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438A -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38A
KR20210095438A KR1020200009331A KR20200009331A KR20210095438A KR 20210095438 A KR20210095438 A KR 20210095438A KR 1020200009331 A KR1020200009331 A KR 1020200009331A KR 20200009331 A KR20200009331 A KR 20200009331A KR 20210095438 A KR20210095438 A KR 2021009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member
buoyancy
track shoe
wheel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445B1 (ko
Inventor
이충철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철 filed Critical 이충철
Priority to KR10202000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445B1/ko
Priority to PCT/KR2021/000427 priority patent/WO2021149961A1/ko
Publication of KR2021009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445B1/ko
Priority to US17/846,745 priority patent/US2022031472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중앙 몸체는 한 쌍의 휠 사이에 배치되며,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걸림용 몸체는 휠의 부력재 걸림홈에 삽입되어 구동 스프라켓에서 무한궤도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트랙슈와 구동스프라켓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무한궤도가 구동스프라켓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AMPHIBIOUS CATERPILLAR VEHICLE}
본 발명은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을 가진 무한궤도를 구비하며 수상 및 육상에서 주행할 수 있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6213호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슈"(2003.8.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352호 "무한궤도용 트랙슈"(2011.5.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8050호 "수륙양용 무한궤도용 트랙슈"(2016.2.2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4729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2019.2.27. 등록)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은 다수의 트랙슈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무한궤도는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의 사이에 장착되어 구동스프라켓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구동스프라켓에는 인접한 트랙슈 간의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무한궤도를 걸어서 회전시키기 위한 트랙슈 결합돌기가 구동스프라켓의 가장자리에서 톱니 형태로 방사상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동스프라켓과 무한궤도의 결합 및 구동력 전달은 트랙슈 결합돌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구동스프라켓에 큰 구동력이 인가되면 무한궤도가 구동스프라켓에서 미끌어지거나 트랙슈 결합돌기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큰 구동력이 인가될 때 구동스프라켓과 무한궤도의 결합력이 약하여 구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은 트랙슈 결합돌기가 구동력을 견디지 못하고 손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무한궤도 및 구동스프라켓이 큰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또는 발포체를 이용하여 낮은 밀도로) 제작되므로, 무한궤도와 구동스프라켓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으며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무한궤도와 구동스프라켓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트랙슈 결합돌기의 돌출된 크기를 키우고 플라스틱 소재의 내부가 채워진 형태로(또는 발포체의 밀도를 높여서) 제작해야 하나, 이렇게 하면 무한궤도 및 구동스프라켓의 무게가 무거워져 전체적인 부력이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6213호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슈"(2003.8.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352호 "무한궤도용 트랙슈"(2011.5.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8050호 "수륙양용 무한궤도용 트랙슈"(2016.2.2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4729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2019.2.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트랙슈와 구동스프라켓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무한궤도가 구동스프라켓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폭방향 양측 전후방에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 및 상기 피동스프라켓의 사이에 복수의 트랙슈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무한궤도가 장착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있어서 : 상기 트랙슈는, 폭 방향이 길고 전후 방향이 짧은 제1부력재와, 상기 제1부력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이웃한 연결판과 결합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에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는 연결판과, 중앙 몸체와 상기 중앙 몸체의 양측 폭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부력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부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구동 스프라켓은, 서로 폭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휠과 상기 한 쌍의 휠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휠은, 마주보는 휠을 향한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부력재 걸림홈이 형성되며 ; 상기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중앙 몸체는 상기 한 쌍의 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걸림용 몸체는 상기 휠의 부력재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서 상기 무한궤도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는, 상기 제1부력재를 상기 연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틀과, 상기 제2부력재를 상기 연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틀의 일부는 상기 제2부력재의 걸림용 몸체와 함께 상기 휠의 부력재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각각에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휠의 주면에는 상기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복수의 트랙슈 결합돌기가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은,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트랙슈와 구동스프라켓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무한궤도가 구동스프라켓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아울러 트랙슈와 구동스프라켓의 결합 면적이 증대되어 강한 구동력이 걸리는 경우에도 압력 분배에 의하여 트랙슈 또는 구동스프라켓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을 도시한 개념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스프라켓과 무한궤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념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랙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트랙슈의 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4의 연결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휠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휠의 측면도,
도 9은 도 7의 휠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구동스프라켓의 휠과 트랙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휠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휠이 무한궤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을 도시한 개념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스프라켓과 무한궤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념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트랙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트랙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트랙슈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4의 연결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휠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휠의 측면도이며, 도 9은 도 7의 휠의 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구동스프라켓의 휠과 트랙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가능한 본체(10), 본체(10)의 양측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스프라켓(20)과 피동스프라켓(30), 다수의 트랙슈(100)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20)과 피동스프라켓(30)의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의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은 사람이 직접 탑승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체(10)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자전거 안장 형태의 착석부(11)가 마련된다.
본체(1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부(12)가 마련된다. 구동부(12)는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례의 구동부(12)는 탑승자가 직접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동형 구동부(12)이다. 수동형 구동부(12)는 자전거에 널리 사용되는 자전거용 페달 구조이다.
