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825A -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9825A KR20210099825A KR1020200013659A KR20200013659A KR20210099825A KR 20210099825 A KR20210099825 A KR 20210099825A KR 1020200013659 A KR1020200013659 A KR 1020200013659A KR 20200013659 A KR20200013659 A KR 20200013659A KR 20210099825 A KR20210099825 A KR 20210099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b
- wing
- assembly
- hook
- rub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향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는 주로 냉난방장치에 적용하여 에어컨이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냉난방 기류를 차실 내부로 유입하는 것으로, 기류가 흐르는 덕트의 차실방향 단부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에어벤트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제1 풍향조절판 그리고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송풍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제2 풍향조절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풍향조절판(20)의 외측에는 노브 조립체(40)가 결합된다. 이러한 노브 조립체(40)는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노브(41)에는 관통부(42)가 형성되어, 제1 풍향조절판(20)은 관통부(42)에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제1 노브(41)의 후측 상부와 하부에는 후크 형태의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노브(45)에는 상부 결합돌기(43)과 하부 결합돌기(44)에 후크 결합되는 상부 후크 결합홀(46)과 하부 후크 결합홀(47)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부(42)에 제1 풍향조절판(2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는 후크 결합을 통해 제1 풍향조절판(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40)를 통해 제1 풍향조절판(20) 및 제1 풍향조절판(20)의 후부에 배치된 제2 풍향조절판(미도시)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며,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10)는 예를 들어,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 및 제1 풍향조절판(20)을 결합함에 있어, 각 구성간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40)를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노브 조립체(40)는 파손 발생시, 교체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풍향조절판(20)에 방향제를 장착한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노브(41)에 구비된 후크 형태의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의 결합 부위에는 응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어, 상부 결합돌기(43)와 하부 결합돌기(44)가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40)의 파손 발생시, 파손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노브 조립체(40)로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10)는 상부 결합돌기(43)가 상부 후크 결합홀(46)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고, 하부 결합돌기(44) 역시 하부 후크 결합홀(47)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1 노브(41)와 제2 노브(45)의 분리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노브 조립체(4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상부 결합돌기(43)와 상부 후크 결합홀(46)의 후크 결합과, 하부 결합돌기(44)와 하부 후크 결합홀(47)의 후크 결합에도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의 노브 조립체(40)는 분리 및 조립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풍향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윙 노브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이 형성된 제2 노브 몸체부; 상기 제2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체결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안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핀의 핀부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갖는 제1 노브 몸체부;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안착 삽입홈에 안착 삽입되는 안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되는 밀착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제1 노브 몸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체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제1 윙 노브에 구비된 후크부는 제2 윙 노브의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에 후크 결합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와 후크 결합부의 후크 결합은 종래의 후크 형태의 결합돌기가 후크 결합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와는 달리, 후크부가 후크 결합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후크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노브 조립체의 파손 발생시,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분리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의 파손시, 해당 노브 조립체의 교체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조립체에는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는 탄성 재질의 러버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를 조정함에 있어, 정밀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풍햐을 조절하는 노브 조립체의 작동성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의 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윙 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케이싱(100), 제1 윙 조립체(200), 제2 윙 조립체(300) 및 노브 조립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00)은 차량용 에어벤트(1000)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가 구비되어, 송풍 유로를 통해 차량의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에 의해 송풍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윙 조립체(200)는 제1 메인 윙(210)과 제1 보조 윙(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윙 조립체(2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보조 윙(220)은 제1 메인 윙(2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메인 윙(210)의 작동에 따라 제1 메인 윙(210)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메인 윙(210)과 제1 보조 윙(220)은 제1 링크부재(23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메인 윙(210)의 작동에 따라 제1 보조 윙(22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인 윙(210)의 양단부에는 제1 회전축(211)이 구비되어, 제1 메인 윙(210)은 제1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에 대해 상, 하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윙 조립체(200)는 제1 회전축(211)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상, 하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제2 윙 조립체(300)는 제2 메인 윙(310)과 제2 보조 윙(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윙 조립체(3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윙 조립체(300)는 제1 윙 조립체(200)의 후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 보조 윙(320)은 제2 메인 윙(3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2 메인 윙(310)의 작동에 따라 제2 메인 윙(310)과 함께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메인 윙(310)과 제2 보조 윙(320)은 제2 링크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메인 윙(310)의 작동에 따라 제2 보조 윙(32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인 윙(310)의 양단부에는 제2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되어, 제2 메인 윙(310)은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윙 조립체(300)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송풍 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좌, 우 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윙 노브(500)에는 삽입 공간부(501)가 형성되어, 제1 메인 윙(210)은 삽입 공간부(50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윙 노브(600)는 삽입 공간부(501)에 제1 메인 윙(2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노브(500)와 결합된다. 