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77B1 -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 Google Patents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77B1
KR102042377B1 KR1020190032774A KR20190032774A KR102042377B1 KR 102042377 B1 KR102042377 B1 KR 102042377B1 KR 1020190032774 A KR1020190032774 A KR 1020190032774A KR 20190032774 A KR20190032774 A KR 20190032774A KR 102042377 B1 KR102042377 B1 KR 10204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jection liquid
syringe
elastic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임
Original Assignee
김호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임 filed Critical 김호임
Priority to KR102019003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77B1/ko
Priority to CN202080037632.9A priority patent/CN113853225B/zh
Priority to PCT/KR2020/003516 priority patent/WO20201971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의 주사액을 주사기에 충진할 경우에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된 앰플 조각들이 주사과정에서 필터링되어 인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 결합부(100) 내에서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200)가 후방개구(211)를 가지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부에 끼움 고정된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개구에 부착되어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판(220)과; 상기 몸체부의 전단과 주사바늘 결합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주사액 유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를 제공하는 제1탄성부(231)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과 연통되는 주사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제2탄성부(232)를 구비한 가스켓(2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Syringe with filter}
본 발명은 앰플의 주사액을 주사기에 충진할 경우에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기 내부로 유입된 앰플 조각들이 주사과정에서 필터링되어 인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앰플에 담긴 주사액을 체내에 주사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액이 담겨진 앰플(A:Ampoule)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고, 개봉된 부분으로 주사바늘(3)을 인입시킨 후 밀대(2)를 후퇴시켜 앰플(B) 내의 주사액이 실린더(1)의 내부로 충진되도록 한 다음, 주사바늘(3)을 환자의 환부에 찔러 넣고 밀대(2)를 전진시켜 실린더(1) 내부에 있던 주사액이 주사바늘(3)을 통해 환자에게로 투여되도록 한다.
그러나, 앰플(B)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게 되면 유리파편이 비산되면서 그 일부가 앰플(B)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앰플(B)의 내부로 들어간 유리파편이 주사액이 실린더(1)의 내부로 충진될 때 주사기의 내부로 혼입되어 주사액과 함께 체내로 투여되게 되므로 환자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터(11)가 내장된 필터팁(10)을 실린더(1)에 끼운 다음 주사액을 실린더(1)에 충진함으로써 주사액에 포함된 유리파편이 필터(11)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주사기용 안전 필터팁이 국내특허등록 제10-0981586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실린더(1)의 내부로 주사액을 충진할 때는 필터팁(10)을 끼우고, 주사기의 주사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필터팁(10)을 제거한 후에 주사바늘이 구비된 결합관(20)을 실린더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중 필터팁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사바늘 결합부 내에서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후방개구를 가지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부에 끼움 고정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개구에 부착되어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판과, 상기 몸체부의 전단과 주사바늘 결합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주사액 유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를 제공하는 제1탄성부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과 연통되는 주사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제2탄성부를 구비한 가스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와, 상기 필터판과 가스켓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돌기의 일측에 상기 후방개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주사액유입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며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주사액유입공을 통해 가스켓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을 주사바늘 결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탄성몸체에 형성된 주사액배출공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사액유입공은 돌기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탄성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외부돌기와, 상기 외부돌기의 전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내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액유입공은 상기 외부돌기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외부돌기와 내부돌기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며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주사액배출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탄성 변형된 주사액배출공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내향밀착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기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외부돌기와, 상기 외부돌기의 전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내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액유입공은 상기 외부돌기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외부돌기와 내부돌기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주사액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사액을 제1탄성부측으로 통과시키는 제1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스켓의 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끼움홈과 긴밀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는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스켓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는 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가 지지되는 경사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1내향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가스켓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내향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의 가장자리에는 주사액배출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액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사액을 제1탄성부측으로 통과시키는 제1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탄성부를 통과한 주사액을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제2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돌기는 전단이 상기 주사액유입공측으로 하향 경사진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는 주사액이 충진되는 실린더 전단이거나, 상기 실린더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의 몸체 일부 이거나 주사바늘 어덥터의 몸체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는 주사액의 유입 또는 유출시 달라지는 내부압력 변화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가스켓을 통해 필터판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와 필터판과 연통되는 주사액배출유로가 형성되므로 종래와 달리 사용 중에 필터팁을 갈아 끼우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부와 필터판과 가스켓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단면도로서, 주사액이 필터를 통과하여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에 충진된 주사액이 필터를 통해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사바늘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사바늘 결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필터판과 가스켓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주사액이 필터를 통과하여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요부단면도로서, 실린더에 충진된 주사액이 필터를 통해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는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의 내부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진 밀대(2)와, 주사바늘 결합부(100)에 설치되어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2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필터(200)는 몸체부(210)와 필터판(220)과 가스켓(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후방개구(211)를 가지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몸체부(210)의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212)와, 상기 필터판(220)과 가스켓(230)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돌기(212)의 중앙에 후방개구(211)와 연통되는 주사액유입공(2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210)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1내향단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판(220)은 몸체부(210)의 후방개구(211)에 부착되어 상기 후방개구(211)를 통해 실린더(1)로 유입되는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준다.
