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229A -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229A
KR20210096229A KR1020217020474A KR20217020474A KR20210096229A KR 20210096229 A KR20210096229 A KR 20210096229A KR 1020217020474 A KR1020217020474 A KR 1020217020474A KR 20217020474 A KR20217020474 A KR 20217020474A KR 20210096229 A KR20210096229 A KR 20210096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tank
chemical liquid
ballast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789B1 (ko
Inventor
고지 야마모토
미츠아키 야마모토
다케시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1009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30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flow charts; Details of 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 B01F25/314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injector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2Injector mixers wherein the additional components are added in a by-pass of the main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21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by moving the components in a convoluted or labyrinthin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5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f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2Concentration, pH, pOH, p(ION) or oxygen-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9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as a whole, i.e. involving a comple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the mixing process during the whole mixing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6Devices for dosing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7Devices for dosing soli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50Elements used for separating or keeping undissolved material in the mixer
    • B01F21/502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8Tort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8Removal of treatment agents after treatment
    • C02F2303/185The treatment agent being halogen or a halogenated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밸러스트수 처리용의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 용기와,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약제와 상기 약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약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갖는 약액 조제 탱크와,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상기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 저류 탱크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에 저류된 상기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선이나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을 적하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시키기 위해서, 해수를 선박 내에 밸러스트수로서 저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선박에 적하를 탑재할 때에는 밸러스트수를 바다로 배출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밸러스트수 안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바다의 생태계가 파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를 살균 처리하는 대책이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약제 용해 탱크와, 당해 약제 용해 탱크의 내부에 투입되는 살균제 등의 저장과 배분을 위한 약제 정량 투입기와, 당해 약제 정량 투입기로부터 약제 용해 탱크에 투입된 약제를 용매와 함께 혼합 및 용해시키기 위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살균 처리용 약제 저장 및 용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밸러스트 배관에 양단이 접속된 바이패스 배관에 약제를 공급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약제 정량 투입기로부터 약제 용해 탱크에 약제를 투입하고, 교반기에 의해 당해 약제와 용매를 혼합함으로써 약액을 조제하고, 당해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약제 용해 탱크 내에 있어서 혼합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하게 될 염려가 있어, 약제 농도가 안정적인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과제가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7-527439호 국제 공개 제2018/1686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농도가 안정적인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밸러스트수 처리용의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 용기와,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약제와 상기 약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약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갖는 약액 조제 탱크와,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상기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 저류 탱크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에 저류된 상기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농도가 안정적인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선분 II-II 를 따른 살균액 조제 탱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밸러스팅시에 있어서의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그 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예를 들어 화물선이나 컨테이너선 등의 선박 내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의 창수 (밸러스팅) 시에 밸러스트수 (W1) 를 살균 처리하고, 또한 밸러스트 탱크로부터의 밸러스트수 (W1) 의 배출 (디밸러스팅) 시에 밸러스트수 (W1) 를 중화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선박의 엔진 룸 내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내에는, 밸러스트수 (W1) 를 밸러스트 탱크 (도시하지 않음) 로 유도하는 밸러스트 배관 (2) 과, 밸러스트 배관 (2) 에 양단이 접속된 바이패스 배관 (3) 과, 바이패스 배관 (3) 에 설치된 바이패스 펌프 (3A) 와, 바이패스 배관 (3) 보다 하류측에 있어서 밸러스트 배관 (2) 에 양단이 접속된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과,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에 설치된 측정용 바이패스 펌프 (4A) 와, 밸러스트 배관 (2) 내의 밸러스트수 (W1) 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 (5) 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측정부 (5) 는, 밸러스트 배관 (2) 에 있어서 바이패스 배관 (3) 의 상류단의 접속부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량 측정부 (5) 보다 상류측에는, 밸러스트 배관 (2) 내에 밸러스트수 (W1) (해수) 를 퍼 올리는 밸러스트 펌프 (도시하지 않음) 나 필터 유닛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밸러스트 배관 (2) 의 도중에는, 믹서 (5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믹서 (5A) 는, 밸러스트수 (W1) 가 사행상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이패스 배관 (3) 의 하류단이 믹서 (5A)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밸러스트 배관 (2)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 (W1) 와 바이패스 배관 (3) 으로부터 밸러스트 배관 (2) 에 합류하는 밸러스트수 (W1) 를, 믹서 (5A) 에 있어서 혼합할 수 있다.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에 있어서의 측정용 바이패스 펌프 (4A) 보다 하류측의 부위에는, 분기 배관 (6) 이 접속되어 있다. 분기 배관 (6) 에는, 측정용 밸브 (6A) 와 정유량 밸브 (6B) 가 형성되어 있고, 측정용 밸브 (6A) 를 여는 것에 의해,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으로부터 분기 배관 (6) 으로 분류된 밸러스트수 (W1) 를, 농도 측정부 (7) 에 일정 유량으로 도입할 수 있다. 이 농도 측정부 (7) 에 의해, 밸러스트수 (W1) 의 잔류 염소 농도가 측정된다. 또한, 정유량 밸브 (6B) 는, 농도 측정부 (7) 에서의 측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농도 측정 후의 밸러스트수 (W1) 는, 물받이부 (8) 에 모인다.
