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339A - 튜브 펌프 - Google Patents

튜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339A
KR20210098339A KR1020210008075A KR20210008075A KR20210098339A KR 20210098339 A KR20210098339 A KR 20210098339A KR 1020210008075 A KR1020210008075 A KR 1020210008075A KR 20210008075 A KR20210008075 A KR 20210008075A KR 20210098339 A KR20210098339 A KR 2021009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ir
axis
tub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09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81Special features systems, control,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1/00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1/00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 F04B11/005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two or more pumping pistons
    • F04B11/0058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two or more pumping pistons with piston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1/00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 F04B11/0091Equalisation of pulses, e.g. by use of air vessels; Counteracting cavitation using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 e.g. throttle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F04B43/0072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of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61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the rollers being placed at the outside of the tubular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2Arrangements for enabling ready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8Cylinder or housing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축선(X1)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튜브(200)가 배치되는 내주면(82a)을 갖고, 축선(X1)을 따른 일 단부 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용부(82)와, 수용부(82)에 수용됨과 함께 튜브(200)를 폐색한 상태에서 축선(X1)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부(10, 20)와, 한 쌍의 롤러부(10, 20) 각각을 축선(X1)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와, 한 쌍의 롤러부(10, 20)를 덮고, 또한 튜브(200)를 내주면(82a)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OA)을 형성하도록 수용부(82)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84)를 구비하는 튜브 펌프(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펌프{TUBE PUMP}
본 발명은 튜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요성을 갖는 튜브를 복수의 롤러에 의해 간헐적으로 눌러 찌부러뜨림으로써 튜브 내의 액체를 압송하는 튜브 펌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튜브 펌프는 간헐적으로 액체를 압송하므로, 압송되는 액체에 맥동(유량의 증감이 반복되는 상태)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에는 롤러에 의해 찌부러진 튜브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때에, 하류 측의 유로로부터 튜브 펌프 측으로 액체가 인입되는 현상에 의해 맥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맥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한 쌍의 롤러부의 한쪽이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위치를 통과할 때에 한 쌍의 롤러부와의 접촉에 의해 폐색된 튜브 내의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튜브 내의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튜브 펌프 측으로 액체가 인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8-4448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튜브 펌프는 튜브와 접촉하면서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모두가 각각 독립적으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롤러부에 대한 제2 롤러부의 축선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 위치가 변동하고,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의 회전 각도가 좁아지는 상태나 넓어지는 상태가 교대로 발생한다.
그리고,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모두가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자가 잘못하여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근방을 손으로 접촉하게 되면,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조작자가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근방에 손이 접촉할 수 없도록 덮어버리면,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튜브에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부 각각을 축선 주위로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조작자의 손가락이 한 쌍의 롤러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작자가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튜브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는 축선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튜브가 배치되는 내주면을 갖고, 상기 축선을 따른 일 단부 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튜브를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부와, 한 쌍의 상기 롤러부 각각을 상기 축선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튜브를 상기 내주면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한 쌍의 롤러부와, 한 쌍의 롤러부 각각을 축선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를 갖기 때문에, 수용부에 의해 축선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보호 지지된 튜브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부를 축선 주위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튜브를 내주면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을 형성하도록 수용부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한 쌍의 롤러부 사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개구 영역으로부터 튜브를 수용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삽입 가능하므로, 조작자가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와, 한 쌍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됨과 함께 한 쌍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와, 양 단부가 상기 롤러 지지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 쌍의 롤러 샤프트를 갖고, 상기 커버 부재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샤프트를 덮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구성의 튜브 펌프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한 쌍의 롤러 샤프트를 덮도록 수용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롤러 샤프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가 축선 주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근접 혹은 접촉했다 하더라도, 한 쌍의 롤러는 커버 부재에 의해 덮인 영역에서 근접 혹은 접촉한다. 