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530A -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530A
KR20210097530A KR1020200011344A KR20200011344A KR20210097530A KR 20210097530 A KR20210097530 A KR 20210097530A KR 1020200011344 A KR1020200011344 A KR 1020200011344A KR 20200011344 A KR20200011344 A KR 20200011344A KR 20210097530 A KR20210097530 A KR 2021009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ells
cell
amino acid
wrinkle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이동규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메디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톡스 filed Critical (주)메디톡스
Priority to KR102020001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530A/ko
Priority to PCT/KR2021/000865 priority patent/WO2021153946A1/ko
Priority to CA3169953A priority patent/CA3169953A1/en
Priority to CN202180012001.6A priority patent/CN115023433A/zh
Priority to AU2021214474A priority patent/AU2021214474B2/en
Priority to JP2022545368A priority patent/JP7438376B2/ja
Priority to EP21747750.4A priority patent/EP4098656A4/en
Priority to BR112022014944A priority patent/BR112022014944A2/pt
Publication of KR2021009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530A/ko
Priority to KR1020220007368A priority patent/KR10251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1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ag for extracellular membrane crossing, e.g. TAT or VP2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Peptide inhibiting formation of SNARE complex and use thereof}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SNARE 복합체는 SNAP-25, 신탁신 및 VAMP2를 포함하는 복합체로서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에 관련된다.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은 시냅스 베지클의 뉴론 세포막(neuronal plasma membrane)과의 융합과 관련되고 함께 거동하여 시냅스 융합 복합체를 형성하는 여러 단백질을 요구한다. 이들 단백질은 SNARE 단백질이라고 통칭하는데, SNAP-25, 신탁신, 및 시냅토브레빈(synaptobrevin)을 포함한다. 시냅토브레빈은 VAMP2라고도 한다. VAMP2는 시냅스 베지클 막에 위치하는 반면, SNAP-25 및 신탁신은 세포막과 결합되어 있다. 칼슘 배출은 복합체의 형성을 야기하고, 상기 시냅스 베지클이 상기 세포막에 근접하도록 끌어와서 상기 세포막들이 융합하도록 한다. 상기 융합에 의하여 상기 베지클 중에 포함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로 배출된다. 상기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VAMP2 유래의 펩티드로서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효율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펩티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SNARE 단백질은 피부의 보호기능 때문에 효율적으로 피부에 작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치료를 위한 약물이나 단백질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데 있어 목적 단백질을 세포 안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운반체 역할을 하는 펩티드를 이용하여 세포 내로 약물 전달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단백질이 단백질 수송도메인과 융합 단백질을 이루어 세포 내로 투과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Tat 형질도입부위와 결합시킨 단백질이 세포 내로 도입은 되었으나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논문으로 발표된 사실이 있다 (Sengoku, T. et al. Experimental Neurology 188(2004) 161-170, Falnes P.O. et al. Biochemistry 2001 Apr 10;40(14):4349-4358, 및 Daniele Peroni et al., Neuroscience letters 421(2007) 110-114). 즉, 세포도입이 용이하지 않은 단백질에 단백질 수송도메인을 융합시킨다고 해서 융합된 모든 단백질이 세포 내로 도입된 후 원활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 양상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펩티드로서, VAMP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펩티드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그를 포함하는 벡터 및 숙주세포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키트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펩티드를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펩티드로서, VAMP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펩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단편은 VAMP2 단백질의 N 말단 단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D- 또는 L-아미노산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N 말단 또는 C 말단의 아미노산은 가역적 화학적 변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형은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의 카르복실기의 에스테르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에 의하여 아미노산의 음전하가 제거되고 소수성이 증가되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변형된 펩티드는 안정성 및 지방 용해성을 포함한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혈액-뇌 장벽 및 상피 조직을 통하여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은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의 아미드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은 아세틸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C 말단의 아미노산은 아미드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형은 체내에서 세포내 에스테라제 등에 의하여 가수분해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SNAP-25, 신탁신 및 VAMP2를 포함하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은 시냅스 베지클의 뉴론 세포막(neuronal plasma membrane)과의 융합과 관련되고 함께 거동하여 시냅스 융합 복합체를 형성하는 여러 단백질을 요구한다. 