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525A -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 Google Patents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525A
KR20210106525A KR1020217022900A KR20217022900A KR20210106525A KR 20210106525 A KR20210106525 A KR 20210106525A KR 1020217022900 A KR1020217022900 A KR 1020217022900A KR 20217022900 A KR20217022900 A KR 20217022900A KR 20210106525 A KR20210106525 A KR 2021010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kit
nonwoven fabric
absorbent pad
immunochromatographic diagnostic
immunochromat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382B1 (ko
Inventor
다이스케 조모리
다케시 마츠세
아츠시 호리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발색 강도의 편차가 적어 재현성에 뛰어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이용하기 위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로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20∼200 g/㎡이며, 두께가 0.06 ㎜∼1.20 ㎜이며, 평균 섬유 직경이 0.7 ㎛∼5.0 ㎛이며, 평균 구멍 직경이 2.0 ㎛∼15.0 ㎛이며, 그리고 친수화도가 5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및 이것을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본 발명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의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정세의 변화와 함께 POCT(Point of care testing: 임상 현장 즉시 검사)의 주목도가 늘고 있다. POCT란, 피험자의 곁에서 의료 종사자 또는 피험자 스스로가 행하는 검사이며,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결과를 피험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검사이다. 이들 이점을 살려, POCT는, 병원의 외래나 병동에서 실시될 뿐만 아니라 진료소나 재택 의료의 현장에서도 착실하게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POCT는, 병원의 중앙 검사실이나 외주 검사 센터에서 이용되는 검사와는 다르게, 진료소나 재택 의료에서 행해지는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그 자체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고 측정에 대해서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POCT용의 검사 시약에는, 누구나 간단한 설명을 받은 것만으로 확실한 검사 결과를 낼 수 있는 것 같은 간편한 조작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간이 신속 진단에 이용되는 시약으로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의 측정 원리를 이용한 검사 키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키트 구성으로서는, 주로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시료 첨가부(샘플 패드), 표지 시약 유지부(컨쥬게이트 패드) 및 흡수부(흡수 패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이들 부재가 기재(배킹 시트)에 접착되어, 하우징 부재에 들어가 있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는, 액체 시료의 전개부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검사 결과의 판정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시료 첨가부(샘플 패드) 및 표지 시약이 함유된 표지 시약 유지부(컨쥬게이트 패드)가 통액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측의 단부에는 과잉의 시료액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흡수 패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의한 검사는, 채취한 각종 검체 또는 시료액을 시료 첨가부에 첨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첨가된 검체나 시료액은, 표지 시약 유지부를 통과하여,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중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판정부를 통과하여, 흡수 패드에 흡수된다. 시료액 중의 피검출 물질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표지 시약 유지부를 통과할 때에 금 콜로이드 등의 유색의 표지 시약과 복합체를 형성한 후,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상의 판정부에 포착된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의한 검사에서는, 규정된 반응 시간(10∼15분간) 동안에 크로마토그래프 매체의 판정부에 포착된 피검출 물질의 양을, 표지 시약에 유래하는 착색의 강도를 지표로 하여 육안 확인에 의해 판정한다.
상기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른 검사에서는, 질환의 판정을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종래부터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급성 관 증후군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 항목이 몇 가지 있다. 급성 관 증후군 중에서도, 급성 심근경색은, 관동맥이 혈전으로 폐색되어, 심근 조직이 괴사에 빠지는 질환이며, 발증 조기에 있어서의 재관류의 성부가 예후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그 때문에, 정확성이 높은 진단이 중요해진다. 이 경우, 진단에 필요한 마커를 정량적으로 검출해야 하고, 당연히, 이 진단에서 사용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품간의 발색 강도의 편차가 더없이 작은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발색 강도의 편차가 큰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이용한 경우, 당연히, 오진단으로 이어지며, 상기 질환의 경우에 있어서는, 오진단에 의해, 생명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이들로부터,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품간의 편차를 더없이 작게 하는 것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개발에 있어서의 큰 과제 중 하나이다.
편차의 원인으로서는 키트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영향이 생각되지만, 특히 흡수 패드에 관해서는 흡액을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시료의 흡액 속도의 편차에 기인하는 발색 강도나 발색 시간의 편차나, 또한 백그라운드의 착색이라고 하는 문제점에 의한 발색 강도의 편차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백그라운드」란, 표지 시약이,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의 세공에 가득 차거나, 비특이 흡착함으로써,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착색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백그라운드가 나쁘면, 니트로셀룰로오스막과 테스트 라인(TL)의 콘트라스트가 나빠져, TL의 발색한 라인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의료 현장에서 판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백그라운드가 나쁘면, 음성의 TL(즉, 발색 없음)의 판단이 곤란해진다. 이들 현상은, 오진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뮤노크로마토법의 검사 키트에 이용되는 흡수 패드로서는, 종래, 셀룰로오스 섬유, 유리 섬유, 펄프 등의 섬유를 포함하는 면, 부직포, 여과지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소재만으로 구성되는 흡수 패드는, 그 구조나 구성 소재, 제조 방법의 영향을 받아, 흡수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흡수량의 편차가 생기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특허문헌 1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이용한 흡수 패드를, 그리고 이하의 특허문헌 2에서는, 실리카 입자 등을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부직포 소재에 분무한 흡수 패드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흡수 패드의 경우, 섬유 밀도의 균일화나 분무량의 균일화가 곤란하며, 흡수성은 개선되어도 제품 간에서 흡수 속도에 편차가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품 간의 편차의 개선에는 이르지 않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흡수 패드에 기인하는 키트 제조 공정상의 문제도 보고되어 있다. 예컨대, 글래스 파이버제 흡수 패드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생산 공정에 있어서의 절단 시에 탈락 섬유가 분진으로서 흩날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 글래스 파이버의 분진은, 흡입하면 기관지의 염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조 작업원의 건강 피해의 관점에서, 그다지 사용이 선호되지 않는다. 또한, 커팅 모듈의 날이 깨지는 등의 문제점의 보고도 많다. 이들 이유로부터, 되도록 글래스 파이버제 흡수 패드의 사용은 피하고자 한다.