밸러스트 배관 (2) 에는,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의 하류단의 접속부보다 하류측에 배수 배관 (5B) 이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배관 (5B) 에는 밸브 (5C) 가 형성되어 있고, 밸러스트 배관 (2) 에 있어서 배수 배관 (5B) 의 접속부보다 하류측에도 밸브 (5D)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약제 유지 용기 (10) 와, 약액 조제 탱크 (20) 와, 약액 저류 탱크 (30) 와, 약액 공급부 (40) 와, 제어부 (50) 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은,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에 있어서의 주요한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동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제 유지 용기 (10) 는, 밸러스트수 처리용의 약제 (살균제 (S1), 중화제 (N1)) 를 유지하는 것이며, 살균제 유지 용기 (11) 와, 중화제 유지 용기 (12) 를 가지고 있다.
살균제 유지 용기 (11) 는, 밸러스트수 (W1) 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살균제 (S1) 를 수용하는 호퍼이다. 살균제 유지 용기 (11) 의 상부에는 살균제 (S1) 의 투입구 (13) 가 형성되어 있고, 살균제 유지 용기 (11) 의 저부에는 살균제 (S1) 의 낙하구 (1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제 유지 용기 (11) 는, 낙하구 (15) 를 향하여 앞부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살균제 (S1) 로는, 예를 들어 과립상 또는 분말상의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살균제 유지 용기 (11) 에는, 살균제 (S1) 의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잔량 검지부 (14) 는, 예를 들어 포토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살균제 유지 용기 (11) 내에 설치된 발광부 (14A) 와, 발광부 (14A) 에 대향하는 수광부 (14B) 를 가지고 있다. 살균제 (S1) 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발광부 (14A) 로부터의 광 (L1) 이 살균제 (S1) 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수광부 (14B) 에 의한 수광량이 적어진다. 한편, 살균제 (S1) 의 잔량이 적어지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L1) 이 살균제 (S1) 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수광부 (14B) 에 도달하기 때문에, 수광량이 많아진다. 이와 같은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살균제 (S1) 의 잔량이 적어진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살균제 유지 용기 (11) 에는, 냉각 기구 (16) 가 설치되어 있다. 살균제 (S1) 를 고온하에 두면 염소계 가스가 발생하는데, 냉각 기구 (16) 에 의해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기구 (16) 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살균제 유지 용기 (11) 를 덮는 냉각수 재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화제 유지 용기 (12) 는, 밸러스트수 (W1) 를 중화 처리하기 위한 중화제 (N1) 를 수용하는 호퍼로서, 기본적으로 살균제 유지 용기 (1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냉각 기구 (16) 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중화제 (N1) 는, 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 등의 환원제로서, 산화하면 중화 능력이 저하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화제 유지 용기 (12) 는, 패킹 등을 사용한 밀폐도가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살균제 유지 용기 (11) 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약액 조제 탱크 (20) 는, 약제 (살균제 (S1), 중화제 (N1)) 가 물 (W2) 에 용해된 약액 (살균액 (S11), 중화액 (N11)) 을 조제하는 것으로, 살균액 조제 탱크 (21) 와, 중화액 조제 탱크 (22) 를 가지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액 조제 탱크 (21) 는, 살균제 유지 용기 (11) 에 대하여 연직 방향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 본체 (23) 와, 혼합부 (24) 를 가지고 있다. 탱크 본체 (23) 는, 살균제 유지 용기 (11) 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제 (S1) 와 당해 살균제 (S1) 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 (W2) 을 수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혼합부 (24) 는, 탱크 본체 (23) 내에 있어서 살균제 (S1) 와 물 (W2) 을 혼합하는 것이다.