이들 단백질은 SNARE 단백질이라고 통칭하는데, SNAP-25, 신탁신, 및 시냅토브레빈(synaptobrevin)를 포함한다. 시냅토브레빈은 VAMP2라고도 한다. VAMP2는 시냅스 베지클 막에 위치하는 반면, SNAP-25 및 신탁신은 세포막과 결합되어 있다. 칼슘 배출은 복합체의 형성을 야기하고, 상기 시냅스 베지클이 상기 세포막에 근접하도록 끌어와서 상기 세포막들이 융합하도록 한다. 상기 융합에 의하여 상기 베지클 중에 포함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로 배출된다. 상기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VAMP2를 모사하여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여,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상기 펩티드는 상기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로 배출에 의하여 야기되는 여러 증상을 약화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는 뉴론-엑소사이토시스 매개된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상은 근긴장 질환(spastic ailments)일 수 있다. 상기 근긴장 질환은 신경통(dystonias), 사시(strabismus), 틱(tics), 안검연축(blepharospasm), 또는 안면 측만증(facial scoliosis)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고전적 고상 화학적 펩티드 합성법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는 재조합 DNA 기술에 기반을 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법은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적절한 플라스미드 또는 벡터에 도입하고, 이를 숙주세포에 도입하고, 얻어진 세포를 배양하여 상기 펩티드가 배양물 중에 형성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펩티드를 정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세포막 투과 펩티드와 융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막 투과 펩티드는 융합된 상기 펩티드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것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막 투과 펩티드는 TD1, IMT-P8, Transkin, VP2-2, RBD-1, SN25-2, STX-1, 및 TDb-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IMT-P8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펩티드뿐만 아니라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염은 상기 펩티드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희석제, 또는 부형제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일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물, 버퍼, 또는 염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어주반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약제학적 또는 식품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의의 제형,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및 스프레이인 경우, 상기 담체는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파우더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및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및 유탁액인 경우, 상기 담체는 용매, 용해화제 및 유탁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상기 담체는 물, 에탄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및 트라칸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함량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을 개선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은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5.0%, 0.001 내지 70.0%, 0.001 내지 50.0%, 또는 0.01 내지 50.0%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담체, 및 어주반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상기 펩티드를 피부 미백 또는 주름을 개선하는데 사용하는 과정을 기술한 설명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을 개선하기에 유효한 양의 상기한 펩티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피부 미백 또는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펩티드는 그 자체 또는 상기한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임의의 경로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비강, 점막 또는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사람 또는 사람이 아닌 동물, 예를 들면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화장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벡터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핵산 구조체, 플라스미드, 또는 바이러스 유래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발현 벡터, 예를 들면 포유동물에서 발현 가능한 발현 벡터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숙주 세포는 박테리아, 또는 동물 세포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세포는 CHO(chinese hamster ovary cell)와 같은 알려진 동물 세포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SNAP-25, 신탁신 및 VAMP2를 포함하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담체 또는 어주반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약제학적,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뉴론-엑소사이토시스 매개된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상은 근긴장 질환(spastic ailments)일 수 있다. 상기 근긴장 질환은 신경통(dystonias), 사시(strabismus), 틱(tics), 안검연축(blepharospasm), 또는 안면 측만증(facial scoliosis)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함량, 및 담체 또는 어주반트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포함하는 SNAP-25, 신탁신 및 VAMP2를 포함하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담체 및 어주반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한 펩티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뉴론-엑소사이토시스 매개된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상은 근긴장 질환(spastic ailments)일 수 있다. 