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042U -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042U
KR20080001042U KR2020060029341U KR20060029341U KR20080001042U KR 20080001042 U KR20080001042 U KR 20080001042U KR 2020060029341 U KR2020060029341 U KR 2020060029341U KR 20060029341 U KR20060029341 U KR 20060029341U KR 20080001042 U KR20080001042 U KR 20080001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leeve member
crimping
pressing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행철
Original Assignee
황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행철 filed Critical 황행철
Priority to KR2020060029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042U/ko
Publication of KR20080001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0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게시된 본 고안은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호스니플과;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부재;로 구성되는 고압호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호스삽입부의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나선형상의 환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환형돌기와 나선결합되는 환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슬리브부재와 상기 호스니플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호스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니플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기 압착장치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언제 어디서든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압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삽입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강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호스니플, 호스삽입부, 환형돌기, 슬리브부재, 환형턱, 나선결합, 압착장치

Description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HIGH RRESSURE HOSE CONNECTOR AND PRESS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압호스 연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호스니플, 슬리브부재 및 호스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도 3의 A - 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롤러부가 압착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슬리브부재가 상기 롤러부와 상기 압착부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압착부가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슬리브부재가 축방향으로 압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삽입부에 압착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호스, 11; 호스니플,
13; 호스삽입부, 15; 걸림턱,
17; 환형돌기, 30; 슬리브부재,
35; 환형턱, 50; 프레임,
53, 95; 축, 53a, 95a; 홈,
70; 압착부, 73, 103; 중공부,
90; 이동축, 93; 홀더,
100; 롤러부, 130; 이탈방지부재,
150; 고정수단.
본 고안은 슬리브부재와 호스니플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호스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니플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압착장치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언제 어디서든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압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삽입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강하 게 압착고정될 수 있는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호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구로는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호스니플과;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부재;로 구성되는 고압호스 연결구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부재가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강하게 압착시키지 못할 경우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니플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호스니플이 상기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압착장치 등을 사용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삽입부에 보다 강하게 압착됨과 동시에 상기 호스니플이 상기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압착장치는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관계로 작업자가 운반 및 보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일정장소에 보관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부재를 압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슬리브부재를 상기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기 슬리브부재와 상기 호스니플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호스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니플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기 압착장치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언제 어디서든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압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호스가 상기 호스삽입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강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는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호스니플과;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부재;로 구성되는 고압호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호스삽입부의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나선형상의 환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환형돌기와 나선결합되는 환형턱이 형성되는 고압호스 연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압호스 연결구의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압착장치로써,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압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나선결합되고, 일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착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단부에 소정 형상의 홀더가 고정설치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압착부와 대향설치되는 롤러부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부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사이에 밀착게재된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홀더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타측을 축지지하여,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이동범위가 보다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압호스 연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호스니플(11), 슬리브부재(30) 및 호스(10)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도 3의 A - 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고압호스 연결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스니플(11)과 슬리브부재(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스니플(11)은 호스(10)와 호스(1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10)가 게재되는 호스삽입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삽입부(1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5)의 내측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환형돌기(17)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부재(30)는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상기 호스(10)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10)를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압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30)의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돌기(17)와 나선결합되는 환형턱(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호스니플(11), 상기 슬리브부재(30) 및 상기 호스(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는데,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스니플(11)과 상기 슬리브부재(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에 구비된 상기 환형돌기(17)와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상기 환형턱(35)이 나선결합됨으로써, 상기 호스니플(11)과 상기 슬리브부재(3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10)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스니플(11) 및 상기 슬리브부재(30)와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호스(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에 게재된다.