한편, 셀룰로오스제의 흡수 패드에 대해서는, 그 두께의 불균일 때문에,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의 키트를 최종 제품 형태인 하우징에 수납할 때, 설계값보다 지나치게 두꺼워 닫히지 않거나, 지나치게 얇아 하우징 내에서 위치가 어긋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품 간의 편차가 커진다.
또한 최근에는, 키트의 컴팩트화나 키트 제조의 자동화 등의 흐름 속에서,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키트 자체를 얇게 하거나, 폭을 좁게 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룰로오스제의 흡수 패드에서는, 두께나 탄성률의 문제에 의해, 미세하게 자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글래스 파이버제의 흡수 패드는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미세하게 절단한 경우, 흡액량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품간에서도 편차가 생기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편차를 최대한으로 억제하면서, 컴팩트화에 대응할 수 있는 흡수 패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13461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9346호 공보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색 강도의 편차가 적어 재현성이 뛰어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이용하기 위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특정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친수 가공을 실시하여 친수화한 것을 흡수 패드로서 이용함으로써, 흡액 성능이 균일화하여,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발색 강도의 편차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예상외로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로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20∼200 g/㎡이며, 두께가 0.06 ㎜∼1.20 ㎜이며, 평균 섬유 직경이 0.7 ㎛∼5.0 ㎛이며, 평균 구멍 직경이 2.0 ㎛∼15.0 ㎛이며, 그리고 친수화도가 5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2] 상기 부직포의 지합 지수(formation index)가 90 이하이며, 또한, 구멍 직경 분포가 이하의 식:
Dmax/Dave<2.00
Dmax/Dmin<3.50
{식 중, Dmax는 최대 구멍 직경(㎛)이며, Dave는 평균 구멍 직경(㎛)이며, 그리고 Dmin은 최소 구멍 직경(㎛)이다.}
을 만족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3]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복수가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4] 상기 부직포가, 단층의 부직포 또는 적층한 부직포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5]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본 발명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발색 강도의 편차가 적고 재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의 평량을 20∼200 g/㎡, 두께를 0.06 ㎜∼1.20 ㎜, 평균 섬유 직경을 0.7 ㎛∼5.0 ㎛, 평균 구멍 직경을 2.0 ㎛∼15.0 ㎛로 컨트롤함으로써, 발색 강도의 편차가 적고, 재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흡수 패드라고 하는 것은, 문자 그대로, 물을 흡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친수성의 소재가 사용된다. 종래의 셀룰로오스제의 흡수 패드나, 글래스 파이버제의 흡수 패드는 친수성의 소재이고,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흡수 패드도 동일하다. 그러나, 이들 흡수 패드에서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있어서의 발색 강도의 편차의 개선 효과는 볼 수 없다.
한편, 본원 발명자들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의 흡수 패드로서, 발색 강도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 소수성인 열가소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균일한 구조를 형성하고, 또한 친수화 처리함으로써, 친수화 상태를 컨트롤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흡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친수성이 높으면 좋은 것이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흡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친수성과 소수성의 컨트롤이 필요하고,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친수화 처리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흡수력을 컨트롤할 수 있어, 백그라운드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글래스 파이버와 비교하여 이탈 섬유가 적고, 절단·정형도 용이하기 때문에, 두께나 폭 등의 패드나 키트의 사이즈 설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또한 공정상의 안정성의 확보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는,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로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20∼200 g/㎡이며, 두께가 0.06 ㎜∼1.20 ㎜이며, 평균 섬유 직경이 0.7 ㎛∼5.0 ㎛이며, 평균 구멍 직경이 2.0 ㎛∼15.0 ㎛이며, 그리고 친수화도가 5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른 검사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피측정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막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플로우 스루 방식과,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래터럴 플로우 방식의 2종류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는, 이들 중 어느 쪽의 방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
[부직포 구조]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멜트블로운 부직포나 플래시 방사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평량]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20 g/㎡ 이상 200 g/㎡ 이하이다. 평량이 200 g/㎡를 넘으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점에서 적당하지 않다. 또한, 애당초 키트 구성상의 영향이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평량이 클 필요는 전혀 없다. 그 때문에,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9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g/㎡이다. 한편, 평량이 20 g/㎡ 미만이 되면 흡수 패드로서 충분한 흡액량을 담보할 수 없고, 또한, 부직포 구조로서 섬유의 조밀한 불균일이 현저하게 나타나, 지합도 나빠지기 때문에, TL 발색 강도의 편차도 커진다. 그러므로, 평량은, 3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g/㎡ 이상이다.
[두께]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두께는, 0.06 ㎜ 이상 1.20 ㎜ 이하이다. 두께의 상한에 대해서는, 1.20 ㎜를 넘는 두께의 부직포를 제조하고자 하면, 평량이나 섬유 직경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 어느 쪽의 경우도 구멍 직경 분포나 지합의 균일성을 손상시킨다.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 이하이다. 한편, 0.06 ㎜ 미만으로 하면 두께가 얇아져 흡수 패드로서 충분한 흡액량을 얻을 수 없고, 또한, 강도를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키트의 제도 공정상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지합도 나빠지기 때문에,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 이상이다.
