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764B1 -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 Google Patents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764B1
KR101466764B1 KR1020140047850A KR20140047850A KR101466764B1 KR 101466764 B1 KR101466764 B1 KR 101466764B1 KR 1020140047850 A KR1020140047850 A KR 1020140047850A KR 20140047850 A KR20140047850 A KR 20140047850A KR 101466764 B1 KR101466764 B1 KR 10146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ilter member
injection
need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인
Original Assignee
백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인 filed Critical 백우인
Priority to KR102014004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764B1/ko
Priority to PCT/KR2015/003633 priority patent/WO20151636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의 주사액을 주사기에 충진할 경우에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된 앰플 조각들이 주사과정에서 필터링되어 인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200)의 전단에 필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다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가스켓(3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에는 가스켓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때 필터부재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바늘 고정관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주사액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에는 걸림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130)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가 주사바늘 고정관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Safety syringe with filter element}
본 발명은 앰플의 주사액을 주사기에 충진할 경우에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된 앰플 조각들이 주사과정에서 필터링되어 인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앰플에 담긴 주사액을 체내에 주사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사액이 담겨진 앰플(A:Ampoule)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고, 개봉된 부분으로 주사바늘(3)을 인입시킨 후 피스톤(2)을 후퇴시켜 앰플(A) 내의 주사액이 실린더(1)의 내부로 충진되도록 한 다음, 주사바늘(3)을 환자의 환부에 찔러 넣고 피스톤(2)을 전진시켜 실린더(1) 내부에 있던 주사액이 주사바늘(3)을 통해 환자에게로 투여되도록 한다.
그러나, 앰플(A)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게 되면 유리파편이 비산되면서 그 일부가 앰플(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앰플(A)의 내부로 들어간 유리파편이 주사액이 실린더 내부로 충진될 때 주사기의 내부로 혼입되어 주사액과 함께 체내로 투여되게 되므로 환자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특허등록 제10-981586호(이하 "선행특허"라 함)에서는 필터(11)가 내장된 필터팁(10)을 실린더(1)에 끼운 다음 주사액을 실린더(1)에 충진함으로써 주사액에 포함된 유리파편이 필터(11)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실린더(1)의 내부로 주사액을 충진할 때는 필터팁(10)을 끼우고, 주사기의 주사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필터팁(10)을 제거한 후에 주사바늘 고정관(20)을 주사기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주사액의 충진 및 투여과정이 번거롭고 주사액을 주사기의 내부로 충진하는 과정에서 필터(11)에 의해 작용되는 필터압에 의해 주사액의 원활한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특히, 종래에는 필터팁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위생 및 안전상의 문제점이 매우 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중 필터팁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실린더의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 내부에 긴밀히 설치된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전단에는 필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다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가스켓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가스켓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때 필터부재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바늘 고정관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주사액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가 주사바늘 고정관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전방개구와 후방개구와 측방개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측방개구에 부착되어 상기 측방개구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의 전단에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제1관통공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의 전단에는 제1관통공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전방을 향해 제1돌기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관통공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과 연통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 가스켓의 제1관통공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제2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돌기의 전단은 중앙을 향해 수렴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는 전방으로 이동한 가스켓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의 전후단 관통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내부를 구획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중앙에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선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막은 중앙이 전방을 향해 수렴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켓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2관통공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제3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로 