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553A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553A
KR20210101553A KR1020200015654A KR20200015654A KR20210101553A KR 20210101553 A KR20210101553 A KR 20210101553A KR 1020200015654 A KR1020200015654 A KR 1020200015654A KR 20200015654 A KR20200015654 A KR 20200015654A KR 20210101553 A KR20210101553 A KR 2021010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audio output
audio
information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광
김경훈
박형식
신동락
윤영정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553A/ko
Priority to EP21754371.9A priority patent/EP4082177A4/en
Priority to PCT/KR2021/001034 priority patent/WO2021162286A1/en
Priority to CN202180013633.4A priority patent/CN115066877A/zh
Priority to US17/248,861 priority patent/US11768656B2/en
Publication of KR202101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553A/ko
Priority to US18/243,431 priority patent/US202304185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 가능한 USB 타입 C 커넥터, 및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USB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를 제어하고,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USB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이외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는 심미성 강화를 위해서 두께가 얇아지고 있으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연결을 위한 3.5 파이 단자가 제거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3.5파이 단자를 구비하는 대신, USB 타입 C 규격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예: 이어폰 또는 헤드셋)를 연결하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USB 타입 C 규격을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는, USB 타입 C 규격에 정의된 구성 채널(configuration channel, CC)을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전자 장치의 USB 타입 C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로를 전자 장치의 스피커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오디오 신호가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중에 USB 타입 C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된 후에도 오디오 출력 장치의 인식 과정이 길어짐에 따라,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음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USB 타입 C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미리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 가능한 USB 타입 C 커넥터, 및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USB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를 제어하고,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USB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USB 타입 C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동작,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USB 타입 C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미리 전달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가 인식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넥터의 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적 계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 및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도시한 도면(3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310)(예: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커넥터(310)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어 명령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는 하우징(housing)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 및 개구와 이어진 홀(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 내부에 커넥터(310)(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310)는 전자 장치(301)의 하우징의 다른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60a, 360b),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프로세서(370), 및 커넥터(38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310)는 USB 타입 C 규격의 커넥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커넥터(3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와 같은 다양한 표준 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비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커넥터(310)의 핀 구조를 도시한 도면(4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커넥터(예: 도 3의 커넥터(310))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커넥터(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가 삽입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는 전자 장치(301)의 홀을 통해 수용되어 전자 장치(301)의 커넥터(310)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10)는 USB타입 C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의 커넥터(310) 및 홀 구조는 리버서블(reversible) 한 구조일 수 있다. 전자 장치(301)의 커넥터(3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삽입되는 방향(예: 전자 장치(301)의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대해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a를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의 일면(예: A면)이 전자 장치(301)의 전면(예: 디스플레이가 위치한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자 장치(301)의 커넥터(3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의 다른 일면(예: B면)이 전자 장치(301)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USB 타입 C 규격의 커넥터(310)는 USB 타입 C 규격에 정의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타입 C 규격의 복수의 단자들은 A라인 및 B라인에 각각 12개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대칭인 형태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커넥터(310)의 복수의 단자들과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 단자들 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라인이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타입 C 규격에 포함된 CC1(configuration channel1) 및 CC2(configuration channel2) 단자는 커넥터 삽입/분리 감지 및 커넥터 연결 모드를 식별하는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커넥터(310)를 통해 연결되면, CC1 및 CC2 단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예: 디지털 ID 또는 저항 ID)가 교환되고, 그에 따라 전자 장치(301) 및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삽입 또는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CC1 및 CC2 중 적어도 하나에 감지된 값을 기반으로 커넥터 연결 모드를 DFP(downstream facing port) 모드(예: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드), UFP(upstream facing port) 모드(예: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드), 소스(source) 모드(예: 전력을 제공하는 모드), 및/또는 싱크(sink) 모드(예: 전력을 공급 받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ND(ground)(예: A1/B12, B1/A12) 및 VBUS 단자(예: A4/A9, B4/B9 단자)는 전원 라인으로 사용되는 포트일 수 있다. 