상기 근긴장 질환은 신경통(dystonias), 사시(strabismus), 틱(tics), 안검연축(blepharospasm), 또는 안면 측만증(facial scoliosis)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펩티드 또는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투여되는 상기 펩티드의 양은 개체에서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펩티드에 의하면,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그를 포함하는 벡터, 및 숙주세포에 의하면, 상기 펩티드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키트에 의하면,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또는 뉴론-엑소사이토시스 매개된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또는 뉴론-엑소사이토시스 매개된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7개 융합 펩티드가 PC12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융합 펩티드 C2-P4와 P4가 PC12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C2-P4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2-P4가 피부 자극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C2-P4가 세포 내 멜라닌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C2-P4가 배지 내 멜라닌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C2-P4 및 α-MSH 존재하에서 MITF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신경전달물질 분비 저해능을 갖는 펩티드의 선별 및 그 효능의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를 선별하고, 신경전달물질 분비 저해능,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1. 후보 펩티드 및 비교용 펩티드의 선정
SNARE 복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SNAP25, Sytaxin1a 및 VAMP2로부터 7개의 펩티드 단편을 선정하였다. 표 1은 7개 후보 및 비교용 펩티드를 나타낸 표이다. P1은 아지렐린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명칭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비고
P1 EEMQRR 1 h-SNAP25 (12-17aa)
P2 DARENEMDENLEQVSGI 2 h-SNAP25 (140-156aa)
P3 LSEIETRHSEIIKLENS 3 h-Syntaxin1a (192-208aa)
P4 RRLQQTQAQVDEVVDIM 4 h-VAMP2 (30-46aa)
P5 DARENEMDENLEQV 5 h-SNAP25 (140-153aa)
P6 LSEIETRHSEIIKL 6 h-Syntaxin1a (192-205aa)
P7 RRLQQTQAQVDEVV 7 h-VAMP2 (30-43aa)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1 내지 P7의 펩티드는 모두 사람 SNAP25, Syntaxin 1a, 및 VAMP2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유래된 6 내지 17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이다. 표 1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각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기 펩티드의 첫번째 아미노산과 마지막 아미노산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P1 내지 P7의 펩티드의 N 말단에 세포 투과성 펩티드의 C 말단을 연결한 융합 펩티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막 투과 펩티드는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IMT-P8 펩티드를 사용하였다. 이들 융합 펩티드를 C2-P1, C2-P2, C2-P3, C2-P4, C2-P5, C2-P6, 및 C2-P7이라고 명명하였다.
상기 P1 내지 P7의 펩티드는 (주)루젠에스씨아이에 의뢰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또한, C2-P1, C2-P2, C2-P3, C2-P4, C2-P5, C2-P6, 및 C2-P7의 융합 펩티드도 (주)루젠에스씨아이에 의뢰하여 화학적 합성 방법에 의하여 제작하였다.
2. 신경전달물질 저해능 측정
7개 융합 펩티드가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저해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을 선택하였다.
(1) 7개 융합 펩티드의 신경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
PC12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마트리겔로 코팅한 T-75 플라스크에 10% 말 혈청과 항생물질인 Antibiotic-Antimycotic (Gibco, penicillin 10000 units/mL, streptomycin 10000 μg/mL, Fungizone® (amphotericin B) 25 μg/mL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37℃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PC12 세포는 랫트의 부신 수질(adrenal medulla)에 발생한 크롬친화세포종(pheochromocytoma)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다. 부신 수질에서 카테콜아민 분비기능을 하는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s)는 이미 분화되어 분열하지 않으므로, 크롬친화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배양 가능한 PC12 세포가 흔히 사용된다.
배양이 끝난, PC-12 세포는 트립신-EDTA로 세포를 플라스크에서 분리한 후, 15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를 모았다. 모아진 세포는 1x105 cell/well의 농도로 10% 말 혈청과 상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 1ml에 접종하고 마트리겔이 코팅된 48-웰 플레이트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상기 RPMI 1640 배지에 각 실험군 펩티드 즉, 7개 융합 펩티드를 20 uM의 농도로 첨가하고 2시간 배양하였다. 각 실험군은 크렙 완충액 (118mM NaCl, 1.2mM MgSO4, 2.5mM CaCl2, 5mM KCl, 24mM NAHCO2, 2mM KH2PO4, 11mM 덱스트로스, pH 7.4)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고 고 칼륨 이온 함유 크렙 완충액 (56mM NaCl, 1.2 mM MgSO4, 2.5mM CaCl2, 68mM KCl, 24mM NaHCO3, 2mM KH2PO4, 11mM 덱스트로스, pH 7.4)에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을 하여 탈분극을 유도하였다. 탈분극이 유도된 샘플은 Norepinephrine ELISA Kit (Abnova Cat# KA1891)를 사용하여 ELISA를 수행하여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탈분극 유도된 시료를 세척을 하고 나면, 플레이트의 웰에는 배지가 제거되어 세포만 있게 된다. 세포를 탈분극을 시키기 위해 칼륨 이온을 함유한 크랩스 버퍼 용액을 플레이트에 넣어줘서 인위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이 나오게 하고, 세포에서 크랩스 버퍼로 방출된 신경전달 물질을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7개 융합 펩티드가 PC12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 대비 C2-P4 펩티드 처리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율이 35% 수준으로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7개 융합 펩티드 중 C2-P4 펩티드의 상대 분비량이 가장 많이 저해하였다.
