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654A -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 Google Patents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654A
KR20210105654A KR1020200020388A KR20200020388A KR20210105654A KR 20210105654 A KR20210105654 A KR 20210105654A KR 1020200020388 A KR1020200020388 A KR 1020200020388A KR 20200020388 A KR20200020388 A KR 20200020388A KR 20210105654 A KR20210105654 A KR 2021010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ube
suction
syring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231B1 (ko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2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사기로 약액을 충진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내장된 약액충진용 필터튜브와, 약액충진이 완료된 주사기에 장착되어 인체내로 약액을 투여하는 주사바늘이 보관되는 주사바늘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되어 필터튜브와 주사바늘을 함께 보관하되 약액충진과정에서 주사바늘 표면에 약액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주사기팁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A syringe tip complex with integrally a filter tube and a needle container tube}
본 발명은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사기로 약액을 충진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가 내장된 약액충진용 필터튜브와, 약액충진이 완료된 주사기에 장착되어 인체내로 약액을 투여하는 주사바늘이 보관되는 주사바늘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되어 필터튜브와 주사바늘을 함께 보관하되 약액충진과정에서 주사바늘 표면에 약액이 묻는 것과 필터가 설치된 주사바늘로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할 때 주사기 주입압력을 높이기 위해 주사기에 과하게 힘을 주어 발생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주사기팁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약액을 생물체의 체내로 주입하는 의료 기기이다. 주사기에 흡입되는 약액은 대부분 유리로 된 앰플에 보관되어 유통되며, 사용시 앰플을 개봉하여 주사기에 충진시킨다.
그러나 유리앰플을 개봉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유리파편이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미세한 유리파편은 약액에 혼합되어 주사기로 충진될 수 있으며, 약액을 신체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내포된 유리파편도 함께 신체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미세 유리파편이 혈관에 주입되면 혈관을 따라 인체의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어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 주사기가 사용되고 있다. 필터 주사기는 약액의 흡입 또는 주입 과정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약액에 의도하지 않게 포함된 유리파편, 고무파편 등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필터 주사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종래의 필터 주사기는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 할 때 약액을 필터링 하는 방식의 주사기와, 주사기에 흡입된 약액을 신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약액을 필터링하는 방식의 주사기로 구분된다.
하지만, 종래의 필터 주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약액을 주사기로 흡입 할 때 약액을 필터링 하는 방식의 필터 주사기는, 약액 흡입 후 필연적으로 바늘을 교체해야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 경우,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며 바늘 교체 과정에서 2차적인 감염이 발생하거나 시간이 걸려 응급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신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약액을 필터링하는 방식의 필터 주사기는 약액 흡입 후 주사바늘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지만, 일반적인 주사바늘에 비해 주사 시 손으로 전달되는 압력이 높다. 이에 따라, 주사바늘이 신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힘이 부가되어 환부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6405호(2016.08.16.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바늘결합관이 결합되어 주사바늘의 결합허브에 결합되고, 상기 바늘결합관의 단부측에는 다공성필터를 내설하되 주사바늘 단부가 내입되어 약액이 다공성 필터를 통해서 주사바늘을 통해 흡입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은 다공성필터에 주사바늘을 내입시키는 과정에서 다공성필터 조각이 내입될 수 있고, 주사바늘 외면에 약액이 묻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성성분의 약액의 경우 인체 주입시 약액에 의한 피부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1562호(2019.09.06.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주사기의 앞부분에 통상적인 주사기바늘을 결합하는 주사바늘결합부(몸통꼭지)를 주사기와 동축상으로 배치하고, 추가적으로 주사바늘결합부와 일정각 교차되도록 필터튜브결합부(가지꼭지)를 형성하여 필터튜브(가지형 주사기통)가 결합되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선행문헌2는 필터튜브결합부를 통해서 약액을 충진하고, 인체주입시 주사바늘결합부를 통해서 주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 약액 충진과정에서 주사바늘에 약액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2는 약액충진시 약액이 주사바늘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나, 주사바늘과 필터튜브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으로 보관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필터튜브를 분리하면 충진된 약액이 배출됨으로 필터튜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체에 주사기를 주입시켜 약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필터튜브에 의해 힘이드는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6405호(2016.08.16.공개;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한국등록특허 제10-2021562호(2019.09.06.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는,
