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569A -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569A
KR20210106569A KR1020217024130A KR20217024130A KR20210106569A KR 20210106569 A KR20210106569 A KR 20210106569A KR 1020217024130 A KR1020217024130 A KR 1020217024130A KR 20217024130 A KR20217024130 A KR 20217024130A KR 20210106569 A KR20210106569 A KR 2021010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alve timing
sprocket
driven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462B1 (ko
Inventor
다카히토 카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1010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mak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scillate, e.g. non-homokinet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5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bevel or epicyclic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2013/10Auxiliary actuators for variable valve timing
    • F01L2013/103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 100a)는 구동축(210)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부(11, 11a)와, 스프로켓부와는 별개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내치(15)가 형성된 하우징부(13)를 가지는 구동 회전체(10); 편심 축부(20); 복수의 내치와 편심 축부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유지기히 배치된 복수의 롤러(60); 복수의 롤러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기(36)와 스토퍼부(39)를 가지고, 종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 회전체(30); 및 스토퍼부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스토퍼부와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84)가 형성된 커버부(80, 80a)를 구비하며, 하우징부에는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1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본 출원은 2019년 3월 18일에 출원된 일본출원번호 제2019―49314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연기관의 흡기밸브나 배기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는 전동식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되는 편심 축부와, 구동 회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내치(internal teeth)의 사이에 복수의 롤러가 배치되고, 이러한 복수의 롤러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기로부터 회전력이 출력되는 감속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18/0135469호 명세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에서는, 복수의 내치가 구동 회전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부가 구동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로켓부는 내연기관의 사양에 따라서 형상이나 크기, 치수(齒數) 등을 다르게 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에서는 정밀도가 요구되는 복수의 내치를 포함하는 구동 회전체를 내연기관의 사양에 따라서 다르게 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어서, 구동 회전체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내치를 포함하는 구동 회전체를 내연기관의 사양에 따라서 다르게 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조립공정이 복잡화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밸브타이밍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밸브타이밍 조정장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종동축의 축방향의 단부(端部)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축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하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로서,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부와, 상기 스프로켓부와는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자신의 내주면에 복수의 내치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회전체;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자신의 외주면이 상기 회전 축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편심 축부;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내치와 상기 편심 축부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유지기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치의 치수보다도 적은 수의 복수의 롤러; 상기 복수의 롤러의 상기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종동축의 상대 회전 위상의 한도를 규정하는 스토퍼부를 가지고, 상기 종동축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종동 회전체; 및 상기 스토퍼부에 대하여 상기 반경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일 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에 따르면, 스프로켓부와 하우징부가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사양에 따라서 설계될 수 있는 스프로켓부와, 감속기구로서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복수의 내치가 형성된 하우징부를 별개체로 형성하여, 하우징부를 내연기관의 사양을 불문하고 공통의 부품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 회전체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에,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부에 대하여 편심 축부와 복수의 롤러와 종동 회전체를 조립한 후에, 압입부를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스프로켓부와 하우징부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연기관의 사양을 불문하고 스프로켓부의 조립 전까지의 공정을 공통화할 수 있어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조립공정이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방법, 밸브타이밍 조정장치를 구비하는 내연기관, 이러한 내연기관을 구비하는 차량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 모식도이고,
도 6은 걸어맞춤부의 원주방향의 연장설치각도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7은 걸어맞춤부의 원주방향의 연장설치각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A. 제 1 실시형태:
A―1. 장치 구성: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는 차량(도시하지 않음)에서의 내연기관의 크랭크축(210)으로부터 캠축(220)까지의 동력전달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는 크랭크축(210)으로부터 기관 토크가 전달되는 캠축(220)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는 캠축(220)의 회전 축심(AX1)을 따른 방향(이하, “축방향(AD)”이라고도 부른다)에 있어서, 캠축(220)의 단부((端部)에 체결되어, 밸브로서의 흡기밸브와 배기밸브 중, 흡기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방향(AD)에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에 대하여 캠축(220)이 설치되어 있는 측 및 그 방향을 “리어측”이라고도 부르고, 축방향(AD)에서의 리어측과는 반대측 및 그 방향을 “프론트측”이라고도 부른다.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는 프론트측에 접속되어 있는 전동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전동 액추에이터는 내연기관(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ECU(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는 구동 회전체(10)와, 편심 축부(20)와, 종동 회전체(30)와, 복수의 롤러(60)와, 커버부(80)와, 소직경 베어링(42)과, 니들 베어링(44)과, 대직경 베어링(46)과, 중직경 베어링(48)을 구비한다.