즉, 상기 슬리브부재(30)와 나선결합된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상기 호스(10)가 게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걸림턱(15)이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호스(10)가 상기 호스삽입부(13)에 횡방향으로 보다 수월하게 진입하여 게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니플(11)의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상기 호스(10)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상기 호스(10)를 강하게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압착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호스(10)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니플(11)에서 외부방향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부재(30)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착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 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롤러부(100)가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압착장치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50), 압착부(70), 이동축(90), 롤러부(100) 및 이탈방지부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0)상에는 상기 압착부(7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90)이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이동축(90)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착부(70)는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구비된 축(53)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70)의 일측 내부에는 소정폭의 중공부(73)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부(73)의 중심부에는 상기 압착부(70)와 축결합되는 상기 축(53)의 일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압착부(70)는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게 되는데,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축(90)은 후술할 상기 롤러부(100)를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50)의 타측에 나선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축(90)이 상기 프레임(50)의 타측에 나선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이동축(90)을 일정방향, 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축(90)은 상기 프레임(50)의 타측에서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축(90)과 상기 압착부(70)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작업자가 상기 이동축(9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축(90)은 상기 압착부(70)에서 상기 프레임(5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축(90)과 상기 압착부(70)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축(90)의 일단부에는 소정 형상의 홀더(93)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홀더(93)에는 상기 롤러부(100)와 축결합되는 축(9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축(90)의 상기 홀더(93)에 상기 롤러부(100)가 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축(90)이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시 상기 롤러부(100) 또한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상기 이동축(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롤러부(100)를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압착부(70)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착되는 상기 슬리브부재(30)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93)의 상기 축(95)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압착부(70)와 대향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100)의 일측 내부에도 소정폭의 중공부(103)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공부(133)의 중심부에는 상기 홀더(93)에 구비된 상기 축(95), 즉 상기 롤러부(100)와 축결합되는 상기 축(95)의 일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사이에 상기 슬리브부재(30)가 게재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부(10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축(90)으로 인해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사이에 견고하게 밀착게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부(100)가 상기 홀더(93)의 상기 축(95)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사이에 밀착게재된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상기 롤러부(100)가 회전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롤러부(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압착부(70)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착되는 상기 슬리브부재(30)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일측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중공부(73, 103)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70)의 상기 중공부(73) 중심부와 상기 롤러부(100)의 상기 중공부(133) 중심부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축(53)의 일단과 상기 홀더(93)에 구비된 상기 축(95)의 일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130)가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축(53)의 일단과 상기 홀더(93)에 구비된 상기 축(103)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단,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는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축(53)의 일단과 상기 홀더(93)에 구비된 상기 축(95)의 일단에 형성된 홈(53a, 95a)에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를 상기 홈(53a, 95a)에 보다 쉽고 용이하게 삽입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축(53)의 일단과 상기 홀 더(93)에 구비된 상기 축(95)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홈(53a, 95a)에 삽입고정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로 인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이탈방지부재(1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 슬리브부재(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사이에 게재되는데, 이때 상기 슬리브부재(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이스 등의 고정수단(150)에 의해 위치고정된 뒤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 사이에 게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100)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 사이에 상기 슬리브부재(30)가 견고하게 밀착게재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상기 롤러부(100)와 상기 압착부(70)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압착부(70)가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축방향으로 압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호스(10)가 상기 호스삽입부(13)에 압착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바이스 등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기 슬리브부재(30)는 작업자에 의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0)과 상기 홀더(93)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타측을 축지지하여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이동범위가 보다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0)과 상기 홀더(93)가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타측을 축지지하는 부위를 P라할 경우 상기 P가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일측에 위치되지 않아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의 내측으로 상기 P의 좌우간격만큼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이동범위가 확장되면 상기 압착부(70)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일측외주면 ->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중심부외주면 -> 상기 슬리브부재(30)의 타측외주면 순으로 순차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부(70)가 상기 슬리브부재(30)를 효율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호스(10)가 상기 호스삽입부(13)에 보다 강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착부(70)는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롤러부(100)를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압착부(70)와 상기 롤러부(100) 사이에 게재된 상기 슬리브부재(30)가 밀착게재되도록 한 뒤 상기 프레임(50)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압착부(70)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70)가 상기 슬리브부재(30)를 한번 압착하고 나면 작업자가 상기 롤러부(100)를 상기 압착부(70)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상기 슬리브부재(30)를 더욱 밀착고정시키고, 이 후에 다시 상기 프레임(50)을 일정방향으로 한번 더 회전시켜 상기 압착부(70)가 압착한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다시 한번 압착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재(30)가 상기 압착부(70)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착됨과 동시에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스(10)가 상기 호스삽입부(13)에 보다 강하게 압착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착장치의 상기 압착부(70)가 상기 슬리브부재(3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장치는 종래의 압착장치보다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압착장치를 휴대 및 보관하기가 보다 용이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언제 어디서든 쉽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상기 슬리브부재(30)를 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작업자가 번거롭게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압착장치는 종래의 압착장치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구비된 상기 환형돌기와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기 환형턱이 나선결합됨으로써, 상기 호스니플과 상기 슬리브부재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리브부재가 상기 압착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강하게 압착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호스가 종래처럼 외력 등에 의해 상기 호스니플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장치의 상기 압착부가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압착장치는 종래의 압착장치보다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압착장치를 휴대 및 보관하기가 보다 용이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슬리브부재를 언제 어디서든 쉽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상기 슬리브부재를 압착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번거롭게 이동할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이동축의 상기 홀더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타측을 축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이동범위가 보다 확장되어 작업자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축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호스 역시 상기 호스삽입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강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호스니플과;
    상기 호스니플의 상기 호스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부재;로 구성되는 고압호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호스삽입부의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나선형상의 환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부재의 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환형돌기와 나선결합되는 환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연결구.