즉, 노브 조립체(400)는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윙 노브(600)에는 이격 공간부(661, 도 4 참조)가 형성된 한 쌍의 조정 프레임(6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정 프레임(660)은 제2 메인 윙(310)에 구비된 결합축(3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400)가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고, 조정 프레임(660)이 결합축(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좌, 우로 조정하는 경우, 제2 윙 조립체(300)는 좌, 우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로 조정하는 경우, 제1 윙 조립체(200)는 상, 하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400)의 선택적인 작동을 통해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메인 윙(210)을 지지 고정하는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후크 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윙 노브(500)의 후부에는 후크부(520)가 구비되고, 제2 윙 노브(600)에는 후크부(520)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620)가 구비되며,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는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크 결합부(620)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벤트와 같이 후크부가 관통 삽입되어야 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제2 윙 노브(600)의 외측면에 단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시, 후크부(520)는 후크 결합부(620)를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 구조는 종래의 후크부가 제2 윙 노브에 형성된 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조립 시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에도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분리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 사용자는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후크 결합된 후크부(520)를 외측 방향으로 벌리기만하면 되기에,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분리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노브 조립체(400)의 파손 발생시 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작동 제어부와 제2 작동 제어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는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통해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을 조정함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정밀하게 제1 윙 조립체(200)와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작동 제어부(7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작동 제어부(700)는 부시 러버(710)와 가이드 핀(72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시 러버(710)는 제1 메인 윙(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6)에 삽입된다. 여기서 가이드홀(216)은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부시 러버(7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홀(216)에 삽입되는 부시 러버(710)의 외측면은 가이드홀(216)의 내측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시 러버(71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부시 러버(710)는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되며, 노브 조립체(400)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핀(720)은 부시 러버(710)에 형성된 핀 삽입홀(711)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가이드 핀(720)은 머리부(721)와 핀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핀부(722)는 핀 삽입홀(711)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핀 삽입홀(71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핀부(722)는 핀 삽입홀(711)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722)의 양단부는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연장부(650)에 형성된 핀 관통홀(651)에 관통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핀부(722)의 일단부와 연결된 머리부(721)는 키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키 형상을 이루는 머리부(721)는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부(650)에 형성된 머리부 고정홈(652)에 삽입되어, 머리부(721)는 연장부(65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가이드 핀(720)은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브 조립체(400)에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이 가해져, 노브 조립체(400)가 좌측 또는 우측로 이동되는 경우, 연장부(650)에 결합된 가이드 핀(720)은 연장부(65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핀(720)의 이동에 따라 핀부(722)와 결합된 부시 러버(710) 또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시 러버(7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 부시 러버(7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부시 러버(710)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정해진 힘 미만인 경우,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부시 러버(7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원래대로 부시 러버(710)의 외측면이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노브 조립체(400)를 좌, 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시 러버(710)는 일정의 탄성 압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되고, 사용자가 노브 조립체(40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부시 러버(710)는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며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은 부시 러버(71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부시 러버(710)의 장변부는 가이드홀(21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힘 이상을 가하여 노브 조립체(400)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할 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흔들림없이 정확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홀(216)에 탄성 지지되는 부시 러버(710)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노브 조립체(40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노브 조립체(400)는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작동 제어부(700)에 구비된 부시 러버(71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제2 윙 조립체(300)의 방향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2 윙 조립체(300)의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제2 작동 제어부(800)는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노브 조립체(4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작동 제어부(800)는 캡 러버(810)와 돌기 러버(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 러버(810)는 제1 메인 윙(210)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214)에 캡 러버(81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캡 러버(810)는 제1 메인 