예컨대, VBUS 단자는 전자 장치(301)의 전원을 커넥터(310)를 통해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X1+/-, TX2+/-, RX1+/-, 및 RX2+/- 단자(예: A2/A3, B2/B3, B11/B10 및 A11/A10 단자)는 USB 타입C 규격에 따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310)에 디지털 신호인 PCM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되는 경우, TX1+/-, TX2+/-, RX1+/-, 및 RX2+/- 단자를 통해 PCM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 및D- 단자(예: A6/B6및 A7/B7 단자)는 데이터(예: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포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는 커넥터(31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전송하는 경우 A6/B6단자(D+)를 통해 좌측 오디오 신호(L) 또는 우측 오디오 신호(R) 중 하나를 전송될 수 있으며, A7/B7 단자(D-)를 좌측 오디오 신호(L) 또는 우측 오디오 신호(R) 중 다른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L/R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여러 동작 모드에서 각 단자의 역할은 USB 타입 C 표준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바, 각 단자의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 및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도시한 블록도(50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510), USB 커넥터(520)(예: 도 3의 커넥터(31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USB 커넥터(540)(예: 도 3의 커넥터(380)), 프로세서(550), 마이크(560), 및 스피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예: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인터페이스,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1)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USB 커넥터(52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540)는 전자 장치(301)의 홀을 통해 수용되어 전자 장치(301)의 USB 커넥터(520)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커넥터(520)는 USB 타입 C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연결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체결됨에 따라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를 확인하고, 저항의 크기(예: 5.1k)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종류(예: 이어폰)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예: VBUS 포트)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을 수행하는 동안,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샘플 레이트(sample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및/또는 비트 레이트(bit rate)를 포함하는 장치 디스크립터(device descripto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연결됨에 응답하여, 획득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중 일부 예컨대, VID, PID, 및/또는 생성될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중 일부가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달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가 준비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VID, PID, 및/또는 생성될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오디오 카드를 오픈(open)하기 위해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VID, PID, 및/또는 생성될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액세스하여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의 적어도 다른 일부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샘플 레이트(sample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및/또는 비트 레이트(bit rate)를 획득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됨에 기반하여, 활성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10)는 제어 신호 예컨대,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을 이용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다양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의 크기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 오디오 프레임워크(513), USB 프레임워크(515), 및 USB 드라이버(517)는 프로세서(51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USB 커넥터(540), 프로세서(550), 마이크(560), 및 스피커(5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USB 커넥터(540)(예: 도 3의 커넥터(380))를 통해서, 전자 장치(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SB 커넥터(540)는 USB 타입 C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5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미도시)은 프로세서(550)에 포함된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의 품질 향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50)는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스피커(57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DAC를 이용하여 처리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생성하고,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스피커(5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560)는 전자 장치(301)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 주위의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운드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USB 타입 C 커넥터(520), 및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510), 및 상기 프로세서(5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53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USB 드라이버(517)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하고,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USB 드라이버(517)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한 후, 상기 스피커(미도시)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미도시)의 출력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는, 스피커 유무, 마이크 유무,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인터페이스 별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또는 엔드포인트(end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정보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상기 메모리(530)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상기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530)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메모리(530)로부터 획득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클락 부스팅(clock boosting)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된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전자 장치(301)를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이면, 상기 USB 호스트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의 VBUS 단자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USB 드라이버(517)를 제어하거나, 또는 PDIC 드라이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소프트웨어적 계층을 도시한 도면(6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 오디오 프레임워크(513), USB 프레임워크(515), USB 드라이버(517), PDIC 드라이버(610), 및 오디오 드라이버(620)가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역(604)에서 구현되고, 오디오 프레임워크(513) 및 USB 프레임워크(515)는 프레임워크(framework) 영역(603)에서 구현되고, PDIC 드라이버(610), USB 드라이버(517), 및 오디오 드라이버(620)는 커널(kernel) 영역(602)에서 구현되고, USB 커넥터(520)는 하드웨어(hardware, H/W) 영역(601)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을 검출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체결됨에 따라 CC 핀에서 감지되는 저항의 크기를 확인하고, 저항의 크기(예: 5.1k)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종류(예: 이어폰)를 확인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전원을 공급하는 포트(예: VBUS 포트)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DIC 드라이버(610)는 CC 핀을 통해 PD통신을 하며 전력 역할(power role) 또는 데이터 