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535Y1 -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535Y1
KR200370535Y1 KR20-2004-0026757U KR20040026757U KR200370535Y1 KR 200370535 Y1 KR200370535 Y1 KR 200370535Y1 KR 20040026757 U KR20040026757 U KR 20040026757U KR 200370535 Y1 KR200370535 Y1 KR 20037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le
pin clip
double wal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완기
안순영
Original Assignee
백완기
안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완기, 안순영 filed Critical 백완기
Priority to KR20-2004-002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관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과 록킹공을 각각 통공시키되 중앙에 결속공을 통공하고 그 양측 한 쌍의 록킹공을 각각 대향되게 통공하며, 탄발편의 저면에 결속편이 형성되고 탄발편의 양측에 록킹바가 형성된 핀클립을 형성하며, 접속관에는 선단부에 패킹이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결속공과 록킹공에 핀클립을 장착시키되 억류편을 결속공에 삽입시키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공에는 록킹바를 삽입시키되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의 요부로 통과하도록 삽입시켜 줌으로서, 결속공과 록킹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속편 및 록킹바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억류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연결구의 결속공 및 록킹공에 장착되어지는 핀클립을 탄발링의 저면과 양측 단부에 결속편과 록킹바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A Pin Clip Type Connector Of PVC Or PE Double Wall Corrugated Pipe}
본 고안은 분리된 합성수지이중벽관(PVC Or PE Double Wall Corrugated Pipe)또는 주름관(이하 '합성수지 이중벽관' 이라 통칭함)을 연결구와 핀클립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 주는 개선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관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과 록킹공을 각각 통공시키되 중앙에 결속공을 통공하고 그 양측 한 쌍의 록킹공을 각각 대향되게 통공하며, 탄발편의 저면에 결속편이 형성되고 탄발편의 양측에 록킹바가 형성된 핀클립을 형성하며, 접속관에는 선단부에 패킹이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결속공과 록킹공에 핀클립을 장착시키되 억류편을 결속공에 삽입시키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공에는 록킹바를 삽입시키되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의 요부로 통과하도록 삽입시켜 줌으로서, 결속공과 록킹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속편 및 록킹바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억류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콜게이트관(합성수지이중벽관)이나 나선형관과 같이 외주 면에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단순히 파이프를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연결시킬 양측 파이프의 요홈에 링형상의 패킹을 결합시킨 합성수지이중벽관을 일정한 길이로 유지되는 관의 양측에서 억지 삽입에 의해 결합시켜서 된 것이나, 이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결합시킨 초기에는 밀폐능력이 다소 유지되지만 장착기간이 길어질수록 패킹의 외면이 산화되고 굳어지면서 밀폐능력이 점진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밀폐능력과 록킹(Locking)능력이 떨어져 유체가 누출될 뿐만 아니라 결합상태가 해제되어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90841호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는 내주면의 중앙에 단턱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된 접속관의 외주면에 장착공이 통공된 장착편을 이열로 유지시키면서 지그재그로 형성하여, 접속관의 양측에서 패킹과 링형 콜게이트관(PVC Or PE 이중벽관)을 각각 삽입하고, 각 링형 콜게이트관에는 장착공이 통공된 장착편이 외주면에 고정된 한 쌍씩의 반원분할클립을 대향되게 접속시킨 상태에서 각 반원분할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착편과 접속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착편을 통상의 볼트(조임 로드) 및 너트로 체결하여 결속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패킹과 링형 콜게이트관(PVC Or PE 이중벽관)이 양측에서 삽입되는 접속관의 외주면에 장착공이 통공된 장착편을 이열로 유지시키면서 고정(부착)시키고 반원분할클립의 외주면에도 장착공이 통공된 장착편을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접속관과 반원분할클립의 외주면에 장착편을 각 고정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용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각 반원분할클립의 외주면과 접속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향되는 각 장착편들을 통상의 볼트(조임 로드) 및 너트들을 이용하여 체결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치 못하여 조립 및 해체시간이 많이 소용되어 작업(조립 및 해체)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15946호 "록킹바타입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구"를 제안하였다.