필터가 내장된 필터튜브에 주사바늘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관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이물질이 주사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고, 주사기로의 약액 충전과정에서 약액이 주사바늘에 묻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주입 시에는 구비된 다른 일반 주사바늘을 사용하므로서 주입하는 의료인이 주사기에 과하게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주입이 가능하고, 이는 응급상황의 짧은 시간내에서도 손에 힘을 적게 부여하여 신속한 약액 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튜브의 흡입라인을 복수로 구비하여 어느 한쪽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도 다른 한쪽을 통해서 충분히 흡입이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는,
주사기 전단에 결합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약액을 흡입하여 주사기를 충진시키는 주사기팁 복합체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전단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는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의 후단에 연속 형성되어 결합되는 주사기 전단과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관결합부와, 상기 흡입관부 내측에 설치되어 약액 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로 구성된 필터튜브와; 내부에는 전단은 폐구되고 후단은 확관부를 갖는 보관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확관부는 내장되는 주사바늘의 주사기결합부에 밀착되어 탈거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튜브는 흡입관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복수의 흡입유로를 통해 약액을 흡입하고, 복수의 흡입유로는 관결합부에서 합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튜브와 주사바늘보관튜브는 하나의 복합튜브 내에 형성되되, 상기 복합 튜브의 내부에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흡입유로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하나의 흡입유로가 연통되거나, 전단에 복수의 흡입구를 개구하고 복수의 흡입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음 후방에서 합류되어 후단 관결합부의 결합구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복합튜브 내부의 흡입유로 일측으로 전단이 폐구된 보관유로가 형성되어 주사바늘이 내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유로 후단의 면은 흡입유로 후단의 면과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흡입관부 내측의 흡입유로 상에 설치되고, 필터와 연속된 전방측 내벽면에는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확장된 포집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튜브는 흡입유로에 내설된 필터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로 분리 구성하여 후방으로 탈착되게 하거나, 필터가 위치하는 부분과 포집홈이 형성된 부분을 한 모듈로 하여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튜브의 흡입관부 전단에는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전단캡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전단캡과 흡입관부 사이에 필터가 개재되어 흡입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는,
저장용기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주사기로 충진하는 필터튜브와, 충진된 주사기를 인체에 주입하는 주사바늘을 함께 제공하여 보관 및 취급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튜브의 흡입유로는 복수로 구성하여 어느 일측이 이물질에 의해 폐구되거나 약액 투수성이 낮아져도 다른 흡입유로에서 원활하게 약액을 흡입할 수 있어 일정수준 이상의 흡입력을 제공해 주사기로의 약액 충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 전방부분에 포집홈을 형성하여 일시적인 압력저하로 유입된 이물질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하여 이물질이 필터를 막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팁 복합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또는 복수의 흡입유로를 갖는 필터튜브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2c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또는 복수의 흡입유로를 갖는 필터튜브의 다양한 폭방향 절개 단면도.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필터튜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튜브 단독 구조형태 및 필터튜브와 보관튜브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형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3c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튜브와 보관튜브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A-A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튜브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가 형성된 복합튜브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홈이 형성된 필터튜브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 및 B-B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착측홈이 형성된 필터튜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튜브(20)의 전단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팁 복합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팁 복합체(10)는 저장용기의 약액을 주사기로 충진하기 위한 필터튜브(20)와, 주사기(60)에 충진된 약물을 인체에 주입시키기 위한 주사바늘(70)을 보관하는 보관튜브(30)를 도 1a와 같이 일체로 구성하거나, 도 1b와 같이 분리하되 끈 등의 연결수단(40)에 의해 인접하여 구비되게 함으로써 각각 별도로 준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세트로 제공할 수 있다.