[평균 섬유 직경]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은 0.7 ㎛ 이상 5.0 ㎛ 이하이다. 평균 섬유 직경이 5.0 ㎛를 넘으면 평균 구멍 직경이 커지고, 또한, 동시에 구멍 직경 분포의 균일성이 저하함으로써,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커진다. 그 때문에, 평균 섬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가늘며 또한 균일할수록 치밀하며 균일한 구멍 직경을 구성하지만,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가늘어도 제조 시 평량이 작고, 또한, 막 두께가 얇아져, 흡수 패드로서 충분한 흡액량이나 강도를 유지할 수 없고, 또한, 평량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의 조밀한 불균일이 현저하게 나타나,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커진다. 그러므로, 평균 섬유 직경은 0.9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평균 구멍 직경]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Dave)은, 2.0 ㎛ 이상 15.0 ㎛ 이하이다. 평균 구멍 직경이 15.0 ㎛를 넘으면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의 흡수를 고려하였을 때에 흡액 속도가 흡수 패드로서는 지나치게 빠르고, 전개하는 액의 조성에 따라서는 잘 흡액하지 못하여, 흡액 편차가 생기는 등에 의해,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커진다. 그 때문에, 평균 구멍 직경은, 13.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미만에서는 흡액 속도가 늦어지고, 그만큼, TL 발색 시간이 늦어지기 때문에, 판정 시간의 장시간화 등의 단점이 크다. 따라서, 평균 구멍 직경은, 2.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이다.
[구멍 직경 분포]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구멍 직경 분포는, 이하의 식:
Dmax/Dave<2.00
Dmax/Dmin<3.50
{식 중, Dmax는 최대 구멍 직경(㎛)이며, Dave는 평균 구멍 직경(㎛)이며, 그리고 Dmin은 최소 구멍 직경(㎛)이다.}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max/Dave<2.00이 보다 바람직하고, Dmax/Dave<1.50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Dmax/Dave=1은, 이론상으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 형성되는 구멍 직경이 완전히 동일한 이상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구멍 직경 분포를 의미한다. Dmax/Dave≥2.00에서는, 구멍 직경 분포가 매우 불균일하며,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커져, 흡수 패드 용도로서 적절하지 못하다.
Dmax/Dmin<3.00이 보다 바람직하고, Dmax/Dmin<2.50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Dmax/Dmin=1은, 이론상으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 형성되는 구멍 직경이 완전히 동일한 이상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구멍 직경 분포를 의미한다. Dmax/Dmin≥3.50에서는, 구멍 직경 분포가 매우 불균일하며,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커져, 오진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하지 못하다.
[지합 지수]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지합 지수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합 지수는 값이 작을수록, 부직포의 구조로서 균일한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지합 지수는 값이 클수록, 부직포의 구조가 불균일한 것을 나타낸다. 지합 지수는 부직포 제조 시의 평량과 두께나, 직포 제조 후의 프레스 가공 등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흡수 패드 성능에 대하여 지합 지수가 부여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합 지수의 값이 크면, 부직포 구조로서의 편차가 커지고, 그 결과,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증대하여 오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하여, 특히 세폭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제작하는 경우(예컨대, 2.0∼3.0 ㎜ 폭의 키트)에는, 보다 미세하게 부직포를 절단하게 되어, 부직포 구조의 불균일, 바꾸어 말하면 성긴 부분과 빽빽한 부분의 차가 보다 크게 성능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들 관점에서, 지합 지수는,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열가소성 수지]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소수성을 가지고 있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크실렌아디파미드 등),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아이오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열이나 수분에 대한 안정성이나 범용성의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복합시켜도 좋다.
[친수화 처리]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되어 있고, 이하에 서술하는 소정 범위의 친수화도를 갖는 것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소수성의 것이 많고, 부직포로서 구조를 형성하여도 흡수하는 일은, 거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친수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흡수의 편차를 한없이 저감시킬 수 있는 성능이 달성되어 있다. 친수화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리적인 가공 방법이면, 예컨대,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친수화를 들 수 있고, 또한, 화학적인 가공 방법, 예컨대, 표면 작용기의 도입, 예컨대, 산화 처리 등에 의해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등을 도입하는 것이나, 수용성 고분자,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술폰산, 또는 폴리글루타민산 및/또는 계면 활성제, 예컨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쪽 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의 처리제를 부직포에 딥 닙법이나 스프레이 코트법 등으로 함침, 코팅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흡수 패드에 필요한 흡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친수화 가공 방법 및 조건, 예컨대, 처리제의 사용량 및 작용기의 도입량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친수화도]
친수화도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의 흡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인 흡수 시험에 이용되는 바이렉법(Byreck Method), 적하법, 침강법이나, 이뮤노크로마토에 의한 흡액성 시험 등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친수화도는, JIS-L1907 준거의 바이렉법에 의한 흡수 높이가 50 ㎜ 이상 180 ㎜ 이하이다. 친수화도가 50 ㎜ 미만이 되면, 흡수 패드로서 전개액 등을 전개·유지하는 데 충분한 흡수성을 담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친수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또한, 친수화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180 ㎜ 이하이다. 180 ㎜를 넘는 흡수 높이로 하면 흡수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감도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전개, 입자의 흐름을 오히려 불균일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친수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6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적층]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에 이용하는 부직포는, 여러 가지 용도에 따라, 적층하여도 좋다. 부직포를 적층하는 경우는, 열엠보스 가공, 초음파 융착 등의 열융착법, 니들 펀치, 워터 제트 등의 기계적 교락법, 핫멜트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뮤노크로마토>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이용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경우의 「진단 방법」이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여러 가지 진단을 가리킨다. 진단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인간용, 동물용, 식품용, 식물용, 그 외 환경 검사 등 여러 가지 진단 대상의 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진단의 순서에서는, 검사 대상으로부터 검체 시료를 채취하고, 필요하다면 그것을 추출이나 여과 등의 전처리를 행하여, 샘플 패드에 적하하고, 검사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대기하여, 검사 대상 물질의 유무에 따라 다른 발색으로부터 진단 결과를 판단한다. 물론 이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순서, 원리의 진단에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검체 시료를 미리 여과해 둠으로써 여분의 이물이나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한층 더 진단의 신속화나, 진단 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란, 갖가지 검체 중의 검사 대상 물질의 유무를 간편하게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진단 키트의 종류로서는, 래터럴 플로우식이나 플로우 스루식이 있다. 표지 시약이나 흡수 패드를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래터럴 플로우식이다. 또한, 래터럴 플로우식 중에서도, 딥 스틱 타입과 카세트 타입이 있지만, 이들 타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키트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부재로서는, 그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a) 흡수 패드, (b) 니트로셀룰로오스막, (c) 컨쥬게이트 패드(항체 감작 표지 시약을 포함함), (d) 샘플 패드 및 (e) 대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 부재를 일부 생략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a) 흡수 패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흡수 패드란, 이뮤노크로마토에 있어서 측정 대상인 검체를 마지막에 흡수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흡수 패드로서는, 셀룰로오스 여과지, 종이, 유리 섬유, 글래스 파이버 등을 들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에 이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래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들 수 있다.
