182)와 결합할 수 있고, 각각의 보기 돌출부(176)는 가이드(184)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캐빈 돌출부(172)는 각각의 지지부(182)의 제 1 부분(208) 및 제 2 부분(210)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재된 위치에서, 각각의 캐빈 돌출부(172)는 각각의 지지부(182)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이러한 구성은 엘리베이터 카(124)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에 대한 "적재된 위치"로 간주될 수 있다. 적재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프레임(156)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지지한다. 또한, 캐빈(106)은 캐빈 돌출부(172)가 각각의 지지부(182)의 제 1 부분(208) 및/또는 제 2 부분(210)에 의해 포착되도록 (예를 들어, 모션 베이스(114)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은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놀이기구 차량(102)은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를 벗어나 이동하게 하는 이동을 회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빈 돌출부(172)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는 잠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빈 돌출부(172)와 지지부(182) 사이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와 가이드(184) 사이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부(182) 및/또는 가이드(184)는 캐빈 돌출부(172)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를 각각 고정하기 위해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184)의 제 1 레일(200) 및/또는 제 2 레일(202)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그리고 보기 돌출부(176)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184)는 제 1 레일(200) 및/또는 제 2 레일(202)을 따라 보기 돌출부(176)의 이동을 차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지부(182)는 캐빈 돌출부(172)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위치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82)의 제 1 부분(208) 및/또는 제 2 부분(210)은 제 1 부분(208)과 제 2 부분(21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부분(208) 및 각각의 제 2 부분(210)은 캐빈 돌출부(172)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캐빈 돌출부(172)에 대해 압축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부(182)는 특정 방향으로의 캐빈 돌출부(172)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따라 그 위치를 회전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82)의 일부는 제 1 회전 방향(230)으로 90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캐빈 돌출부(172)가 제 1 부분(208) 및 제 2 부분(210)에 의해 결합되어 제 1 방향(108)에서 캐빈 돌출부(172)의 이동을 차단한다. 한편, 지지부(182)의 나머지의 일부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될 수 있어서 캐빈 돌출부(172)의 제 2 방향(110)으로의 이동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캐빈(106)의 제 1 방향(108) 및 제 2 방향(110)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02)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는 보기(112) 및/또는 캐빈(106)이 엘리베이터 카(124)를 빠져 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캐빈 돌출부(172) 및/또는 보기 돌출부(176)의 이동을 차단하는 특정 구성요소가 또한 캐빈(106), 보기(112)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124)(예를 들어, 지지부(182) 및/또는 가이드(184)에 인접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가 프레임(156)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위치시키도록 작동되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와 프레임(156)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연장 및/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된 유압 액추에이터, 공압 액추에이터, 전기기계 액추에이터, 다른 적절한 유형의 액추에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의 후퇴는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제 1 회전 방향(230)으로 회전시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와 프레임(156)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의 연장은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제 2 회전 방향(250)으로 회전시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와 프레임(156)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프레임(156)에 대한 각도 범위 내에 위치되도록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캐빈(106) 내의 게스트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캐빈(106)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캐빈(106) 내의 게스트가 느끼는 캐빈(106)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프레임(156)에 대해 예각으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위치시키는 것은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에 부여되는 힘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와 프레임(156)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지지부(182)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의 양을 증가시키고,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베이스(150)와 프레임(156) 사이의 각도를 조정하면 놀이기구 차량(102)의 중량이 지지부(182)와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 사이에서 보다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 및/또는 지지부(182)에 가해지는 응력이 제한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가 프레임(156)에 대해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회전시키는 양은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에 가해지는 놀이기구 차량(102)의 중량과,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주행하는 속도와,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른 놀이기구 차량(102)의 가속 등등과 같은,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작동 파라미터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프레임(156)에 대해 예각으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위치시킬 때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를 도시하고 있지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212)는 프레임(156)에 대해 둔각으로 엘리베이터 베이스(150)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지지부(182)는 놀이기구 차량(102)을 지지하기 위해 캐빈 돌출부(172)를 거치할 수 있고, 놀이기구 차량(102)을 지지하기 위해 모션 베이스(114)의 액추에이터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 또는 압력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캐빈 돌출부(172)와, 지지부(182)의 각각의 제 1 부분(208) 및 제 2 부분(210)의 결합은 엘리베이터 베이스(150)가 프레임(156)에 대해서 일정 각도에 있을 때 보기(112)에 대한 놀이기구 차량(102)의 이동을 규제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4)는 캐빈(106)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방식으로 위치될 때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 카(124)는, 캐빈(106)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기(112)에 대해 조정될 때, 캐빈(106)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 베이스(15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대해 특정 각도로 위치될 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때 엘리베이터 경로(122)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지지부(182) 및 캐빈 돌출부(172)가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어트랙션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82)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보기(112)에 대해 캐빈(106)을 작동시키는 모션 베이스(114)가 엘리베이터 카(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82)는 각각의 지지부(182)의 제 1 부분(208)이 놀이기구 차량(102)의 주행 경로(예를 들어, 제 1 방향(108) 및/또는 제 2 방향(110))에 대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션 베이스(114)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내로 삽입될 때 보기(112)에 대한 캐빈(106)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엘리베이터 카(124) 내의 적재된 위치에 있는 놀이기구 차량(102)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02)은 모션 베이스(114)를 캐빈(106)과 결합하는 중간 구성요소(270)를 포함한다. 