탱크 본체 (23) 는, 예를 들어 10 ℓ 정도의 용적을 갖고, 상측 탱크구 (23A) 및 하측 탱크구 (23B) 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 본체 (23) 에는, 하측 탱크구 (23B) 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저면 (23B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23BB) 을 형성함으로써, 선박이 기울었을 때에도, 탱크 본체 (23) 내의 용액 (살균액 (S11)) 이 하측 탱크구 (23B) 를 향해 흐를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탱크구 (23A) 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배관 (90) 에 의해 살균제 유지 용기 (11) 의 낙하구 (15)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배관 (90) 에는, 살균제 유지 용기 (11) 로부터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로의 살균제 (S1) 의 공급 (낙하)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제 1 밸브 (91) 및 제 2 밸브 (92) 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제 2 밸브 (92) 는 예를 들어 핀치 밸브이고, 이로써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살균제 유지 용기 (11) 로의 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배관 (90) 내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공기 공급부 (도시하지 않음) 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살균제 (S1) 의 고착 방지 대책이 취해져 있어도 된다.
탱크 본체 (23) 는, 밀폐 구조를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티탄 등의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있어서 고농도의 살균액 (S11) 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 (23) 의 재질은 티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염화비닐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식성 및 내구성을 겸비하는 티탄이 바람직하다.
혼합부 (24) 는, 탱크 본체 (23) 내의 중심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탱크 본체 (23) 의 밖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원 (24A) 과, 구동원 (24A) 에 의해 축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축 (24B) 과, 회전축 (24B) 의 하단부에 형성된 교반 날개 (24C) 를 포함한다.
도 2 는, 도 1 중의 선분 II-II 를 따른 살균액 조제 탱크 (21)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액 조제 탱크 (21) 는, 탱크 본체 (23) 내에 있어서 혼합부 (24) 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장) 의 방해판 (25) 을 가지고 있다. 각 방해판 (25) 은, 탱크 본체 (23) 의 내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직경 방향 내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회전축 (24B) 과 평행이 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 (26)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검지부 (26) 는, 탱크 본체 (23) 내에 배치된 액면계로, 살균액 (S11) 의 액면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를 실시한다.
중화액 조제 탱크 (22) 는, 기본적으로 살균액 조제 탱크 (2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약제 (살균제 (S1), 중화제 (N1)) 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 (W2) 을 저류하는 저수부 (51) 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부 (51) 의 저부에는, 급수 배관 (54) 의 일방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 배관 (54) 은 2 개로 분기되어 있고, 각 분기 부분의 단부가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 및 중화액 조제 탱크 (22) 내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각 분기 부분에는, 저수부 (51) 로부터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중화액 조제 탱크 (22) 로의 물 (W2) 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급수 밸브 (52) 가 형성되어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저수부 (51) 에 저류된 물 (W2) 을 가열하는 가열부 (53) 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부 (53) 는, 예를 들어 전열 히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저수부 (51) 내의 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가온된 물 (W2) 을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중화액 조제 탱크 (22) 에 각각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탱크 내에 있어서 고농도의 약액을 빠르게 (혹은 단시간에) 조제할 수 있다.
약액 저류 탱크 (30) 는, 약액 조제 탱크 (20) 에 있어서 약제를 물 (W2) 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약액 (살균액 (S11), 중화액 (N11)) 을 저류하는 것이다. 약액 저류 탱크 (30) 는, 살균액 저류 탱크 (31) 와, 중화액 저류 탱크 (32) 를 가지고 있다.
살균액 저류 탱크 (31) 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큰 용적을 갖는 밀폐 탱크로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대하여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살균제 유지 용기 (11),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는, 연직 방향 (상하 방향) 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는, 상측 탱크구 (31A) 및 하측 탱크구 (31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탱크구 (31A) 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 2 배관 (60) 에 의해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의 하측 탱크구 (23B)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배관 (60) 에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살균액 저류 탱크 (31) 로의 살균액 (S11) 의 공급 (낙하)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제 3 밸브 (6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저면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당해 저면 중 하측 탱크구 (31B) 가 형성된 부위가 하방으로 패임으로써, 오목부 (31BB) 가 형성되어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 (35)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검지부 (35) 는,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 배치된 액면계로서, 살균액 (S11) 의 액면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액면이 낮아지고, 거기에 수반하여 제 2 검지부 (35) 의 플로트부 (32A) 의 위치가 오목부 (31BB) 내까지 내려감으로써 제 2 검지부 (35) 내의 통전 상태가 변화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살균액 (S11) 의 양이 하한량 이하가 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31BB) 를 형성함으로써, 플로트부 (32A) 에 의해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감소가 검지되었을 때에,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 남아 있는 살균액 (S11) 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는, 가스 배출 기구 (7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배출 기구 (70) 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내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 있어서 액면의 상방 공간으로 개구하도록 분기한 가스 배출관 (72) 과, 가스 배출관 (72) 에 설치된 블로어 (71) 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서는, 이하의 반응에 의해 염소 가스가 발생한다. 먼저, 살균제 (S1)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나트륨) 의 물 (W2) 에 대한 용해는, C3H4Cl2N3O5Na → C3H3N3O3 + NaClO + HClO, 의 반응식과 같다. 그리고, 살균액 (S11) 의 분해에 의해, 2HClO → 2HCl + O2 ↑, HCl + HClO ⇔ Cl2 + H2O, 의 반응이 진행되어, 염소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소 가스를, 블로어 (71) 를 기동함으로써, 가스 배출관 (72) 을 통하여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로부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상부에 있어서 가스 배출관 (72) 의 단부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는, 흡기 밸브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 있어서 흡기 밸브 (33) 측으로부터 가스 배출관 (72) 의 단부측을 향하는 가스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염소 가스를 보다 배출하기 쉬워진다.
