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319A -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319A
KR20210099319A KR1020200013022A KR20200013022A KR20210099319A KR 20210099319 A KR20210099319 A KR 20210099319A KR 1020200013022 A KR1020200013022 A KR 1020200013022A KR 20200013022 A KR20200013022 A KR 20200013022A KR 20210099319 A KR20210099319 A KR 2021009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intake
hose
engine oil
intak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319A/ko
Priority to DE102020205591.2A priority patent/DE102020205591A1/de
Priority to US16/866,244 priority patent/US11248567B2/en
Priority to CN202010394685.8A priority patent/CN113217236A/zh
Publication of KR2021009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37Flexible ducts, e.g. bellow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8Separating lubricant from air or fuel-air mixture before entry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44Connections of intake ducts to each other or to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the intake system acting as a vacuum or overpressure source for auxiliary devices, e.g. brake systems; Vacuum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75Means to avoid a change in direction of incoming fluid, e.g. all intake ducts diverging from plenum chamber at acute angles; Check valves; Flame arrestors for backfire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02M35/1036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by welding, bond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어클리너와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호스를 포함하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에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집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흡기호스 내측벽면에 포켓부가 형성되므로, 주행 상태에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 중 일부가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하더라도,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켓부에 포집되므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신기 니플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Intake structure to prevent engine oil from flowing back along the nipple and method of attaching nipple at thereof}
본 발명은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엔진 또는 브레이크 부스터로 신기를 공급하는 신기 니플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의 연소를 위해서 흡기가 연소실에 공급된다. 흡기 공급을 위해서 엔진에는 흡기파이프가 구비된다. 흡기파이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쉴드, 흡기덕트, 에어클리너, 흡기호스를 포함한다. 흡기호스는 서지탱크, 흡기매니폴드 등과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차저의 컴프레셔가 서지탱크 또는 흡기매니폴드 전단에 장착될 경우,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와 흡기호스가 연결된다.
터보차저가 엔진에 적용될 경우, 터보차저를 구성하는 터빈과 컴프레셔의 작동에 의해서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와 엔진 사이에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보다 큰 압력이 발생된다. 쓰로틀밸브의 개도량이 작을 경우, 쓰로틀밸브 또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흡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라인이 장착된다. 순환라인에는 압력 감지형 밸브가 장착된다. 압력 감지형 밸브는 순환라인 내부압이 적정치 이상일 때 열리도록 작동하고, 적정치 미만일 때는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등속 주행 또는 타력 주행 중에 쓰로틀밸브의 개도량이 감소될 경우,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의 입구 압력이 출구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컴프레셔의 압축 효율이 감소되고, 컴프레셔와 연결된 흡기호스의 내부면을 따라서 흡기 중 일부가 역류하게 된다.
한편, 엔진 작동 중에,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 사이를 통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실린더 블록 내부에 포집 된다. 과도하게 블로우바이 가스가 실린더 블록 내부에 포집될 경우, 엔진이 정상 작동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 블록 내부에 포집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파이프로 재순환 시켜 제거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터보차저가 적용될 경우, 블로우바이 가스 유입을 위해서 컴프레셔와 흡기호스 사이에 브리더 니플이 장착된다. 그리고, 실린더 블록 내부 압력을 적절히 유지하고, 블로우바이 가스가 과도하게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린더 블록 내부로 신기를 공급하는 신기 니플이 흡기호스에 장착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의 압축 효율이 감소될 경우, 흡기호스의 내부면을 따라서 흡기 중 일부가 역류하게 된다. 역류하는 흡기에 의해서 브리더 니플을 통해 흡기파이프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신기 니플에 도달될 수 있다. 신기 니플은 실린더 블록 내부로 신기를 공급하므로, 블로우바이 가스가 실린더 블록 내부로 재이동되는 결과가 된다.
