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223A -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 Google Patents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223A
KR20210098223A KR1020200012134A KR20200012134A KR20210098223A KR 20210098223 A KR20210098223 A KR 20210098223A KR 1020200012134 A KR1020200012134 A KR 1020200012134A KR 20200012134 A KR20200012134 A KR 20200012134A KR 20210098223 A KR20210098223 A KR 2021009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p
ingredients
packaging
ric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143B1 (ko
Inventor
박경도
Original Assignee
박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도 filed Critical 박경도
Priority to KR102020001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용 포장 속재료에 관한 것으로, 사전에 제조된 라이스시트(Rice Sheet, 2)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1) 속에 내장되어 김(Seaweed, 11)과 함께 김밥 제조 시에 사용되며, 다수개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으로 제조되는 김밥용 속재료(100)와; 상기 다수개의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중에서 선택된 각각의 김밥용 속재료를 진공 포장하며, 김밥 제조 후에는 분리 및 탈거 가능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를 포함하며; 상기 김밥용 속재료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의 포장주머니(210)와 한 쌍의 접착부(230,240)를 통해 하나의 묶음으로 진공 포장되어, 김밥처럼 둥글게 말아서 상기 김밥용 포장밥 및 김과 함께 별도의 포장지에 담아서 보관 및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위생적이며 대장균 발생률을 현저히 줄이고 유통기한을 대폭 연장시켜 온라인 판매가 가능함은 물론 소비자가 보다 간편하게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밥용 포장 속재료{Packing material for gimbap}
본 발명은 김밥용 속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밥용 포장밥과 함께 분리 보관 및 유통 가능하며, 다양한 속재료 각각이 포장된 진공 포장지의 패키지를 김밥 제조 후 용이하게 분리 및 탈거 가능하도록 한 김밥용 포장 속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소금과 참기름으로 맛을 낸 밥을 시금치, 단무지, 당근, 달걀 등 속 재료를 넣고 김으로 말아서 한입 크기로 썰어 낸 음식으로 주먹밥처럼 이동할 때 먹기가 편하다.
김밥용 속 재료는 당근, 시금치, 우엉, 오이, 단무지 등의 발효식품과 햄, 소시지, 맛살, 오뎅, 어묵, 소고기 등의 가공식품 중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수 개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맛살과 햄, 소시지, 어묵 등 생선과 고기의 가공식품에는 색깔을 선명하게 하면서 방부제 역할을 하는 아질산나트륨이 흔히 쓰이고 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막는 아질산나트륨과 고기의 단백질이 만났을 때 생기는 니트로조아민은 암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빈혈, 구토, 호흡기능 약화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발효식품과 2차 가공식품은 반드시 낱개로 진공 포장하여 유통시켜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김밥과 속 재료가 함께 말은 김밥을 장거리 여행 시에 간편하게 섭취하거나 편의점 등에 유통되고 있다.