중화액 저류 탱크 (32) 는, 기본적으로 살균액 저류 탱크 (3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흡기 밸브 (33) 대신에 브리더 밸브 (34)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브리더 밸브 (34) 는, 중화액 저류 탱크 (32)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에는 탱크 밖으로 공기를 내보내고, 한편으로 중화액 저류 탱크 (32)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때에는 탱크 내로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화액 저류 탱크 (32) 내의 압력이 대기압인 경우에는, 브리더 밸브 (34) 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1 중의 중화액 저류 탱크 (32) 에 있어서,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약액 공급부 (40) 는, 약액 저류 탱크 (30) 에 저류된 약액 (살균액 (S11), 중화액 (N11)) 을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하는 것으로, 살균액 공급부 (41) 와, 중화액 공급부 (42) 를 가지고 있다.
살균액 공급부 (41) 는, 일방의 단부가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하측 탱크구 (31B) 에 접속됨과 함께 타방의 단부가 바이패스 배관 (3) (바이패스 펌프 (3A) 보다 하류측의 부위) 에 접속된 공급 배관 (43) 과, 공급 배관 (43) 에 설치된 공급 펌프 (44) 및 그 하류측의 공급 밸브 (45) 를 가지고 있다.
중화액 공급부 (42) 는, 기본적으로 살균액 공급부 (41)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화액 공급부 (42) 의 공급 배관 (43) 의 하류단은, 바이패스 배관 (3) 에 있어서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배관 (43) 의 하류단보다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도 1 중의 중화액 공급부 (42) 에 있어서, 살균액 공급부 (41) 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 (50) 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이다. 제어부 (50) 는, 제 1 ∼ 제 3 밸브 (91, 92, 61), 급수 밸브 (52), 공급 밸브 (45), 혼합부 (24), 가열부 (53) 및 공급 펌프 (44) 를 제어하는 출력부 (55) 와, 제 1 검지부 (26) 및 제 2 검지부 (35) 에 의한 검지 결과를 접수하는 접수부 (56) 와,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각종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 (57) 를 포함한다.
각 동작 프로그램에는 상기 각 기기의 제어 순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출력부 (55) 가 이것에 따라 상기 각 기기를 제어한다. 출력부 (55) 및 접수부 (56) 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 (57) 는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어부 (50) 에 의해 실시되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밸러스팅시의 살균 처리>
먼저, 밸러스팅시의 살균 처리에 있어서의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의 플로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밸브 (5D) 를 열림 상태로 그리고 밸브 (5C) 를 닫힘 상태로 하고, 밸러스트 펌프 (도시하지 않음) 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수를 밸러스트 배관 (2) 내에 밸러스트수 (W1) 로서 퍼 올린다. 퍼 올려진 밸러스트수 (W1) 는, 밸러스트 배관 (2) 내를 밸러스트 탱크를 향해 흐르고 (도 1 중의 우측으로부터 좌측), 밸러스트 탱크 내로 주수된다. 이 때, 바이패스 펌프 (3A) 를 작동시킴으로써, 밸러스트수 (W1) 의 일부를 밸러스트 배관 (2) 으로부터 바이패스 배관 (3) 으로 분류시킨다. 그리고, 바이패스 배관 (3) 을 흐른 밸러스트수 (W1) 는, 믹서 (5A) 에 있어서, 밸러스트 배관 (2) 을 흐르는 밸러스트수 (W1) 에 합류한다.
이 밸러스팅시에, 살균액 (S11) 을, 바이패스 배관 (3)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 (주입) 한다 (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50) 가,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밸브 (45) 를 여는 것과 함께 공급 펌프 (44) 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살균액 저류 탱크 (31) 로부터 유출된 살균액 (S11) 이, 공급 배관 (43) 을 통하여 바이패스 배관 (3) 내로 주입된다. 그 후, 믹서 (5A) 에 있어서, 살균액 (S11) 이 밸러스트수 (W1) 중에 균일하게 혼합된다.