그로 인해, 한 쌍의 롤러의 근접 혹은 접촉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한 쌍의 상기 롤러부의 상기 축선 주위의 회전 위치가 시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구성의 튜브 펌프에 의하면, 커버 부재를 배치하더라도 한 쌍의 롤러부의 축선 주위의 회전 위치가 시인 가능하므로, 한 쌍의 롤러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나, 한 쌍의 롤러부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을 조작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에는 예를 들어 개구 영역의 개구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한 쌍의 상기 롤러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전체 영역을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격된 개방 상태를 전환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개방 상태인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구동부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구성의 튜브 펌프에 의하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가 오목부의 전체 영역을 덮기 때문에, 조작자가 잘못하여 한 쌍의 롤러부 근방을 손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나, 그에 의해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에 한 쌍의 구동부가 정지하므로, 조작자가 한 쌍의 롤러부 근방을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롤러부가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이 한 쌍의 롤러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튜브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브 내의 유체의 토출을 행하도록 한 쌍의 상기 롤러부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제어 모드와, 한 쌍의 상기 롤러부가 상기 튜브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롤러부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제2 제어 모드를 실행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가 제2 제어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부 모두가 튜브와 접촉하지 않는 퇴피(退避)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부를 퇴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 중인 튜브와 다른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에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부 각각을 축선 주위로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조작자의 손가락이 한 쌍의 롤러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작자가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튜브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튜브 펌프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튜브 펌프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제1 구동부가 제1 롤러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제2 구동부가 제2 롤러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덮개부를 개방 상태로 한 튜브 펌프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튜브 펌프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덮개부를 폐쇄 상태로 한 튜브 펌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튜브 펌프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덮개부를 개방 상태로 한 변형예에 따른 튜브 펌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덮개부를 폐쇄 상태로 한 변형예에 따른 튜브 펌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연동 펌프; peristaltic pump)(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튜브 펌프(1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튜브 펌프(100)의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커버 부재(84) 및 덮개부(8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축선(X1)(제1 축선) 주위로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유입측(200a)으로부터 유입되는 튜브(200) 내의 유체를 유출측(200b)으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펌프(100)에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수용하는 수용부(82)의 내주면(82a)을 따라 축선(X1)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튜브(200)가 배치된다. 내주면(82a)은 축선(X1)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튜브(200)가 배치되는 면이다. 수용부(82)는 축선(X1)을 따른 일 단부 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수용하는 오목부(82b)를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82)에 수용되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는 튜브(200)에 접촉하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도 1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축선(X1) 주위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튜브(200)를 폐색한 상태에서 축선(X1) 주위로 회전하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와, 축선(X1) 상에 배치됨과 함께 제1 롤러부(10)에 연결되는 구동축(30)과, 제2 롤러부(20)에 연결되는 구동통(40)과, 구동축(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부(50)와, 제2 구동부(60)와, 제2 구동부(60)의 구동력을 구동통(40)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70)를 구비한다.
제1 롤러부(10)는 튜브(200)와 접촉하면서 축선(X1)과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제1 롤러(11)와, 축선(X1) 주위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축(30)에 연결된 제1 롤러 지지 부재(12)와, 양 단부가 제1 롤러 지지 부재(12)에 지지됨과 함께 제1 롤러(1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제1 롤러 샤프트(13)를 갖는다.
제1 구동부(50)는 제1 롤러부(10)를 축선(X1) 주위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롤러 지지 부재(12)는 제1 구동부(50)에 연결됨과 함께 제1 롤러(11)를 지지하면서 축선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롤러부(20)는 튜브(200)와 접촉하면서 축선(X1)과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제2 롤러(21)와, 축선(X1) 주위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통(40)에 연결된 제2 롤러 지지 부재(22)와, 양 단부가 제2 롤러 지지 부재(22)에 지지됨과 함께 제2 롤러(2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제2 롤러 샤프트(23)를 갖는다.
제2 구동부(60)는 제2 롤러부(20)를 축선(X1) 주위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 롤러 지지 부재(22)는 제2 구동부(60)에 연결됨과 함께 제2 롤러(21)를 지지하면서 축선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는 케이싱(80)(수용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80)의 내부에는 전달 기구(70)를 수용하기 위한 기어 수용부(81)와,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80)의 상부에는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90)에는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통 구멍(91)과 축선(X2)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통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부(50)는 지지 부재(90)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91)에 제1 구동축(51)을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 부재(90)에 체결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구동부(60)는 지지 부재(90)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92)에 제2 구동축(61)을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 부재(90)에 체결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인 지지 부재(90)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제1 구동부(50)가 제1 롤러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제1 구동부(50)의 구동력을 제1 롤러부(10)에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는 축선(X1) 상에 배치되어 구동축(30)에 연결되는 제1 구동축(51)을 갖는다. 제1 구동축(51)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51a)을 삽입한 상태에서 구동축(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핀(51a)에 의해 구동축(30)이 제1 구동축(51)에 대하여 축선(X1)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구동부(50)가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주위로 회전시키면, 제1 구동축(51)의 구동력이 구동축(30)에 전달되어 구동축(30)이 축선(X1) 주위로 회전한다.
