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14Y1 -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14Y1
KR200461914Y1 KR2020100008904U KR20100008904U KR200461914Y1 KR 200461914 Y1 KR200461914 Y1 KR 200461914Y1 KR 2020100008904 U KR2020100008904 U KR 2020100008904U KR 20100008904 U KR20100008904 U KR 20100008904U KR 200461914 Y1 KR200461914 Y1 KR 200461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stopper
pipe
line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53U (ko
Inventor
김용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1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0Stops f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2Equipment for indicating where to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절단 또는 절곡작업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줄 수 있게 됨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효율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토퍼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21)이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 일단부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성되며, 내통(2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의 수축 또는 확장 유동이 이루어지는 작동구(30)와; 상기 외통(10)의 일측에 연결 구성된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A STOPPER STRUCTURE FOR PIPE FIXING}
본 고안은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절단 또는 절곡작업시 일측에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파이프의 경우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거나 또는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파이프의 절단을 위해서 종래에는 커터를 파이프 외경 주위로 조금씩 조여가며 회전시켜 절단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파이프가 커터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한손으로 파이프를 잡아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파이프의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손으로 파이프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며, 또한 길이가 짧은 파이프의 경우 커터로 인해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절곡 또는 절단 작업시 파이프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스토퍼 공구를 제공함으로서 작업 안전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 일단부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성되며, 내통의 직선 이동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의 수축 또는 확장 유동이 이루어지는 작동구와; 상기 외통의 일측에 연결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고정용 스토퍼는, 파이프의 절단 또는 절곡작업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줄 수 있게 됨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효율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내통을 돌려주면 작동구가 조여지면서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되어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스토퍼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토퍼에 파이프가 끼워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파이프 압착전 상태도.
3b는 파이프 압착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파이프 압착전 상태도.
4b는 파이프 압착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파이프 압착전 상태도.
6b는 파이프 압착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외통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7a는 파이프 압착전 작동구 상태도.
7b는 파이프 압착시 작동구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공구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통(10)과 내통(20)이 각가 내주면과 외주면에 암나사산(11)과 숫나사산(21)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호간에 내부에서 나사치합이 이루어진 결합구조를 이루며, 내부에는 내통(20)의 직선 이동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수축 또는 확장 유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작동구(30)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각각의 작동구(30)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판스프링(31)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에 연결 구비되어져 있어 내통(20)의 눌림 작용에 의해 작동구(30)의 수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외통(10)에는 봉 형태의 손잡이(40)가 결합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내통(20)의 일단부에는 판스프링(31)와 대응되는 부위에 도 5의 응용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롤러(32)를 구성시킴으로서 상호간 접촉에 따른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2'는 롤러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스토퍼 공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이 이루어질 파이프(p)를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손으로는 손잡이(4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내통(20)을 돌려주게 되면 내통(20)이 외통(10) 내부로 서서히 인입되어지면서 작동구(30)가 수축 동작되어져 파이프(p)를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나사치합 작용에 의해 내통(20)이 점차 이동되어지면서 판스프링(31)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따라 판스프링(31)이 밀려지면서 도 3b에서와 같이 작동구(30)가 중심부로 이동되어지면서 파이프(p)를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롤러(32)가 구비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31)과의 직접접촉이 가이드롤러(32)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판스프링(31)의 변형 내지는 파손 발생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작동구(30)의 수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파이프(p)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부위를 커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커팅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파이프(p)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으로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구(30) 구성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작동구(30)는 스프링(33)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에 연결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통(20)과 대향되는 일측에는 가이드 경사면(3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통(20)의 일단부에는 안내 경사면(24)이 형성되며, 외통(10)의 내주면에는 작동구(30)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2)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구(30)의 방사방향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35)이 외통의 내주면에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이룬 상태에서 작업자가 파이프(p) 고정을 위해 내통(20)을 돌려주게 되면, 내통(20)이 외통(10) 내부를 따라 서서히 이동되어지면서 작동구(30)와의 상호간에 안내 경사면(24)과 가이드 경사면(34)의 작용에 의해 작동구(30)가 수축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어지게 되고 따라서 파이프(p)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축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구(30)는 안내레일(35)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방사방향 유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p) 절단작업이 완료되어 내통(20)을 다시 역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작동구(30)에 가해지던 작용력이 해제되어짐으로서 작동구(30)는 탄성스프링(33)의 탄성 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파이프(p)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고 본 고안의 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작업효율 및 안전성이 향상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외통 11 : 암나사산
12 : 걸림턱 20 : 내통
21 : 숫나사산 24 : 안내 경사면
30 : 작동구 31 : 판스프링
32 : 가이드롤러 33 : 탄성스프링
34 : 가이드 경사면 35 : 안내레일
40 : 손잡이