또한, 김밥은 제조일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속 재료에서 베어 나온 수분이 밥에 스며들어 밥맛이 달라지거나 수분에 의해 김이 눅눅해져 김밥 본연의 맛이나 식감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통기한을 단축시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즉, 제조된 김밥이 유통기한을 넘기게 되면 장 기능을 떨어뜨려 설사와 변비를 유발하고, 그로 인해 과민성대장증후군까지 앓게 될 수 있으며, 또 건강에 해로운 활성산소 생성을 촉진시켜 세포를 산화시킴은 물론, 체내 기관과 조직들을 딱딱하게 만들어 제 기능을 할 수 없도록 만들거나 체온조절과 지방을 녹이는데 필요한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뼈를 약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김과 밥을 분리시킨 포장 김밥이 유통되고 있으나, 김밥용 속 재료 포장기술이 전무하여 여전히 밥과 속 재료가 합쳐진 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됨으로써, 유통기한의 한계로 온라인 판매 등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바 있는 KR 제10-1747914호(2017.06.09.)의 김밥용 포장밥에 따르면, 김밥 재료로 사용되는 밥을 얇게 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으로 성형한 라이스시트와, 상기 라이스시트를 그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라이스시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라이스시트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면테두리부에는 덮개접착용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의 상면을 밀봉하도록 덮개접착용 플랜지부에 열접착되는 진공포장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라이스시트의 중앙부에 속재료삽입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기 위한 홈성형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기술에는 김밥용 속 재료를 김밥용 포장 밥의 라이스시트 오목부에 올려놓는 정도의 개념적 추상적으로만 개시되어 있을 뿐, 김밥용 포장 밥과 속 재료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유통되는지를 전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바 있는 위 특허기술의 문제점과 종래 김밥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시킨 전혀 새로운 김밥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김밥용 포장밥과 함께 분리 보관 및 유통 가능하며, 김밥제조 후 김밥용 속재료 각각에 대해 포장된 진공 포장지의 패키지를 외력을 가해 용이하게 분리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보다 더 위생적이며 대장균 발생률을 현저히 줄이고 유통기한을 대폭 연장시켜 온라인 판매가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김밥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김밥용 포장 속재료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전에 제조된 라이스시트(Rice Sheet, 2)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1) 속에 내장되어 김(Seaweed, 11)과 함께 김밥 제조 시에 사용되며, 다수개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으로 제조되는 김밥용 속재료(100)와; 상기 다수개의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중에서 선택된 각각의 김밥용 속재료를 진공 포장하는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를 포함하며; 상기 김밥용 속재료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의 포장주머니(210)와 한 쌍의 접착부(230,240)를 통해 하나의 묶음으로 진공 포장되어, 김밥처럼 둥글게 말아서 상기 김밥용 포장밥 및 김과 함께 별도의 포장지에 담아서 보관 및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식품(110)은, 당근(111), 시금치(112), 우엉(113), 오이(114), 단무지(115)이고, 상기 가공식품(120)은, 햄(121), 소시지(122), 맛살(123), 오뎅(124), 어묵(125), 소고기(126)이며, 상기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중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수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중에서 선택된 속재료 각각을 수납시켜 진공 포장하기 위한 포장주머니(210)와, 상기 포장주머니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전체 라인부(혹은 1/2 지점)에는 김밥 제조 후, 외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를 감싼 상기 포장주머니를 제거하기 위한 절취부(220)와, 상기 포장주머니를 둥글게 말아서 펼쳐지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착부(230,240)가 상기 포장주머니의 일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주머니(210)는, 열 봉합용 기기를 사용하여 가압에 의해 진공 포장되며, 상기 절취부(220)는, 절취용 커터를 사용하여 점선형태로 절취되고, 상기 한 쌍의 접착부(230,240)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접착제(231,241)가 상기 한 쌍의 접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인체에 무해하며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밀봉포장에 적합한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식품 포장지로 사용 가능한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합성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별도의 포장지는, 방수용 종이 박스(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에 다수의 구획 칸을 형성시켜 상기 김밥용 포장밥과 김 및 김밥용 속재료를 함께 포장하되,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진공포장용 덮개(310)를 열 봉합기기를 사용하여 열 접합시킬 수 있도록 덮개접착용 플랜지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김밥용 포장 속재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본 발명은 종래의 김밥 제조 방법은 물론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바 있는 "특허 제10-1747914호의 김밥용 포장밥"을 개선 및 이용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김밥용 포장밥과 김 및 속재료를 분리시킨 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밥의 유통기한을 대폭 늘릴 수 있어 온라인 판매가 가능하다.
