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917A -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917A
KR20060077917A KR1020060053037A KR20060053037A KR20060077917A KR 20060077917 A KR20060077917 A KR 20060077917A KR 1020060053037 A KR1020060053037 A KR 1020060053037A KR 20060053037 A KR20060053037 A KR 20060053037A KR 20060077917 A KR20060077917 A KR 20060077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lip
flexible hose
connecto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7359B1 (ko
Inventor
심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06005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3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공작기계나 시설물 등의 전력선, 제어선, 공압호스 등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플렉시블호스의 양단부를 특정 개소에 연결하는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개소에 설치된 소켓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클립에는 플렉시블호스의 주름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이고, 외주면을 따라 클립체결홈이 빙둘러 형성되며, 클립체결홈을 따라 결합홈과 걸림홈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소켓과; 상기 클립체결홈에 끼워지는 일측 개구형의 고리형상이고, 내측에 상기의 결합홈에 끼워져 내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개구부측의 양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클립;으로 구성된 플렉시블로 호스용 컨넥터가 제공된다.
컨넥터, 플렉시블 호스, 소켓, 클립

Description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A connector for a flexible hos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으로 플렉시블호스를 연결하는 상태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호스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호스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체결홈 2 : 결합홈
3 : 걸림홈 4 : 소켓
5 : 결합돌기 6 : 걸림돌기
7 : 클립 8 : 걸림턱
9 : 고정홈 10 : 손잡이
11 : 고정돌기 12 : 플렉시블호스
본 발명은 각종 공작기계나 시설물 등의 전력선, 제어선, 공압호스 등을 삽입하여 보호하는 플렉시블호스의 양단부를 특정 개소에 연결하는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개소에 설치된 소켓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클립에는 플렉시블호스의 주름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작기계나 자동화 기기에는 본체와 작동체를 연결하는 전선과 제어선 및 유공압 호스가 연결되고, 각종 시설물에서도 건물과 건물 또는 기계와 기계 등의 특정 개소를 연결하는 각종 전선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각종 산업기계나 각종 시설물 등에서 전선이나 제어선 또는 유공압호스 등이 꼬이거나 꺽이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호스에 삽입하여 배선하고 있다.
상기에서 플렉시블호스의 양단부는 특정개소에 각각 연결되고, 이에는 컨넥터가 사용된다. 종래의 컨넥터는 특정개소에 체결되는 소켓과, 플렉시블호스의 외측에 삽입되어 소켓의 내부로 삽입되는 압착링과, 압착링을 소켓에 가압하여 플렉시블호스를 조정하는 나사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구는 나사관을 이용함으로써 다수회 회전시키는 불편함이 있고, 압착관과 나사관에 의해 플렉시블호스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호스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의 제공에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결합홈이 형성된 소켓과, 결합홈에 삽입되어 플렉시블호스의 주름홈에 삽입되어 플렉시블호스를 고정시키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클립으로 구성된 컨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컨넥터는 일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이고, 외주면을 따라 클립체결홈(1)이 빙둘러 형성되며, 클립체결홈(1)을 따라 결합홈(2)과 걸림홈(3)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소켓(4)과; 상기 클립체결홈(1)에 끼워지는 일측 개구형의 고리형상이고, 내측에 상기의 결합홈(2)에 끼워져 내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진 결합돌기(5)가 형성되며, 개구부측의 양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에 체결되는 클립(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소켓(4)에 형성된 걸림홈(3)의 일측에는 걸림턱(8)이 형성됨으로써, 클립(7)이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걸림돌기(6)가 걸림턱(8)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소켓(4)의 상부에는 고정홈(9)이 형성되고, 클립(7)의 상부에는 손잡이(1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10)가 고정홈(9)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고, 손잡이(10)의 양측에는 고정돌기(11)가 형성되어 고정홈(9)에 압입되어 고 정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12)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데, 이는 클립(7)의 결합돌기(5)가 플렉시블호스(12)의 주름홈에 삽입되는 구조에 의하게 된다.
소켓(4)은 연결하고자 하는 특정개소에 수나사로써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플렉시블호스(12)는 소켓(4)의 내부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며, 클립(7)을 소켓(4)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즉, 플렉시블호스(12)를 소켓(4)에 삽입하고, 클립(7)을 소켓(4)의 클립체결홈(1)에 끼운다. 클립(7)은 일측이 개구된 고리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개구부의 크기는 소켓(4)의 클립체결홈(1)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 쉽게 삽입되거나 빠지지 않게 되어,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야 삽입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클립(7)을 가압하여 끼우게 되면, 개구부가 소켓(4)을 통과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는 완전히 체결된 것이 아니고, 클립(7)의 개구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가 소켓(4)의 걸림홈(3)에 걸쳐진 가체결 상태이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더 가압하여 끼우면, 도 4와 같이 완전 체결된다. 즉, 클립(7)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5)는 소켓(4)의 결합홈(2)에 각각 대응되어 삽입되고, 소켓(4)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플렉시블호스(12)의 주름홈에까지 삽입된다. 이 때 클립(7)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6)는 걸림홈(3)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8)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소켓(4)에는 클립체결홈(1)이 형성되어 있어, 클립(7)이 체결되더라도 외부 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합홈(2)과 결합돌기(5)는 동일한 위치와 갯수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클립(7)에는 손잡이(10)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 사용되기도 하고, 특히 체결 후 고정하는데 더욱 더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 4와 같이 결합시킨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접어서 소켓(4)에 형성된 고정홈(9)에 압입하게 되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실수로 빠지는 등의 사고 방지와, 견고히 압입되어 있어 반복되는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서 빠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0)가 고정홈(9)에 견고히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의 양측에 고정돌기(1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플렉시블호스(12)의 고정방법은 상기와 같이 미리 플렉시블호스(12)를 소켓(4)에 끼운 후 클립(7)으로 조정할 수도 있고, 클립(7)을 먼저 소켓(4)에 체결시킨 후 나중에 플렉시블호스(12)을 소켓(4)의 내부로 밀어 넣어 체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결합돌기(5)가 플렉시블하여야 하므로 클립(7)의 재질은 합성수지 등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렉시블호스(12)가 삽입되면 결합돌기(5)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난 후 다시 본원력으로 결합돌기(5)는 플렉시블호스(12)의 주름홈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전선이나 제어선 및 각종 유공압호스 등을 교체하거나 재설비 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호스(12)를 탈거할 경우가 있게 되는데, 이 경우는 손잡이(10)를 고정홈(9)에서 탈거한 후, 손잡이(10)를 위로 당겨 올리면, 도 4와 같은 상테에서 도 3 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 때는 클립(7)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6)가 소켓(4)의 걸림홈(3)에 걸려 완전히 이탈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호스(12)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음의 체결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홈(2)이 형성된 소켓(4)과, 상기 결합홈(2)에 끼워져 플렉시블호스(12)의 주름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5)가 형성된 클립(7)에 의한 플렉시블호스(12)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플렉시블호스(12)의 손상이 최소화되며, 특히 탈거시에 클립(7)과 소켓(4)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함과 다시 체결시의 용이함이 있게 된다.