상기 가스켓(230)은 몸체부(210)의 돌기(212)와 주사바늘 결합부(100) 사이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230)은 주사액 유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220)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를 제공하는 제1탄성부(231)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220)과 연통되는 주사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제2탄성부(232)를 구비한다.
상기 제1탄성부(231)는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스켓(230)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231)는 주사액의 유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231)가 지지되는 경사지지면(12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지지면(120)은 주사액이 배출될 때 주사액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탄성부(231)가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제1탄성부(231)를 통해 주사액이 전방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제1탄성부(231)와 긴밀히 밀착된다. 반면, 상기 경사지지면(120)은 주사액이 유입될 때에는 제1탄성부(231)와 이격되면서 필터판(220)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를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에는 가스켓(230)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내향단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232)는 상기 돌기(212)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돌기(212)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탄성몸체(232a)와, 상기 주사액유입공(213)을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주사바늘 결합부(100)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탄성몸체(232a)의 측부에 형성된 주사액배출공(232b)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몸체(232a)는 주사바늘 결합부(100)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주사액배출공(232b)을 통과한 주사액이 주사바늘 결합부(100)와 밀착된 측방이 아닌 개방된 탄성몸체의 전단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주사액배출공(232b)은 탄성몸체(232a)의 전단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켓(230)의 가장자리에는 주사액배출공(232b)과 연통되게 제1홈부(233)가 형성된다.상기 제1홈부(233)는 주사액배출공(232b)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주사액배출공(232b)으로 유입되는 주사액을 제1탄성부(231)측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제1홈부(233)는 원활하고 신속한 주사액의 통과를 위하여 가스켓(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10)의 가장자리에는 제1탄성부(231)를 통과한 주사액을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제2홈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제2홈부(214)는 원활하고 신속한 주사액의 통과를 위하여 몸체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210)와 가스켓(23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돌기(212)의 외측을 따라 끼움돌기(234)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230)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돌기(234)에 끼워지는 환형의 끼움홈(21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끼움돌기(234)와 끼움홈(215)의 틈새에 의해 필터판(220)과 연통되는 새로운 주사액 유입경로가 파생되지만, 새롭게 파생된 주사액 유입경로는 복수로 절곡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실제 주사액의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10)의 돌기(212)의 전단이 주사액유입공(213)측으로 하향 경사진 함몰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부(232)의 내측에 상기 함몰부(216)에 대응되는 밀착돌기(235)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용자가 주사액이 담겨진 앰플의 상단을 깨뜨려 개봉하고, 개봉된 부분으로 주사바늘을 인입시킨 후 밀대(2)를 후퇴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저하되는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제1탄성부(23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1탄성부(23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주면과 제1탄성부(231) 사이로 틈새가 형성된다. 그 결과, 가스켓(230)의 주사액배출공(232b)과 제1홈부(233)와 제1탄성부(231)와 몸체부(210)의 제2홈부(214)로 이루어지는 필터판(220)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가 형성되며, 미세한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을 포함한 앰플 내부의 주사액은 상기 주사액유입유로를 통해 실린더(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때, 밀대(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저하되는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제2탄성부(232)의 밀착돌기(235)가 상기 몸체부(210)의 돌기(212) 의 전단에 형성된 함몰부(216)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주사액이 주사액배출공(232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스켓(23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몸체부(210)의 주사액유입공(213)으로는 유입되지 않는다.
이후, 실린더(1) 내부로의 주사액의 충진이 완료되어 밀대(2)의 후방이동이 중지되면,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부에 작용하던 음압이 해제되면서 주사액은 실린더(1) 내부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에 주사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주사를 위하여 밀대(2)가 전진하면, 제1내향단턱(110)과 제2내향단턱(130)에 의하여 몸체부(210)와 가스켓(230)의 전방이동이 차단되면서 실린더(1) 내의 주사액이 필터판(220)을 거쳐 몸체부(210)의 주사액유입공(213)으로 유입된다. 그 결과 가스켓(230)의 제2탄성부(232)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2탄성부(232)의 탄성몸체(232a)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탄성몸체(232a)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상기 함몰부(216)와 밀착돌기(235)가 이격됨과 동시에 탄성몸체(232a)의 내주면과 몸체부(210)의 돌기(212) 사이가 이격되면서 주사액배출공(232b)이 개방된다.