본체(10)에는 착석부(11) 및 수동형 구동부(12)와 함께 탑승자가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파지 핸들(13)이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핸들(13)은 자전거 핸들과 유사한 형태이다. 다만 자전거 핸들과는 달리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수동형 구동부(12)에서 생성된 구동력은 체인(14)을 매개로 구동축(15)으로 전달되고, 구동축(15)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구동스프라켓(20)을 회전시킨다.
구동축(15)은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며, 본체(10)에는 구동축(15)과 나란하게 피동축(16)이 마련된다. 구동축(15)의 양단부에는 구동스프라켓(20)이 결합되며, 피동축(16)의 양단부에는 피동스프라켓(3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동형 구동부(12), 파지 핸들(13), 체인(14), 구동축(15), 피동축(16)을 포함하는 본체(10)의 구조는 출원인의 국내 등록특허 제10-1954729호에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954729호는 본 명세서에 일체화되며, 이를 통하여 본체(10)의 상세한 구조와 구동력 생성 및 조향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 발생 장치를 구동부로 가진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체(10)의 폭방향 양측 전후방에는 구동스프라켓(20)과 피동스프라켓(30)이 마련되며, 구동스프라켓(20)과 피동스프라켓(30)의 사이에는 무한궤도(40)가 장착된다.
무한궤도(40)는 다수의 트랙슈(100)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구조이며, 무한궤도(40)는 구동스프라켓(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구동스프라켓(20)의 회전방향으로 본체(10)를 전진시킨다.
본 실시례에서 구동스프라켓(20)과 피동스프라켓(3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구동스프라켓(20)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피동스프라켓(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및 이하에서 트랙슈의 "폭방향"은 본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폭방향과 동일하며, 트랙슈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은 도 3에 도시된 트랙슈(10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례의 트랙슈(100)는 다수개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4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모든 트랙슈(100)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다.
트랙슈(100)는 크게 제1부력재(110), 제2부력재(120), 연결판(130), 발포체 패드(140), 제1고정틀(160), 제2고정틀(170), 결합부재(180)로 이루어진다.
연결판(130), 제1고정틀(160) 및 제2고정틀(170)은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력재(110) 및 제2부력재(120)는 부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발포폼으로 제작된다. 발포체 패드(140)는 발포체로 제작되어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한다.
제1부력재(110)는 폭방향이 길고 전후방향이 짧은 육면체 형태이다.
제1부력재(1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내부로 함몰된 제1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홈(112)은 제1부력재(1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씩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력재(110)를 후술하는 연결판(13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고정틀(160)이 마련된다.
제1고정틀(160)은 제1부력재(110)에 형성된 제1고정홈(112)에 밀착되면서 제1부력재(110)에 장착된다.
제1고정틀(160)은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태의 상자 형태로서, 상면과 폭방향 양 측면이 개방된다.
제1고정틀(160)은 제1부력재(110)의 전면 및 후면 및 하면에 밀착된다.
제1고정틀(160)의 폭은 제1부력재(110)의 폭보다 좁다.
제1고정틀(160)에는 제1부력재(110)의 전면이 노출되는 제1전면 개방구(164)와 제1부력재(110)의 후면이 노출되는 제1후면 개방구(166) 및 제1부력재(110)의 하면이 노출되는 복수의 하면 개방구(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개방구들은 기본적으로 제1고정틀(160)의 무게를 줄이게 되어 보다 많은 부력을 생산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제1고정틀(160)의 상단에는 4개의 제1지지판(161)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틀(160)의 제1지지판(161)에 볼트결합을 위한 제1관통홀(181)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180)의 볼트(180a)가 제1지지판(161)의 제1관통홀(181)을 통하여 볼트결합을 할 때, 볼트(180a)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지지판(161)의 아래로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제1부력재(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내부로 함몰된 홈이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폭방향으로 연장된 홈은 제1부력재(110)의 전후방향 중앙을 지나게 된다. 아울러 제1부력재(110)의 양 측면에 내부로 함몰된 사각형의 홈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부력재(110)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된 홈을 패드용 결합홈(119)이라고 하며, 패드용 결합홈(119)은 제1부력재(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부력재(110)의 하면에 밀착된 제1고정틀(160)은 제1부력재(110)의 하면에 형성된 패드용 결합홈(119)에도 역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부력재(110)의 패드용 결합홈(119)을 이용하여 발포체 패드(140)가 제1부력재(110)에 장착된다.
발포체 패드(140)는 제1부력재(110)에 형성된 패드용 결합홈(119)에 결합하면서 제1부력재(110)를 둘러싸고 있다.
발포체 패드(140)는 부력재 결합부(140a)와 바닥판(1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포체 패드(140)의 부력재 결합부(140a)는 사각 링의 형태를 가진다. 즉 부력재 결합부(140a)의 상부 및 양 측부는 제1부력재(110)의 상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된 패드용 결합홈(119)에 삽입 결합되며, 부력재 결합부(140b)의 하부는 제1부력재(110)의 하면에 형성된 패드용 결합홈(119)에 삽입된 제1고정틀(16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된다.