주사액이 충진될 때에는 필터부재를 거치게 되고, 주사시에는 주사액 배출압력으로 필터부재의 전방에 결합된 가스켓이 주사액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재를 거치지 않는 단일의 주사액 배출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사용 중 필터팁을 갈아 끼우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방으로 이동한 가스켓이 주사액유입 경로를 차단하면서 실린더에 형성된 제2걸림턱에 의하여 필터부재에 다시 결합되거나 실린더로부터의 인출이 불가한 고립 상태가 되므로 주사기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부재의 몸체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액이 주사바늘결합관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밀대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에 충진된 주사액이 필터부재를 통해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주사바늘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를 구성하는 제2몸체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를 구성하는 가스켓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액이 주사바늘결합관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밀대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에 충진된 주사액이 필터부재를 통해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로 주사바늘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는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의 내부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진 피스톤(2)과, 상기 실린더(1)의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100)과,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2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200)의 전단에는 필터부재(200)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다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가스켓(3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에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스켓(300)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제1걸림턱(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턱(110)은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결과 상기 제1걸림턱(110)과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측 전단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는 되어 후술할 가스켓(300)의 제1관통공(320)이 주사액 배출압력 방향인 전방으로 확장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턱(110)의 후방에는 제1걸림턱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가스켓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2걸림턱(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120)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둘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턱(120)의 후방에는 필터부재(200)를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30)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필터부재(200)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전방개구(211)와 후방개구(212)와 측방개구(213)로 이루어진 몸체부(210)와, 상기 측방개구(213)에 부착되어 상기 측방개구(213)를 통해 실린더(1)의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2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에는 상기 걸림홈(130)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210)의 중간부분에는 사각형상의 자리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몸체부(210)의 측방개구(213)는 후방개구(212)와 근접하도록 자리홈(215)의 후단벽면부에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이는 측방개구(213)를 통해 몸체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이 후방개구(212)를 통해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자리홈(215)에는 필터(220)가 부착된다. 상기 필터(220)는 자리홈(215)의 형상을 따라 자리홈(215)보다 큰 사각형상으로 재단되어 상기 자리홈(215)의 가장자리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리홈(215) 및 측방개구(213)가 몸체부(210)의 양쪽 두 군데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수량 및 형상 그리고 위치는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스켓(300)은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전방개구(211)를 막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300)은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며, 모자형상으로 제작되어 몸체부(210)의 전단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스켓(300)이 몸체부(21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스켓(300) 내부로의 주사액 유입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300)은 필터부재(200)의 전방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다가 상기 제1걸림턱(110)에 밀착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제2걸림턱(120)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면서 실린더(100) 내부에서 고립된다.
한편, 상기 가스켓(300)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부(310)가 돌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걸림턱(120)에는 상기 가스켓(300)의 경사부(310)와 접촉되는 후방에 대응되는 경사면(121)을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부(310)로 인하여 상기 가스켓(300)은 전방 이동시 제2걸림턱(120)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제2걸림턱(120)을 통과한 상태에서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확실하게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부(310)가 가스켓(300)의 후단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가스켓(300)에는 가스켓(30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때 필터부재(200)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바늘 고정관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주사액 배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300)의 전단에 형성된 제1관통공(320)일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320)은 가스켓(300)이 제1걸림턱(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주사액 배출방향인 전방으로 밀려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필터부재(200)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바늘 고정관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200)의 전단에는 상기 제1관통공(320)에 긴밀하게 끼워져 가스켓(30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돌기(2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16)는 필터부재(200)의 전단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211)는 상기 제1돌기(216)의 주변에 형성된다. 