각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필터튜브(20)는 약액을 흡입하는 흡입유로(24)가 형성된 흡입관부(21)와, 상기 흡입관부의 후단측에 연속형성되어 주사기(60) 전단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관결합부(22)와, 상기 흡입관부 내에 설치되는 필터(23)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튜브(20)의 흡입관부(2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흡입유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로(24)는 전단은 외부로 개구된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흡입구로부터 후단의 관결합부의 결합구(221)까지 길게 형성되어 전단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흡입유로(24) 상에는 필터(23)가 장착되어 흡입된 약액이 필터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진행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에 걸러져 후방으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약액만이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23)는 흡입유로(24) 상에 배치되거나, 흡입유로를 일정부분 확장하고 확장된 부분에 필터를 안치하여 흡입압력이 발생하면 확장에 의해 형성된 단턱이 필터를 지지하여 필터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로의 전방부위에 필터 또는 막으로 된 필터가 포함된 마개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주사기 약액흡입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상용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튜브(20)의 관결합부(22)는 필터튜브(20)의 후단에 배치되고 전방측의 흡입유로(24) 직경보다 일정크기 큰 직경을 갖는 결합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관결합부의 결합구(221)에는 주사기(60) 전단이 직접 또는 주사기 전단에 장착되는 보조팁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구 부분과 내측의 흡입유로 사이에 단턱을 형성하여 결합구에 끼워지는 주사기 전단의 내입깊이를 한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부(21)와 관결합부(22)는 내부 유로가 연통되어 전단에서 흡입된 약액이 흡입관부를 통해 관결합부로 이동되고, 관결합부에 결합된 주사기 내부로 충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필터튜브의 흡입관부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b는 필터튜브(20)의 흡입관부(21)가 2개로 구성된 형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약액을 흡입하는 흡입관부(21)를 2개로 구비하고, 각 흡입관부 내의 흡입유로(24) 상에 각각 필터(23)를 내설하여 각각의 흡입유로에서 흡입된 약액이 필터(2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흡입유로(24)는 후단의 관결합부(22) 부분에서 1개로 합류되고, 후단으로는 1개의 결합구(221)와 연통되고, 결합구에 결합되는 주사기에 약액을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2개의 흡입유로(24)를 형성하면 흡입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23)에서 걸러지면서 둘 중 어느 하나의 흡입유로가 막혀도 다른 하나의 흡입유로를 통해서 약액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주사기에 약액을 충진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관부(21)는 도시된 2개가 병렬로 배열된 형태 이외에 3~4개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흡입관부(21) 후단에는 관결합부(22)가 연속 형성된다. 상기 관결합부(22)는 주사기 전단과 결합하는 것 이외에 병렬배열된 다수개의 흡입관부 내의 각 직선의 흡입유로(24)를 하나로 합류시켜 후단에 개구된 결합구(221)와 연통시키는 흡입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흡입관부(21) 내의 흡입유로(24)를 통해 흡입된 약액은 관결합부(22) 내에서 하나의 유로로 합류된 다음 관결합부에 장착된 주사기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도 2c와 도 2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2개의 흡입관부(21)는 단면을 누에고치형으로 형성하거나 하나의 원 또는 타원 내에 흡입유로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부는 하나의 흡입유로를 내포하게 구성하고, 하나의 흡입유로마다 분리구성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한 바와같이 필터튜브(20)를 구성하는 흡입관부(21)와 관결합부는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이 분리형으로 제공할 경우 분리단면 중 어느 일측으로 흡입유로(24)의 직경을 확장하여 필터(23)를 내입시킬 수 있어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분에는 고무패킹(50)을 개재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분리구성된 필터튜브의 결합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공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관튜브(30)는 주사기의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70)을 보관하는 튜브이다.
도 3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보관튜브(30)는 전단측은 폐구되고 후단측은 주사바늘의 주사기결합부를 안치하는 확관부(311)를 갖는 보관유로(31)가 형성된다. 즉, 주사바늘(70)은 바늘부와, 상기 바늘부를 지지하면서 주사기의 전단에 결합되는 부분인 주시기결합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보관유로(31)는 폐구되는 방향으로 바늘부가 내입되고, 개구된 방향인 확관부(311) 부분에 주사기결합부가 배치되도록 내장하여 보관된다. 사용시에는 보관튜브(30)에 주사바늘(70)이 내장된 상태에서 주사기(60)를 주사바늘의 주사기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후방으로 주사기를 당겨서 보관유로에서 주사바늘을 탈거하여 사용한다.