아울러, 블로우바이 가스에는, 흡기, 배기, 혼합기, 오일 등이 존재한다. 블로우바이 가스가 역류하면 에어클리너 필터가 오일에 의해 오염되어 엔진출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오일이 신기 니플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신기 니플이 막힐 수 있다. 신기 니플이 막히게 되면, 실린더 블록의 내부압 조절, 블로우바이 가스의 과도한 농축 등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신기 니플이 브레이크 부스터와 연결될 수도 있는데,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에 의해 신기 니플이 막힐 경우, 브레이크 작동이 정상적이지 못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33234호(1998.09.05.)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우 바이 가스에 포함된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공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는, 에어클리너와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호스를 포함하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에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집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켓부는, 흡기호스에 형성된 장착마운트에 고정되는 체적부와, 체적부를 밀폐하도록 체적부의 단부에 장착된 바닥부를 포함하며, 체적부는,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바닥부까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흡기호스에 블로우바이 가스가 발생된 엔진으로 신기를 공급하는 신기 니플이 장착되고, 신기 니플은, 흡기호스 외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체적부 내부에 위치하는 연장부와, 연장부로부터 흡기호스 내부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연장부는 바닥부의 중심을 관통하며, 포켓부와 신기 니플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 및 돌출부의 총 길이는 포켓부의 깊이 보다는 크고, 흡기호스 내경의 반지름 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돌출부의 외주면에 돌출부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을 향해 이격 거리를 가지며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기호스의 단부에 엔진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완충부에 근접하도록 흡기호스에 타공형 공명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타공형 공명기는, 흡기호스 내부면에 고정되는 관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몸체부에 몸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공형 공명기는 포켓부 보다 에어클리너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흡기호스에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가 흡기호스로 재순환되는 재순환 니플이 장착되고,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일측에 블로우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브리더 니플이 장착되고, 재순환 니플은, 브리더 니플과 신기 니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재순환 니플은, 흡기호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흡기호스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재순환 니플이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또한, 신기 니플의 단부가 재순환 니플의 단부 보다 흡기호스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재순환 니플은, 흡기호스 내부에 위치되는 재순환 니플의 단부가 흡기호스와 재순환 니플의 결합부위 보다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에 가깝도록 기울어지게 흡기호스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체적부의 외측면에 빠짐 방지형 돌기가 형성되고, 장착마운트는 내측면에 빠짐 방지형 돌기와 체결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공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은, 체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 방지형 돌기가 장착마운트 내측에 구비된 장착홈과 체결되도록 체적부가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적부가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 수행 전에, 체적부의 외주면에 에폭시계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체적부가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 수행 후에, 체적부와 장착마운트를 오븐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에 호스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연결부에 호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호스가 연결부에 끼워지는 단계와, 호스와 연결부의 중첩부에 클립이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따르면, 흡기호스 내측벽면에 포켓부가 형성되므로, 주행 상태에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 중 일부가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하더라도,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켓부에 포집되므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신기 니플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재순환 니플을 통해서 흡기호스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오일이 존재하더라도, 포켓부에 포집되거나, 신기 니플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에 응축되므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이 신기 니플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흡기호스에 타공형 공명기가 장착되므로, 흡기에 의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기호스에서 에어클리너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일에 의한 에어클리너의 오염이 방지되고, 브레이크 부스터로의 신기 공급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보차저가 장착된 엔진의 흡기라인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신기 니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신기 니플과 신기호스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흡기호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는, 에어클리너(100)와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호스(300)를 포함한다.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 일측에 블로우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브리더 니플(210)이 장착된다.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에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집되는 포켓부(310)가 형성된다.
포켓부(310)는, 흡기호스(300)에 형성된 장착마운트(360)에 고정되는 체적부(311)와, 체적부(311)를 밀폐하도록 체적부(311)의 단부에 장착된 바닥부(312)를 포함한다. 체적부(311)는,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바닥부(312)까지 깊이를 갖는다. 체적부(311)와 바닥부(312)는 그릇 형태를 이룬다.
흡기호스(300)에 블로우바이 가스가 발생된 엔진으로 신기를 공급하는 신기 니플(320)이 장착된다. 신기 니플(320)은, 흡기호스(300) 외부에 위치하는 연결부(322)와, 연결부(322)로부터 연장되고 체적부(311) 내부에 위치하는 연장부(323)와, 연장부(323)로부터 흡기호스(300) 내부로 연장된 돌출부(324)를 포함한다. 연장부(323)는 바닥부(312)의 중심을 관통한다. 포켓부(310)와 신기 니플(320)은 일체화된다.