(2) C2-P4와 P4의 세포 내 신경전달물질 분비 저해능 비교
PC12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마트리겔로 코팅한 T-75 플라스크에 10% 말 혈청과 항생물질인 Antibiotic-Antimycotic (Gibco, penicillin 10000 units/mL, streptomycin 10000 μg/mL, Fungizone® (amphotericin B) 25 μg/mL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37℃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PC12 세포는 랫트의 부신 수질(adrenal medulla)에 발생한 크롬친화세포종(pheochromocytoma)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다. 부신 수질에서 카테콜아민 분비기능을 하는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s)는 이미 분화되어 분열하지 않으므로, 크롬친화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배양 가능한 PC12 세포가 흔히 사용된다.
배양이 끝난, PC-12 세포는 트립신-EDTA로 세포를 플라스크에서 분리한 후, 15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를 모았다. 모아진 세포는 1x105 cell/well의 농도로 10% 말 혈청과 상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 1ml에 접종하고 마트리겔이 코팅된 48-웰 플레이트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상기 RPMI 1640 배지에 각 P4와 C2-P4 융합 펩티드를 20uM의 농도로 첨가하고 2시간 배양하였다. 각 실험군은 크렙 완충액 (118mM NaCl, 1.2mM MgSO4, 2.5mM CaCl2, 5mM KCl,24mM NAHCO2, 2mM KH2PO4, 11mM 덱스트로스, pH 7.4)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고 고 칼륨 이온 함유 크렙 완충액 (56mM NaCl, 1.2 mM MgSO4, 2.5mM CaCl2, 68mM KCl, 24mM NaHCO3, 2mM KH2PO4, 11mM 덱스트로스, pH 7.4)에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을 하여 탈분극을 유도하였다. 탈분극이 유도된 샘플은 Norepinephrine ELISA Kit (Abnova Cat# KA1891)를 사용하여 ELISA를 수행하여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탈분극 유도된 시료를 세척을 하고 나면, 플레이트의 웰에는 배지가 제거되어 세포만 있게 된다. 세포를 탈분극을 시키기 위해 칼륨 이온을 함유한 크랩스 버퍼 용액을 플레이트에 넣어줘서 인위적으로 신경전달물질이 나오게 하고, 세포에서 크랩스 버퍼로 방출된 신경전달 물질을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융합 펩티드 C2-P4와 P4가 PC12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 대비 P4와 C2-P4의 신경전달물질 분비율은 각각 75% 및 41% 수준이었다. 즉, 세포막 투과 펩티드가 융합된 C2-P4의 신경전달물질 분비율은 세포막 투과 펩티드가 융합되지 않은 P4에 비하여 34% 더 낮았다.
2. 선발된 펩티드의 독성 확인
(1) 원료물질 독성실험: MTT 분석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매한 B16-F10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x104 cell/well의 농도로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 100uL에 접종하고 48시간 배양하였다. B16-F10 세포는 생쥐로부터 유래된 쥐 흑색종(melanoma) 세포주이다. 이 세포는 흡착성(adherent)이고 상피성 모양(epithelial morphology)을 갖는다. 그 후, C2-P4 펩티드를 농도별 12.5, 25, 및 50 uM로 DMEM 배양액에 희석하여 교체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한 뒤,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은 PBS로 2회 세척하고 DMEM 배지에 희석하여 만든 0.5mg/ml MTT 용액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한 뒤 MTT 용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을 PBS로 2회 세척하고 DMSO를 150ul 첨가하여 생산된 포르마잔을 녹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Spectra MAX i3 기기에 넣고, 각 웰 중의 시료에 대하여 59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C2-P4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2-P4는 MTT 분석법에서 무작위 서열의 펩티드(scrambled peptide)인 음성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사한 세포 생존도를 나타내고 있어, 세포 독성이 없었다.