(3) 본 발명은, 김밥의 속재료인 선택된 다수개의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각각에 대해 구분지어 포장지로 진공포장하기 때문에 김밥의 제조 및 유통기한에 따른 과민성대장증후군과 건강에 해로운 활성산소 생성을 촉진시켜 세포를 산화시키는 종래 김밥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4) 본 발명은, 맛살과 햄, 소시지, 어묵 등 생선과 고기의 가공식품에는 색깔을 선명하게 하고 방부제 역할을 하는 아질산나트륨과 고기 단백질의 합성에 따른 니트로조아민 생성으로 인한 발암 성분을 줄여 빈혈, 구토, 호흡기능 약화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종래 김밥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은, 소비자가 김밥을 직접 만들어 먹고자할 경우, 제조된 라이스시트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 위에 김밥용 속재료를 올려놓고 김발을 이용하여 김과 함께 둥글게 말아준 상태에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를 외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주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고 위생적인 김밥을 스스로 제조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김밥용 포장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속재료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에 김밥용 속재료가 진공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속재료를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로 진공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가)항 및 (나)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포장 속재료를 라이스시트 위에 올려놓고 김밥을 둥글게 말아주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를 외력을 가해 분리 및 탈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에 대한 방수용 종이 박스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김밥용 포장 속재료는, 다양한 발효식품과 가공식품의 재료들이 각각 분리되어 진공 포장되며, 이는 별도로 포장지에 김밥용 포장밥 및 김과 함께 포장되어 보관 및 유통되며, 김밥 제조 시에는 상기 김밥용 포장밥의 라이스시트(Rice Sheet)와 함께 합쳐져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크게 발효식품과 가공식품으로 하는 김밥용 속재료(100)와 상기 김밥용 속재료 각각을 진공 포장하는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는, 사전에 제조된 라이스시트(Rice Sheet, 2)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1) 속에 내장되어 김(Seaweed, 11)과 함께 김밥 제조 시에 사용되는 속재료 수단으로, 당근(111), 시금치(112), 우엉(113), 오이(114), 단무지(115) 등으로 하는 발효식품(110)과 햄 소시지(121), 게맛살(122), 오뎅(123), 어묵(124), 소고기(125) 등으로 하는 가공식품(120) 중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수 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인 상기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은, 김밥 제조 후 일정한 유통기간이 지나면 장 기능을 떨어뜨려 설사와 변비를 유발하고, 그로 인해 과민성대장증후군까지 앓게 될 수 있으며, 또 건강에 해로운 활성산소 생성을 촉진시켜 세포를 산화시킴은 물론 체내 기관과 조직들을 딱딱하게 만들어 제 기능을 할 수 없도록 만들거나 체온조절과 지방을 녹이는데 필요한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뼈를 약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발효식품과 가공식품을 사용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상기 다수개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 중에서 선택된 각각의 김밥용 속재료를 진공 포장하며, 김밥 제조 후에는 분리 및 탈거 가능한 수단으로,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 중에서 선택된 속재료 각각을 주머니에 수납시켜 진공 포장하기 위한 포장주머니(210)와, 상기 포장주머니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라인부(혹은 포장주머니 전체의 1/2 지점)에는 김밥 제조 후, 외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를 감싼 상기 포장주머니(210)를 제거하기 위한 절취부(220)와,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 중에서 선택된 속재료 각각을 주머니에 수납시켜 진공 포장된 포장주머니(210)를 둥글게 말아서 펼쳐지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착부(230,240)가 상기 포장주머니(21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의 각각을 수납시키는 포장주머니(210)는 열 봉합용 기기를 사용하여 가압에 의해 진공 포장되며, 상기 절취부(220)는 절취용 커터를 사용하여 점선형태로 절취되고, 상기 한 쌍의 접착부(230,240)에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접착제(231, 241)가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양면접착제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의 절취부(2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김밥용 속재료(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서 김밥용 속재료가 유통과정에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인체에 무해하며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밀봉포장에 적합한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식품 포장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합성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효식품(110)의 각각 및 가공식품(120)의 각각은, 김밥용 속재료(100)로 사용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의 포장주머니(210)와 한 쌍의 접착부(230,240)를 통해 하나의 묶음(혹은 패키지)으로 진공 포장된다.