또한 밸러스팅시, 살균액 (S11) 의 주입 후의 밸러스트수 (W1) 의 잔류 염소 농도가, 농도 측정부 (7) 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용 바이패스 펌프 (4A) 를 작동시킴과 함께 측정용 밸브 (6A) 를 여는 것에 의해, 농도 측정부 (7) 에 밸러스트수 (W1) 를 유입시킨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농도 측정부 (7) 에 의해 측정된 잔류 염소 농도가 설정 농도 (예를 들어, 7 ㎎/ℓ) 에 가까워지도록,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펌프 (44) 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살균액 (S11) 을 밸러스트수 (W1) 에 주입함으로써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감소하고,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인 것이 제 2 검지부 (35) 에 의해 검지되면 (스텝 S20 의 「YES」), 그 검지 신호가 제어부 (50) (접수부 (56)) 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당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살균액 (S11) 을 보충하는 살균액 보충 동작 (약액 보충 동작) 을 실시한다 (스텝 S3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50) (출력부 (55)) 는, 제 3 밸브 (61) 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살균액 (S11) 이,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제 2 배관 (60) 을 통하여 살균액 저류 탱크 (31) 로 낙하하고,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살균액 (S11) 이 보충된다.
상기 보충 동작에 의해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감소하고,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가 된 것이 제 1 검지부 (26) 에 의해 검지되면 (스텝 S40 의 「YES」), 그 검지 신호가 제어부 (50) (접수부 (56)) 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당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살균액 조제 동작 (약액 조제 동작) 을 개시한다 (스텝 S5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50) 는, 제 3 밸브 (61) 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고, 급수 밸브 (52) 를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제 1 및 제 2 밸브 (91, 92) 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회전축 (24B) 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저수부 (51) 로부터 급수 배관 (54) 을 통해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로 물 (W2) 이 공급됨과 함께, 살균제 유지 용기 (11) 로부터 제 1 배관 (90) 을 통해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로 살균제 (S1) 가 낙하한다. 그리고, 살균제 (S1) 를 포함한 물 (W2) 이, 교반 날개 (24C) 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이로써, 살균제 (S1) 가 물 (W2) 에 용해되어, 소정 농도의 살균액 (S11) 이 조제된다. 이 때, 제어부 (50) 가 가열부 (53) 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온된 물 (W2) 이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공급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살균제 (S1) 가 물 (W2) 에 빠르게 용해되기 때문에, 고농도의 살균액 (S11) 을 빠르게 (혹은 단시간에)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살균액 조제 동작의 실행 시간은, 컨트롤 유닛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관리되는데,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탱크 만수시부터 보충 개시의 지표가 되는 하한량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에 비하여 짧다. 일례로서, 전자가 5 ∼ 10 분 정도인 데에 반하여, 후자가 20 분 정도 (공급 펌프 (44) 의 출력 최대시) 이다.
또한 제어부 (50) 는, 살균액 조제 동작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일정량의 물 (W2) 이 저수부 (51) 로부터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공급되도록, 급수 밸브 (52) 의 열림 시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수부 (51) 에는 미리 정해진 일정량의 물 (W2) 이 저류되어 있고, 제어부 (50) 는, 저수부 (51) 내의 물 (W2) 이 모두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공급될 때까지, 급수 밸브 (52) 의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 (50) 는, 제 1 검지부 (26) 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살균액 조제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액 보충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살균액 조제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이 경과 시간은, 컨트롤 유닛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계측되어도 된다.
<살균액의 배출>
다음으로, 살균액 (S11) 의 배출시에 있어서의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살균액 (S11) 은, 탱크 등의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밸러스팅의 완료 후에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 모두 선 외로 배출한다.
먼저, 살균액 (S11) 을 배출할 때에는, 밸브 (5D) 가 닫힘 상태이고 또한 밸브 (5C) 가 열림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밸러스트 펌프에 의해 선 외로부터 퍼 올려진 밸러스트수 (W1) 는, 밸러스트 배관 (2), 바이패스 배관 (3) 및 측정용 바이패스 배관 (4) 내를 흐른 후에 배수 배관 (5B) 내로 유입되어, 당해 배수 배관 (5B) 을 통해서 선 외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 (50) (출력부 (55)) 는, 살균액 공급부 (41) 및 중화액 공급부 (42) 의 각각의 공급 밸브 (45) 를 여는 것과 함께, 각각의 공급 펌프 (44) 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에 남은 살균액 (S11) 이, 바이패스 배관 (3) 내를 흐르는 밸러스트수 (W1) 중으로 배출되고, 그 후, 중화액 (N11) 이 주입됨으로써 밸러스트수 (W1) 가 무해화된다.