윙(2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 고정홈(214)에는 삽입되는 캡 러버(81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고정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 고정홈(214)에 삽입되는 캡 러버(810)는 가압 고정부(215)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고정부(215)는 캡 고정홈(214)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 러버(820)는 캡 러버(810)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 러버(820)는 캡 러버(810)의 중앙에 구비되되, 캡 러버(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 러버(82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제1 윙 노브(50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즉, 돌기 러버(820)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상부 몸체부(511)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돌기 러버(820)는 상부 몸체부(511)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제2 작동 제어부(800)와 상부 몸체부(511) 간에는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캡 러버(810)는 상부 몸체부(511)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메인 윙(210)의 상, 하 이동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1000)에는 제1 작동 제어부(700)와 제2 작동 제어부(800)가 구비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작동성은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동 제어부(700)에 구비된 부시 러버(710)와 제2 작동 제어부(800)에 구비된 캡 러버(810) 및 돌기 러버(8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시 러버(710), 캡 러버(810) 및 돌기 러버(820)는 반드시 실리콘 재질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윙 노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윙 노브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제1 메인 윙과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개략적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윙 노브(500)는 제1 노브 몸체부(510), 후크부(520), 체결 지지부(530) 및 안착 지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브 몸체부(510)는 제1 윙 노브(5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이와 같은 제1 노브 몸체부(510)는 상부 몸체부(511)와 하부 몸체부(512)가 연결 형성되며, 상부 몸체부(511)와 하부 몸체부(512) 사이에는 삽입 공간부(5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부(511)에는 밀착 지지부(5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지지부(513)는 상부 몸체부(511)의 하면으로부터 삽입 공간부(501)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밀착 지지부(513)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캡 러버(81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메인 윙(210)에 고정된 제2 작동 제어부(800)와 상부 몸체부(511) 간에는 유격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하부 몸체부(512)에는 돌출 지지부(5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지지부(514)는 하부 몸체부(512)의 내측면으로 삽입 공간부(501)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돌출 지지부(514)는 제1 메인 윙(210)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212)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 지지부(514)는 제1 메인 윙(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부(520)는 제1 노브 몸체부(510)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다. 즉, 후크부(520)는 상부 몸체부(511)의 양단부와 하부 몸체부(51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후크부(52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6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 지지부(530)는 후크부(5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 지지부(53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은 체결 지지부(530)는 제1 노브 몸체부(5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 지지부(530)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노브 몸체부(510)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체결 지지부(530)의 두께는 얇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시, 체결 지지부(530)가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됨에 있어, 초기 결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노브 몸체부(510)와 인접한 체결 지지부(530)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531)가 구비된다. 즉,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이러한 체결 가압부(531)는 체결 삽입홈(631)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착 지지부(540)는 체결 지지부(53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안착 지지부(540)는 제2 윙 노브(600)에 형성된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지지 결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윙 노브(500)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윙 노브(500)로 전달되는 힘은 안착 삽입홈(641)을 통해 제2 윙 노브(600)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400)는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됨에 있어,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후크 결합으로만 결합되지 않고, 체결 지지부(530)가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되어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안착 지지부(540)가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삽입되어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노브 조립체(400)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킴에 있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을 위해 가해지는 힘은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부(620)의 결합 부위로만 집중되지 않고, 체결 지지부(530)와 체결 삽입홈(631)의 결합 부위 및 안착 지지부(540)와 안착 삽입홈(641)의 결합 부위로 분산될 수 있다. 즉, 노브 조립체(400)에 가해지는 힘은 특정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에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브 조립체(400)의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해당 부위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윙 노브(600)는 제2 노브 몸체부(610), 후크 결합부(62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40) 및 연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브 몸체부(610)는 제2 윙 노브(6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제2 노브 몸체부(610)에는 제1 메인 윙(210)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213)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611)이 형성된다. 이에, 제1 메인 윙(210)은 제2 노브 몸체부(6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결합부(620)는 제2 노브 몸체부(610)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후크 결합부(620)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후크 결합부(620)는 제2 노브 몸체부(610)에 별도의 홀 구성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제2 노브 몸체부(610)의 외면에 후크부(520)와 후크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630)는 후크 결합부(6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지지부(630)에는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체결 지지부(530)가 삽입되는 체결 삽입홈(6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630)는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530)를 지지 고정시킨다.