  2. 제 1항의 고압호스 연결구의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압착장치로써,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압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나선결합되고, 일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착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단부에 소정 형상의 홀더가 고정설치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상기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압착부와 대향설 치되는 롤러부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압착부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사이에 밀착게재된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슬리브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홀더가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타측을 축지지하여, 상기 압착부와 상기 롤러부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이동범위가 보다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장치.
KR2020060029341U 2006-11-09 2006-11-09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KR200800010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341U KR20080001042U (ko) 2006-11-09 2006-11-09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341U KR20080001042U (ko) 2006-11-09 2006-11-09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42U true KR20080001042U (ko) 2008-05-15

Family

ID=4132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341U KR20080001042U (ko) 2006-11-09 2006-11-09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042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3589A (zh) * 2010-11-25 2011-04-06 广州高澜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发电的工业橡胶软管总成接头
KR200460207Y1 (ko) * 2009-10-28 2012-05-09 조구호 점적 재배용 일체형 티이자 호스 연결장치
KR101653251B1 (ko) 2016-01-29 2016-09-01 박진복 호스 연결구 결합장치
CN109989844A (zh) * 2019-05-06 2019-07-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气泡收集和导出孔的缸盖堵塞
US11248567B2 (en) * 2020-02-04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Intake structure of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nipple to intake structure
CN114352826A (zh) * 2021-12-03 2022-04-1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胶管扣压组件和液压胶管总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07Y1 (ko) * 2009-10-28 2012-05-09 조구호 점적 재배용 일체형 티이자 호스 연결장치
CN102003589A (zh) * 2010-11-25 2011-04-06 广州高澜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发电的工业橡胶软管总成接头
KR101653251B1 (ko) 2016-01-29 2016-09-01 박진복 호스 연결구 결합장치
CN109989844A (zh) * 2019-05-06 2019-07-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气泡收集和导出孔的缸盖堵塞
US11248567B2 (en) * 2020-02-04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Intake structure of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nipple to intake structure
CN114352826A (zh) * 2021-12-03 2022-04-1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胶管扣压组件和液压胶管总成
CN114352826B (zh) * 2021-12-03 2023-03-0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胶管扣压组件和液压胶管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042U (ko)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US10220498B2 (en) Method for inserting a hose coupling into a hose
JP2010506115A (ja) ホース接続具
CN110388311A (zh) 一种自维护滚珠式蠕动泵
JP2004291072A (ja) 配管の端部の加工方法及びフランジ付配管継手の製造方法
KR101793985B1 (ko) 관 이음쇠 압착공구
KR100938438B1 (ko)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JPH0533891A (ja) 管継手
CN207378018U (zh) 储能助力器弹簧
KR20120015192A (ko)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KR101879540B1 (ko) 배속체인 분리기
KR200436811Y1 (ko) 관 연결용 압착공구
KR101077144B1 (ko) 로드 안테나의 스프링 고정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0659150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149941Y1 (ko) 탈심 장치
KR100367507B1 (ko) 경사지관 가공장치의 가압홀딩장치
CN209382937U (zh) 一种口红夹送旋壳机的夹紧装置
CN101238319A (zh) 两个管之间的联接
CN218940035U (zh) 一种能快捷连接的搭火线夹
JP5382294B2 (ja) ホース用継手金具のカシメ装置
CN209823335U (zh) 一种通用软管接头
KR101026883B1 (ko) 휠 너트 렌치
KR200461914Y1 (ko)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KR200332798Y1 (ko) 튜브 확관툴
US10320139B2 (en) Cable connector attach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