제1 구동부(50)는 제1 구동축(51)과, 제1 전동 모터(52)와, 제1 전동 모터(52)가 회전시키는 회전축(도시 생략)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1 구동축(51)에 전달하는 제1 감속기(53)를 갖는다. 제1 구동부(50)는 제1 전동 모터(52)의 구동력을 제1 구동축(51)에 전달함으로써,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주위로 회전시킨다.
제1 구동축(51)에는 제1 구동축(51)과 함께 축선(X1) 주위로 회전하는 위치 검출용 부재(51b)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부재(51b)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연부에 축선(X1)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제1 롤러부(10)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슬릿(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용 부재(51b)의 외주연부의 상면과 하면을 끼워넣도록 위치 검출 센서(54)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54)는 상면측 및 하면측 중 한쪽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고, 상면측 및 하면측 중 다른 쪽에 수광 소자를 배치한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54)는 위치 검출용 부재(51b)의 축선(X1) 주위의 회전에 따라 슬릿에 의해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광이 통과하는 것을 수광 소자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제1 롤러부(10)가 축선(X1) 주위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95)(도 8 참조)에 송신하는 것이다.
구동축(30)은 그 하단부가 제1 구동축(51)에 연결된다. 구동축(30)은 외주면을 따라 삽입된 원통 형상의 제1 베어링 부재(31)와, 제1 베어링 부재(31)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2 베어링 부재(32)에 의해, 구동통(40)의 내주 측에 축선(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30)은 하단부 측의 외주면이 제1 베어링 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부의 외주면이 제2 베어링 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구동축(30)은 중심축이 축선(X1) 상에 보호 지지된 상태에서 축선(X1) 주위로 원활하게 회전한다.
구동축(30)의 선단 측에는 제1 롤러부(10)의 제1 롤러 지지 부재(12)가 축선(X1) 주위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구동부(50)가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제1 구동축(51)으로부터 구동축(30)을 통하여 제1 롤러부(10)에 전달된다.
이어서, 제2 구동부(60)가 제2 롤러부(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제2 구동부(60)의 구동력을 제2 롤러부(20)에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구조는 제2 롤러부(20)와, 구동통(40)과, 제2 구동부(60)와, 전달 기구(70)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하는 전달 기구(70)는 축선(X1)과 평행한 축선(X2)(제2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제1 기어부(71)와, 제1 기어부(71)로부터 제2 구동축(61)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2 기어부(72)를 갖는다. 전달 기구(70)는 제2 구동축(61)의 축선(X2) 주위의 구동력을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전달하여 구동통(40)을 축선(X1) 주위로 회전시킨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60)는 축선(X2) 상에 배치되는 제2 구동축(61)과, 제2 전동 모터(62)와, 제2 전동 모터(62)가 회전시키는 회전축(도시 생략)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2 구동축(61)에 전달하는 제2 감속기(63)를 갖는다. 제2 구동부(60)는 제2 전동 모터(62)의 구동력을 제2 구동축(61)에 전달함으로써, 제2 구동축(61)을 축선(X2) 주위로 회전시킨다.
제2 구동축(61)은 축선(X2) 주위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71)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제1 기어부(71)는 제2 구동축(61)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71a)를 체결하여 고정 나사(71a)의 선단을 제2 구동축(61)에 맞닿게 함으로써 제2 구동축(6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기어부(71)는 제2 구동축(61)에 연결되어 제2 구동축(61)과 함께 축선(X2) 주위로 회전한다.
제1 기어부(71)의 축선(X2) 주위에 형성된 제1 기어(7lb)는 제2 기어부(72)의 축선(X1) 주위에 형성된 제2 기어(72b)와 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기어부(71)의 축선(X2) 주위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은 제2 기어부(72)를 축선(X1)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서 전달된다.