주행 상태에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 중 일부가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할 경우, 역류된 블로우바이 가스는 포켓부(310)에 도달하게 된다. 블로우바이 가스에 오일이 포함 될 경우, 포켓부(310)에 오일이 포집된다. 포켓부(310)에 포집된 오일이 적정량이 되면, 자유 낙하하게 되고, 엔진 부압에 의해서 엔진으로 유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3) 및 돌출부(324)의 총 길이는 포켓부(310)의 깊이 보다는 크고, 흡기호스(300) 내경의 반지름 보다는 작게 설계된다. 이에 따라서, 주행 상태에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 중 일부가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하더라도, 돌출부(324)의 개구된 단부는 역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영향 받지 않게 된다.
돌출부(324)에 돌기(321)가 형성된다. 돌기(321)는 돌출부(324)의 외주면에 돌출부(324)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돌기(321)는, 돌출부(324)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321)는, 돌출부(324)의 단부로부터 흡기호스(300)의 내부면을 향해 이격 거리를 가지며 2개 이상 형성된다.
재순환 니플(350)을 통해서 흡기호스(300)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오일이 존재할 경우, 신기 니플(32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321)에 응축된다. 이에 따라,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이 신기 니플(32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돌기(321)에 응축된 오일은 적정량이 되면 자유 낙하하게 되고, 엔진 부압에 의해서 엔진으로 유입된다.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은 포켓부(310)에 포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포켓부(310)에서 낙하한 오일이 돌기(321)에 맺힐 수 있다. 포켓부(310)에서 낙하한 뒤, 돌기(321)에 맺힌 오일도 적정량이 되면 자유 낙하하게 되고, 엔진 부압에 의해서 엔진으로 유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호스(300) 외부에 위치하는 신기 니플(320)의 일측 단부에 신기호스(325)가 장착된다. 신기 니플(320)과 신기호스(325)의 중첩부에 링형 클립(326)이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기 니플(320)은 포켓부(310)와 일체형으로 설계된다. 포켓부(310)의 외측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흡기호스(300)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장착한다. 그리고 섭씨 150도의 오븐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흡기호스(300)에 신기 니플(320) 및 포켓부(310)가 장착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가 흡기호스(300)로 재순환되는 재순환 니플(350)이 흡기호스(300)에 장착된다. 재순환 니플(350)은, 브리더 니플(210)과 신기 니플(320) 사이에 위치된다.
재순환 니플(350)은, 흡기호스(3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흡기호스(300)에 장착된다. 흡기호스(300) 내부 공기흐름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재순환 니플(350)이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5 내지 10밀리미터이다.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호스(300)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하여 신기 니플(3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신기 니플(320)의 단부가 재순환 니플(350)의 단부 보다 흡기호스(300) 중심에 가깝게 위치한다.
재순환 니플(350)은, 흡기 흐름 방향과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 흐름 방향이 일치하도록 흡기호스(300) 내부에 위치된다. 재순환 니플(350)은 재순환 니플(350)의 단부가 흡기호스(300)와 재순환 니플(350)의 결합부위 보다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에 가깝도록 기울어지게 흡기호스(300)에 장착된다.
재순환 니플(350)을 통해서 흡기호스(300)로 유입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는 재순환 니플(350)의 길이 및 경사에 의해서, 흡기호스(300) 중심부에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를 향해서 경사진 형태로 토출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호스(300)의 단부에 엔진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330)가 구비된다. 완충부(330)에 근접하도록 흡기호스(300)에 타공형 공명기(340)가 장착된다. 타공형 공명기(340)는 포켓부(310) 보다 에어클리너(100)에 가깝게 흡기호스(300)에 배치된다.
타공형 공명기(340)는, 흡기호스(300) 내부면에 고정되는 관 형태의 몸체부(341)를 포함한다. 몸체부(341)에 몸체부(341)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342)이 형성된다.