Claims (3)

  1. 일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관체이고, 외주면을 따라 클립체결홈(1)이 빙둘러 형성되며, 클립체결홈(1)을 따라 결합홈(2)과 걸림홈(3)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소켓(4)과; 상기 클립체결홈(1)에 끼워지는 일측 개구형의 고리형상이고, 내측에 상기의 결합홈(2)에 끼워져 내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진 결합돌기(5)가 형성되며, 개구부측의 양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에 체결되는 클립(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림홈(3)의 일측에는 걸림턱(8)이 형성되어 클립(7)이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걸림돌기(6)가 걸림턱(8)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소켓(4)의 상부에는 고정홈(9)이 형성되고, 클립(7)의 상부에는 손잡이(1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10)가 고정홈(9)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20060053037A 2006-06-13 2006-06-13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072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37A KR100727359B1 (ko) 2006-06-13 2006-06-13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37A KR100727359B1 (ko) 2006-06-13 2006-06-13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17A true KR20060077917A (ko) 2006-07-05
KR100727359B1 KR100727359B1 (ko) 2007-06-13

Family

ID=3716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37A KR100727359B1 (ko) 2006-06-13 2006-06-13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3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10B1 (ko) * 2008-07-29 2010-05-28 주식회사 피아이피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CN110195803A (zh) * 2019-07-08 2019-09-03 福州和湛鑫贸易有限公司 一种u型夹子软管接头
JP2019190626A (ja)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イノアック住環境 継手部材及び管接続構造
JP2020159412A (ja) * 2019-03-26 2020-10-01 株式会社イノアック住環境 雌側配管継手、配管継手及び環状カバ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06B1 (ko) * 2014-05-08 2016-03-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443A (en) 1992-09-15 1994-01-04 Itt Corporation Sliding collar quick connect
JPH102477A (ja) 1996-06-17 1998-01-06 Inax Corp 配管接続具セット
KR200370535Y1 (ko) 2004-09-17 2004-12-14 백완기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KR200373716Y1 (ko) 2004-09-17 2005-01-21 백완기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10B1 (ko) * 2008-07-29 2010-05-28 주식회사 피아이피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JP2019190626A (ja)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イノアック住環境 継手部材及び管接続構造
JP2020159412A (ja) * 2019-03-26 2020-10-01 株式会社イノアック住環境 雌側配管継手、配管継手及び環状カバー
CN110195803A (zh) * 2019-07-08 2019-09-03 福州和湛鑫贸易有限公司 一种u型夹子软管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359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455A (en)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US507207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liquidtight conduit
KR10072735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1052730B1 (ko)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KR200260578Y1 (ko) 파이프 커플링
CA2285397C (en) Device for clamping the cable in electrical outlets or plugs
KR200438004Y1 (ko) 케이블 컨넥터
US8092240B2 (en) Watertight electric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wo conjugated connection members
KR200428931Y1 (ko) 전선관 커넥터
CA2949715A1 (en) Grommet for a cable connector and a strain relief cable fitting having an insert
KR20190108157A (ko)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EP1312847A1 (en) Sleeve of a gland assembly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20180124662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2008101666A (ja) 継手及びホース締付固定方法
JP2004173453A (ja) 保護管連結装置、配線・配管材保護管、連結具及び保護管固定具
KR101122113B1 (ko) 전선관 커플링
EP2353211B1 (en) Cable joint protector
KR20080002407U (ko) 호스연결구용 호스빠짐 방지구조
KR100432471B1 (ko) 전기배선박스용 배선관 콘넥터
KR102042072B1 (ko) 호스 체결용 니플 구조체
KR100607034B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KR200332734Y1 (ko) 전선보호관의 연결구
KR200424189Y1 (ko) 플렉시블 관 연결용 코넥터
FI128310B (en) Device to reduce cable 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