상기 전방개구(211)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돌기(216)는 제1관통공(320)의 확장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스켓(300)이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제1관통공(320)의 후단에 살짝 끼워지는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1관통공(320)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3)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관통공(320)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제2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140)의 중앙에는 주사바늘(3)과 연통되기 위한 관통공(14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돌기(140)의 전단은 중앙을 향해 수렴하는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스켓(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관통공(320)의 내부로의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주사액이 담겨진 앰플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고, 개봉된 부분으로 주사바늘(3)을 인입시킨 후 피스톤을 후퇴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앰플 내의 주사액과 함께 주사바늘(3)을 통해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필터부재(200)는 몸체부(210)의 걸림돌기(214)가 걸림홈(130)에 결합되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몸체부(210)의 전방개구(211)는 가스켓(3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주사바늘 고정관(100)으로 인입된 주사액은 유일한 통로인 필터(220)를 통과하여 측방개부를 통해 몸체부(210) 내부로 유입된 후 후방개구(212)를 통해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주사액에 포함되어 있던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은 필터(220)에 의해 모두 필터링되어 이물질들을 포함하지 않은 주사액만 몸체부(210) 내부로 유입되며, 필터링 된 이물질들은 몸체부(210)와 실린더 사이의 공간부에 남게 된다. 이때 몸체부(210)의 걸림돌기(214)와 걸림홈(130)은 긴밀히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필터링된 이물질들은 필터부재(200)의 몸체부(210)를 통과하여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 내부로의 주사액의 충진이 완료되면, 피스톤(2)을 천천히 전진시킨다. 피스톤이 전진됨에 따라서 실린더(1) 내부에 있던 주사액은 실린더(1)를 빠져나와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몸체부(210)의 후방개구(212)로 진입하게 된다. 후방개구(212)로 진입한 주사액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하여 가스켓(300)을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전방개구(211)로 토출된다. 몸체부(210)에 제1돌기(216)가 형성된 경우 상기 가스켓(300)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하여 제1돌기(216)를 따라 전방을 향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전단부가 제1걸림턱(110)에 밀착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함께 상기 가스켓(300)의 후단의 경사부(310)가 제2걸림턱(120)을 통과하여 후방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을 더욱 전진시키면, 가스켓(300)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으므로 가스켓(300)의 내부에 주사액 배출압력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공(320)이 증가하는 주사액 배출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주사액 배출압력 방향인 전방으로 확장변형된다.
제1관통공(320)이 확장되면서 전방에 위치한 제2돌기(140)와 긴밀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제1돌기(216)와의 틈새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 틈새를 통해 주사액이 제2돌기(140)를 경유하여 주사바늘(3)로 배출된다.
한편, 몸체부(210)의 외측공간부에 모여 있는 필터링 된 앰플 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은 몸체부(210)의 측방개구(213)의 외측으로 주사액배출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몸체부(210) 내부로 상기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가스켓(300)의 경사부(310)가 제2걸림턱(120)에 밀착되어 있고 가스켓(300)의 전단부가 제1걸림턱(11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가스켓(300)의 내부로 침투하지도 못한다.
따라서, 이물질들이 모두 완벽하게 필터링된 주사액만이 제1관통공(320)을 통해 주사바늘(3)로 배출된다.
한편, 주사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스켓(300)이 제1걸림턱(110)과 제2걸림턱(120) 사이에 고립되므로 가스켓(300)은 실린더(100) 밖으로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1관통공(320)에 작용하던 주사배출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확장변형되었던 제1관통공(320)이 복원되면서 제1돌기(216)에 다시 밀착되므로 피스톤(2)을 잡아 당긴다 하더라도 주사액이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주사기의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부재(200) 및 가스켓(3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00)는 원통형상의 몸체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재(200)를 구성하는 몸체부(240)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부(240)를 걸림돌기(241a)가 형성된 제1몸체부(241)와 상기 제1몸체부(241)의 전방에 끼움 결합되며 전방개구(242a), 측방개구(242b) 및 후방개구(242c)가 형성된 제2몸체부(242)로 착탈가능하게 분할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제1몸체부(241)는 제2몸체부(242)의 후방개구(242c)와 연통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공(2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주사바늘 고정관(100)에 형성된 걸림홈(130)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41a)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몸체부(24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구획벽(242d)이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구획벽(242d)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자리홈(242e)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필터(250)는 상기 제2몸체부(242)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242d)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측방개구(242b)는 상기 전방개구(242a)와 근접하도록 상기 자리홈(242e)을 향해서 형성된다. 