Claims (5)

  1.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21)이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 일단부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성되며, 내통(2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의 수축 또는 확장 유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각도를 이루는 판스프링(31)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에 연결 구비된 작동구(30)와;
    상기 외통(10)의 일측에 연결 구성된 손잡이(40)와;
    상기 판스프링(31)과 대응되는 내통(20)의 일단부에 구성된 가이드롤러(32);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2. 삭제
  3. 삭제
  4.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이 형성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산(21)이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 일단부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성되며, 내통(2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의 수축 또는 확장 유동이 이루어지는 작동구(30)와; 상기 외통(10)의 일측에 연결 구성된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동구(30)는 스프링(33)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에 연결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통(20)과 대향되는 일측에는 가이드 경사면(3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통(20)의 일단부에는 안내 경사면(24)이 형성되며, 외통(10)의 내주면에는 작동구(30)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0)의 방사방향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35)이 외통의 내주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KR2020100008904U 2010-08-26 2010-08-26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KR200461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04U KR200461914Y1 (ko) 2010-08-26 2010-08-26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04U KR200461914Y1 (ko) 2010-08-26 2010-08-26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53U KR20120001553U (ko) 2012-03-07
KR200461914Y1 true KR200461914Y1 (ko) 2012-08-13

Family

ID=4617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04U KR200461914Y1 (ko) 2010-08-26 2010-08-26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1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355U (ko) * 1985-06-03 1986-12-13
US20090308208A1 (en) * 2008-06-12 2009-12-17 Glen Russel Stevick Anti-Slip Pipe Threading Wren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355U (ko) * 1985-06-03 1986-12-13
US20090308208A1 (en) * 2008-06-12 2009-12-17 Glen Russel Stevick Anti-Slip Pipe Threading W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53U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133B1 (en) Expander for tubular elements
JP5705301B2 (ja) ケーブル外装のためのクランプ装置を備えたケーブルグランド
KR101196158B1 (ko) 파이프 배관용 스토퍼 그립 링
US9188261B2 (en) Safety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iping, an end-coupler for such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ut therefor
JP2008291886A (ja) 管継手
US8226127B2 (en) Clamp fitting for a pipe
JP2018112199A (ja) 雌型連結部材
WO2014142226A1 (ja) 管締結構造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200461914Y1 (ko) 파이프 고정용 스토퍼
KR101679255B1 (ko) 클램핑 장치
JP7049091B2 (ja) 締付け装置
JP2013144332A5 (ko)
JP7118641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KR101836922B1 (ko) 철근연결구
JP2011220373A (ja) パイプ構造における二重ロック装置
KR20080001042U (ko) 고압호스 연결구 및 압착장치
RU2015150028A (ru) Антивибрационная заглуш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труб и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указанной заглушки внутри трубы
KR20060077917A (ko)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TW201811469A (zh) 工具用夾頭、工具保持方法及工具卸除方法
JP5908797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JP3183335U (ja) カシメ用治具
KR20180087625A (ko) 분리형 주름관
US20180266603A1 (en) Quick-fit connector for pneumatic equipment
JP5799326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