여기서, 게맛살과 햄, 소시지, 어묵 등 생선과 고기의 가공식품에는 색깔을 선명하게 하면서 방부제 역할을 하는 아질산나트륨이 흔히 쓰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막아주는 아질산나트륨과 고기 단백질이 만났을 때 생성되는 니트로조아민은 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빈혈이나 구토, 호흡기능 약화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발효식품과 가공식품의 각각은 반드시 낱개로 진공 포장해야 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의 포장주머니(210)와 한 쌍의 접착부(230,240)를 통해 하나의 묶음으로 진공 포장되어, 김밥처럼 둥글게 말아서 상기 김밥용 포장밥(1) 및 김(11)과 함께 별도의 포장지에 담아서 보관 및 유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별도의 포장지는, 방수용 종이 박스(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에 다수의 구획 칸을 형성시켜 상기 김밥용 포장밥과 김 및 김밥용 속재료를 함께 포장하되,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진공포장용 덮개(310)를 열 봉합기기를 사용하여 열 접합시킬 수 있도록 덮개접착용 플랜지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김밥용 포장 밥(1)과 김밥용 속재료(100)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에 등록된 바 있는 특제 제10-1747914호(2017.06.09.)의 김밥용 포장밥(1)과 상기 제1 실시 예의 김밥용 속재료(100)를 합성시킨 후, 소비자가 김발(10)을 이용하여 김(11)과 함께 둥글게 말아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김밥용 포장밥(1)의 라이스시트(Rice Sheet, 2)가 수납된(혹은 담긴) 포장용기(3)의 자체를 전자레인지 또는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가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용기(3)는 다양한 합성수지로 제조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성형 가공이 우수하고 성형된 형상을 유지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식품 포장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전저레인지 또는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포장용기(3)의 덮개접착용 플랜지부(3b)에 열접착된 진공포장용 덮개(4)를 개봉한 다음 뒤집어서 김발(10) 위에 펼쳐 놓은 김(11) 위에 상기 포장용기(3)의 라이스시트 삽입부(3a)에 수납된 라이스시트(2)를 탈거하여 올려놓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라이스시트(2)는 김발(10)이 준비되어 있을 경우, 김발(10) 위에 김(11)을 펼쳐 놓고 김(11) 위에 라이스시트(2)를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김발(10)이 준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개봉된 진공포장용 덮개(4)를 상기 김발(10)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가) 내지 (다)항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용기(3)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포장용기(3)에 담기 라이스시트(2)를 용이하게 분리 및 탈거되도록 상기 포장용기(3)를 양측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절취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장용기(3)에 담긴 라이스시트(2)를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 및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나)항을 참조하면, 상기 포장용기(3)에서 탈거된 라이스시트(2)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홈(2a)에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제조된 김밥용 속재료(100)를 올려놓은 후, 김발(10)을 이용하여 둥글게 말아준다.