중간 구성요소(270)의 폭(272)은 캐빈(106)의 폭(166)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보기(112)는 중간 구성요소(270)와 동일한 폭(272)을 포함하는 크기로 정해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4)는 또한,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캐빈(106)이 엘리베이터 카(124)의 외부(예를 들어, 위)에 유지되는 동안 보기(112), 모션 베이스(114) 및 중간 구성요소(270) 각각이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 사이에 삽입되게 하는 크기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있을 때 캐빈(106)의 바닥 표면(274)은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의 상부 표면(276)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부 표면(276)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폭(272)은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의 외부 표면(278)이 캐빈 측벽(174)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을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중간 구성요소(270)가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캐빈 돌출부(172)는 캐빈 측벽(174) 대신에 중간 구성요소(270)의 측벽(2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놀이기구 차량(102)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캐빈 돌출부(172)는 캐빈 측벽(174) 상에 배치된 지지부(182)와 여전히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82)는 대체로 정렬된 구성인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출입할 때, 모션 베이스(114)는 지지부(182)가 놀이기구 차량(102)의 주행 경로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중간 구성요소(270) 및 캐빈(106) 모두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기(112)는 여전히 보기 돌출부(176)를 포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측벽(180)은 가이드(18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 내에 위치될 때 보기 돌출부(176)는 가이드(184)와 맞물릴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캐빈(106)의 게스트는 엘리베이터 카(124)를 볼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진입할 때, 게스트는 놀이기구 차량(102)이 엘리베이터 카(124)에 둘러싸이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조립체(116)에서 "떠다니는(floating)"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124)가 모션 중일 때 "자유-낙하(free-fall)"의 느낌을 제공하고, 게스트의 스릴 또는 흥분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엘리베이터 카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고 놀이기구 차량을 반송하기 위해서 도 1의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스(3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로세스(300)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은 프로세스(300)를 실행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특정 작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스(300)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운영자로부터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세스(300)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300)가 놀이기구 차량을 엘리베이터 카 내로 운송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프로세스(300)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놀이기구 차량을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운송할 수 있다.
블록 302에서, 놀이기구 차량은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된다. 특히,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은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가 캐빈 돌출부의 주행 경로에 있지 않도록 (예를 들어, 모션 베이스를 통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놀이기구 차량의 모션 베이스는, 지지부가 캐빈 돌출부를 방해하지 않고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이 엘리베이터 카로 운송될 수 있도록 연장, 피치, 롤 등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됨에 따라, 놀이기구 차량을 수용하도록 엘리베이터 카가 준비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고, 프레임에 대해(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를 통해) 경사져서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블록 304에서, 놀이기구 차량은 엘리베이터 카 내로 운송된다. 즉, 놀이기구 차량은 보기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도록 목표 속도 및/또는 목표 위치로 엘리베이터 카 내로 이동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션 베이스는 캐빈 내에서 게스트의 감각을 유도하기 위해 보기에 대해 캐빈을 계속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는 엘리베이터 경로에 대해 및/또는 프레임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블록 306에서, 캐빈은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캐빈 돌출부를 결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블록 306). 즉, 모션 베이스는 각각의 각 지지부의 적어도 2개 측면에서 포착 또는 거치될 캐빈 돌출부 각각과 맞물릴 수 있도록 캐빈을 목표 위치로 및/또는 목표 속도로 조정(예를 들어, 후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러한 캐빈의 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의 적재된 위치로 간주될 수 있다.
블록(308)에서,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는 프레임 및/또는 엘리베이터 경로에 대해 엘리베이터 카를 목표 위치 및/또는 목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 사이에 더 잘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는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에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에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와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이러한 조정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모션 베이스)에 바람직하지 않은 응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 310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카가 조정된 후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 또는 목표 속도로 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다른 경로와 같은 어트랙션 시스템의 목표 고도로 운송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상이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자유 낙하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중력에 의해 야기된 가속도보다 높은 가속도로 하강하는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경로를 가로질러 가속될 수 있다.