이와 같이, 중화 처리에 의해 무해화된 밸러스트수 (W1) 가, 배수 배관 (5B) 을 통해서 선 외로 배출된다. 또한, 밸러스팅시와 동일하게, 농도 측정부 (7) 에 의해 밸러스트수 (W1) 의 잔류 염소 농도가 측정된다. 살균액 (S11) 의 배출시에는, 당해 잔류 염소 농도가 0 ㎎/ℓ 이 되도록, 살균액 (S11) 과 중화액 (N11) 의 주입량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그리고, 살균액 저류 탱크 (31) 가 비워진 후, 제어부 (50) (출력부 (55)) 는, 제 3 밸브 (61) 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내에 남은 살균액 (S11) 이, 제 2 배관 (60), 살균액 저류 탱크 (31), 공급 배관 (43) 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바이패스 배관 (3) 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하게, 중화액 (N11) 의 주입에 의해 무해화된 밸러스트수 (W1) 가, 배수 배관 (5B) 을 통해서 선 외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 및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에 남은 살균액 (S11) 이 배출된 후, 계속해서 살균액 저류 탱크 (31) 및 살균액 조제 탱크 (21) 의 세정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50) 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로부터의 살균액 (S11) 의 배출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배출 완료 신호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하한량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제 1 검지부 (26) 로부터의 신호,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의 살균액 (S11) 의 양이 하한량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제 2 검지부 (35) 로부터의 신호의 양방) 에 기초하여, 급수 밸브 (52) 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저수부 (51) 로부터 급수 배관 (54) 을 통해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에 물 (W2) 이 공급되고, 당해 물 (W2) 에 의해 살균액 조제 탱크 (21) 의 내면이 세정된다.
또한 제어부 (50) 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내에 일정량의 물 (W2) 이 모인 후, 제 3 밸브 (61) 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물 (W2) 은, 제 2 배관 (60) 을 통해서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살균액 저류 탱크 (31) 내로 낙하하여,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내면도 물 (W2) 에 의해 세정된다. 그 후, 제어부 (50) 가 공급 밸브 (45) 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공급 펌프 (44) 를 작동시킴으로써, 세정 후의 물 (W2) 이 살균액 저류 탱크 (31) 로부터 배출된다.
이 세정 동작에 의해,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부식을 방지하고, 또한 각 탱크의 내면에 물방울 상태로 남아 있는 살균액 (S11) 을 완전히 씻어내는 것에 의해 염소 가스의 발생을 완전히 없앨 수도 있다. 또한 살균액 저류 탱크 (31) 및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의 살균액 (S11) 의 배출이 완료된 후, 흡기 밸브 (33) 를 열고 또한 블로어 (71) 를 작동시킴으로써, 양 탱크 내의 염소 가스를 탱크 밖으로 배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에서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와 살균액 저류 탱크 (31) 따로 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 있어서 살균제 (S1) 와 물 (W2) 을 혼합함으로써 살균액 (S11) 을 조제하고, 살균액 (S11) 을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있어서 일단 저류한 후에,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살균액 조제 탱크 (21) 에서 조제한 살균액 (S11) 을 밸러스트수 (W1) 에 직접 공급하는 것과는 달리, 혼합이 불충분한 살균액 (S11) 이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제 농도가 안정적인 살균액 (S11) 을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A) 에 대하여,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A) 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바이패스 배관 (3) 이 아니라 밸러스트 배관 (2) 에 약액 (살균액 (S11), 중화액 (N11)) 을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와는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1) 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서는, 밸러스트 배관 (2) 에 대하여 바이패스 배관 (3) (도 1)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배관 (43) 및 중화액 공급부 (42) 의 공급 배관 (43) 이, 각각 밸러스트 배관 (2) 의 믹서 (5A) 의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농도가 안정적인 살균액 (S11) 을 밸러스트수 (W1) 에 공급할 수 있다.
(그 외 실시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그 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에서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제 2 배관 (60) 을 통해서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살균액 (S11) 을 낙하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관 (60) 은, 살균액 조제 탱크 (21) (탱크 본체 (23)) 내의 살균액 (S11) 에 침지된 일방의 단부 (60A) 를 갖고, 당해 일방의 단부 (60A) 로부터 살균액 조제 탱크 (21) 의 밖으로 연장된 후,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접속된 타방의 단부 (60B) 에 이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살균액 저류 탱크 (31) 의 밖에 배치된 제 3 밸브 (61) 를 열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살균액 (S11) 을 살균액 조제 탱크 (21) 로부터 살균액 저류 탱크 (31) 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서는,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가 각각 다른 용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 개의 탱크 내에 칸막이를 배치하고, 당해 칸막이에 의해 격리되는 2 개의 공간을 규정하는 부분이 각각 살균액 조제 탱크 및 살균액 저류 탱크로서 기능해도 된다.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수 (W1) 를 선 외로 배출할 때 (디밸러스팅시) 에는, 실시형태 1 에서 설명한 밸러스팅시의 살균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3 의 플로 차트에 따라, 밸러스트수 (W1) 로의 중화액 (N11) 의 주입, 중화액 (N11) 의 보충 및 중화액 (N11) 의 조제가 실시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 에서 설명한 가열부 (53) 및 방해판 (25) 은 생략되어도 된다.