(2) 피부자극도 시험
테고사이언스에서 구매한 인공피부(Neoderm-ED)에 1xPBS와 5% SDS를 인공피부에 골고루 도포하여 각각 음성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을 만들었다. 실험군은 100ug/ml C2-P4 펩티드 20ul를 골고루 도포하였다. 1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12-웰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옮겨 37℃ 5% CO2 배양기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난 인공피부는 PBS로 2회 세척하고 새로운 12-웰 배양 플레이트의 웰로 옮겨 4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0.3mg/ml MTT 용액 2ml를 넣고 세포를 3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플레이트의 각 웰 중의 시료를 0.04N HCl-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탈색하고 Spectra MAX i3에 넣고, 각 웰 중의 시료에 5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C2-P4가 피부 자극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2-P4는 세포 생존율이 약 85%로서 무자극성이었다. 여기서, 세포 생존율이 음성대조군 대비 50% 이상이면 무자극으로 판정하하였다.
3. 선발된 펩티드의 미백효과 확인
(1) C2-P4 처리 후 세포 내부의 멜라닌 양 측정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매한 B16-F10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4 cell/well의 농도로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 1ml에 접종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세포 단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배지를 10% FBS와, C2-P4 펩티드 5uM 또는 10uM이 첨가된 DMEM(Phenol-red free) 배지로 교환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실험군은 PBS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EDTA로 세포를 수득하였다. 각 웰 중의 세포 단층은 10%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을 넣고 95℃에서 2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멜라닌 및 세포를 용해시킨 후 Spectra MAX i3 기기에 넣고, 각 웰 중의 시료에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C2-P4가 세포 내 멜라닌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2-P4는 5uM, 및 10uM 존재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180% 및 250%를 보여, 세포 내 멜라닌 수준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2) C2-P4 처리 후 배지에서의 멜라닌 양 측정
또한, (1)에서 배양 48시간에서 세포를 제거한 배양을 10% DMSO 가 첨가된 1N NaOH 용액을 넣고 95℃에서 20분간 멜라닌 및 세포를 용해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C2-P4가 배지 내 멜라닌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2-P4는 5uM, 및 10uM 존재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107% 및 105%를 보여, 배지 내 멜라닌 수준은 증가되지 않았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C2-P4의 존재하에서 세포 내부의 멜라닌 수준은 증가하나, 배지 내의 멜라닌 수준은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C2-P4에 의해 멜라닌의 세포 외부로의 분비가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3) C2-P4 처리 후 MITF 유전자 활성 측정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매한 B16-F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well의 농도로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 3ml에 접종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 단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DMEM 배지로 교체하고, 펩티드 처리 실험군과 α-MSH 실험군은 각각 펩티드 10uM과 α-MSH 50nM 함유 DMEM 배지로 교체하고 48시간 배양하였다. 각 실험군들은 PBS로 1회 세척하고 트립신-EDTA를 이용해 세포를 수득하여 1500rpm에 5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만 수득하였다. 수득된 세포로부터 Trizol을 이용해 RNA를 추출하고, 역전사 효소를 이용해 각각 1,000ng의 cDNA를 합성하였다. 각각의 합성된 cDNA의 100ng을 이용하여 GAPDH와 α-MSH의 발현양을 실시간(Real-time)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실시간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9, 및 10; 또는 서열번호 11, 및 12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트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7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7은 C2-P4 및 α-MSH 존재하에서 MITF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대조군 P4 α-MSH
23.10 23.45 23.41
GAPDH 23.14 23.56 23.36
23.58 23.27 23.74
30.76 30.86 30.05
MITF 31.24 31.24 29.98
31.12 30.55 30.17