제1 기어부(71)에는 제2 구동축(61)과 함께 축선(X2) 주위로 회전하는 위치 검출용 부재(71c)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부재(71c)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연부에 축선(X2)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제2 롤러부(20)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슬릿(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용 부재(71c)의 외주연부의 상면과 하면을 끼워넣도록 위치 검출 센서(64)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64)는 상면측 및 하면측 중 한쪽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고, 상면측 및 하면측 중 다른 쪽에 수광 소자를 배치한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64)는 위치 검출용 부재(71c)의 축선(X2) 주위의 회전에 따라 슬릿에 의해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광이 통과하는 것을 수광 소자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제2 롤러부(20)가 축선(X1) 주위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95)(도 8 참조)에 송신하는 것이다.
구동통(40)은 축선(X1) 주위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72)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 구멍은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내주면을 갖는 구멍이다. 제2 기어부(72)는 구동통(40)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72a)를 체결하여 고정 나사(72a)의 선단을 구동통(40)에 맞닿게 함으로써 구동통(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기어부(72)는 구동통(40)에 연결되어 구동통(40)과 함께 축선(X1) 주위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통(40)은 구동축(30)의 외주 측에 제1 베어링 부재(31) 및 제2 베어링 부재(32)를 끼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구동통(40)은 구동축(30)과 독립적으로 축선(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제1 구동부(5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축선(X1) 주위로 회전하고, 구동통(40)은 구동축(30)과는 독립적인 상태에서, 제2 구동부(6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축선(X1) 주위로 회전한다.
구동통(40)의 선단 측에는 제2 롤러부(20)의 제2 롤러 지지 부재(22)가 축선(X1) 주위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구동부(60)가 제2 구동축(61)을 축선(X2)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전달 기구(70)에 의해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전달되어 구동통(40)으로부터 제2 롤러부(20)에 전달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가 구비하는 커버 부재(84) 및 덮개부(85)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덮개부(85)를 개방 상태로 한 튜브 펌프(1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튜브 펌프(100)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덮개부(85)를 폐쇄 상태로 한 튜브 펌프(1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튜브 펌프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수용부(82)의 오목부(82b)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84)와, 개폐 상태를 전환 가능한 덮개부(85)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84)는 덮개부(85)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 조작자가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근방에 손을 접촉하게 되어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축선(X1) 주위로 회전 가능하므로,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사이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각도가 넓은 상태로부터 좁은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84)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84)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덮도록 설치됨과 함께 체결 나사(84a)에 의해 구동축(30)에 대하여 체결되어 있다. 커버 부재(84)는 구동축(30)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X1)을 중심으로 한 반경(R1)의 평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튜브(200)가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내주면(82a)은 축선(X1)을 중심으로 한 반경(R2)의 원을 따라 배치되는 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X1)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R1)에서 반경(R2)까지의 영역이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OA)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튜브 펌프(100)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고,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모두가 튜브(200)에 접촉하지 않는 퇴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의 자연 상태의 튜브(200)는 외경(D1)을 갖는다. 외경(D1)은 반경(R2)에서 반경(R1)을 감산한 차이보다도 작다. 그로 인해, 개구 영역(OA)은 튜브(200)를 내주면(82a)을 향하여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선단에서 축선(X1)까지의 거리(축선(X1)을 중심으로 한 반경)는 반경(R3)으로 되어 있다. 반경(R3)은 반경(R1)보다도 크고 반경(R2)보다도 작다. 그로 인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축선(X1) 주위로 회전할 때에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선단이 개구 영역(OA)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커버 부재(8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선단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84)는 제1 롤러 샤프트(13) 및 제2 롤러 샤프트(23)를 덮도록 수용부(82)의 오목부(82b)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가 축선(X1) 주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근접 혹은 접촉했다 하더라도,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는 커버 부재(84)에 의해 덮인 영역에서 근접 혹은 접촉한다. 그로 인해,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의 근접 혹은 접촉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84)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위치를 조작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이다. 