타공형 공명기(340)에 의해서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에서 흡기호스(300)로 역류하거나,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 후단인 흡기매니폴드 측에서,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 전단인 흡기호스(300)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이 흡기호스(300)에서 에어클리너(1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타공형 공명기(340)에 의해서 흡기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호스(300)의 표면에 주름(301)이 형성된다. 에어클리너(100) 또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와의 연결시에 에어클리너(100) 또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위와 주름(301)이 형성된 부위가 중첩되고, 링형 클립이 중첩부에 장착됨으로써 흡기호스(300)와 에어클리너(100) 또는 터보차저의 컴프레셔(200)가 연결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는, 도 9에 도시된 절차도에 따라, 신기 니플이 장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은, 체적부(3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 방지형 돌기(313) 가 장착마운트(360) 내측에 구비된 장착홈(361)에 위치되도록 체적부(311)가 장착마운트(360)에 끼워지는 단계(S100)와, 연결부(322)에 호스(325)가 연결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체적부(311)가 장착마운트(360)에 끼워지는 단계(S100) 수행 전에, 체적부(311)의 외주면에 에폭시계 접착제가 도포된다. 체적부(311)가 장착마운트(360)에 끼워지는 단계(S100) 수행 후에, 체적부(311)와 장착마운트(360)를 오븐에서 열처리한다. 열처리 온도는 섭씨 150도 이다.
연결부(322)에 호스(325)가 연결되는 단계(S200)는, 호스(325)가 연결부(322)에 끼워지는 단계(S210)와, 호스(325)와 연결부(322)의 중첩부에 클립(326)이 장착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호스(325)와 연결부(322)의 중첩부에 클립(326)이 장착되는 단계(S220)에서, 클립(326)은 호스(325)의 중심측에서 중첩부를 향해 이동된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따르면, 흡기호스(300) 내측벽면에 포켓부(310)가 형성되므로, 주행 상태에 따라서 블로우바이 가스 중 일부가 흡기호스(300)의 내측벽면을 따라 역류하더라도,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켓부(310)에 포집되므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신기 니플(320)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재순환 니플(350)을 통해서 흡기호스(300)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오일이 존재하더라도, 포켓부(310)에 포집되거나, 신기 니플(32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321)에 응축되므로, 재순환된 블로우바이 가스에 존재하는 오일이 신기 니플(32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흡기호스(300)에 타공형 공명기(340)가 장착되므로, 흡기에 의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기호스(300)에서 에어클리너(100)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에어클리너 200: 컴프레셔
210: 브리더 니플 300: 흡기호스
310: 포켓부 311: 체적부
312: 바닥부 320: 신기 니플
321: 돌기 322: 연결부
323: 연장부 324: 돌출부
325: 신기호스 326: 클립
330: 완충부 340: 타공형 공명기
341: 몸체부 342: 구멍
350: 재순환 니플 360: 장착마운트

Claims (20)

  1. 에어클리너와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에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포집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흡기호스에 형성된 장착마운트에 고정되는 체적부;
    상기 체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체적부의 단부에 장착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적부는, 상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까지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호스에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가 발생된 엔진으로 신기를 공급하는 신기 니플이 장착되고,
    상기 신기 니플은,
    상기 흡기호스 외부에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적부 내부에 위치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흡기호스 내부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포켓부와 상기 신기 니플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의 총 길이는 상기 포켓부의 깊이 보다는 크고,
    상기 흡기호스 내경의 반지름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을 향해 이격 거리를 가지며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호스의 단부에 상기 엔진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흡기호스에 타공형 공명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형 공명기는,
    상기 흡기호스 내부면에 고정되는 관 형태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형 공명기는 상기 포켓부 보다 상기 에어클리너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호스에 상기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가 상기 흡기호스로 재순환되는 재순환 니플이 장착되고,
    상기 터보차저의 컴프레셔 일측에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가 유입되는 브리더 니플이 장착되고,
    상기 재순환 니플은, 상기 브리더 니플과 상기 신기 니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니플은,
    상기 흡기호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흡기호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니플이 상기 흡기호스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5 내지 10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기 니플의 단부가 상기 재순환 니플의 단부 보다 상기 흡기호스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니플은,
    상기 흡기호스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재순환 니플의 단부가 상기 흡기호스와 상기 재순환 니플의 결합부위 보다 상기 터보차저의 컴프레셔에 가깝도록 기울어지게 상기 흡기호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부의 외측면에 빠짐 방지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마운트는 내측면에 상기 빠짐 방지형 돌기와 체결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17. 청구항 16에 기재된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빠짐 방지형 돌기가 상기 장착마운트 내측에 구비된 상기 장착홈과 체결되도록 상기 체적부가 상기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부가 상기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 수행 전에,