이 때 상기 보관유로(31)의 확관부(311)는 주사바늘의 주사기결합부에 밀착되어 압박하거나 얕은 걸림턱에 의한 걸림에 의해 일시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관튜브(30)는 도 3b와 도 3c에 평면 및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튜브 일측면으로 수평으로 배열하여 흡입유로(24)와 보관유로(31)가 병렬배열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 3d와 같이 2개의 흡입유로(24)와 보관유로(31)가 다발로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튜브와 보관튜브는 하나의 관체인 복합튜브(11) 내에서 모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복합튜브(11)는 내부에 전단에 개구된 1개의 흡입구(211)에서 후단의 관결합부의 결합구(221)까지 연통된 하나의 흡입유로(24)와, 상기 흡입유로(24)와 인접하여 전단은 폐구되고 후단이 연통된 보관유로(31)로 구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합튜브(11) 내의 흡입유로(24)는 전단에는 2개의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1개의 결합구(221)를 형성되며, 내설된 필터의 후방측에서 2개의 흡입유로가 1개의 흡입유로로 합류되어 결합구로 연통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튜브(11)는 도시된 원형단면 이외에 삼각단면으로 형성하여 2개의 흡입유로와 1개의 보관유로가 삼각형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유로를 배치할 경우에는 사각단면으로 형성하여 복합튜브의 단면적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복합튜브(11) 형태에서 보관유로(31)와 흡입유로(24)의 후단은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약액을 흡입할 때와 인체에 약액을 주입할 때 복합튜브 후단면 중 주사기를 결합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즉, 흡입유로(24)의 결합구(221)가 형성된 후단면을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보관유로(31)의 확관부(311)가 형성된 후단면을 상대적으로 전방측으로 내입시켜 단차를 형성하여 돌출면과 내입면으로 흡입유로와 주사기결합부의 보관위치를 쉽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팁 복합체는 필터튜브(20)의 흡입관부에 형성된 흡입유로(24)상에서 필터(23)와 연속된 전방측 내벽면에 포집홈(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홈(25)은 필터 전방측의 흡입유로(24) 내벽면 직경을 일정길이로 확장시켜 흡입유로로 흡입된 약액의 흡입압력을 일시적으로 낮춰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하부로 가라앉게 한 것이다. 이는 흡입유로의 중심에서 벗어난 가장자리에 이물질이 축적되게 하여 필터 중심에 이물질이 걸려 필터튜브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집홈(25)은 흡입유로(24) 내면벽 중 하부 일부에만 깊게 형성(도 6b)하거나, 흡입유로 내벽면에 환형태로 형성하여 일시적인 압력변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튜브를 포함하는 필터튜브(20)는 전체적으로 흡입유로(24)를 형성하는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켜 벽체 두께를 조절하여 포집홈(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포집홈이 형성된 부분만 벽체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한 바와같이 필터튜브(20)를 전후 유닛으로 분리구성하여 필터(23)의 내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보관튜브(30)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튜브 형태로 도시된 필터튜브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튜브(20)는 전방의 직선 흡입유로가 형성된 흡입관부(21)와 후방의 필터(23)를 안착시키는 관결합부(22)를 분리구성하였다.
결합부위에서 흡입관부(21)의 후단은 중심부분이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돌출된 부분 중 하부 일부분은 후단에서 전방으로 홈을 형성하여 홈 부분이 결합후에 포집홈(25)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위에서 관결합부(22)의 전단은 내측 중심방향으로 흡입관부 후단을 내입시키는 내입홈(222)을 형성하고, 내입홈에서 후방측으로는 필터삽입홈(223)을 더 형성하는 다단홈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면 관결합부의 필터삽입홈(223)에 필터(23)를 안착시킨 후 흡입관부(21)과 결합시킴으로써 필터튜브 내에 필터를 용이하게 내설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부(21)의 후단부분이 필터(23)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필터를 들뜸없이 내설 할 수 있다.