커버 부재(84)를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나,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을 조작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커버 부재(84)를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태양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84)에 개구 영역(OA)의 개구 폭(반경(R2)-반경(R1))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복수의 절결부(도시 생략)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커버 부재(84)에 의하면, 조작자는 복수의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회전 위치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는 개구 영역(OA)의 개구 폭(반경(R2)-반경(R1))보다도 좁은 폭을 갖기 때문에,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사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절결부는 예를 들어 축선(X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나, 축선(X1)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85)는 수용부(82)의 오목부(82b)의 전체 영역(축선(X1)을 중심으로 한 반경(R2)의 영역)을 덮는 폐쇄 상태와, 오목부(82b)로부터 이격된 개방 상태를 전환 가능한 부재이다. 덮개부(85)는 수용부(82)에 연결되는 연결부(85a)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커버 부재(84)를 수용하는 오목부(85b)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82)의 오목부(82b)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록부(85c)와, 덮개부(85)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자석(85d)을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85)는 한 쌍의 연결부(85a)에 의해 수용부(82)에 연결되어 있다. 덮개부(85)는 한 쌍의 연결부(85a)가 배치되는 축선(Y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자는 폐쇄 상태의 덮개부(85)의 선단부(85e)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덮개부(85)를 축선(Y1) 주위로 요동시켜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85c)는 덮개부(85)가 폐쇄 상태로 될 경우에, 수용부(82)의 내주면(82a)을 따라 배치되는 튜브(200)와 접촉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배치된다. 볼록부(85c)는 오목부(82b)와 함께, 저부가 내주면(82a)에 의해 형성되어 축선(X1)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한다. 덮개부(85)가 폐쇄 상태로 될 경우에 튜브(200)가 홈부에 수용된 상태로 되므로,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에 의한 액체의 토출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덮개부(85)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센서(검지부)(86)를 구비한다. 개폐 검지 센서(86)는 덮개부(85)가 구비하는 자석(85d)이 근접한 위치(도 7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ON 상태로 되고, 자석(85d)이 이격된 위치(도 7에 나타내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OFF 상태로 되는 센서이다.
개폐 검지 센서(86)는 덮개부(85)가 구비하는 자석(85d)을 흡착하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검지 센서(86)가 덮개부(85)의 자석(85d)을 흡착함으로써, 자석(85d)이 개폐 검지 센서(86)를 흡착하는 흡착력을 상회하는 힘으로 선단부(85e)를 들어올리지 않는 한, 선단부(85e)가 수용부(82)에 밀착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95)와, 조작자에 의한 튜브 펌프(10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96)를 구비한다. 제어부(95)는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것을 개폐 검지 센서(86)가 검지하고, 개폐 검지 센서(86)로부터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전달된 경우에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조작자는 튜브(200)의 교환 등을 할 때에 덮개부(85)를 개방 상태로 하므로,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가 동작한 상태이면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사이에 끼일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정지시키므로,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사이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덮도록 오목부(82b)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84)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덮개부(85)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한 직후에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정지하지 않는 경우나 어떠한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사이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튜브 펌프(100)가 개폐 검지 센서(86)를 구비하고,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태양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튜브 펌프(100)는 개폐 검지 센서(86)를 구비하지 않고,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경우라도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가 정지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튜브 펌프(100)가 커버 부재(84)를 구비하므로,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사이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어부(95)가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함으로써,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에 의한 튜브(200) 내의 유체 토출을 행하도록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출 제어 모드(제1 제어 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토출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입력부(96)를 통하여 튜브 펌프(100)가 유출측(200b)으로 토출시키는 액체의 단위 시간당 유량을 설정한다. 제어부(95)는 설정된 유량의 액체가 유출측(200b)으로 토출되도록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어부(95)가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함으로써,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튜브 교환 모드(제2 제어 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튜브 교환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입력부(96)를 통하여 튜브 교환 모드의 실행을 지시한다. 제어부(9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개폐 검지 센서(86)가 덮개부(85)에 설치된 자석(85d)이 근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었지만, 다른 태양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따른 튜브 펌프(100A)라도 좋다. 도 9는 덮개부(85)를 개방 상태로 한 변형예에 따른 튜브 펌프(100A)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덮개부(85)를 폐쇄 상태로 한 변형예에 따른 튜브 펌프(100A)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펌프(100A)는 덮개부(85)의 선단부(85e) 근방에 설치되는 로크 기구(87)를 구비한다. 로크 기구(87)는 수용부(82)에 대하여 덮개부(85)를 폐쇄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기구이다. 로크 기구(87)는 축선(Z1)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87a)와, 축부(87a)의 일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87b)와, 손잡이부(87b)가 축부(87a)에 대하여 축선(Z1) 주위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회전 방지핀(87c)을 구비한다.