    상기 체적부의 외주면에 에폭시계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부가 상기 장착마운트에 끼워지는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체적부와 상기 장착마운트를 오븐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호스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 호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호스가 상기 연결부에 끼워지는 단계;
    상기 호스와 상기 연결부의 중첩부에 클립이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KR1020200013022A 2020-02-04 2020-02-04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KR20210099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22A KR20210099319A (ko) 2020-02-04 2020-02-04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DE102020205591.2A DE102020205591A1 (de) 2020-02-04 2020-05-04 Ansaugstruktur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Nippels an der Ansaugstruktur
US16/866,244 US11248567B2 (en) 2020-02-04 2020-05-04 Intake structure of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nipple to intake structure
CN202010394685.8A CN113217236A (zh) 2020-02-04 2020-05-11 车辆的进气结构以及将短接管安装到进气结构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22A KR20210099319A (ko) 2020-02-04 2020-02-04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19A true KR20210099319A (ko) 2021-08-12

Family

ID=7685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22A KR20210099319A (ko) 2020-02-04 2020-02-04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48567B2 (ko)
KR (1) KR20210099319A (ko)
CN (1) CN113217236A (ko)
DE (1) DE102020205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2464B2 (en) * 2020-11-13 2023-09-12 SONUS Engineered Solutions Rankine vortex particle separator systems and methods
JP7420459B2 (ja) 2021-10-21 2024-01-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234U (ko) 1996-12-06 1998-09-05 박병재 블로 바이 가스 환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473A (ja) * 2002-02-06 2003-08-22 Nippon Denshi Gijutsu Kk 配管用継手及びパイプ接続構造
US7108291B2 (en) * 2003-05-07 2006-09-19 Parker-Hannifin Clip coupling
KR20050035349A (ko) * 2003-10-13 2005-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용 니플 구조
DE102005051946A1 (de) * 2005-10-19 2007-04-26 Mündener Gummiwerk Gmbh Im Spritzgießverfahren hergestellter Schlauch für die Führung von Gasen, insbesondere ein Schlauch zwischen Luftfilter und Turbolader eines Fahrzeugs
KR20080001042U (ko) * 2006-11-09 2008-05-15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KR101510322B1 (ko) * 2009-08-28 2015-04-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레조네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234U (ko) 1996-12-06 1998-09-05 박병재 블로 바이 가스 환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17236A (zh) 2021-08-06
DE102020205591A1 (de) 2021-08-05
US20210239078A1 (en) 2021-08-05
US11248567B2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276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US10337398B2 (en) Blowby gas treatmen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percharger
KR20210099319A (ko)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 및 엔진오일이 니플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 구조에 니플을 장착하는 방법
US20100139634A1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assembly with a vacuum pulsation dampener
JP4310083B2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US7246593B2 (en) Intake module assembly
US20120017764A1 (en) Variable intake-type air cleaner
US6907854B2 (en) Fan shroud with internal aspirator
JP5319002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KR101400528B1 (ko) 엔진용 크랭크케이스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결빙방지장치
JP2005147135A (ja) 内燃機関のポジティブクランクケースベンチ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70002939A (ko) 엔진 벤틸레이션계의 결빙방지 니플
JP2005090428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7247082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020085153A (ko) 인터쿨러와 일체로 형성된 라디에이터
JP201913226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681624A (ja) シールドタイプ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を有する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ホース
JPH0639096Y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アップ空気供給装置
JPS5851396Y2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装置における二次空気の導入装置
JPS5851395Y2 (ja) 内燃機関における二次空気供給装置における二次空気の導入装置
JPH0564408U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KR0140500Y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연료증발가스 유도구조
JPS6242113Y2 (ko)
KR101534719B1 (ko) 차량 엔진의 실린더 헤드 커버
JPH0627775Y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ナ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