[(c) 컨쥬게이트 패드]
컨쥬게이트 패드는, 항체 감작 표지 시약 등의 표지 입자를 건조 고정화해 두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컨쥬게이트 패드로서는, 유리 섬유, 글래스 파이버, 아크릴 섬유, PET 섬유 단체 또는 복합된 부직포, 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처리를 행하여도 상관없다.
[(d) 샘플 패드]
샘플 패드는, 이뮤노크로마토에 있어서 측정 대상인 검체를 가장 먼저 수취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샘플 패드로서는, 셀룰로오스 여과지, 종이, 유리 섬유, 글래스 파이버,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각종 직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처리를 행하여도 상관없다. 예컨대, 완충액, 계면 활성제, 단백질, 검체 시료 중의 협잡물을 트랩하는 시약, 방부제, 항균제, 산화 방지제, 흡습제 등을 미리 포함시키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도 상관없다.
[표지 시약]
컨쥬게이트 패드에 고정되는 표지 시약이란, 물, 완충액 등에 불용성이며, 색소나 염료 등이 담지된 입자형 물질을 가리킨다. 입자를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표지 시약으로서는, 예컨대, 금 콜로이드, 백금 콜로이드, 은 콜로이드, 셀레늄 콜로이드 등의 금속 콜로이드 입자, 폴리스티렌 라텍스 등의 스티렌계 라텍스나 아크릴산계 라텍스 등을 착색한 착색 라텍스 입자, 규소 원자 및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체를 포함하는 실리카를 착색한 착색 실리카 입자, 셀룰로오스를 착색한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 카본 블랙 등의 착색 성분을 그대로 입자화한 표지 시약, 자성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 시약은 형광 발광성 입자여도 상관없다.
[담지 물질]
표지 시약은, 항체 등의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담지해야 하지만, 그 담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물리적인 흡착에 의한 담지, 공유 결합에 의한 담지, 이들의 조합에 의한 담지 등을 들 수 있다. 담지하는 물질의 종류나 양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담지하는 물질의 종류로서는 항체가 가장 일반적이며 바람직하다. 또한, 담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물리적인 흡착에 의한 담지가, 안정성이나 성능 등의 관점에서는 공유 결합에 의한 담지가 바람직하다.
[진단 대상]
본 실시형태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로 진단할 수 있는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암 마커, 호르몬, 감염증, 자기 면역, 혈장 단백, TDM, 응고·섬유소 용해,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 유전자, 세포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CEA, AFP, 페리틴, β2 마이크로, PSA, CA19-9, CA125, BFP, 엘라스타아제 1, 펩시노겐 1·2, 변잠혈, 요중 β2 마이크로, PIVKA-2, 요중 BTA, 인슐린, E3, HCG, HPL, LH, HCV 항원, HBs 항원, HBs 항체, HBc 항체, HBe 항원, HBe 항체, HTLV-1 항체, HIV 항체, 톡소플라스마 항체, 매독, ASO, A형 인플루엔자 항원, A형 인플루엔자 항체, B형 인플루엔자 항원, B형 인플루엔자 항체, 로타 항원, 아데노 바이러스 항원, 로타·아데노 바이러스 항원, A군 렌서 구균, B군 렌서 구균, 칸디다 항원, CD균, 크립토로커스 항원, 콜레라균, 수막염균 항원, 과립균 엘라스타아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항체, O157 항체, O157 항원, 렙토스피라 항체, 아스페르길루스 항원, MRSA, RF, 총IgE, LE 테스트, CRP, IgG, A, M, IgD, 트랜스페린, 요중 알부민, 요중 트랜스페린, 미오글로빈, C3·C4, SAA, LP(a), α1-AC, α1-M, 합토글로빈, 마이크로트랜스페린, APR 스코어, FDP, D다이머, 플라스미노겐, AT3, α2PI, PIC, PAI-1, 프로테인 C, 응고 제X3 인자, IV형 콜라겐, 히알루론산, GHbA1c, 그 밖의 각종 항원, 각종 항체, 각종 바이러스, 각종 균, 각종 아미노산, 각종 펩티드, 각종 단백질, 각종 DNA, 각종 세포, 각종 알레르겐, 각종 잔류 농약, 각종 유해물을 들 수 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제작 방법]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표지 시약의 분산액을 준비하여, 완충액, 항체를 더하고, 온도 조정을 행하면서 일정 시간 교반하여, 표지 시약에 항체를 흡착시킨다. 일정 시간 교반 후, 또한 블로킹제를 더하여 온도 조정을 행하면서 일정 시간 교반함으로써, 착색 셀룰로오스 입자의 블로킹을 행한다. 블로킹제로서는, 검사 대상 물질이나 검체 또는 그것을 희석하는 용액의 조성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블로킹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항체 흡착·블로킹 후의 표지 시약을 세정하기 위해, 원심 분리를 행하여, 잉여인 항체와 블로킹제가 포함된 상청액과 침강한 입자를 분리하고, 상청액을 디캔테이션으로 제거한다. 침강한 입자에 완충액 등의 액체를 더하여, 필요에 따라 초음파 등으로 분산 처리를 행한다. 이 원심 분리에 의한 침강, 상청의 제거, 액체의 첨가라고 하는 일련의 조작에 의한 세정을 필요 횟수 행하여, 항체 흡착·블로킹을 행한 입자를 소정의 농도로 함유한 분산액을 조제한다. 이 분산액에 필요에 따라 단백질, 계면 활성제, 수크로스나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을 더하고, 얻어진 용액을 글래스 파이버제의 컨쥬게이트 패드에 일정량 도포하고, 건조시켜, 검출 시약 함유부를 조제한다. 또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길이 섬유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 완충액, 계면 활성제, 단백, 검체 시료 중의 협잡물을 트랩하는 시약, 방부제, 항균제, 산화 방지제, 흡습제 등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샘플 패드를 조제한다. 또한 소정의 위치에 항체를 고정화한 니트로셀룰로오스막제의 크로마토그래프 매체, 검체를 흡수하기 위한 셀룰로오스 여지제의 흡수 패드를 조제한다. 이들을 배킹 시트라고 불리는 접착 부위를 갖는 시트에 고정화하여,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함으로써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제작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모든 조작은 온도 23℃, 상대 습도 55% 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등에서 이용한 물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두께(㎜)>
부직포의 두께를, JIS-L1096 준거의 두께 시험으로 하중을 1.96 ㎪로 하여 측정하였다.