살균제 유지 용기 (11), 살균액 조제 탱크 (21) 및 살균액 저류 탱크 (31) 는, 실시형태 1 과 같이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중화제 유지 용기 (12), 중화액 조제 탱크 (22) 및 중화액 저류 탱크 (32) 는, 실시형태 1 과 같이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배관 (43) 이 중화액 공급부 (42) 의 공급 배관 (43) 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바이패스 배관 (3) 에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중화액 공급부 (42) 의 공급 배관 (43) 이 살균액 공급부 (41) 의 공급 배관 (43) 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바이패스 배관 (3) 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를 개략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밸러스트수 처리용의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 용기와,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약제와 상기 약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약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갖는 약액 조제 탱크와,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상기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 저류 탱크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에 저류된 상기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서는, 약액 조제 탱크와 약액 저류 탱크가 따로 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약제와 물을 혼합함으로써 약액을 조제하고, 당해 약액을 약액 저류 탱크에 있어서 일단 저류한 후에, 밸러스트수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의하면, 약액 조제 탱크에서 조제한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직접 공급하는 것과는 달리, 혼합이 불충분한 약액이 밸러스트수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제 농도가 안정적인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상기 약액 저류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상기 하한량 이하인 것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부터 상기 약액 저류 탱크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약액 보충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액 저류 탱크 내가 비워지기 전에 약액 조제 탱크로부터 약액 저류 탱크에 약액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의 창수시에 있어서 약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상기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약제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혼합부를 동작시키는 약액 조제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액 보충 동작에 의한 약액 조제 탱크 내의 약액의 감소량에 따라 새로운 약액을 조제하여, 다음 약액 보충 동작에 대비하여 약액 조제 탱크 내에 약액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 후이고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또는,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 후이고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가 되었을 때에, 상기 약액 조제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새로운 약액의 조제를 개시하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조제 동작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일정량의 상기 물이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상기 밸브의 열림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일정 농도의 약액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는, 상기 저수부에 저류된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을 가온함으로써 약제의 용해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약액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이로써, 약액의 조제량 및 저류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약액 조제 탱크 및 약액 저류 탱크를 컴팩트화하여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및 상기 약액 저류 탱크로부터의 상기 약액의 배출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배출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상기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세정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액의 배출 후에 탱크 내를 물로 세정 (린스) 함으로써, 탱크 내에 남은 약액이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탱크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약액 조제 탱크는,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의 주위에 배치된 방해판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약제와 물의 혼합 중에 있어서, 수류를 방해판에 충돌시킴으로써 탱크 본체 내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약제와 물의 혼합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유지 용기,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및 상기 약액 저류 탱크 중 적어도 어느 2 개는,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설치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내의 한정된 설치 스페이스에도 용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약제나 약액을 중력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약제를 반송하기 위한 기구나 약액을 보내기 위한 펌프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9)

  1. 밸러스트수 처리용의 약제를 유지하는 약제 유지 용기와,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약제와 상기 약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약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는 혼합부를 갖는 약액 조제 탱크와,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상기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 약액을 저류하는 약액 저류 탱크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에 저류된 상기 약액을 밸러스트수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부를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저류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약액 저류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상기 하한량 이하인 것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부터 상기 약액 저류 탱크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약액 보충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약제 유지 용기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약제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혼합부를 동작시키는 약액 조제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 후이고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또는, 상기 약액 보충 동작의 개시 후이고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내의 상기 약액의 양이 미리 정해진 하한량 이하가 되었을 때에, 상기 약액 조제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조제 동작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일정량의 상기 물이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에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상기 밸브의 열림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에 저류된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추가로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및 상기 약액 저류 탱크로부터의 상기 약액의 배출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배출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약액 조제 탱크로의 상기 물의 공급 및 그 정지를 전환하는 상기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세정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탱크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약액 조제 탱크는,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의 주위에 배치된 방해판을 추가로 갖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유지 용기, 상기 약액 조제 탱크 및 상기 약액 저류 탱크 중 적어도 어느 2 개는, 연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1020217020474A 2018-12-27 2019-12-26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102519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4404 2018-12-27