축부(87a)의 덮개부(85) 측의 단부는 덮개부(85)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85f)에 삽입되어 있다. 축부(87a)의 덮개부(85) 측의 단부에는 수나사부(87d)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87d)는 조작자가 손잡이부(87b)를 축선(Z1)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축선(Z1) 주위로 회전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82)에는 개폐 검지 센서(86A)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 검지 센서(86A)로부터 수용부(82)의 표면을 향하여 관통 구멍(82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2c)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2d)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는 도 9에 나타내는 덮개부(85)의 선단부(85e)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끌어내림으로써, 덮개부(85)를 축선(Y1) 주위로 요동시켜 덮개부(85)가 수용부(82)에 근접한 도 10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조작자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87b)를 축선(Z1)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축부(87a)를 축선(Z1) 주위로 회전시켜 수나사부(87d)를 암나사부(82d)에 결합시킨다. 수나사부(87d)가 암나사부(82d)에 결합함으로써,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용부(82)에 대하여 덮개부(85)가 고정된다.
조작자는 수용부(82)에 대하여 덮개부(85)가 고정된 상태에서, 더욱 손잡이부(87b)를 축선(Z1)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축부(87a)의 선단을 개폐 검지 센서(86A)에 접촉시킨다. 개폐 검지 센서(86A)는 축부(87a)의 선단이 접촉하면 ON 상태로 되어 덮개부(85)가 폐쇄 상태인 것을 검지한다. 개폐 검지 센서(86A)는 축부(87a)의 선단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OFF 상태로 되어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지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가 발휘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와,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각각을 축선(X1)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를 갖기 때문에, 수용부(82)에 의해 축선(X1)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보호 지지된 튜브(200)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축선(X1) 주위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커버 부재(84)가, 튜브(200)를 내주면(82a)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OA)을 형성하도록 수용부(82)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 사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개구 영역(OA)으로부터 튜브(200)를 수용부(82)의 내주면(82a)을 향하여 삽입 가능하므로, 조작자가 튜브(200)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커버 부재(84)가, 제1 롤러 샤프트(13) 및 제2 롤러 샤프트(23)를 덮도록 수용부(82)에 배치된다. 제1 롤러 샤프트(13) 및 제2 롤러 샤프트(23)에 설치되는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가 축선(X1) 주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근접 혹은 접촉했다 하더라도,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는 커버 부재(84)에 의해 덮인 영역에서 근접 혹은 접촉한다. 그로 인해, 제1 롤러(11) 및 제2 롤러(21)의 근접 혹은 접촉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커버 부재(84)를 배치해도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축선(X1) 주위의 회전 위치가 시인 가능하므로,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나,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을 조작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커버 부재(84)는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84)에는 예를 들어 개구 영역(OA)의 개구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85)가 오목부(82b)의 전체 영역을 덮기 때문에, 조작자가 잘못하여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근방을 손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나, 그에 의해 손가락이 끼이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85)가 개방 상태인 것을 개폐 검지 센서(86)가 검지한 경우에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60)가 정지하므로, 조작자가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근방을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가 축선(X1) 주위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손가락이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제어부(95)가 튜브 교환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 모두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는 퇴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롤러부(10) 및 제2 롤러부(20)를 퇴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 중인 튜브와 다른 튜브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축선 주위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튜브가 배치되는 내주면을 갖고, 상기 축선을 따른 일 단부 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튜브를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부와,
    한 쌍의 상기 롤러부 각각을 상기 축선 주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부를 덮고, 또한 상기 튜브를 상기 내주면을 향하여 삽입 가능한 원환 형상의 개구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튜브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튜브와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와,
    한 쌍의 상기 구동부에 연결됨과 함께 한 쌍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지지 부재와,
    양 단부가 상기 롤러 지지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 쌍의 롤러 샤프트를 갖고,
    상기 커버 부재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샤프트를 덮도록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튜브 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한 쌍의 상기 롤러부의 상기 축선 주위의 회전 위치가 시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튜브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튜브 펌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개구 영역의 개구 폭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는, 튜브 펌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한 쌍의 상기 롤러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전체 영역을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격된 개방 상태를 전환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한 쌍의 구동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개방 상태인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구동부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튜브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브 내의 유체의 토출을 행하도록 한 쌍의 상기 롤러부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제어 모드와, 한 쌍의 상기 롤러부가 상기 튜브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롤러부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제2 제어 모드를 실행 가능한, 튜브 펌프.