여기서 체결 지지부(530)는 체결 삽입홈(631)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시, 제1 윙 노브(5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은 예를 들어 체결 지지부(530)와 체결 삽입홈(631)의 결합 부위를 통해서도 제2 윙 노브(6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시 발생되는 힘은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로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기에, 노브 조립체(400)의 상, 하 이동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640)는 제1 지지부(63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640)는 제2 윙 노브(6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지지부(640)에는 안착 삽입홈(641)이 형성되어, 제1 윙 노브(500)에 구비된 안착 지지부(540)는 안착 삽입홈(641)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 지지부(540)는 안착 삽입홈(641)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시, 제1 윙 노브(5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은 예를 들어 안착 지지부(540)와 안착 삽입홈(641)의 결합 부위를 통해서도 제2 윙 노브(6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조립체(400)의 이동시 발생되는 힘은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결합 부위로 전체적으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기에, 노브 조립체(400)의 좌, 우 이동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650)는 제2 지지부(640)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부(650)는 한 쌍을 이루되, 제1 윙 노브(500)와 제2 윙 노브(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윙(21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연장부(650)에는 가이드 핀(720)의 핀부(722)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6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윙 노브(600)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부(650)에는 머리부 고정홈(652)이 형성되어 가이드 핀(720)의 머리부(721)는 머리부 고정홈(652)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싱
200: 제1 윙 조립체
210: 제1 메인 윙
211: 제1 회전축
212: 이동 지지바
213: 이동 안내바
214: 캡 고정홈
215: 가압 고정부
216: 가이드홀
220: 제1 보조 윙
230: 제1 링크부재
300: 제2 윙 조립체
310: 제2 메인 윙
311: 제2 회전축
312: 결합축
320: 제2 보조 윙
330: 제2 링크부재
400: 노브 조립체
500: 제1 윙 노브
501: 삽입 공간부
510: 제1 노브 몸체부
511: 상부 몸체부
512: 하부 몸체부
513: 밀착 지지부
514: 돌출 지지부
520: 후크부
530: 체결 지지부
531: 체결 가압부
540: 안착 지지부
600: 제2 윙 노브
610: 제2 노브 몸체부
611: 이동 안내홈
620: 후크 결합부
630: 제1 지지부
631: 체결 삽입홈
640: 제2 지지부
641: 안착 삽입홈
650: 연장부
651: 핀 관통홀
652: 머리부 고정홈
660: 조정 프레임
661: 이격 공간부
700: 제1 작동 제어부
710: 부시 러버
711: 핀 삽입홀
720: 가이드 핀
721: 머리부
722: 핀부
800: 제2 작동 제어부
810: 캡 러버
820: 돌기 러버
1000: 차량용 에어벤트
200: 제1 윙 조립체
210: 제1 메인 윙
211: 제1 회전축
212: 이동 지지바
213: 이동 안내바
214: 캡 고정홈
215: 가압 고정부
216: 가이드홀
220: 제1 보조 윙
230: 제1 링크부재
300: 제2 윙 조립체
310: 제2 메인 윙
311: 제2 회전축
312: 결합축
320: 제2 보조 윙
330: 제2 링크부재
400: 노브 조립체
500: 제1 윙 노브
501: 삽입 공간부
510: 제1 노브 몸체부
511: 상부 몸체부
512: 하부 몸체부
513: 밀착 지지부
514: 돌출 지지부
520: 후크부
530: 체결 지지부
531: 체결 가압부
540: 안착 지지부
600: 제2 윙 노브
610: 제2 노브 몸체부
611: 이동 안내홈
620: 후크 결합부
630: 제1 지지부
631: 체결 삽입홈
640: 제2 지지부
641: 안착 삽입홈
650: 연장부
651: 핀 관통홀
652: 머리부 고정홈
660: 조정 프레임
661: 이격 공간부
700: 제1 작동 제어부
710: 부시 러버
711: 핀 삽입홀
720: 가이드 핀
721: 머리부
722: 핀부
800: 제2 작동 제어부
810: 캡 러버
820: 돌기 러버
1000: 차량용 에어벤트
Claims (7)
- 에어벤트의 몸체를 이루며 송풍 유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메인 윙을 갖는 제1 윙 조립체;
상기 제1 윙 조립체의 후방에 구비되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메인 윙을 갖는 제2 윙 조립체; 및
상기 제1 윙 조립체와 제2 윙 조립체를 회전시키며 송풍 방향을 변경하는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제1 메인 윙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크부가 구비된 제1 윙 노브; 및
외면에 단턱을 이루며 상기 후크부와 체결되는 후크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윙 노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윙 노브와 제2 윙 노브의 결합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인 차량용 에어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좌, 우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 러버; 및
상기 부시 러버에 형성된 핀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 조립체의 이동시, 상기 부시 러버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핀을 가지며,
상기 부시 러버는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장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러버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홀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되,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노브 조립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부시 러버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의 상, 하 이동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노브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상면에 형성된 캡 고정홈에 삽입되어 지지 고정되는 캡 러버; 및