역할(data role)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USB 커넥터(520)에 연결되는 경우,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하여, USB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구동시키기 위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한 노드(node)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한 노드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는 스피커 유무, 마이크 유무,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인터페이스 별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및/또는 엔드포인트(end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USB 드라이버(517)는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와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생성될 카드 넘버(card number)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예: 생성될 카드 넘버 정보)가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됨에 따라,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사운드카드를 오픈(open)하기 위해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카드 정보는 오디오 드라이버(513)에서 생성되는 커널 인터페이스 정보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서 커널에 카드(예: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사운드카드)를 오픈할 때 사용할 수 있다.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USB 드라이버(517)는 생성될 카드 넘버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에 전송할 수 있다. USB 프레임워크(515)는 USB 드라이버(517)로부터 수신한 생성될 카드 넘버 정보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USB 프레임워크(515)로부터 수신한 생성될 카드 넘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에 액세스하여 오픈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의 수행이 완료되면, USB 드라이버(517)는 제1 정보와 별개로, USB 드라이버(517)의 USB notify 드라이버(630), USB PHY 드라이버(631),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XHCI)(632),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host controller driver, HCD)(633), USB 코어&허브 드라이버(core&hub driver)(634), USB 프레임워크(515)의 USB 호스트 매니저(host manager)(640), USB ALSA 매니저(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manager)(641), USB ALSA 디바이스(device)(642)를 통해 USB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사운드카드(예: soundcard info node(660))를 오픈하고, 최종적으로 PCM 모드(670)를 오픈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USB 드라이버(517)는 USB 드라이버(517)의 USB notify 드라이버(630), USB PHY 드라이버(631),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632),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633), USB 코어&허브 드라이버(634), USB 프레임워크(515)의 USB 호스트 매니저(640), USB ALSA 매니저(641), USB ALSA 디바이스(642)를 통해 USB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서, 제1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준비 상태로 설정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사운드카드를 오픈하기 위해(예: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액세스하고, 제2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사운드카드를 오픈함으로써, 종래보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어플리케이션(예: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이 오디오 출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 가능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이 전달한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오디오 드라이버(6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이 전달한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오디오와 관련된 데이터(예: 오디오에 대응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 오디오 출력 경로) 및 제어 신호를 오디오 드라이버(6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드라이버(620)는 오디오 프레임워크(513)가 전송한 제어 신호를 USB 드라이버(517)로 전송함으로써, USB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1)는 오디오와 관련된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장치(35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50))는 오디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와 관련된 데이터를 스피커(예: 도 5의 스피커(5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은 오디오 재생과 관련된 기능(예: 오디오 출력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오디오 재생 시 볼륨 조절, 오디오 이퀄라이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은 오디오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5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예: 도 5의 USB 드라이버(517))는 710동작에서, USB 타입 C 커넥터(예: 도 5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510)는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예: 도 3의 커넥터(38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VBUS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VBUS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으로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단자들 중 A6/B6단자(D+)의 신호 선을 풀 업(pull up)하게 되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A6/B6단자(D+)가 풀 업 된 것을 검출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하는 동안, 오디오 출력 장치(35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710동작은,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예: USB 드라이버(517))는 72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예: 도 5의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예: 도 5의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하는 720동작은,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준비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73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는 USB 프레임워크(515)로부터 획득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에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740동작에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을 수행하며, USB notify 드라이버(630), USB PHY 드라이버(631),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XHCI)(632), USB 호스트 컨트롤러 드라이버(host controller driver, HCD)(633), USB 코어&허브 드라이버(core&hub driver)(634), USB 프레임워크(515)의 USB 호스트 매니저(host manager)(640), USB ALSA 매니저(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manager)(641), USB ALSA 디바이스(device)(642)를 통해 USB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의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한 노드(node)가 생성된 것으로 결정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예: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는 스피커 유무, 마이크 유무,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인터페이스 별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및/또는 엔드포인트(end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node)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node)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커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준비 상태로 설정하고, 준비 상태로 설정된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될 오디오 카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오디오 카드에 