이는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이 전방개구(242a)를 통해 배출될 때 제2몸체부(242)를 통과하는 주사액의 이동방향과 측방개구(242b)의 형성방향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기 때문에 측방개구(242b)를 통해 제2몸체부(242)의 외부로 주사액이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200)를 구성하면 측방개구(242b)의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터부재(200)의 내부로 다량의 주사액을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주사기의 작동력은 경감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스켓(300)은 제2몸체부(242)의 전방개구(242a)의 내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제2몸체부(242)의 전방개구(242a)를 통해 주사액이 배출될 때에 상기 주사액이 전방개구(242a)를 통해 제2몸체부(242)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전방개구(242a)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300)의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300)의 전후단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350)과, 상기 제2관통공(350)의 내부를 구획하는 차단막(360)과, 상기 차단막(360)의 중앙에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선(3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막(360)은 주사액의 배출방향과 일치되도록 중앙이 전방을 향해 수렴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이 차단막(360)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선(370)으로 집중되어 절개선(370)의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300)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3)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2관통공(350)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제3돌기(1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돌기(150)의 중앙에는 주사바늘(3)과 연통되는 관통공(15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돌기(150)는 가스켓(3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제2관통공(35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2관통공(350)을 통해 주사액이 배출될 때에 가스켓(300)의 외부로 주사액이 유출되지 않도록 제2관통공(350)의 전단을 폐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켓(300)이 제2몸체부(242)의 전방개구(242a)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므로 제2걸림턱(120)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가스켓(300)의 경사부(380)는 가스켓(300)의 전단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200) 및 가스켓(300)이 구성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3)을 통해 주사바늘 고정관(100)의 내부로 인입된 앰플 내의 주사액은 유일한 통로인 필터(250)를 통과하여 측방개부를 통해 제2몸체부(242) 내부로 유입된 후 제2몸체부(242)를 거쳐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주사액에 포함되어 있던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은 필터(250)에 의해 모두 필터링되어 이물질들을 포함하지 않은 주사액만 제2몸체부(242) 내부로 유입되며, 필터링 된 이물질들은 제2몸체부(242)와 주사바늘 고정관(100) 사이의 공간부에 남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 내부로의 주사액의 충진이 완료되면, 피스톤(2)을 천천히 전진시킨다. 피스톤(2)이 전진됨에 따라서 제1몸체부(241)로 유입된 주사액은 전방개구(242a)에 가스켓(300)이 긴밀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전방개구(242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2관통공(350) 내부로만 유입된다. 그 결과, 제2관통공(350)을 가로막고 있는 차단막(360)에 주사액 배출압력이 집중되면서 전단부가 제1걸림턱(110)에 밀착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상기 가스켓(300)은 전방개구(242a)를 따라 전방을 향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스켓(300)은 전단에 형성된 경사부(310)가 제2걸림턱(120)을 통과하여 후방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며, 전방에 위치한 제3돌기(150)가 제2관통공(350)으로 긴밀히 삽입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피스톤을 더욱 전진시키면 가스켓(300)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2관통공(350) 내부의 주사액 배출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결국 차단막(360)의 절개선(370)이 증가하는 주사액 배출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확장변형된다. 절개선(370)이 확장되면 제2관통공(350)이 개방되면서 주사액이 제3돌기(150)를 경유하여 주사바늘(3)로 배출된다.
한편, 제2몸체부(242)의 측방개구(242b)가 주사액배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액배출압력은 측방개구(242b)로 최소한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개구(242b)를 통해 제2몸체부(242)의 외부로 주사액이 배출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주사액배출 압력이 차단막(360)에 집중될 수 있게 되므로 절개선(370)의 확장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이 상태에서는 측방개구(242b)에 작용하는 주사액배출압력이 제2몸체부(242)의 외측으로 작용하므로 제2몸체부 내부로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가스켓(300)의 경사부(310)가 제2걸림턱(120)에 밀착되어 있고 가스켓(300)의 전단부가 제1걸림턱(11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가스켓(3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완벽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이물질들이 모두 완벽하게 필터링된 주사액만이 제2관통공(350)을 통해 주사바늘(3)로 배출된다.