도 9에 설명되지 않은 특정 단계들이 프로세스 30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추가 단계들은 블록 302의 단계 이전에, 블록 310의 단계 이후에, 또는 프로세스 300의 임의의 단계들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304과 블록 306 사이에서, 캐빈은 추가로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놀이기구 차량이 엘리베이터 카 내에 있을 때, 모션 베이스는 캐빈 돌출부를 지지부와 결합하지 않고 보기에 대해 캐빈을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 300이 놀이기구 차량을 운송하기 위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300의 다른 적절한 변형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300과 유사한 단계를 갖는 프로세스는 놀이기구 차량이 놀이기구 경로로 엘리베이터 카를 빠져 나가도록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는 놀이기구 경로와 적절한 각도가 되도록 엘리베이터 카를 작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모션 베이스는 캐빈 돌출부가 지지부와 분리되고 지지부를 제거하도록 놀이기구 차량을 조정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은 엘리베이터 카에서 나오기 위해 운송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놀이 공원의 어트랙션에 유익한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은 놀이기구를 어트랙션의 상이한 레벨 또는 섹션으로 운송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놀이기구 차량을 운송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는 놀이기구 차량을 상이한 각도로 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놀이기구 차량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추가로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히브, 서지, 롤, 피치, 요). 그러한 놀이기구 차량의 이동은 놀이기구 차량이 따라 주행할 수 있는 기존 놀이기구 경로에 의해 달리 제한되거나 규제될 놀이기구 차량의 게스트에 대한 감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어트랙션의 게스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 의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정신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입증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질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에 참조되고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말미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 범위가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U.S.C.112(f)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 범위의 경우, 이러한 구성요소는 35U.S.C.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어트랙션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경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립체 ― 상기 엘리베이터 경로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와 교차함 ―;
    지지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됨 ―;
    보기(bogie)에 결합된 캐빈(cabin)을 포함하는 놀이기구 차량 ―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보기를 통해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기는 놀이기구 경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내로 주행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캐빈의 캐빈 돌출부 ― 상기 지지부는 놀이기구 차량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캐빈과 보기 사이에 배치된 모션 베이스(motion base)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베이스는 상기 보기에 대해 캐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경로는 트랙이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프레임을 통해 트랙에 결합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조립체는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액추에이터는 프레임에 대해 엘리베이터 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는 보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 돌출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일정 각도로 배향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놀이기구 차량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캐빈 돌출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경로는 상기 어트랙션 시스템의 추가 놀이기구 경로와 교차하며,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서 상기 추가 놀이기구 경로로 빠져 나가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놀이기구 차량 상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어트랙션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키고, 상기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놀이기구 차량을 구동시키고 및/또는 상기 보기에 대해 캐빈을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에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서로에 거리를 두고 배치된 제 1 엘리베이터 카 측벽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캐빈과 보기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적재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측벽과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 측벽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측벽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이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각각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측벽에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어트랙션 시스템.
  11. 어트랙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모션 베이스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에 대해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 ― 상기 모션 베이스는 캐빈과 보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은 캐빈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기는 보기 돌출부를 포함함 ―;
    상기 보기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맞물리도록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보기를 유도하는 것; 및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캐빈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 ―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적재된 위치에 있는 반면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함 ―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은, 상기 보기 돌출부가 가이드와 맞물리도록 상기 보기가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유도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가 캐빈 돌출부의 주행 경로에 있지 않도록 캐빈을 배향하도록 모션 베이스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구동되는 동안 보기에 대해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은, 모션 베이스를 통해 보기에 대해 캐빈을 롤링, 피칭, 요잉, 회전, 연장, 후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캐빈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분리되도록 상기 캐빈을 작동시키는 것과, 상기 보기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분리되도록 상기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보기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션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경로를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7. 어트랙션 시스템의 컨트롤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a tangib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하며,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모션 베이스를 통해, 놀이기구 차량의 보기에 대해 놀이기구 차량의 캐빈을 작동시키도록 ― 상기 모션 베이스는 캐빈과 보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은 캐빈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기는 보기 돌출부를 포함함 ―;
    상기 보기 돌출부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와 맞물리도록 어트랙션 시스템의 놀이기구 경로를 따라 보기를 유도시키도록; 및
    모션 베이스를 통해, 상기 캐빈 돌출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지지부와 맞물리도록 캐빈을 작동시키도록 ―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적재된 위치에 있는 반면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캐빈 돌출부를 포착함 ― 하게 하는
    컨트롤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어트랙션 시스템에 배치된 센서로부터의 입력, 또는 양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세서가 캐빈을 작동시키거나, 보기를 유도하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실행하게 하는
    컨트롤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작동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어트랙션 시스템 내의 놀이기구 차량의 위치, 놀이기구 경로에 대한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 어트랙션 시스템이 작동 중인 시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목표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또는 이들 양자에서 프로세서가 캐빈을 작동시키거나, 보기를 유도하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실행하게 하는
    컨트롤러.