액세스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한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의 연결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예: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가 생성)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인식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프로세서(510)는 활성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프로세서(510)는 생성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나타내는 노드 예컨대, 제1 정보, 제2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식별 정보(예: VID, PID)에 매핑하여 메모리(예: 도 5의 메모리(5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720동작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USB 드라이버(517)는 USB 프레임워크(515)를 거치지 않고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생성될 오디오 카드 정보를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710동작의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VBUS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USB 드라이버(517)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커넥터(38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VBUS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PDIC 드라이버(예: 도 6의 PDIC 드라이버(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VBUS의 활성화가 PDIC 드라이버(61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USB 드라이버(517)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하는 시점 또한 빨라짐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인식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810동작, 820동작, 840동작, 및 850동작은, 전술한 도 7의 710동작, 720동작, 730동작, 및 740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된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예: 도 5의 USB 드라이버(517))는 810동작에서,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USB 타입 C 커넥터(예: 도 5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예: USB 드라이버(517))는 82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예: 도 5의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예: 도 5의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830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 내 스피커 출력을 차단(예: 음소거(mute))할 수 있다.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가 획득되면, 스피커 출력을 차단함에 따라 오디오 신호는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84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850동작에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프로세서(510)는 860동작에서,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 출력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이 인식(예: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됨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는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예: 도 5의 스피커(570))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프로세서(510)는 활성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는 전자 장치(5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5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8에서, 도 7의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가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로 전송됨에 응답하여 스피커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시간이 단축(예: 약 3~400ms)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910동작 및 920동작은 전술한 도 7의 710동작 및 720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된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예: 도 5의 USB 드라이버(517))는 910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USB 타입 C 커넥터(예: 도 5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예: USB 드라이버(517))는 92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예: 도 5의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예: 도 5의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93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예: 도 5의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로부터 획득한 제1 정보 예컨대, VID 및 PID에 기반하여, VID 및 PID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530)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으면, 프로세서(510)는 940동작에서, 메모리(53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예컨대, VID 및 PID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530) 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30) 내 VID 및 PID에 매핑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예컨대, 제2 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는 스피커 유무, 마이크 유무,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인터페이스 별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및/또는 엔드포인트(end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950동작에서, 메모리(530)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510)는 전술한 도 7의 730동작 및 74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에서,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53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함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을 인식(예: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할 수 있다. 메모리(530)에 저장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될 때마다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1040동작, 1050동작, 및 1060동작은 각각 도 7의 720동작, 730동작, 및 740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된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예: 도 5의 USB 드라이버(517))는 1010동작에서, USB 타입 C 커넥터(예: 도 5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예: 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1010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예: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검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1020동작에서, 클락 부스팅(clock boosting)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락은 AP 클락(application processor clock), MIF 클락(memory interface clock), 및 USB 버스 클락(bus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이 검출됨에 응답하여 클락 부스팅을 활성화함으로써, 전자 장치(301)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1030동작에서,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510)는 클락 부스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301)와 오디오 출력 장치(35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준비 동작들(예: enumeration)을 수행하는 동안, 오디오 출력 장치(35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예: USB 드라이버(517))는 104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예: 도 5의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105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1060동작에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1070동작에서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서 