<평량(g/㎡)>
0.5 ㎡ 이상의 면적의 부직포를, 105℃에서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 후,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하여 그 중량을 측정하고,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의 중량을 측정하여, 부직포의 평량으로 하였다.
<평균 섬유 직경(㎛)>
장치 형식: JSM-6510 니혼덴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였다. 얻어진 부직포를 10 ㎝×10 ㎝로 컷트하고, 상하 60℃의 철판에 0.30 ㎫의 압력으로 90초간 프레스한 후, 부직포를 백금으로 증착하였다. 그리고 상기 SEM을 이용하여, 가속 전압 15 ㎸, 워킹 디스턴스 21 ㎜의 조건으로 촬영하였다. 촬영 배율은, 평균 섬유 직경이 0.5 ㎛ 미만인 실은 10000배, 평균 섬유 직경이 0.5 ㎛ 이상 1.5 ㎛ 미만인 실은 6000배, 1.5 ㎛ 이상인 실은 4000배로 하였다. 각각의 촬영 배율에서의 촬영 시야는, 10000배에서는 12.7 ㎛×9.3 ㎛, 6000배에서는 21.1 ㎛×15.9 ㎛, 4000배에서는 31.7 ㎛×23.9 ㎛였다. 랜덤으로 섬유 100개 이상을 촬영하고, 모든 섬유 직경을 측장하였다. 이때에, 실 길이 방향에서 융착하고 있는 섬유끼리는 측정에서 생략하였다. 이하의 식:
Dw=ΣWi·Di=Σ(Ni·Di2)/(Ni·Di)
{식 중, Wi=섬유 직경(Di)의 중량 분율=Ni·Di/ΣNi·Di이다.}
에 따라 구해지는 중량 평균 섬유 직경(Dw)을, 평균 섬유 직경(㎛)으로 하였다.
<Dmax, Dave, Dmin의 측정>
장치 형식: Automated Perm Porometer(다공질 재료 자동 세공 직경 분포 측정 시스템) Porous Materials, Inc.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부직포 샘플을 펀칭날로 φ25 ㎜로 컷트하고, GALWICK 시액에 침지시켜, 1시간 탈기한다. 그 후 샘플을 셋트하여, 에어압을 가한다. GALWICK 시액이 모세관 내의 액체 표면 장력을 이기고, 압출되기 때문에, 그때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모세관의 식으로부터 유도된 Washburn의 식으로부터, 최대 구멍 직경(Dmax(㎛)), 평균 구멍 직경(Dave(㎛)), 최소 구멍 직경(Dmin(㎛))을 구하였다.
<지합 지수>
장치 형식: FMT-MIII 노무라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였다.
샘플을 셋트하지 않은 상태에서, 광원 점등 시/소등 시의 투과 광량을 CCD 카메라로 각각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A4 사이즈로 컷트한 부직포를 셋트한 상태에서 동일하게 투과 광량을 측정하여, 평균 투과율, 평균 흡광도, 표준편차(흡광도의 편차)를 구하였다. 지합 지수는, 표준편차÷평균 흡광도×10으로 구할 수 있다. 지합 지수는, 육안 확인과의 상관이 매우 높고, 부직포의 지합을 가장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지합 지수는, 지합이 좋을수록 작고, 나쁠수록 큰 값이 된다.