KR1020217022634A 2018-12-27 2019-12-19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KR20210107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34,046 US10463981B1 (en) 2018-12-27 2018-12-27 Ride vehicle elevator and motion actuation
US16/234,046 2018-12-27
PCT/US2019/067653 WO2020139718A1 (en) 2018-12-27 2019-12-19 Ride vehicle elevator and motion actu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051A true KR20210107051A (ko) 2021-08-31

Family

ID=6839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634A KR20210107051A (ko) 2018-12-27 2019-12-19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63981B1 (ko)
EP (2) EP3902761B1 (ko)
JP (1) JP2022516064A (ko)
KR (1) KR20210107051A (ko)
CN (2) CN117142294A (ko)
CA (1) CA3125724A1 (ko)
ES (1) ES2956208T3 (ko)
RU (2) RU2022100604A (ko)
SG (1) SG11202106450WA (ko)
WO (1) WO2020139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214B2 (en) 2020-04-27 2022-05-24 Universal City Studios Llc Dark ride tower systems having stationary and adaptable roo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9C (zh) 1992-11-25 1999-04-21 汽车停放架销售公司 车辆提升装置
US6095926A (en) * 1998-05-01 2000-08-01 Universal Studios, Inc. Amusement ride vehicle
US6076638A (en) * 1999-04-22 2000-06-20 Disney Enterprises, Inc. Special effects elevator
US6490979B1 (en) 2001-05-01 2002-12-10 Pflow Industries, Inc. Inclined shopping cart conveyor system
WO2003009914A1 (de) * 2001-07-20 2003-02-06 Maurer Söhne Gmbh & Co. Kg Vergnügungsgerät
SE526546C2 (sv) * 2004-03-12 2005-10-04 Alimak Ab Hissystem
DE102011102815A1 (de) * 2011-05-30 2012-12-06 Geda-Dechentreiter Gmbh & Co. Kg Aufzug
EP2540362B1 (de) * 2011-06-27 2014-01-15 ZIERER Karussell- und Spezialmaschinenbau GmbH Achterbahnfahrelement mit Bewegung in zweiter Führungsrichtung
US8578857B2 (en) 2011-12-08 2013-11-12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passenger loading separated from vehicle insertion into simulators
US8795096B2 (en) * 2012-05-30 2014-08-05 Daniel James Stoker Motion ride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sion of teleportation
US9242181B2 (en) * 2012-12-03 2016-01-26 Dynamic Motion Group Gmbh Amusement park elevator drop rid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266028B2 (en) * 2013-11-18 2016-02-23 Raven Sun Creative, Inc. Tower ride
US9084941B1 (en) * 2014-09-22 2015-07-21 Eric Fram Combination ride for amusement park
DE102016109373A1 (de) * 2016-05-20 2017-11-23 Mack Rid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Führungsbahnabschnitts eines Führungsbahnsystems für Fahrzeuge eines Fahrgeschäf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65393C1 (ru) 2022-01-28
CN117142294A (zh) 2023-12-01
SG11202106450WA (en) 2021-07-29
EP4257221A3 (en) 2023-12-13
EP4257221A2 (en) 2023-10-11
CA3125724A1 (en) 2020-07-02
CN113226968B (zh) 2023-08-29
EP3902761B1 (en) 2023-06-28
WO2020139718A1 (en) 2020-07-02
EP3902761A1 (en) 2021-11-03
JP2022516064A (ja) 2022-02-24
CN113226968A (zh) 2021-08-06
US10463981B1 (en) 2019-11-05
ES2956208T3 (es) 2023-12-15
RU2022100604A (ru)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540B2 (en) Inverted simulation attraction
RU276423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ми фигурами
CN112351825B (zh) 多维转向架及轨道系统
KR20170066561A (ko) 작동 가능한 모션 베이스 시스템
EP3630321B1 (en) Variable vehicle ride switch
CA3136373C (en) Coaster transportation system
KR20210107051A (ko) 놀이기구 차량 엘리베이터 및 모션 작동
US10821368B2 (en) Ride with rotating lift
KR20210113296A (ko) 컨베이어 라이드 시스템
KR20210135597A (ko) 라이드 시스템을 위한 수직 동작 구동 시스템
JP7465872B2 (ja) 多自由度エレベーター乗物システム
JPWO2020139718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