구동 회전체(10)는 캠축(220)의 회전 축심(AX1)을 중심으로 하여 크랭크축(210)과 연동해서 회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체(10)는 리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유지기히 배치된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와, 프론트 커버(18)를 가진다.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와 프론트 커버(18)는 복수의 볼트(91)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스프로켓부(11)는 대략 환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12)와, 크랭크축(210)에 형성된 기어(212)에는 타이밍 체인(215)이 걸려 연결된다. 크랭크축(210)의 동력이 타이밍 체인(215)을 통하여 스프로켓부(11)에 전달됨으로써, 구동 회전체(10)는 크랭크축(210)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타이밍 체인(215)에 대신하여 타이밍 벨트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프로켓부(11)는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상이나 크기, 기어부(12)의 치수 등이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부(13)는 대략 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부(13)는 환형상부(14)와 압입부(16)를 가진다. 환형상부(1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내치(15)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16)는 환형상부(14)로부터 리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16)는 축방향(AD)을 따른 원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스프로켓부(1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8)는 원판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프론트 커버의 대략 중앙에는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9)에는 편심 축부(20)가 삽입되어 있다.
편심 축부(20)는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전동 액추에이터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되어 회전 축심(AX1)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편심 축부(20)의 외주면 중, 리어측의 외주면은 회전축(AX1)에 대하여 편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주면에서의 축심을 편심 축심(AX2)이라고도 부른다.
종동 회전체(30)는 회전 축심(AX1)을 중심으로 하여 캠축(220)과 연동해서 회전한다. 종동 회전체(30)는 센터 볼트(92)에 의하여 캠축(220)의 축방향(AD)의 단부에 체결되고, 구동 회전체(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종동 회전체(30)는 본체부(31)와 플레이트부(38)를 가진다.
본체부(31)는 통형상부(32)와, 판형상부(34)와, 베어링부(35)와, 유지기(36)를 가진다. 통형상부(32)는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편심 축부(2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32)의 외주면과 편심 축부(20)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소직경 베어링(42)과 니들 베어링(44)이 프론트측으로부터 나란히 끼워넣어져 있다. 소직경 베어링(42)과 니들 베어링(44)에 의하여 편심 축부(20)가 통형상부(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통형상부(32)에는 회전 축심(AX1)을 따른 축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33)에는 센터 볼트(92)가 삽입되어 있다. 판형상부(34)는 통형상부(32)의 리어측의 단부에 이어지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대략 원판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베어링부(35)는 판형상부(34)로부터 리어측으로 환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35)의 외주면과 하우징부(13)의 압입부(16)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대직경 베어링(46)이 끼워넣어져 있다.