그 결과, 필터판(220)과 주사액유입공(213)과 주사액배출공(232b)으로 이루어지는 주사액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주사액배출유로를 따라 주사액에 포함되어 있던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은 필터판(220)에 의해 모두 필터링되어 이물질들을 포함하지 않은 깨끗한 주사액만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주사바늘 결합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의 전단일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B)의 몸체 일부일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어덥터(C)의 몸체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가 주사바늘 고정관(B)이나 주사바늘 어덥터(C)의 몸체 일부일 경우에는 주사바늘 결합부(100)가 실린더의 전단인 본 실시예와 비교할 때 필터(200)의 설치위치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이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주사바늘 결합부(100)가 주사바늘 고정관(B)이나 주사바늘 어덥터(C)의 몸체 일부인 경우,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측에는 전후방이 개방형성된 보조결합관(300)이 추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결합관(300)은 주사바늘 결합관(100)의 내경을 축소시켜 주사바늘 결합부(100)에 외경이 작은 실린더가 결합될 때 주사바늘 결합부(100)와 외경이 작은 실린더와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이 경우, 상기 보조결합관(300)의 전단에는 주사바늘 고정관(B) 및 주사바늘어덥터(C)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환형의 걸림턱(3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B) 및 주사바늘어덥터(C)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310)에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턱(D)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어덥터(C)는 주사바늘과 체결되는 상부몸체(C1)와 상부몸체(C1)에 끼움 결합되는 하부몸체(C2)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몸체(C1)와 하부몸체(C2)가 끼움결합된 이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몸체(C1)의 내주면에 환형의 고정홈(E)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몸체(C2)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고정돌기(F)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몸체(C1)와 하부몸체(C2)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몸체(C2)의 외주면 양측에는 회전방지돌기(G)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부몸체(C1)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G)와 간섭되는 걸림돌기(1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필터판과 가스켓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결합부(100)가 실린더(1)의 전단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몸체부(250)의 돌기(252)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외부돌기(252a)와, 상기 외부돌기(252a)의 전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내부돌기(25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액 유입공(253)은 외부돌기(252a)의 단부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탄성부(262)는 상기 외부돌기(252a)와 내부돌기(252b)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탄성몸체(262a)와, 상기 탄성몸체(262a)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252b)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주사액배출공(262b)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탄성부(261), 제1홈부(263), 제2홈부(254), 끼움홈(264), 끼움돌기(255), 경사지지면(120), 제1내향단턱(110) 및 제2내향단턱(130)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저하되는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제1탄성부(26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1탄성부(261)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 가스켓(260)의 제1홈부(263)와 제1탄성부(261)와 몸체부(250)의 제2홈부(254)로 이루어지는 필터판(220)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가 형성되며, 미세한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을 포함한 앰플 내부의 주사액은 상기 주사액유입유로를 통해 실린더(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때, 제2탄성부(262)가 내부돌기(252b)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주사바늘 결합부(100)로 유입되는 주사액은 가스켓(26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에 주사액이 충진된 상태에서 주사를 위하여 밀대(2)가 전진하면, 실린더(1) 내의 주사액이 필터판(220)을 거쳐 몸체부(250)의 주사액유입공(253)으로 유입되어 가스켓(260) 내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가스켓(260)의 제2탄성부(262)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탄성몸체(262a)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주사액배출공(262b)이 개방된다.