또한, 관결합부(22)의 전단 내측면에는 걸림돌기(224)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흡입관부의 돌출된 부분 외면에는 걸림홈(212)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두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흡입관부(21)과 관결합부(22)의 결합부위 사이에는 고무패킹(50)을 더 개재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23)를 트레이모듈(12)에 안치하고 필터튜브(20) 또는 복합튜브의 측면에는 필터장착측홈(26)을 형성하여 필터(23)를 안치한 트레이모듈(12)를 필터장착측홈(26)에 끼워넣어 흡입유로(24)상에 필터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모듈(12)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는 고무패킹(50)을 개재하여 필터장착측홈(26)과 트레이모듈(12)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한 바와같이 측면으로 끼워지는 트레이모듈(12)에는 안착되는 필터(23) 후방측으로 복수의 유로를 하나로 합류하는 구성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복수의 흡입유로를 합류시키는 부분을 트레이모듈(12)에 형성하면, 필터튜브 또는 복합튜브 제조시 필터장착측홈(26)의 전방에는 복수의 흡입유로를 형성하고, 필터장착측홈 후방측에는 하나의 결합구를 형성함으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튜브(20)의 전단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의 필터튜브(20)의 전단에는 필터(23)를 접하여 안치하고, 안치된 필터를 내포하도록 전단캡(27)을 장착하였다.
상기 전단캡(27)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필터튜브(20)의 전단에 끼움 또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의 약액은 전단캡(27)의 중심 통공을 통해 필터튜브의 흡입유로(24)로 흡입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흡입되는 약액은 전단캡(27)과 필터튜브(21) 전단 사이에 개재된 필터(2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튜브 전단에 필터를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23)를 캡 형태로 제조하여 필터튜브(21) 전단에 덮어서 장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이외에 필터를 필터튜브 전단에 부착시키는 등 다양한 공지방법에 의한 필터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팁 복합체(10)는, 필터튜브(20)의 결합구(221)에 주사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필터튜브(20)를 약액 저장용기에 내입시켜 주사기 밀대를 당기면 저장용기에 저장된 약액은 필터튜브의 전단 흡입구(211)를 통해 흡입유로(24)로 내입되도록 흡입되고, 흡입유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흡입유로상에 설치된 필터(23)를 통과한다. 이때 약액에 내포된 이물질이 필터에 걸러지게되고,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약액만 주사기에 충진된다.
충진이 완료되면 주사기는 필터튜브에서 탈거하고, 필터튜브와 일체 또는 연결된 보관튜브(30)에 보관되는 주사바늘에 결합되고, 주사기를 후방으로 당겨 보관튜브에서 주사바늘을 분리시킨 다음 인체에 주입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면 약액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튜브(20)와 인체주입용의 주사바늘을 내포한 보관튜브를 동시에 제공하되 약액 충진과정에서 주사바늘 외면에 약액이 묻어서 주사바늘이 오염되거나 약액이 피부에 닿아서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어 주사바늘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기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10 : 주사기팁 복합체
11 : 복합튜브 12 : 트레이모듈
20 : 필터튜브
21 : 흡입관부 22 : 관결합부
23 : 필터 24 : 흡입유로
25 : 포집홈 26 : 필터장착측홈
27 : 전단캡
211 : 흡입구 212 : 걸림홈
221 : 결합구 222 : 내입홈
223 : 필터삽입홈 224 : 걸림돌기
30 : 보관튜브
31 : 보관유로
311 : 확관부
40 : 연결수단
50 : 고무패킹
60 : 주사기
70 : 주사바늘

Claims (7)

  1. 주사기 전단에 결합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약액을 흡입하여 주사기를 충진시키는 주사기팁 복합체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유로(24)가 형성되어 전단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는 흡입관부(21)와, 상기 흡입관부의 후단에 연속 형성되어 결합되는 주사기 전단과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관결합부(22)와, 상기 흡입관부의 전단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약액 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3)로 구성된 필터튜브(20)와;
    내부에는 전단은 폐구되고 후단은 확관부(311)를 갖는 보관유로(31)가 형성되되, 상기 확관부(311)는 내장되는 주사바늘의 주사기결합부에 밀착되어 탈거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보관튜브(3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튜브(20)는 흡입관부(21)를 복수로 구비하여 복수의 흡입유로를 통해 약액을 흡입하고, 복수의 흡입유로는 관결합부(22)에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튜브(20)와 보관튜브(30)는 하나의 복합튜브(11) 내에 형성되되,
    상기 복합튜브(11)의 내부에는 흡입유로(24)가 형성되되, 상기 흡입유로(24)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하나의 흡입유로(24)가 연통되거나, 전단에 복수의 흡입구(211)를 개구하고 복수의 흡입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음 후방에서 합류되어 후단 관결합부의 결합구(221)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복합튜브 내부의 흡입유로 일측으로 전단이 폐구된 보관유로(31)가 형성되어 주사바늘이 내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유로(31) 후단의 면은 흡입유로(24) 후단의 면과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3)는 흡입관부 내측 흡입유로(24)상에 설치되고, 필터(23)와 연속된 전방측 내벽면에는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확장된 포집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튜브(20)는 흡입유로(24)에 내설된 필터(23)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로 분리 구성하여 후방으로 탈착되게 하거나, 필터(23)가 위치하는 부분과 포집홈(25)이 형성된 부분을 한 모듈로 하여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튜브(20)의 흡입관부(21) 전단에는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전단캡(27)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전단캡(27)과 흡입관부(21) 사이에 필터(23)가 개재되어 흡입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팁 복합체.