유지기(36)는 판형상부(34)의 반경방향에서의 외부 가장자리에 이어지고, 프론트측을 향하여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유지기(36)는 구동 회전체(10)의 하우징부(13)의 내주면과 중직경 베어링(48)의 외주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중직경 베어링(48)은 편심 축심(AX2)을 축심으로 하는 편심 축부(2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기(36)에는 복수의 롤러 지지구멍(37)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 지지구멍(37)은 각각 반경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롤러(60)를 전동(轉動) 자유롭게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지지구멍(37)의 수는 구동 회전체(10)의 하우징부(13)에 형성된 내치(15)의 치수보다도 적다. 유지기(36)는 복수의 롤러(60)의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한 회전력을 캠축(220)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플레이트부(38)는 대략 원판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판형상부(34)의 리어측의 단부에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레이트부(38)는 본체부(31)와 별개체로 형성되어 센터 볼트(92)에 의해 볼트 체결되어 있지만, 본체부(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38)의 반경방향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스토퍼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9)는 원주방향의 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210)에 대한 캠축(220)의 상대 회전 위상의 한도를 규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60)는 구동 회전체(10)의 하우징부(13)의 내주면과 중직경 베어링(48)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롤러(60)는 반경방향에서 복수의 내치(15)와 편심 축부(20)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60)의 수는 구동 회전체(10)의 하우징부(13)에 형성된 내치(15)의 치수보다도 적고, 복수의 롤러 지지구멍(37)의 수와 같다. 각각의 롤러(60)는 종동 회전체(30)의 유지기(36)에 형성된 각 롤러 지지 구멍(37)에 배치되며,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유지기(36)에 유지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60)는 중직경 베어링(48)의 외주면에 항상 맞닿아 있다. 중직경 베어링(48)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원주방향의 일부에서 초승달 원환형상의 간극(CL)이 형성되어 있다. 중직경 베어링(48)은 이러한 간극(CL)을 통하여 편심 축부(20)의 편심 회전에 동반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 즉, 편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60)는 중직경 베어링(48)의 편심 이동에 동반하여 유지기(36)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반경방향으로 요동 운동하고, 복수의 롤러(60) 중의 일부가 하우징부(13)에 형성된 내치(15)의 일부에 끼워넣어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커버부(80)는 대략 원판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스프로켓부(11)의 리어측의 단면과 대직경 베어링(46)의 리어측의 단면에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다. 커버부(80)는 복수의 볼트(91)에 의하여 구동 회전체(10)와 체결되어 있다. 커버부(80)의 대략 중앙에는 개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82)에는 종동 회전체(30)의 플레이트부(3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80)는 스토퍼(39)에 대하여 반경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82)에는 원주방향의 일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걸어맞춤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부(84)는 사전에 결정된 연장설치각도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84)는 크랭크축(210)에 대한 캠축(220)의 상대 회전 위상의 한도를 규정하는 스토퍼부(39)와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진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84)와 스토퍼부(39)에 의해 위상의 변경각(θ1)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80)는 대직경 베어링(46)을 축방향(AD)으로 누르는 기능과, 위상의 변경각(θ1)을 규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에서는 편심 축부(20)가 전동(電動)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각각의 롤러(60)는 유지기(36)에 가이드되면서 하우징부(13)에 형성된 내치(15)를 넘어서, 인접하는 내치(15)로 구름운동(轉動)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각각의 롤러(60)의 이동에 의해, 편심 축부(2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어 종동 회전체(30)로 전달되고, 구동 회전체(10)에 대한 종동 회전체(30)의 상대 회전 위상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축(210)에 대한 캠축(220)의 위상이 변경되며, 이러한 위상에 따른 밸브타이밍이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랭크축(210)은 본 개시에서의 구동축의 하위 개념에 상당하고, 캠축(220)은 본 개시에서의 종동축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A―2.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방법:
도 4에 도시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구동 회전체(10)와, 편심 축부(20)와, 종동 회전체(30)와, 복수의 롤러(60)와, 커버부(80)와, 각 베어링(42, 44, 46, 48)을 준비한다(공정(P410)). 공정 "P410"을 준비 공정이라고도 부른다. 준비 공정에 있어서, 구동 회전체(10)는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가 별개체로 형성된다.
하우징부(13)에 대하여 편심 축부(20)와 복수의 롤러(60)와 종동 회전체(30)를 조립한다(공정 P420). 공정 P420에 있어서, 하우징부(13)에 형성된 압입부(16)의 내주면과 종동 회전체(30)에 형성된 베어링부(35)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대직경 베어링(46)이 배치된다. 대직경 베어링(46)은 압입부(16)에 의하여 유지된다.