JP2018244404 2018-12-27
PCT/JP2019/051151 WO2020138300A1 (ja) 2018-12-27 2019-12-26 バラスト水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229A true KR20210096229A (ko) 2021-08-04
KR102519789B1 KR102519789B1 (ko) 2023-04-10

Family

ID=7112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474A KR102519789B1 (ko) 2018-12-27 2019-12-26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33048A1 (ko)
EP (1) EP3881928A4 (ko)
JP (1) JP7355759B2 (ko)
KR (1) KR102519789B1 (ko)
CN (1) CN113164884A (ko)
TW (1) TW202031550A (ko)
WO (1) WO2020138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2039B1 (ja) * 2021-07-28 2022-08-19 株式会社モバイルコム 溶液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988A (ko) *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파나시아 레벨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750754B1 (ko) * 2014-11-24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중화 장치
JP2017527439A (ja) 2014-07-14 2017-09-21 エヌケ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バラスト水殺菌処理用薬剤貯蔵及び溶解装置
KR101800290B1 (ko) * 2016-05-19 2017-12-20 한양수 이산화탄소 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 중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처리 방법
WO2018168665A1 (ja)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クラレ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0478D0 (en) * 2004-05-11 2004-06-16 Foss & Varenhed Entpr As Method
ITMI20051861A1 (it) * 2005-10-04 2007-04-05 Tycon Technoglass S R L Contenitore di miscelazione per sostanze liquide o simili
CA2659189A1 (en) * 2006-08-03 2008-02-07 Bromine Compounds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ater treatment
NZ600898A (en) * 2009-12-01 2014-05-30 Jinmin Li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JP2013056296A (ja) * 2011-09-08 2013-03-28 Jfe Engineering Corp 固形物と液体との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混合装置
JP5839121B2 (ja) * 2012-07-03 2016-01-06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15073942A (ja) *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処理システム
KR101472528B1 (ko) * 2013-11-28 2014-12-16 (주) 테크로스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KR101709638B1 (ko) * 2015-06-03 2017-03-08 (주) 테크로스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791441B1 (ko) * 2016-01-25 2017-10-31 (주) 테크로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796976B1 (ko) * 2016-04-15 2017-11-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JP2017225945A (ja) * 2016-06-23 2017-12-28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6388020B2 (ja) * 2016-12-12 2018-09-12 栗田工業株式会社 船舶の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設備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988A (ko) *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파나시아 레벨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JP2017527439A (ja) 2014-07-14 2017-09-21 エヌケ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バラスト水殺菌処理用薬剤貯蔵及び溶解装置
KR101750754B1 (ko) * 2014-11-24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중화 장치
KR101800290B1 (ko) * 2016-05-19 2017-12-20 한양수 이산화탄소 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 중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처리 방법
WO2018168665A1 (ja)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クラレ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3048A1 (en) 2022-02-03
JPWO2020138300A1 (ja) 2021-11-04
JP7355759B2 (ja) 2023-10-03
EP3881928A1 (en) 2021-09-22
CN113164884A (zh) 2021-07-23
WO2020138300A1 (ja) 2020-07-02
KR102519789B1 (ko) 2023-04-10
TW202031550A (zh) 2020-09-01
EP3881928A4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565B2 (ja) バラストタンク循環管理システム
TWI314757B (ko)
EP3170737A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solving chemical for disinfecting ballast water
JP6881300B2 (ja) 粉末溶解装置
CA234454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liquid dialysate
KR20210096229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JP6161223B2 (ja) 二塩化イソシアヌル酸ナトリウムを用いた船舶平衡水の処理装置
KR200441983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KR20140084988A (ko) 레벨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472528B1 (ko)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JP6644857B2 (ja) 溶解装置
JP2009106184A (ja) 洗浄装置
KR20170095255A (ko) 밸러스트 워터 순환 시스템, 조절 장치, 및 이의 방법
KR101851176B1 (ko) 듀얼 탱크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200422964Y1 (ko) 간이 상수도용 염소살균 소독장치
JP4280451B2 (ja) 薬液生成装置
JP3973598B2 (ja) 洗濯機
EP4378898A1 (en) A system for treating waste water from a toilet,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and a ship
KR20140085028A (ko) 분사부를 이용하는 스마트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9980019091U (ko) 차아염소산 칼슘 주입 잔류염소 자동제어장치
JP2000126582A (ja) 機能水供給装置
KR101836941B1 (ko) 약제 정량 공급을 위한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JP5753332B1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を用いた洗浄消毒方法
JP2016168527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16019668A (ja) 溶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