한편, 주사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가스켓(300)이 제1걸림턱(110)과 제2걸림턱(120) 사이에 고립되므로 가스켓(300)은 실린더(100) 밖으로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절개선(370)에 작용하던 주사배출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확장변형되었던 절개선(370)이 복원되면서 제2관통공(350)이 다시 폐쇄되므로 피스톤(2)을 잡아 당긴다 하더라도 주사액이 실린더(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주사기의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주사바늘 고정관 110...제1걸림턱
120...제2걸림턱 130...걸림홈
140...제2돌기 150...제3돌기
200...필터부재 210,240...몸체부
211,242a...전방개구 213,242b...측방개구
212,242c...후방개구 214,241a...걸림돌기
215...자리홈 216...제1돌기
220,250...필터 241...제1몸체부
242...제2몸체부 300...가스켓
310...경사부 320...제1관통공
350...제2관통공 360...차단막
370...절개선

Claims (11)

  1.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실린더의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 내부에 긴밀히 설치된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전단에는 필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다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가스켓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에는 상기 가스켓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때 필터부재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바늘 고정관으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주사액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가 주사바늘 고정관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전방개구와 후방개구와 측방개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측방개구에 부착되어 상기 측방개구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의 전단에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제1관통공이며,
    상기 필터부재의 전단에는 제1관통공에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전방을 향해 제1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과 연통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 가스켓의 제1관통공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제2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의 전단은 중앙을 향해 수렴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주면에는 전방으로 이동한 가스켓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배출부는 가스켓의 전후단 관통하는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내부를 구획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중앙에 형성되어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절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중앙이 전방을 향해 수렴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과 마주하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내측 전단에는 주사바늘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2관통공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제3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20140047850A 2014-04-22 2014-04-22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46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50A KR101466764B1 (ko) 2014-04-22 2014-04-22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PCT/KR2015/003633 WO2015163615A1 (ko) 2014-04-22 2015-04-10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50A KR101466764B1 (ko) 2014-04-22 2014-04-22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764B1 true KR101466764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850A KR101466764B1 (ko) 2014-04-22 2014-04-22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7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2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7069521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763173B1 (ko) 2015-07-20 2017-07-31 박근홍 필터주사기
WO2019208891A1 (ko) * 2018-04-23 2019-10-31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KR20210105654A (ko) * 2020-02-19 2021-08-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756A (ko) * 2008-12-31 2010-07-08 백우인 일회용 주사기
KR101245378B1 (ko) *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287239B1 (ko) * 2012-12-24 2013-07-17 김종욱 피스톤 행정에 의한 흡·배출 유도 타입의 빌로우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필터 주사기
KR101335979B1 (ko) * 2013-04-08 2013-12-03 천진호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756A (ko) * 2008-12-31 2010-07-08 백우인 일회용 주사기
KR101245378B1 (ko) * 2011-10-31 2013-03-25 김근배 필터 니들
KR101287239B1 (ko) * 2012-12-24 2013-07-17 김종욱 피스톤 행정에 의한 흡·배출 유도 타입의 빌로우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필터 주사기
KR101335979B1 (ko) * 2013-04-08 2013-12-03 천진호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2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763173B1 (ko) 2015-07-20 2017-07-31 박근홍 필터주사기
WO2017069521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9208891A1 (ko) * 2018-04-23 2019-10-31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KR20210105654A (ko) * 2020-02-19 2021-08-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KR102382231B1 (ko) * 2020-02-19 2022-04-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필터튜브와 주사바늘 보관튜브가 일체로 구비된 주사기팁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764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618028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JP5677846B2 (ja) 粉末薬物および液体薬物用のカートリッジ
KR970006093B1 (ko) 재사용방지주사기
JP4682850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101572663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535350B1 (ko)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JPH07250897A (ja) 注射物質を混合、投与する注射器
US20060184137A1 (en)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4729764A (en) Irrigator and tissue separator
US9795746B2 (en) Filter needle
JP2007185319A5 (ko)
KR101456378B1 (ko) 주사기용 필터유닛
JPH06190038A (ja) 皮下注射器
KR101334818B1 (ko) 주사기
KR101443687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US10639429B2 (en) Syringe for sequential injection of substances
KR101722877B1 (ko) 스틱인저리와 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수액 주사니들 유닛
KR101596941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890601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KR20160078299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TWI710387B (zh) 連通兩種物質用的注射裝置及其方法
KR101668686B1 (ko)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1830639B1 (ko) 주사기
KR102042377B1 (ko)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