여기서, 도 1의 (나)항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라이스시트(2)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한 홈(2a)은, 포장용기(3)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라이스시트(2)의 중앙부에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오목한 홈(2a)을 형성하기 위한 홈 성형용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용기(3)의 라이스시트 삽입부(3a)에 수납된 상기 라이스시트(2)를 뒤집어서 분리 및 탈거하게 되면 라이스시트(2)의 중앙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실시 예의 김밥용 속재료(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오목한 홈(2a)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김발(10)이 둥글게 말린 상태에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를 감싼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외력을 가해 좌우 양쪽으로 잡아 당겨서 분리 및 탈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밥용 속재료(100)는, 선택된 김밥용 속재료(100)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 각각을 수납시키는 포장주머니(210)와 상기 포장주머니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라인부(혹은 전체 포장주머니의 1/2 지점)에는 김밥 제조 후, 외력을 가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를 감싼 상기 포장주머니(210)를 제거하기 위한 절취부(220)와, 상기 김밥용 속재료(100) 중에서 선택된 속재료 각각을 주머니에 수납시켜 진공 포장된 포장주머니(210)를 둥글게 말아서 펼쳐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2개의 접착부(230,240)가 상기 포장주머니(21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좌우 양쪽에 외력을 가해 잡아당기면 보다 쉽게 분리 및 탈거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가 분리 및 탈거됨과 동시에 상기 말아둔 김발(10)을 풀어주면 김밥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는, 종래의 "특허 제10-1747914호(2017.06.09.)의 김밥용 포장밥"을 개선 및 이용하여 소비자가 보다 더 손쉽고 위생적으로 스스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김밥용 포장밥(1)과 김(11) 및 김밥용 속재료(100)를 따로 분리시킨 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김밥보다 유통기한을 대폭 늘릴 수 있어 온라인 판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개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 각각에 대해 구분지어 포장지로 진공포장하기 때문에 김밥 제조 및 유통기한에 따른 장 기능을 떨어뜨려 설사와 변비를 유발하는 과민성대장증후군과 건강에 해로운 활성산소 생성을 촉진시켜 세포를 산화시키고 체내 기관과 조직들을 딱딱하게 만들어 제 기능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종래 김밥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맛살과 햄, 소시지, 어묵 등 생선과 고기의 가공식품에는 색깔을 선명하게 하고 방부제 역할을 하는 아질산나트륨과 고기 단백질의 합성에 따른 니트로조아민 생성으로 인한 발암 성분을 줄여 빈혈, 구토, 호흡기능 약화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김밥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김밥을 직접 만들어 먹고자할 경우, 제조된 라이스시트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 위에 김밥용 속재료를 올려놓고 김발을 이용하여 김과 함께 둥글게 말아준 상태에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를 외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주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고 위생적인 김밥을 스스로 제조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김밥용 포장밥 2 : 라이스시트(Rice Sheet)
10 : 김발 11 : 김(Seaweed)
100 : 김밥용 속재료 110 : 발효식품
120 : 가공식품 200 :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
210 : 포장주머니 220 : 절취부
300 : 방수용 종이 박스 310 : 진공포장용 덮개
320 : 덮개접착용 플랜지부

Claims (6)

  1. 사전에 제조된 라이스시트(Rice Sheet, 2) 형상의 김밥용 포장밥(1) 속에 내장되어 김(Seaweed, 11)과 함께 김밥 제조 시에 사용되며, 다수개의 발효식품(110)과 가공식품(120)으로 제조되는 김밥용 속재료(100)와;
    상기 다수개의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중에서 선택된 각각의 김밥용 속재료를 진공 포장하며, 김밥 제조 후에는 분리 및 탈거 가능한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를 포함하며;
    상기 김밥용 속재료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의 포장주머니(210)와 한 쌍의 접착부(230,240)를 통해 하나의 묶음으로 진공 포장되어, 김밥처럼 둥글게 말아서 상기 김밥용 포장밥 및 김과 함께 별도의 포장지에 담아서 보관 및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110)은, 당근(111), 시금치(112), 우엉(113), 오이(114), 단무지(115)이고,
    상기 가공식품(120)은, 햄 소시지(121), 게맛살(122), 오뎅(123), 어묵(124), 소고기(125)이며,
    상기 발효식품과 가공식품 중에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수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중에서 선택된 속재료 각각을 수납시켜 진공 포장하기 위한 포장주머니(210)와,
    상기 포장주머니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전체 라인부(혹은 1/2 지점)에는 김밥 제조 후, 외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잡아 당겨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를 감싼 상기 포장주머니를 제거하기 위한 절취부(220)와,
    상기 포장주머니를 둥글게 말아서 펼쳐지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착부(230,240)가 상기 포장주머니의 일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주머니(210)는, 열 봉합용 기기를 사용하여 가압에 의해 진공 포장되며,
    상기 절취부(220)는, 절취용 커터를 사용하여 점선형태로 절취되고,
    상기 한 쌍의 접착부(230,240)는,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가 둥글게 말린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접착제(231,241)가 상기 한 쌍의 접착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용 속재료 포장지(200)는, 인체에 무해하며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밀봉포장에 적합한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식품 포장지로 사용 가능한 나일론과 폴리프로필렌수지의 합성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포장지는, 방수용 종이 박스(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에 다수의 구획 칸을 형성시켜 상기 김밥용 포장밥과 김 및 김밥용 속재료를 함께 포장하되, 상기 방수용 종이 박스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진공포장용 덮개(310)를 열 봉합기기를 사용하여 열 접합시킬 수 있도록 덮개접착용 플랜지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포장 속재료.