스프로켓부(11)의 내주면에 하우징부(13)의 압입부(16)를 압입하여,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를 서로 고정한다(공정 P430). 공정 P430의 완료 후, 커버부(80)가 복수의 볼트(91)에 의하여 구동 회전체(10)와 체결되고,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에 따르면,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가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상이나 크기, 기어부(12)의 치수 등이 설계될 수 있는 스프로켓부(11)와, 감속기구로서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복수의 내치(15)가 형성된 하우징부(13)를 별개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부(13)를 내연기관(200)의 사양을 불문하고 공통의 부품으로 할 수 있어서, 구동 회전체(10)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정밀도가 요구되는 복수의 내치(15)를 포함하는 구동 회전체(10) 전체를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다르게 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어서, 구동 회전체(10)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에 따르면,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가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회전체(10)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타이밍 체인(215)이나 기어부(12)의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3)에, 스프로켓부(11)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부(13)에 대하여 편심 축부(20)와 복수의 롤러(60)와 종동 회전체(30)를 조립한 후에, 압입부(16)를 스프로켓부(11)의 내주면에 압입하여 스프로켓부(11)와 하우징부(13)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연기관(200)의 사양을 불문하고, 스프로켓부(11)의 조립 전까지의 공정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의 조립공정이 복잡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a)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있던 스프로켓부(11a)와 커버부(8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서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a)의 요부(要部)로서, 도 1과 동일한 단면에서의 하우징부(13)와 스프로켓부(11a)와 커버부(80a)와 대직경 베어링(46)과 종동 회전체(30)의 일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도 3과 동일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커버부(80a)는 스프로켓부(11a)의 기능과 걸어맞춤부(84)의 기능을 겸용하는 단일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80a)에 형성된 걸어맞춤부(84)의 원주방향의 연장설치각도(θ2)는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른 위상의 변경각(θ1)이 규정된다. 또한, 연장설치각도(θ2)가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은 예를 들면,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a)의 사양서나 취급 설명서 등에 기재되는 일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a)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스프로켓부(11a)가 커버부(8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84)의 원주방향의 연장설치각도(θ2)가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부(39)의 원주방향의 각도를 내연기관(200)의 사양을 불문하고 같게 할 수 있어서, 내연기관(200)의 사양을 불문하고 플레이트부(38)를 공통의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 스프로켓부(11a)와 걸어맞춤부(84)의 양쪽이 커버부(80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80a)를 제외한 다른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a)의 제조에 요구되는 비용의 증대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C.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84)는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른 연장설치각도(θ2)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지만, 내연기관(200)의 사양을 불문하고 같게 형성된 양태이어도 좋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위상의 변경각(θ1)은 스토퍼부(39)의 원주방향의 각도가 내연기관(200)의 사양에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규정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 100a)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부(39)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걸어맞춤부(84)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스토퍼부(39)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어맞춤부(84)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볼트(91)나 센터 볼트(92)의 체결에 대신하여, 용접 등에 의해 각 부재가 서로 고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 100a)는 캠축(220)이 개폐 구동하는 흡기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하고 있었지만, 배기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해도 좋다. 또한,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 100a)는 구동축으로서의 크랭크축(210)으로부터 중간의 축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종동축으로서의 캠축(220)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용되어도 좋고, 크랭크축(210)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용되어도 좋고, 이중 구조의 캠축이 구비되는 구동축과 종동축 중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용되어도 좋다.