이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거나 절곡(L자)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된 접속관의 단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조의 록킹공을 대향되게 통공하고, 대향되는 록킹공에 록킹바와 바홀더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접속관에는 선단부에 패킹이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록킹공에는 록킹바를 삽입시키되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의 요부로 통과하도록 삽입시키며, 일측의 록킹공으로 노출되는 록킹바의 선단에 바홀더를 체결시켜 줌으로서, 록킹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록킹바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이 억류되어지면서 접속관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접속관의 단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조의 록킹공에 록킹바를 삽입하여 접속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록킹바의 단부에 바홀더를 체결하여 주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하여 작업성(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록킹바와 바홀더를 분리하여 생산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용이치 못하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하는 도중에 쉽게 망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관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과 록킹공을 각각 통공시키되 중앙에 결속공을 통공하고 그 양측 한 쌍의 록킹공을 각각 대향되게 통공하며, 탄발편의 저면에 결속편이 형성되고 탄발편의 양측에 록킹바가 형성된 핀클립을 형성하며, 접속관에는 선단부에 패킹이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결속공과 록킹공에 핀클립을 장착시키되 억류편을 결속공에 삽입시키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공에는 록킹바를 삽입시키되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의 요부로 통과하도록 삽입시켜 줌으로서, 결속공과 록킹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속편 및 록킹바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억류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의 결속공 및 록킹공에 장착되어지는 핀클립을 탄발링의 저면과 양측 단부에 결속편과 록킹바를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도 줄일 수 있도록 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내주면의 중앙에 중앙돌테(12)가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된 연결구(11)의 양측에 오링(5)이 선단의 요부(2)에 결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을 삽입하여 장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11)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13)과 록킹공(14)을 통공하되, 중앙에 위치하는 결속공(13)의 양측에 한 쌍씩의 록킹공(14)을 대향되게 통공한 것과,
연결구(11)의 외측에서 중앙의 결속공(13)과 양측 한 쌍의 록킹공(14)에 장착되는 핀클립(20)은 만곡형으로 탄발링(21)의 내면과 외면에 억류편(26)과 파지부(22)를 형성하고 양측의 단부에는 록킹바(24)를 각각 형성하며,
패킹(18)이 선단에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을 접속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속공(13)과 록킹공(14)에 핀클립(20)을 체결시켜, 결속공(13)에 삽입되는 결속편(23)과 록킹공(14)을 통과하여 장착되는 록킹바(24)가 합성수지이중벽관(1)의 요부(3)에 삽입 또는 통과하도록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클립형연결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합성수지이중벽관 3: 돌부 4: 요부
5; 오링 10: 핀클립형연결장치 11: 연결구
12: 중앙돌테 13: 결속공 14: 록킹공
20: 핀클립 21: 탄발링 22: 파지부
23: 결속편 24: 록킹바 25: 록킹편
26: 억류편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통상의 합성수지이중벽관(1)이 삽입되어지는 하나의 연결구(11)와 그 연결구에 장착되어지는 한 쌍의 핀클립(20)으로 형성하였다.
연결구(11)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내주면의 중앙에 중앙돌테(12)를 형성하였고, 양측의 단부에는 결속공(13)과 록킹공(14)을 각각 통공하되, 결속공(13)을 중앙에 통공하고 그 동일선상의 양측에 한 쌍의 록킹공(14)을 이격시켜 대향되게 각각 통공하였다.
연결구(11)의 양측 동일선상에 통공된 결속공(13)과 록킹공(14)에 장착되는 핀클립(20)은, 만곡형으로 형성된 탄발링(21)의 상면과 저면에 파지부(22)와 결속편(23)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탄발링(21)의 양측 단부에는 록킹바(24)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다.
특히 결속편(23)의 양 측면에는 억류편(26)을 형성하였고, 각 록킹바(24)의 하단 외면에는 록킹편(25)을 형성하였으며, 핀클립(20)의 록킹바(24)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15도 외향되게 형성하고 연결구(11)의 록킹공(14)과 핀클립(20)의 록킹바(24)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의 조립에 의한 연결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핀클립형연결장치(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연결구(11)의 양측에 합성수지이중벽관(1)을 각각 삽입시켜 주게 되는데, 합성수지이중벽관(1)에 형성된 선단의 요부(2)에 오링(5)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합성수지이중벽관(1)의 그 선단부를 접속관에 삽입 장전시켜준다.
연결구(11)의 양측에서 합성수지이중벽관(1)을 각각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구(11)의 양측 단부에 통공된 결속공(13)과 록킹공(14)에는 핀클립(20)을 장착시켜 주게 되는데, 핀클립(20)에 대향되게 형성된 록킹바(24)의 선단을 결속공(13)의 바로 양측에 위치하는 록킹공(14)에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탄발링(21)을 하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양측의 록킹바(24)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록킹공(14)에 삽입되어 통과하게 되고, 탄발링(21)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편(26)은 중앙의 결속공(13)에 삽입되어진다.