프로세서(510)는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응답하여, 클락 부스팅을 활성화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인식이 완료되면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510)는 USB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된 후,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인식(예: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때까지 클락 부스팅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클락 부스팅의 활성화로 전자 장치(301)의 성능이 향상된 상태에서 오디오 전자 장치(350)의 연결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1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1150동작, 1060동작, 및 1070동작은, 도 7의 720동작, 730동작, 및 740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된 설명으로 대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301)는 USB 호스트 모드와 USB 디바이스 모드를 지원하는 듀얼 역할 장치(dual role device)일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1()의 USB 타입 C 커넥터(예: 도 5의 USB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도 3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따라 PDIC 드라이버(예: 도 6의 PDIC 드라이버(610))에 의해 역할(role)이 결정되면,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301)가 USB 호스트 모드(예: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드)로 동작할지, 또는 USB 디바이스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301)의 모드를 USB 호스트 모드로 초기 설정함으로써,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되는 경우 USB 호스트 모드 또는 USB 디바이스 모드 간 전환할 필요 없이 USB 호스트 모드를 유지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1)가 인식되는 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5의 프로세서(510))는 1110동작에서, 전자 장치(301)가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의 USB 드라이버(예: 도 5의 USB 드라이버(517))는 1120동작에서,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1130동작에서,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이면, 프로세서(510)는 114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예: USB 드라이버(517))는 1150동작에서, 획득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예: 도 5의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1160동작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1170동작에서,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가 아니면, 프로세서(510)는 1180동작에서, USB 디바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7 내지 도 11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인식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되고, PDIC 드라이버(610), USB 드라이버(517), 오디오 드라이버(620), USB 프레임워크(515), 오디오 프레임워크(513)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인식되기까지 2.1초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일부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획득된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일부 정보를 오디오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프레임워크(515)로 전송하도록 USB 프레임워크(513)를 제어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인식 시간이 종래 2.1초에서 1.2초로 단축될 수 있다.
종래 본 발명
오디오 출력 장치의 인식 시간 2.1 1.2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환하는 시간 0.5 0.5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오디오 출력 장치(350) 인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동작,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연결이 검출되기 전에, 상기 전자 장치(301)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515)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513)에 전송한 후, 상기 스피커(미도시)의 출력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의 차단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정보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메모리(예: 도 5의 메모리(530))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상기 메모리(530) 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530)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메모리(530)로부터 획득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520)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클락 부스팅(clock boosting)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된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1)를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이면, 상기 USB 호스트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350)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301: 전자 장치 510: 프로세서
520: USB 커넥터 530: 메모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USB 타입 C 커넥터; 및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USB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를 제어하고,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USB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한 후,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는, 스피커 유무, 마이크 유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개수, 인터페이스 별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또는 엔드포인트(end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정보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메모리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 및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클락 부스팅(clock boosting)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된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를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및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이면, 상기 USB 호스트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의 VBUS 단자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USB 드라이버를 제어하거나, 또는 PDIC 드라이버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USB 타입 C 커넥터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동작;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중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획득되면, 제2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조사 정보를 나타내는 VID(vendor identification) 및 제품을 나타내는 PID(product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이 검출되기 전에,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를 상기 USB 프레임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워크에 전송한 후,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차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의 차단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정보와 일치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메모리 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메모리 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오디오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획득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오디오 카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SB 타입 C 커넥터에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됨에 기반하여, 클락 부스팅(clock boosting)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된 클락 부스팅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CC 핀에서 검출되는 저항의 크기가 5.1k이면, 상기 USB 호스트 모드를 유지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15654A 2020-02-10 2020-02-10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KR20210101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54A KR20210101553A (ko) 2020-02-10 2020-02-10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EP21754371.9A EP4082177A4 (en) 2020-02-10 2021-01-2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PCT/KR2021/001034 WO2021162286A1 (en) 2020-02-10 2021-01-2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CN202180013633.4A CN115066877A (zh) 2020-02-10 2021-01-26 用于识别连接到USB Type-C连接器的音频输出装置的电子装置和方法