KR1020200020388A 2020-02-19 2020-02-19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KR10238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88A KR102382231B1 (ko) 2020-02-19 2020-02-19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388A KR102382231B1 (ko) 2020-02-19 2020-02-19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54A true KR20210105654A (ko) 2021-08-27
KR102382231B1 KR102382231B1 (ko) 2022-04-05

Family

ID=7750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88A KR102382231B1 (ko) 2020-02-19 2020-02-19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037A (ko) * 2011-11-03 2013-05-13 오성임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1406262B1 (ko) * 2013-04-09 2014-06-12 이정권 노출 필터부재가 구비된 주사기용 필터캡
KR101466764B1 (ko) * 2014-04-22 2014-11-28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20160096405A (ko) 2015-02-05 2016-08-16 김주영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KR20170000435A (ko) * 2015-06-23 2017-01-0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주사기용 필터장치
KR102021562B1 (ko) 2017-03-15 2019-09-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 방법
KR20190121473A (ko) * 2018-04-18 2019-10-28 육영수 회전식 흡입부가 구비된 필터니들 및 니들부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037A (ko) * 2011-11-03 2013-05-13 오성임 니들의 교체가 필요 없는 주사기의 전환장치
KR101406262B1 (ko) * 2013-04-09 2014-06-12 이정권 노출 필터부재가 구비된 주사기용 필터캡
KR101466764B1 (ko) * 2014-04-22 2014-11-28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20160096405A (ko) 2015-02-05 2016-08-16 김주영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KR20170000435A (ko) * 2015-06-23 2017-01-0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주사기용 필터장치
KR102021562B1 (ko) 2017-03-15 2019-09-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 방법
KR20190121473A (ko) * 2018-04-18 2019-10-28 육영수 회전식 흡입부가 구비된 필터니들 및 니들부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231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7987B (zh) 具有可塌缩式弹性隔膜配件的无针式连接器和对应的方法
KR100756081B1 (ko) 양방향 흐름 특성이 있는 의료용 밸브
ES2219020T3 (es) Valvula medica con caracteristicas de flujo positivo.
US4016879A (en) Multi-mode cannulating apparatus
CN101557845A (zh) 输液套装
KR20130007576A (ko) 새로운 무바늘 액세스 커넥터 및 그 이용 방법
HU221449B (en) Method for delivery of liquids and medical valve with
KR20090023493A (ko) 약액 조제용 키트
JP2023096001A (ja) Yポート・ニードル・フリー・コネクターを備えた閉鎖式ivアクセス・デバイス
JPH10506563A (ja) 移植自在アクセス装置
AU2001280515A1 (en) Medical valve with positive flow characteristics
RU99113434A (ru) Многопросв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CN109789291A (zh) 具有安全功能和压力控制阀元件的静脉内导管设备
JPH09276410A (ja) トリプルルーメンカテーテル
JPH08168535A (ja) バイパス弁構造を備えた無針式注入サイト
JP6076390B2 (ja) 薬物の注入のためのインサートを有する配管セット
ES2275968T3 (es) Disposicion de inyeccion.
KR101929203B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KR102382231B1 (ko)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KR20140065198A (ko) 수액세트
KR20160002806U (ko) 수액 주입용 연결 커넥터
JP2003505161A (ja) 安全注射器
KR200470517Y1 (ko) 의료용 수액세트의 점적통
KR102466109B1 (ko) 팁 형태 변환이 용이한 주사기
KR20210001173A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