상기 캡 러버의 상부 중앙에 상기 캡 러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돌기 러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캡 고정홈에는 상기 캡 러버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러버는 상기 제1 윙 노브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윙 노브는,
상기 제1 메인 윙에 구비된 이동 안내바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홈이 형성된 제2 노브 몸체부;
상기 제2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
상기 후크 결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체결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안착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핀의 핀부가 삽입되는 핀 관통홀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갖는 제1 노브 몸체부;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의 양단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체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안착 삽입홈에 안착 삽입되는 안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되는 밀착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노브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공간부로 돌출된 돌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메인 윙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지지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제1 노브 몸체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브 몸체부와 인접한 상기 체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체결 가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ko) | 2020-02-05 | 2020-02-05 | 차량용 에어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ko) | 2020-02-05 | 2020-02-05 | 차량용 에어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9825A true KR20210099825A (ko) | 2021-08-13 |
KR102308675B1 KR102308675B1 (ko) | 2021-10-01 |
Family
ID=7731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3659A KR102308675B1 (ko) | 2020-02-05 | 2020-02-05 | 차량용 에어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67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969B1 (ko) * | 2006-04-28 | 2007-09-06 |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벤트 |
JP2009096279A (ja) * | 2007-10-16 | 2009-05-07 | Moriroku Technology Co Ltd | 空調用吹出口の送風方向変更装置 |
JP2016539840A (ja) * | 2013-12-06 | 2016-12-22 |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 車両通気口用のウィングノブを取り付けるための構造 |
KR101878168B1 (ko) | 2015-11-05 | 2018-07-13 |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 동작상태의 파악이 용이한 감성 에어벤트 |
-
2020
- 2020-02-05 KR KR1020200013659A patent/KR1023086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969B1 (ko) * | 2006-04-28 | 2007-09-06 |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 차량용 에어벤트 |
JP2009096279A (ja) * | 2007-10-16 | 2009-05-07 | Moriroku Technology Co Ltd | 空調用吹出口の送風方向変更装置 |
JP2016539840A (ja) * | 2013-12-06 | 2016-12-22 | ニフコ コ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 車両通気口用のウィングノブを取り付けるための構造 |
KR101878168B1 (ko) | 2015-11-05 | 2018-07-13 |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 동작상태의 파악이 용이한 감성 에어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8675B1 (ko) | 2021-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4047B1 (ko) | 차량용 에어벤트 | |
JP6389738B2 (ja) | 車両用風向調整装置 | |
JP5915581B2 (ja) |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 |
JP2002293133A (ja) | 風向調整装置 | |
KR102308675B1 (ko) | 차량용 에어벤트 | |
CN109383236A (zh) | 空调用吹出口装置 | |
JP2007038710A (ja) | パネル装置 | |
JP5200899B2 (ja) | 車両用ベンチレータの風向き調整装置 | |
JP2019006167A (ja) | 空調用レジスタ | |
CN115701390A (zh) | 用于车辆的通风口 | |
KR20070049915A (ko) | 에어벤트의 댐퍼도어 축 결합구조 | |
KR101542853B1 (ko) | 차량의 에어벤트 | |
JP2017013585A (ja) | ルーバー装置 | |
KR20090007164A (ko) | 송풍조절장치 | |
WO2018225498A1 (ja) | 風向調整装置 | |
KR20190023507A (ko) |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 |
JP6451477B2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JP2019081506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01080542A (ja) | 車両用熱交換器の取付構造 | |
US11951808B2 (en) | Slim type air vent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0323294Y1 (ko) |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 |
JP4165219B2 (ja) | 風向調整装置 | |
KR101943846B1 (ko) | 디플렉터 링크 조립구조 | |
CN221403218U (zh) |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 |
KR100921811B1 (ko) | 로어 암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