<친수화도>
JIS-L1907 준거의 바이렉법에 따라 흡수 높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크기 약 200 ㎜×25 ㎜의 시험편을 각각 5장 채취한다. 다음에, 물을 넣은 수조의 수면 상에 지지한 수평봉 상에 시험편을 핀 등으로 고정한 후, 수평봉을 강하시켜, 시험편의 하단의 20 ㎜±2 ㎜가 물에 침지하도록 조정하고, 그대로 10분간 방치한다. 방치 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상승한 높이를 스케일로 1 ㎜까지 측정한다. 5장의 시험편 각각의 흡수 높이의 평균값을 친수화도로 하였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백그라운드(BG 착색)>
적절한 폭으로 컷트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플라스틱의 하우징에 넣었다. 다음에, 1 중량% BSA를 포함하는 66 mM, PH 7.4의 PBS를 조제하고, 음성 검체로 하였다. 얻어진 하우징 내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100 μL의 음성 검체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5분 후에, 하마마츠호토닉스사 제조의 이뮤노크로마토 리더 C10066-10을 이용하여, TL과 CL 사이의 1점의 발색 강도(단위는 mABS)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발색 강도가 20 mABS 이상인 경우를 BG가 착색되어 있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서 20 mABS 이상으로 한 이유는, 20 mABS 이상이 되면 육안 확인으로 확실하게 착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테스트 라인(TL)의 발색 시간>
TL 발색 시간의 측정에 대해서는, 검사 대상 물질에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이하 「hCG」라고 함)을 이용하고, hCG를, 1 중량%의 소혈청 알부민(이하 「BSA」라고 함)을 포함하는 66 mM, PH 7.4의 인산 완충액(이하 「PBS」라고 함)으로 희석하여, hCG 농도가 10 mIU/㎖의 양성 검체를 조제하였다. 그 양성 검체 100 ㎕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이후 20초마다 상기 동일 이뮤노크로마토 리더로 측정을 행하여, TL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20초마다로 한 이유는, 측정 1회에 대해 20초 미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뮤노크로마토 리더에서 얻어지는 TL의 발색 강도가 20 mABS 이상이 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20 mABS로 한 이유는, 20 mABS 이상이 되면 육안 확인이어도 TL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측정을 총 30회 행하여, 평균 시간(단위는 초)을 TL 발색 시간으로 하였다.
<테스트라인(TL) 발색 강도>
TL 발색 강도의 측정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양성 검체 100 ㎕를 진단 키트의 샘플 적하부에 적하하고, 5분 후의 테스트 라인의 발색 강도(mABS)를 이뮤노크로마토 리더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총 30회 행하여, 평균 발색 강도(mABS)를 TL 발색 강도로 하였다.
또한, 동시에 TL 발색 강도의 표준편차를 구하여, 재현성을 나타내는 지표(%CV)는 하기 식:
%CV=(TL 발색 강도의 표준편차/TL 발색 강도)×100
에 따라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열가소성 부직포의 제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고, 본 수지를 압출기로 용융하여, 노즐 직경 0.3 ㎜의 방적구 노즐로부터 단일 구멍 토출량 0.12 g/min으로 압출하였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할 때에, 방사 가스는 방사 가스 온도 370℃, 방사 가스 압력 0.075 ㎫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부직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부직포는, 평량 80 g/㎡, 두께 0.22 ㎜, 평균 섬유 직경: 1.9 ㎛였다. 또한, 구멍 직경과 지합 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Dmax: 5.64 ㎛, Dave: 4.10 ㎛, Dmin: 3.23 ㎛이며, 지합 지수는 49였다.
<친수 가공>
상기에 의해 제작한 부직포를, 딥 닙법을 이용하여 친수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물을 혼합한 친수 가공제를 가공욕에 넣고, 제작한 열가소성 부직포의 원단을 침지, 맹글로 소정의 드로잉률로 드로잉한 후, 텐터형 건조기로 건조·열처리를 행하였다. 친수 가공 후, 상기 바이렉법으로 친수화도를 측정한 바 109 ㎜였다.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 입자의 조제>
금 콜로이드 입자 현탁액(다나카기킨조쿠사 제조, 평균 입자 직경 40 nm, 입자 농도 0.006 wt%) 2500 ㎕에, 인산 완충액(50 mM, pH 7.0)을 600 ㎕ 더하고, 또한 항hCG-α 마우스 항체(Fitzgerald사 제조, 모노크롬-null항체)의 0.1% 수용액을 200 ㎕ 더하여, 볼텍스로 교반한다. 계속해서, 25℃에서 10분간, 온도 조절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현탁액에 1%의 PEG 수용액을 300 ㎕, 10%의 BSA 수용액(pH 9.0, 50 mM 붕산 함유)을 600 ㎕ 첨가하여, 볼텍스로 교반하였다. 그 후, 원심 분리 조작(10000 g, 30분간)을 행하여,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잔사에, 1% BSA 수용액(0.05% PEG, 150 mM NaCl, pH 8.2, 20 mM 트리스 함유)을 11000 ㎕ 첨가하여, 볼텍스로 교반하였다. 그 후, 원심 분리 조작(10000 g, 30분간)을 행하여,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잔사에, 1% BSA 수용액(0.05% PEG, 150 mM NaCl, pH 8.2, 20 mM 트리스 함유)을 900 ㎕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를 30초간 행하였다.
<컨쥬게이트 패드에의 표지 시약의 함침, 건조>
글래스 파이버제 컨쥬게이트 패드(Ahlstrom사 제조, #8951)를 높이 10 ㎜, 길이 300 ㎜의 형상으로 컷트하였다. 그 후, 항체 감작 금 콜로이드 입자 분산액을 1020 ㎕ 균등하게 도포하여, 50℃에서 60분 건조시켰다.
<샘플 패드의 전처리>
샘플 패드(Millipore사 제조, C048)를, 대과잉의 2.0 중량%의 BSA(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A7906)와 2.0 중량%의 Tween-20(등록상표)을 함유하는 PBS 완충액(66 mM, pH 7.4)에 함침하여, 여분의 액을 제거한 후에 50℃에서 60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높이 18 ㎜, 길이 300 ㎜의 형상으로 컷트하였다.