KR1020210008075A 2020-01-31 2021-01-20 튜브 펌프 KR20210098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5072 2020-01-31
JP2020015072A JP7480982B2 (ja) 2020-01-31 2020-01-31 チューブポ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339A true KR20210098339A (ko) 2021-08-10

Family

ID=7418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75A KR20210098339A (ko) 2020-01-31 2021-01-20 튜브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39108A1 (ko)
EP (1) EP3859151B1 (ko)
JP (1) JP7480982B2 (ko)
KR (1) KR202100983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4475A1 (en) * 2019-06-28 2020-12-30 Vanderbilt University Microfluidic systems, pumps, valves, fluidic chips thereof, and applications of same
JP7221522B2 (ja) 2019-02-15 2023-02-1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461639B2 (ja) 2020-05-26 2024-04-0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
CN114992103B (zh) * 2022-06-02 2023-09-08 无锡市聚欣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调节构件的蠕动泵流量调节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4488A (ja) 2016-09-14 2018-03-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845A (en) * 1976-02-20 1979-03-06 Lepp William A Dialysis pump system having over-center cam tracks to lock rollers against tubing
JPS5726690U (ko) * 1980-07-21 1982-02-12
JPH0318714Y2 (ko) * 1986-02-03 1991-04-19
US4705464A (en) * 1986-05-09 1987-11-10 Surgidev Corporation Medicine pump
JP2524219Y2 (ja) * 1991-02-04 1997-01-29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絞り出し式コンクリートポンプにおける駆動ユニット取付装置
US5657000A (en) * 1995-06-02 1997-08-12 Cobe Laboratories, Inc. Peristaltic pump occlusion detector and adjuster
US9909579B2 (en) * 2014-06-09 2018-03-06 Blue-White Industries, Ltd. Overmolded tubing assembly and adapter for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DE102011009777B4 (de) * 2011-01-28 2016-09-2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chlauchpumpe und hiermit ausgestattete Blutbehandlungsvorrichtung
JP5824685B2 (ja) 2012-05-01 2015-11-25 株式会社アクアテック チューブポンプ
DE102013210548A1 (de) * 2013-06-06 2014-12-11 Bausch + Ströbel Maschinenfabrik Ilshofen GmbH + Co. KG Peristaltikpumpe mit verringerter Pulsation und Verwendung der Peristaltikpumpe
JP5863871B2 (ja) * 2014-04-15 2016-02-17 日機装株式会社 装着部材及びしごき型ポンプ
JP6590623B2 (ja) * 2015-10-02 2019-10-1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
TW201835448A (zh) * 2016-03-18 2018-10-01 威爾柯股份有限公司 管泵、旋轉限制部件、軸體和軸連接結構
JP7004991B2 (ja) 2017-02-14 2022-01-2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および保持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4488A (ja) 2016-09-14 2018-03-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9108A1 (en) 2021-08-05
EP3859151B1 (en) 2023-07-26
EP3859151A1 (en) 2021-08-04
JP2021121738A (ja) 2021-08-26
JP7480982B2 (ja)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8339A (ko) 튜브 펌프
KR102465743B1 (ko) 튜브 펌프
US8215931B2 (en) Safety switch on a peristaltic pump
US5322413A (en) Centrifugal pump for liquids, in particular for blood in extracorporeal circulation
JP7004991B2 (ja) チューブポンプおよび保持機構
KR20000063005A (ko) 탈수 겸용 세탁기
KR20080087117A (ko)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액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EP3620567A1 (en) Top load drum washing machine and positioning device thereof
US11231665B2 (en) Toner cartridge including detection gear, agitator gear, auger gear, and toner outlet
EP2218943B1 (en) Drive mechanism, actuator, and valve
AU2015204405B2 (en) Sensing manual drive operation of a movable barrier
EP0380990A2 (en) Reversible turbine pump
JP7480988B2 (ja) チューブ保持部材およびチューブポンプ
JP2004068657A (ja) チューブポンプ
JP480489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83637A (ja) 遠心機用インナーカップ及び遠心機
KR102633244B1 (ko) 실속 인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축류 송풍기
JPH0583513U (ja) ベルト切断検出装置
US20230201843A1 (en) Centrifuge device
KR20230024769A (ko) 밸브용 차단판 개폐 알림 시스템
KR102096291B1 (ko) 실린더 내벽 마모 방지 및 고진공 및 내마모성용 더블커팅 로타리 펌프의 회전축
JP4057634B1 (ja) 動作ユニット
KR100486435B1 (ko) 진공밸브
JPS643829Y2 (ko)
JP2023160419A (ja) ローラ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