그 결과, 필터판(220)과 주사액유입공(263)과 주사액배출공(262b)으로 이루어지는 주사액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주사액배출유로를 따라 주사액에 포함되어 있던 앰플조각을 비롯한 이물질들은 필터판(220)에 의해 모두 필터링되어 이물질들을 포함하지 않은 깨끗한 주사액만 주사바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탄성 변형된 주사액배출공(262b)의 외측면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측에는 내향밀착단(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향밀착단(140)에 의하여 주사액배출공(262b)으로부터 배출된 주사액은 후방으로 유출되지 않고 주사바늘을 향해 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돌기(252b)가 주사바늘 결합부(100)의 내부공간을 상당부분 점유하게 되므로 주사바늘 결합부(100)에 잔존하는 주사액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정량의 주사액을 주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주사바늘 결합부 110...제1내향단턱
120...경사지지면 130...제2내향단턱
140...내향밀착단 200...필터
210,250...몸체부 211...후방개구
212,252...돌기 252a...내부돌기
252b...외부돌기 213...주사액유입공
214,254...제2홈부 215,255...끼움돌기
216...함몰부 220...필터판
230,260...가스켓 231,261...제1탄성부
232,262...제2탄성부 232a,262a...탄성몸체
232b,262b...주사액배출공 233,263...제1홈부
234,264...끼움홈 235...밀착돌기
B...주사바늘 고정관 C...주사바늘 어덥터

Claims (16)

  1. 주사바늘 결합부 내에서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후방개구를 가지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부에 끼움 고정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개구에 부착되어 주사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판과, 상기 몸체부의 전단과 주사바늘 결합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주사액 유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을 회피하는 주사액유입유로를 제공하는 제1탄성부와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필터판과 연통되는 주사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제2탄성부를 가진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와, 상기 필터판과 가스켓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돌기의 일측에 상기 후방개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주사액유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며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몸체와, 상기 주사액유입공을 통해 가스켓 내부로 유입되는 주사액을 주사바늘 결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탄성몸체에 형성된 주사액배출공을 구비한 가스켓을 포함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유입공은 상기 돌기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외부돌기와, 상기 외부돌기의 전단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내부돌기를 가지며;
    상기 주사액유입공은 상기 외부돌기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외부돌기와 내부돌기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탄성몸체와, 상기 탄성몸체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돌기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며 주사액 배출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주사액배출공을 가지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탄성 변형된 주사액배출공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내향밀착단이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외주면에는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주사액을 제1탄성부측으로 통과시키는 제1홈부가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끼움홈과 긴밀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스켓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는 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가 지지되는 경사지지면이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1내향단턱이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가스켓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내향단턱이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탄성부를 통과한 주사액을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제2홈부가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돌기는 전단이 상기 주사액유입공측으로 하향 경사진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탄성부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4.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는 주사액이 충진되는 실린더의 전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는 주사액이 충진되는 실린더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고정관의 몸체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는 주사액이 충진되는 실린더 전단에 결합되는 주사바늘 어덥터의 몸체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20190032774A 2019-03-22 2019-03-22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204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74A KR102042377B1 (ko) 2019-03-22 2019-03-22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CN202080037632.9A CN113853225B (zh) 2019-03-22 2020-03-13 配备过滤器的注射器
PCT/KR2020/003516 WO2020197140A1 (ko) 2019-03-22 2020-03-13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74A KR102042377B1 (ko) 2019-03-22 2019-03-22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377B1 true KR102042377B1 (ko) 2019-11-07

Family

ID=6857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74A KR102042377B1 (ko) 2019-03-22 2019-03-22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42377B1 (ko)
CN (1) CN113853225B (ko)
WO (1) WO2020197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41A (ko) * 2021-04-01 2022-10-11 정재은 주사기용 필터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87B1 (ko) * 2018-04-23 2018-08-27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79B1 (ko) * 2013-04-08 2013-12-03 천진호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WO2015102218A1 (ko) * 2014-01-03 2015-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 니들
WO2015163615A1 (ko) * 2014-04-22 2015-10-29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443687B1 (ko) * 2014-07-21 2014-09-26 백우인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765786B1 (ko) * 2015-06-23 2017-08-0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WO2016208923A1 (ko) * 2015-06-23 2016-12-29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618028B1 (ko) *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68686B1 (ko) * 2016-04-04 2016-10-24 백우인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2053405B1 (ko) * 2016-10-31 2020-01-0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1795445B1 (ko) * 2016-12-23 2017-11-10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KR101890601B1 (ko) * 2018-04-10 2018-08-23 주식회사 이수테크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87B1 (ko) * 2018-04-23 2018-08-27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주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41A (ko) * 2021-04-01 2022-10-11 정재은 주사기용 필터기구
KR102554972B1 (ko) 2021-04-01 2023-07-11 정재은 주사기용 필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140A1 (ko) 2020-10-01
CN113853225A (zh) 2021-12-28
CN113853225B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279B1 (ko)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KR101435898B1 (ko) 필터 니들 일체형 주사기
KR101572663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JP2019528114A (ja) バルブ付き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関連方法
KR101618028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RU2674282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узел инъекционной иглы для шприца
EP1952838A1 (en) Cap for Connector
KR20110101674A (ko) 수액백용 포트
JP2011025066A (ja) 自動密閉式雄コネクタ
KR102042377B1 (ko)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PT2893946T (pt) Tampa para uma seringa para pó e seringa para pó
KR101466764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247145B1 (ko) 주사기용 안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101456378B1 (ko) 주사기용 필터유닛
JPH11114065A (ja) 点鼻薬用の噴霧アダプタと、それを使用する点鼻薬用の噴霧セット
KR101596941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443687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890601B1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1668686B1 (ko)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1830639B1 (ko) 주사기
KR102087149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구조
KR101668683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1437516B1 (ko) 주사기용 필터팁
KR101419838B1 (ko)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101469376B1 (ko) 필터를 가진 주사기용 바늘 뭉치와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