KR1020200012134A 2020-01-31 2020-01-31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KR10233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34A KR102339143B1 (ko) 2020-01-31 2020-01-31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134A KR102339143B1 (ko) 2020-01-31 2020-01-31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23A true KR20210098223A (ko) 2021-08-10
KR102339143B1 KR102339143B1 (ko) 2021-12-13

Family

ID=7731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134A KR102339143B1 (ko) 2020-01-31 2020-01-31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1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17U (ko) * 1999-02-23 2000-09-25 오영일 필림 포장 종이 용기
KR200346995Y1 (ko) * 2004-01-02 2004-04-06 길경근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KR101747914B1 (ko) * 2017-01-05 2017-06-16 박경도 김밥용 포장밥
KR20180023622A (ko) * 2016-08-26 2018-03-07 정선영 롤형 김밥의 포장시트
KR101920567B1 (ko) * 2017-07-12 2018-11-22 주식회사 노후를 위하여 김밥 자판기
KR200489375Y1 (ko) * 2018-10-23 2019-06-10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품 포장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17U (ko) * 1999-02-23 2000-09-25 오영일 필림 포장 종이 용기
KR200346995Y1 (ko) * 2004-01-02 2004-04-06 길경근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KR20180023622A (ko) * 2016-08-26 2018-03-07 정선영 롤형 김밥의 포장시트
KR101747914B1 (ko) * 2017-01-05 2017-06-16 박경도 김밥용 포장밥
KR101920567B1 (ko) * 2017-07-12 2018-11-22 주식회사 노후를 위하여 김밥 자판기
KR200489375Y1 (ko) * 2018-10-23 2019-06-10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품 포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143B1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305A (en) Microwave heating package and method for achieving oven baked quality for sandwiches
MX2008016020A (es) Bolsa sazonadora.
JP5279179B2 (ja) 即席麺包装体
JP3664337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入り調理用食品
KR102339143B1 (ko) 김밥용 속재료의 포장지
PL70159Y1 (pl) Opakowanie na poddawany obróbce termicznej produkt na bazie mięsa
KR102389574B1 (ko) 분리된 김밥용 포장밥과 속재료를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
JP3792186B2 (ja) 具材入りパン包装体
US20220000235A1 (en) Lunch box container usable on induction cooktop
KR200446124Y1 (ko) 냉동피자 포장용기
JP5198077B2 (ja) 電子レンジ調理袋
JP3359490B2 (ja) 電子レンジ加熱対応包材
KR200413301Y1 (ko) 이중진공 김밥포장용기
RU40304U1 (ru) Упакован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JP3910254B2 (ja) 電子レンジ加熱対応包材
KR200443651Y1 (ko) 음식물 파우치
JP3172557U (ja) 包み蒸し用の袋
KR200346454Y1 (ko) 음식물 포장용기
JP3065032U (ja) 魚加工食品の包装体
KR100580811B1 (ko) 음식물 포장용기
JP3163390B2 (ja) 容器入りサラダ
JPH10264974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密封袋
JP6630266B2 (ja) 巻き寿司の製造方法及び巻き寿司用巻芯の製造方法
JPS59209569A (ja) 食品の包装容器のカバ−
JP3183659U (ja) いかめし真空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