US17/248,861 US11768656B2 (en) 2020-02-10 2021-02-1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US18/243,431 US20230418545A1 (en) 2020-02-10 2023-09-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54A KR20210101553A (ko) 2020-02-10 2020-02-10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53A true KR20210101553A (ko) 2021-08-19

Family

ID=7717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654A KR20210101553A (ko) 2020-02-10 2020-02-10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68656B2 (ko)
EP (1) EP4082177A4 (ko)
KR (1) KR20210101553A (ko)
CN (1) CN115066877A (ko)
WO (1) WO20211622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3970A (zh) * 2021-09-07 2021-12-07 广州飞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传输方法、装置及音频传输设备
KR102598255B1 (ko) * 2022-10-28 2023-11-10 (주)에이치넷코퍼레이션 Usb를 이용한 디지털 핸드 스피커 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6940B (zh) * 2009-05-25 2012-0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无线数据终端通用串行总线音频传输的方法及装置
JP5531256B2 (ja) 2010-04-21 2014-06-2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CN101882116A (zh) * 2010-06-13 2010-11-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频传输的实现方法及移动终端
CN101917497B (zh) * 2010-07-23 2014-04-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耳机和USB共用Micro-USB接口的方法及装置
KR101874888B1 (ko) 2011-11-22 2018-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267047B1 (ko) 2012-03-30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262218B1 (ko) 2015-01-2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GB2561772B (en) * 2015-02-25 2019-06-05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Connectors for audio data transfer
KR102391100B1 (ko) * 2015-06-10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48401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12316B1 (ko) * 2015-08-24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393364B1 (ko) * 2015-10-29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511514B1 (ko) * 2016-02-03 2023-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충전 방식을 이용한 고속 충전 방법 및 장치
US10628172B2 (en) * 2016-06-27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distributed universal serial bus (USB) host drivers
US10268627B2 (en) * 2016-08-23 2019-04-23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configur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port of a computing device
KR102575430B1 (ko) * 2016-10-25 2023-09-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CN106528041A (zh) * 2016-11-07 2017-03-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声音输出方式的切换方法、装置及终端
KR102576430B1 (ko) * 2016-11-18 2023-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45174B1 (ko) * 2017-02-03 2019-02-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309110B1 (ko) * 2017-03-24 2021-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타입 c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8182992A (ja) * 2017-04-20 2018-11-1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75620A1 (zh) * 2017-10-16 2019-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系统
KR102406959B1 (ko) * 2017-11-2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전력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3970A (zh) * 2021-09-07 2021-12-07 广州飞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传输方法、装置及音频传输设备
CN113763970B (zh) * 2021-09-07 2023-09-22 广州飞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传输方法、装置及音频传输设备
KR102598255B1 (ko) * 2022-10-28 2023-11-10 (주)에이치넷코퍼레이션 Usb를 이용한 디지털 핸드 스피커 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7951A1 (en) 2021-08-12
US11768656B2 (en) 2023-09-26
CN115066877A (zh) 2022-09-16
EP4082177A1 (en) 2022-11-02
WO2021162286A1 (en) 2021-08-19
EP4082177A4 (en) 2023-06-21
US20230418545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364B1 (ko)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288726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메인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0498B1 (ko) 외부 장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80376528A1 (en) Method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2304185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KR202001405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및 싱글 스탠바이 모드의 전환 방법
US202001509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WO2022030893A1 (ko) 오디오 공유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702A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16118A (ko) 오디오용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전자 장치에서 전원 관리 방법
KR102538837B1 (ko) 과전압 방지를 위한 전자 장치
US11269588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udio through USB port and method thereof
US202004013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20310036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umin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thereof
US201901223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97100A (ko) 어플리케이션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KR20190094746A (ko) 심 카드를 적재하는 트레이가 삽입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780029A (zh) 器件识别方法和相关装置
KR102660660B1 (ko) 라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94436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카메라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740205A (zh) 电子装置和使用该电子装置控制外部装置的连接的方法
KR20200114757A (ko) 키리스 리셋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20342468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55901A (ko)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액세서리 장치
WO2020166780A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