본 개시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내용 란에 기재한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각 실시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상기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내연기관(200)에 있어서, 구동축(210)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종동축(220)의 축방향(AD)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축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하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100, 100a)로서,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부(11, 11a)와, 상기 스프로켓부와는 별개체로서 형성되어 자신의 내주면에 복수의 내치(15)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부(13)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 축심(AX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회전체(10);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자신의 외주면이 상기 회전 축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편심 축부(20);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내치와 상기 편심 축부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치의 치수보다도 적은 수의 복수의 롤러(60);
    상기 복수의 롤러의 상기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기(36)와,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종동축의 상대 회전 위상의 한도를 규정하는 스토퍼부(39)를 가지며, 상기 종동축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종동 회전체(30); 및
    상기 스토퍼부에 대하여 상기 반경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84)가 형성된 커버부(80, 80a)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16)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부는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내연기관의 사양에 따른 연장설치각도(θ2)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4. 내연기관에 있어서,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종동축의 축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종동축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밸브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하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밸브타이밍 조정장치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로켓부와 자신의 내주면에 복수의 내치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부를 가지는 구동 회전체;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자신의 외주면이 회전 축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편심 축부;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내치와 상기 편심 축부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치의 치수보다도 적은 수의 복수의 롤러; 상기 복수의 롤러의 상기 원주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기 및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종동축의 상대 회전 위상의 한도를 규정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종동 회전체; 및 상기 스토퍼부에 대하여 상기 반경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압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켓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별개체로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기 편심 축부와 상기 복수의 롤러와 상기 종동 회전체를 조립하는 공정; 및
    상기 스프로켓부의 내주면에 상기 압입부를 압입하여 상기 스프로켓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서로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밸브타이밍 조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7024130A 2019-03-18 2020-03-16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KR102648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9314 2019-03-18
JP2019049314A JP7131445B2 (ja) 2019-03-18 2019-03-18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PCT/JP2020/011394 WO2020189616A1 (ja) 2019-03-18 2020-03-16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569A true KR20210106569A (ko) 2021-08-30
KR102648462B1 KR102648462B1 (ko) 2024-03-19

Family

ID=7252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130A KR102648462B1 (ko) 2019-03-18 2020-03-16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34787B2 (ko)
JP (1) JP7131445B2 (ko)
KR (1) KR102648462B1 (ko)
CN (1) CN113574292B (ko)
WO (1) WO2020189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54435A (ja) * 2021-02-26 2024-04-17 日立Astemo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8030A (ja) * 2012-01-20 2013-08-01 Denso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20160348603A1 (en) * 2014-01-30 2016-12-0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135469A (ko) 2016-04-21 2018-12-20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선박의 추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7911A (ja) * 2003-08-06 2005-03-03 Nsk Ltd アクチュエータ
WO2010018821A1 (ja) * 2008-08-12 2010-02-18 Ntn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US8424500B2 (en) * 2009-08-06 2013-04-23 Delphi Technologies, Inc. Harmonic drive camshaft phaser with improved radial stability
JP5538053B2 (ja) 2010-04-28 2014-07-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5381952B2 (ja) * 2010-10-06 2014-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DE102011001301B4 (de) * 2011-03-16 2017-09-21 Hilite Germany Gmbh Schwenkmotorversteller
US9267400B2 (en) 2012-07-12 2016-02-2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ariable valv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87868B2 (ja) * 2014-07-22 2016-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CN107614840B (zh) * 2015-06-02 2019-12-20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内燃机的气门正时控制装置
KR101655225B1 (ko) * 2015-12-09 2016-09-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밸브 타이밍 제어장치
JP6645238B2 (ja) * 2016-02-11 2020-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偏心揺動型減速装置
JP6760112B2 (ja) * 2017-01-31 2020-09-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8030A (ja) * 2012-01-20 2013-08-01 Denso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20160348603A1 (en) * 2014-01-30 2016-12-0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135469A (ko) 2016-04-21 2018-12-20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코포레이션 선박의 추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74292B (zh) 2024-04-02
JP2020153234A (ja) 2020-09-24
KR102648462B1 (ko) 2024-03-19
CN113574292A (zh) 2021-10-29
WO2020189616A1 (ja) 2020-09-24
US11434787B2 (en) 2022-09-06
US20220003134A1 (en) 2022-01-06
JP7131445B2 (ja)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3826B (zh) 阀正时控制装置
US9422836B2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US8763573B2 (en) Camshaft adjusting arrangement
JP6350365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の製造に用いられるロック治具、および、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の製造方法
CN109923334B (zh) 用于轴的调节传动设备以及具有调节传动设备的车辆
CN108625922B (zh) 用于凸轮轴装置的凸轮轴调整器和凸轮轴装置
US20090199801A1 (en) Valve timing adjusting apparatus
EP2282021B1 (en) Harmonic drive camshaft phaser with improved radial stability
US7669568B2 (en) Valve timing controller
KR20210106569A (ko) 밸브타이밍 조정장치
JP7198099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821531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4487957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11242775B2 (en) Valve timing adjustment device
JP7056931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5381952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US11459916B2 (en) Valve timing adjustment device
CN111868414A (zh) 谐波传动机构
US11441453B2 (en) Valve timing adjustment device
JP7368152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WO2020170767A1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9036104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9007952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H08121121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2007239692A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