도 7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16-F10 세포에서 C2-P4 펩티드에 의한 멜라닌 생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반면, 세포에 의한 멜라닌 분비가 C2-P4 펩티드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크로프탈미아-연관 전사인자(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는 사람에서 멜라노사이트에서 정상적 멜라닌 합성에 필수적인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7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2-P4 펩티드는 멜라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MITF 유전자의 발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이는 상기 C2-P4 펩티드는 멜라닌 생성 증가가 아닌 세포 외부로의 분비 억제에 의해 멜라닌이 세포 내부에 축적되도록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Medytox Inc. <120> Peptide inhibiting formation of SNARE complex and use thereof <130> PN130748KR <160> 1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1 <400> 1 Glu Glu Met Gln Arg Arg 1 5 <210> 2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2 <400> 2 Asp Ala Arg Glu Asn Glu Met Asp Glu Asn Leu Glu Gln Val Ser Gly 1 5 10 15 Ile <210> 3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3 <400> 3 Leu Ser Glu Ile Glu Thr Arg His Ser Glu Ile Ile Lys Leu Glu Asn 1 5 10 15 Ser <210> 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4 <400> 4 Arg Arg Leu Gln Gln Thr Gln Ala Gln Val Asp Glu Val Val Asp Ile 1 5 10 15 Met <210> 5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5 <400> 5 Asp Ala Arg Glu Asn Glu Met Asp Glu Asn Leu Glu Gln Val 1 5 10 <210> 6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6 <400> 6 Leu Ser Glu Ile Glu Thr Arg His Ser Glu Ile Ile Lys Leu 1 5 10 <210> 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7 <400> 7 Arg Arg Leu Gln Gln Thr Gln Ala Gln Val Asp Glu Val Val 1 5 10 <210> 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IMT-P8 peptide <400> 8 Arg Arg Trp Arg Arg Trp Asn Arg Phe Asn Arg Arg Arg Cys Arg 1 5 10 15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9 catggacttt cccttatcc 19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0 gtgagatcca gagttgtc 18 <210> 1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1 agcaatgcct cctgcaccac caac 24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primer <400> 12 ccggaggggc catccacagt ct 22

Claims (12)

  1.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펩티드로서, VAMP2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인 것인 펩티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편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펩티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의 N 말단 아미노산은 아세틸화된 것인 펩티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의 C 말단의 아미노산은 아미드화된 것인 펩티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세포막 투과 펩티드와 융합되어 있는 것인 펩티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투과 펩티드는 TD1, IMT-P8, Transkin, VP2-2, RBD-1, SN25-2, STX-1, 및 TDb-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펩티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투과 펩티드는 IMT-P8인 것인 펩티드.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키트.
  10. 청구항 7에 있어서, 희석제, 부형제, 담체, 및 어주반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키트.
  11.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유효한 양의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화장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011344A 2020-01-30 2020-01-30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KR2021009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44A KR20210097530A (ko) 2020-01-30 2020-01-30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PCT/KR2021/000865 WO2021153946A1 (ko) 2020-01-30 2021-01-22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CA3169953A CA3169953A1 (en) 2020-01-30 2021-01-22 Peptide inhibiting formation of snare complex and use thereof
CN202180012001.6A CN115023433A (zh) 2020-01-30 2021-01-22 抑制snare复合物形成的肽及其用途
AU2021214474A AU2021214474B2 (en) 2020-01-30 2021-01-22 Peptide inhibiting formation of SNARE complex and use thereof
JP2022545368A JP7438376B2 (ja) 2020-01-30 2021-01-22 Snare複合体の形成を阻害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EP21747750.4A EP4098656A4 (en) 2020-01-30 2021-01-22 PEPTIDE INHIBITING THE FORMATION OF THE SNARE COMPLEX AND ITS USE
BR112022014944A BR112022014944A2 (pt) 2020-01-30 2021-01-22 Peptídeo, composição para clareamento de pele ou redução de rugas, método para clareamento de pele ou redução de rugas de um indivíduo,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ão para clareamento de pele ou redução de rugas e uso do peptídeo
KR1020220007368A KR102513577B1 (ko) 2020-01-30 2022-01-18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44A KR20210097530A (ko) 2020-01-30 2020-01-30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68A Division KR102513577B1 (ko) 2020-01-30 2022-01-18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530A true KR20210097530A (ko) 2021-08-09

Family