결속편(26)이 결속공(13)에 삽입되어지면 결속편(26)의 양 측면에 형성된 억류편(26)이 결속공(13)의 가장자리에 걸려 억류되어지고, 동일선상의 록킹공(14)을 통과하여 삽입되어지는 록킹바(24)는 하단 외면에 형성된 록킹편(25)이 하측의 록킹공(14)의 단부에 결려 억류되어지며, 따라서 연결구(11)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핀클립(20)은 외측으로 탈출(배출)되지 않고 견실히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핀클립(20)의 록킹바(24)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15도 외향되게 형성하여 연결구(11)의 록킹공(14)과 핀클립(20)의 록킹바(24)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일직선을 유지하게 하므로서 록킹바(24)를 록킹공(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 장착시킬 수 있고, 록빙바(24)가 록킹공(14)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는 록킹바(24)의 탄발력에 의해 외부로 탈출(배출)이 억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관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과 록킹공을 각각 통공시키되 중앙에 결속공을 통공하고 그 양측 한 쌍의 록킹공을 각각 대향되게 통공하며, 탄발편의 저면에 결속편이 형성되고 탄발편의 양측에 록킹바가 형성된 핀클립을 형성하며, 접속관에는 선단부에 패킹이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결속공과 록킹공에 핀클립을 장착시키되 억류편을 결속공에 삽입시키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공에는 록킹바를 삽입시키되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의 요부로 통과하도록 삽입시켜 줌으로서, 결속공과 록킹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속편 및 록킹바에 의해 합성수지이중벽관(또는 주름관)을 억류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구의 결속공 및 록킹공에 장착되어지는 핀클립을 탄발링의 저면과 양측 단부에 결속편과 록킹바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주면의 중앙에 중앙돌테(12)가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된 연결구(11)의 양측에 오링(5)이 선단의 요부(2)에 결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을 삽입하여 장착시키는 것에 있어서,
    연결구(11)의 양측 단부에 결속공(13)과 록킹공(14)을 통공하되, 중앙에 위치하는 결속공(13)의 양측에 한 쌍씩의 록킹공(15)을 대향되게 통공한 것과,
    연결구(11)의 외측에서 중앙의 결속공(13)과 양측 한 쌍의 록킹공(15)에 장착되는 핀클립(20)은 만곡형으로 탄발링(21)의 내면과 외면에 억류편(26)과 파지부(22)를 형성하고 양측의 단부에는 록킹바(24)를 각각 형성하며,
    패킹(18)이 선단에 장착된 합성수지이중벽관(1) 또는 주름관(1-1)을 접속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속공(13)과 록킹공(14)에 핀클립(20)을 체결시켜, 결속공(13)에 삽입되는 결속편(23)과 록킹공(14)을 통과하여 장착되는 록킹바(24)가 합성수지이중벽관(1)의 요부(3)에 삽입 또는 통과하도록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핀클립(20)은 결속편(23)의 양 측면에 억류편(26)을 형성하고, 각 록킹바(24)의 하단 외면에 록킹편(25)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핀클립(20)의 록킹바(24)를 수직선을 기준으로 0도ㅁ20도 각도로 형성되고, 연결구(11)의 록킹공(14)과 핀클립(20)의 록킹바(24)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일직선으로 각도를 유지 시킬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KR20-2004-0026757U 2004-09-17 2004-09-17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KR200370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757U KR200370535Y1 (ko) 2004-09-17 2004-09-17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757U KR200370535Y1 (ko) 2004-09-17 2004-09-17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535Y1 true KR200370535Y1 (ko) 2004-12-14

Family

ID=4944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757U KR200370535Y1 (ko) 2004-09-17 2004-09-17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5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59B1 (ko) 2006-06-13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1257766B1 (ko) * 2011-03-04 2013-04-24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59B1 (ko) 2006-06-13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101257766B1 (ko) * 2011-03-04 2013-04-24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9179C (en) Water-proof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roof rack
US20060239796A1 (en) Cable tie with fir-tree type fastener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200370535Y1 (ko)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US20060232067A1 (en) Pipe clamping device
CA2080861A1 (en) Pipe restraining collar member
US4518293A (en) Tube connector
CN105637274B (zh) 管接头
KR200368578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0369594Y1 (ko) 내향캡 체결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KR200369151Y1 (ko) 외향캡 체결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KR200364326Y1 (ko) 록킹 바 타입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US10288202B2 (en) Installation between valve connector and pipe of ice maker
CN219994637U (zh) 一种蹲便器进水接头
KR100909878B1 (ko) 파이프연결 어셈블리
CN215674187U (zh) 透水管的快速接头以及透水管与快速接头的组装构造
KR200382842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구
KR200379213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구
KR200374246Y1 (ko) 합성수지관용 커플링 연결구
CN218236474U (zh) 一种管路连接器
CN210510619U (zh) 一种带防脱式连接头的管材
KR20010067996A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