<포착 항체 도포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의 조제>
니트로셀룰로오스막(Millipore사 제조, SHF0900425)을 높이 25 ㎜, 길이 300 ㎜의 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액체 도포 장치(무사시엔지니어링사 제조, 300DS)를 이용하여, 0.1 중량% 항hCG-β 마우스 항체(MedixBiochemica사 제조, 6601)를 포함하는 PBS 용액(66 mM, pH 7.4)을 0.1 ㎕/㎜의 비율로 높이 7 ㎜의 부분에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0.1 중량%의 항마우스-토끼 항체(Daco사 제조, Z0259)를 포함하는 PBS 용액(66 mM, pH 7.4)을 0.1 ㎕/㎜의 비율로 높이 12 ㎜의 부분에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37℃에서 30분 건조시켰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조제>
배킹 카드(Adhesives Reserch사 제조, AR9020)에, 조제한 포착 항체 도포 니트로셀룰로오스막, 흡수 패드, 표지 시약을 함유한 컨쥬게이트 패드, 샘플 패드를 접합하였다. 계속해서 재단기로 5 ㎜의 폭으로 컷트하여, 폭 5 ㎜, 높이 60 ㎜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얻었다.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성능 평가>
얻어진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폭을 5 ㎜, 또한, 두께가 0.2 ㎜ 이상인 흡수 패드를 이용하였지만, 성능 평가에 있어서는 전개액의 전개 가능량이 대략 80∼120 ㎕가 되기 때문에,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로 100 ㎕를 전개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키트폭을 2.5 ㎜로 한 것, 또는 두께가 0.2 ㎜ 미만인 흡수 패드를 이용한 것에서는, 전개액의 전개 가능량이 대략 30∼80 ㎕가 되기 때문에, 이쪽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로 50 ㎕를 전개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90 g/㎡, 또한, 평균 섬유 직경이 2.1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4.7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120 g/㎡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185 g/㎡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열가소성 부직포를 친수화 처리할 때의 친수화제의 농도를 조정하여, 친수화도가 171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열가소성 부직포를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친수화도가 72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과 두께를 조정하여, 지합 지수가 95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부직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2에서 이용한 친수화한 열가소성 부직포를 적층시킨 것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45 g/㎡, 두께가 0.14 ㎜, 평균 섬유 직경이 1.6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각 검체 적하량을 50 ㎕로 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40 g/㎡, 두께가 0.10 ㎜, 평균 섬유 직경이 1.0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20 g/㎡, 두께가 0.06 ㎜, 평균 섬유 직경이 0.9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것을 2.5 ㎜ 폭으로 컷트한 것을,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4의 설명〕
실시예 1∼14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청구항 1에 규정하는 소정 범위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친수화한 것을 흡수 패드에 이용함으로써,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분 후에는 확실하게 BG 착색이 없고(20 mABS 미만), TL 발색 강도의 편차가 작고, 제품간 편차가 적은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220 g/㎡, 두께가 0.55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당히 눈이 가득찬 부직포가 되어, 충분히 흡수하지 않음으로써 5분 후의 BG의 착색이 발생하고, 또한, TL 발색 강도의 %CV가 상승하였다.
[비교예 2]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80 g/㎡, 두께가 1.30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평량에 대하여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상당히 성긴 구조가 되었기 때문에 지합 지수가 나빠지고, TL 발색 강도의 %CV가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3]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5.5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2와 같이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굵어 지합 지수가 나빠지고, 또한 TL 발색 강도의 %CV가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4]
열가소성 부직포의 친수화도가 48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동일하게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시간도 대폭 늦어졌다. 또한, TL 발색 강도의 %CV가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5]
두꺼운 셀룰로오스제 흡수 패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강도의 %CV도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6]
얇은 셀룰로오스제 흡수 패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강도의 %CV도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7]
글래스 파이버제 흡수 패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같이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강도의 %CV도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작 시, 특히 절단 가공 시에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양의 분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8]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량이 15 g/㎡에, 두께가 0.05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전개하는 액량에 대하여 흡수 패드의 흡액량이 충분하지 않아 전개되지 않았다.
[비교예 9]
열가소성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0.6 ㎛가 되도록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8과 동일하게 흡액량이 충분하지 않아 전개되지 않았다.
[비교예 10]
두꺼운 셀룰로오스제 흡수 패드를 이용하여, 키트폭을 2.5 ㎜ 폭으로 하여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지만,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2.5 ㎜와 같은 세폭으로는 절단할 수 없어, 키트를 제작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성능 평가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11]
얇은 셀룰로오스제 흡수 패드를 이용하여, 키트폭을 2.5 ㎜ 폭으로 하여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강도의 %CV가 크게 상승하였다.