ID=770795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344A KR20210097530A (ko) 2020-01-30 2020-01-30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KR1020220007368A KR102513577B1 (ko) 2020-01-30 2022-01-18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68A KR102513577B1 (ko) 2020-01-30 2022-01-18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098656A4 (ko)
JP (1) JP7438376B2 (ko)
KR (2) KR20210097530A (ko)
CN (1) CN115023433A (ko)
AU (1) AU2021214474B2 (ko)
BR (1) BR112022014944A2 (ko)
CA (1) CA3169953A1 (ko)
WO (1) WO20211539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56B1 (ko) * 2022-12-21 2023-07-05 (주)메디톡스 세포로부터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WO2023239229A1 (ko) * 2022-06-10 2023-12-14 (주)메디톡스 보툴리눔 독소 안정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4620A1 (en) * 1996-03-18 1997-09-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eptide inhibitors of neurotransmitter secretion by neuronal cells
WO2008026852A1 (en) * 2006-08-31 2008-03-06 Forhumantech Co., Ltd. Fusion polypeptide for inhibiting neurotransmitter secre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it
KR20090041066A (ko) * 2007-10-23 2009-04-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합성 펩타이드
WO2011022357A2 (en) * 2009-08-17 2011-02-24 East Carolina University Fast acting snare-cleaving enzymes
KR101293777B1 (ko) * 2010-06-30 2013-08-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펩타이드
US10850246B2 (en) * 2016-11-21 2020-12-01 IndagoMed, LLC Method for preparing pH dependent ultra small polymeric nanoparticles for topical and/or transdermal delivery
WO2018173077A1 (en) 2017-03-24 2018-09-27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Chemically modified cell-penetrating peptide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nucleic acids
KR20200011499A (ko) * 2017-05-31 2020-02-03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멜라닌세포 과다활성 및/또는 과량의 멜라닌과 연관된 장애 치료를 위한 보툴리눔 신경독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229A1 (ko) * 2022-06-10 2023-12-14 (주)메디톡스 보툴리눔 독소 안정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KR102550756B1 (ko) * 2022-12-21 2023-07-05 (주)메디톡스 세포로부터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577B1 (ko) 2023-03-24
KR20220012979A (ko) 2022-02-04
AU2021214474A1 (en) 2022-09-15
CN115023433A (zh) 2022-09-06
BR112022014944A2 (pt) 2022-09-20
CA3169953A1 (en) 2021-08-05
JP7438376B2 (ja) 2024-02-26
EP4098656A1 (en) 2022-12-07
JP2023511693A (ja) 2023-03-22
AU2021214474B2 (en) 2023-12-07
EP4098656A4 (en) 2024-04-10
WO2021153946A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079B1 (ko) 신경세포 투과성이 향상된 신경전달물질 조절 펩타이드
KR101757946B1 (ko) 근 수축을 억제하는 화합물
KR102513577B1 (ko)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CN112040969B (zh) 用于化妆品和医药的肽和组合物
JP6470679B2 (ja) ニューロンの開口分泌を阻害する化合物(iii)
KR101746787B1 (ko) 미백, 피부 탄력, 주름 개선 및 상처치유 활성을 갖는 다기능성 피부투과 펩타이드
US9393187B2 (en) Peptide compounds that inhibit neuronal exocytosis
KR101782569B1 (ko) 미백,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다기능성 피부투과 펩타이드
KR20240004161A (ko) 신경세포 투과 촉진 활성의 펩타이드
KR102042758B1 (ko) 경피투과도가 향상된 신경전달물질 조절 펩타이드 화장료 조성물
RU2812638C1 (ru) Пептид, ингибирующий образование комплекса snare,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2246906B1 (ko) 피부 또는 세포 투과능이 우수한 피부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0756B1 (ko) 세포로부터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해하는 펩티드, 및 그의 용도
KR101841241B1 (ko) 피부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펩티드 융합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459219B1 (ko) 신규한 피부투과성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피부 및 점막 조성물과 이의 용도
KR20190073147A (ko)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0981B1 (ko) 겐티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79062B1 (ko) 각질세포 성장인자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142898A1 (en) Peptid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on muscarinic receptor m3
KR20190126041A (ko) 경피투과도가 향상된 신경전달물질 조절 펩타이드 화장료 조성물
EA044523B1 (ru) Пептиды, обладающие ингиби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 отношении мускаринового рецептора m3
KR20190073206A (ko) 티모신 베타 4의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