[비교예 12]
글래스 파이버제 흡수 패드를 이용하여, 키트폭을 2.5 ㎜ 폭으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를 조제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같이 5분 후의 BG 착색이 있고, TL 발색 강도의 %CV가 크게 상승하여, 5 ㎜ 폭일 때의 %CV(비교예 7)보다 더욱 악화되었다. 또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제작 시, 특히 절단 가공 시에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양의 분진이 발생하였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는, 발색 강도의 편차가 적어 재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부직포를 이용하여 친수화 처리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흡수력을 컨트롤할 수 있어, 백그라운드의 개선으로 이어지며, 또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글래스 파이버와 비교하여 이탈 섬유가 적어, 절단·정형도 용이하기 때문에, 두께나 폭 등의 패드나 키트의 사이즈 설계에 대해서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또한 공정상의 안정성의 확보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는, 각종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의 흡수 패드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a) 흡수 패드
(b) 니트로셀룰로오스막
(c) 컨쥬게이트 패드(항체 감작 표지 시약을 포함함)
(d) 샘플 패드
(e) 대지

Claims (5)

  1.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로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20∼200 g/㎡이며, 두께가 0.06 ㎜∼1.20 ㎜이며, 평균 섬유 직경이 0.7 ㎛∼5.0 ㎛이며, 평균 구멍 직경이 2.0 ㎛∼15.0 ㎛이며, 그리고 친수화도가 5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지합 지수(formation index)가 90 이하이며, 또한, 구멍 직경 분포가 이하의 식:
    Dmax/Dave<2.00
    Dmax/Dmin<3.50
    {식 중, Dmax는 최대 구멍 직경(㎛)이며, Dave는 평균 구멍 직경(㎛)이며, 그리고 Dmin은 최소 구멍 직경(㎛)이다.}
    을 만족하는 것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복수가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단층의 부직포 또는 적층한 부직포인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를 이용한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KR1020217022900A 2019-01-31 2020-01-28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KR102601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5565 2019-01-31
JP2019015565 2019-01-31
PCT/JP2020/003029 WO2020158750A1 (ja) 2019-01-31 2020-01-28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用吸収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525A true KR20210106525A (ko) 2021-08-30
KR102601382B1 KR102601382B1 (ko) 2023-11-10

Family

ID=718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900A KR102601382B1 (ko) 2019-01-31 2020-01-28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80406A1 (ko)
EP (1) EP3919908A4 (ko)
JP (1) JP7128911B2 (ko)
KR (1) KR102601382B1 (ko)
CN (1) CN113474656A (ko)
TW (1) TWI734361B (ko)
WO (1) WO2020158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7376A (zh) * 2022-07-26 2022-10-28 深圳市中核海得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氧化碳吸收材料用基材的制备方法
WO2024106695A1 (ko) * 2022-11-14 2024-05-23 주식회사 큐에스택 진단 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615U (ja) 1984-08-01 1986-03-03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ヘツド
JP2010256309A (ja) * 2009-04-28 2010-11-11 Asahi Kasei Fibers Corp コンジュゲートパッドおよび体外診断薬
JP2012189346A (ja) 2011-03-09 2012-10-04 Tanaka Kikinzoku Kogyo Kk 吸収パッド
JP2013053897A (ja) * 2011-09-02 2013-03-21 Seiko Epson Corp 液体吸収部材及び生体反応検出システム
KR20160072236A (ko) * 2013-12-13 2016-06-22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백혈구 제거 필터재, 및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
JP2016173956A (ja) * 2015-03-17 2016-09-29 旭化成株式会社 水系電解液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水系電解液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627A (en) 1978-09-01 1980-03-08 Yosuke Okura Quantitization of mono-substituted guanidine
DE10009503A1 (de) * 2000-02-29 2001-08-30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zur Immobilisierung von Konjugaten in diagnostischen Tests
US7871946B2 (en) * 2003-10-09 2011-01-18 Kuraray Co., Ltd. Nonwoven fabric composed of ultra-fine continuous fibers, and production process and application thereof
WO2008038785A1 (fr) * 2006-09-29 2008-04-03 Toray Industries, Inc. Colonne adsorbeuse de cellules
JP2009063482A (ja) * 2007-09-07 2009-03-26 Teijin Fibers Ltd 吸収部材およ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キット
WO2014103667A1 (ja) * 2012-12-28 2014-07-03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機能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99954A1 (ja) * 2013-06-10 2014-12-1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JP6134615B2 (ja) 2013-09-02 2017-05-24 アイオン株式会社 吸収パッド
CN105424940A (zh) 2014-09-17 2016-03-23 厦门大学 用于检测分析物的装置和方法
JP6815232B2 (ja) * 2017-03-14 2021-01-20 デンカ株式会社 糖鎖抗原を抽出し測定するためのイムノクロマトデバイス
JP2019015583A (ja) * 2017-07-06 2019-01-31 東洋紡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試験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615U (ja) 1984-08-01 1986-03-03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ヘツド
JP2010256309A (ja) * 2009-04-28 2010-11-11 Asahi Kasei Fibers Corp コンジュゲートパッドおよび体外診断薬
JP2012189346A (ja) 2011-03-09 2012-10-04 Tanaka Kikinzoku Kogyo Kk 吸収パッド
JP2013053897A (ja) * 2011-09-02 2013-03-21 Seiko Epson Corp 液体吸収部材及び生体反応検出システム
KR20160072236A (ko) * 2013-12-13 2016-06-22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백혈구 제거 필터재, 및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
JP2016173956A (ja) * 2015-03-17 2016-09-29 旭化成株式会社 水系電解液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水系電解液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74656A (zh) 2021-10-01
TWI734361B (zh) 2021-07-21
TW202035985A (zh) 2020-10-01
EP3919908A4 (en) 2022-04-06
EP3919908A1 (en) 2021-12-08
WO2020158750A1 (ja) 2020-08-06
JP7128911B2 (ja) 2022-08-31
US20220080406A1 (en) 2022-03-17
JPWO2020158750A1 (ja) 2021-10-28
KR102601382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27B1 (ko)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CA2452948C (en) A test strip for a lateral flow assay for a sample containing whole cells
JPH04507146A (ja) 特異的結合アッセイのための分析試験装置
KR102601382B1 (ko)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WO2016031892A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JPS63502139A (ja) 生物学的診断装置
KR102350870B1 (ko) 유기 착색 미립자, 진단약 키트 및 인비트로 진단 방법
JP2018048818A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出キット
JP7176915B2 (ja) 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JP2010256309A (ja) コンジュゲートパッドおよび体外診断薬
KR20210107781A (ko)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용 흡수 패드 및 이뮤노크로마토 진단 키트
JP2010181346A (ja) 検査キット用サンプルパッド
JP2024011904A (ja) 血球分離フィルター及びイムノクロマト診断キット
JP2002350428A (ja) 全血からの血漿又は血清分離方法及び器具
JP7358360B2 (ja) 表面プラズモン共鳴を担体粒子を用いて増幅させるイムノクロマト法
CN116899639A (zh) 一种微流控装置及其用途
JP2022013284A (ja) 多孔質焼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イムノクロマト展開膜、並びに迅速検査キット
EP0394021A2 (en) Diagnostic device with porous, absorbent single element
EP0393961A2 (en) Porous, absorbent, multiple element diagnostic device
JP2018169373A (ja) 免疫測定方法、免疫測定用キット及びラテラルフロー型クロマトテスト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