부력재 결합부(140a)의 하부에 바닥판(140b)이 형성된다.
바닥판(140b)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력재(110)의 하면을 덮는다.
바닥판(140b)의 폭은 제1부력재(110)의 폭과 대응되며, 바닥판(140b)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부력재(1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바닥판(140b)은 발포체로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무한궤도 차량의 육상 이동 시, 발포체 패드(14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트랙슈(100)를 보호한다.
발포체 패드(140)의 하면에는 물갈퀴용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물갈퀴용 돌출부(141)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물갈퀴용 돌출부(141)는 바닥판(140b)의 전후방향 중앙을 따라 연장되며, 바닥판(140b)의 양 측면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다.
무한궤도 차량의 수상이동 시, 물갈퀴용 돌출부(141)는 무한궤도 차량의 이동방향 반대로 물을 밀어내게 된다. 즉, 작용 및 반작용의 원리를 통하여 물갈퀴용 돌출부(141)는 무한궤도 차량의 수상 이동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제1부력재(110)의 상면에는 연결판(130)이 배치된다. 연결판(130)은 제1부력재(110)와 후술할 제2부력재(120)를 결합하며, 트랙슈(100)를 체인 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판(130)은 제1부력재(11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되, 제1부력재(110)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전후방향 길이를 가진다.
연결판(130)에는 제1고정틀(160)의 제1지지판(161)에 형성된 제1관통홀(18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182)이 형성된다.
연결판(13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복수의 연결브라켓(131)이 형성된다.
연결판(130)의 연결브라켓(131)은 이웃한 연결판(130)의 연결브라켓(131)과 교차된다(도 6 참조). 이웃한 연결브라켓(131)들이 서로 교차되면서 결합하여 생긴 공간에 연결용 부재(132)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한 연결판(13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서로 이웃한 트랙슈(1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무한궤도(4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연결판(130)의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에는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134)가 형성된다.
호형 안내부(134)는 서로 이웃한 트랙슈(100)간의 회동범위를 제한한다.
연결판(130)이 이웃한 다른 연결판(130)과 연결되면, 서로 이웃한 호형 안내부(134)는 서로 접함으로써 반원형 구조를 이룬다.
인접한 호형 안내부(134)에 의해 형성되는 반원형 구조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스프라켓(20)의 휠(200)의 트랙슈 결합돌기(202)와 결합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1부력재(11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연결판(130)의 상면에 제2부력재(120)가 배치된다.
제2부력재(120)는 발포폼으로 제작되며 제1부력재(110)와 마찬가지로 부력을 형성한다.
제2부력재(120)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부력재(1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고 제2부력재(120)의 폭은 제1부력재(110)의 폭보다 좁은 형태이다.
제2부력재(12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중앙 몸체(122)와, 중앙 몸체(122)의 양측 폭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용 몸체(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걸림용 몸체(123)는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삼각형 형태를 가진다.
제2부력재(120)의 표면에는 제2부력재(120)의 모서리를 따라서 연결된 제2고정홈(121)이 형성된다.
즉, 중앙 몸체(12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또한 중앙 몸체(122)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네 개의 모서리 부위에도 홈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용 몸체(123)를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되며, 걸림용 몸체(123)의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된다.
걸림용 몸체(123)는 구동스프라켓(2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측면에서 바라본 걸림용 몸체(123)의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이다.
이와 같은 걸림용 몸체(123)의 형태는 후술할 구동스프라켓(20)의 부력재 걸림홈(201)에 쉽게 삽입되고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걸림용 몸체(123)가 부력재 걸림홈(20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걸림용 몸체(123)에 대응되는 부력재 걸림홈(201)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2부력재(120)를 연결판(13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2고정틀(170)이 마련된다.
제2고정틀(17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테이블과 같은 형태이다. 제2고정틀(170)은 제2부력재(120)에 형성된 제2고정홈(121)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제2고정틀(170)에는 제2부력재(120)의 전면이 노출되는 제2전면 개방구(174)와 제2부력재(120)의 후면이 노출되는 제2후면 개방구(176) 및 제2부력재(120)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면 개방구(178)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고정틀(170)의 폭방향 양측에는 걸림용 몸체(123)의 측면이 노출되는 측면 개방구(17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들은 제2고정틀(170)의 무게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2부력재(120)가 차지하는 공간 점유율을 높이게 되어 부력 발생에 기여하게 된다.
제2고정틀(170)의 하부 네 모서리에 제1고정틀(160)의 제1지지판(161)에 대응되는 제2지지판(171)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틀(170)의 제2지지판(171)에 볼트결합을 위한 제3관통홀(183)이 형성된다.
제3관통홀(183)은 제1관통홀(181)과 제2관통홀(182)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180)의 너트(180b)가 제2지지판(171)의 제3관통홀(183)을 통하여 볼트결합을 할 때, 너트(180b)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지지판(171)의 상부로 빈 공간이 형성된다.
결합부재(180)는 제1고정틀(160)과 연결판(130)과 제2고정틀(170)을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례에서 결합부재(180)는 볼트(180a) 및 너트(180b)로서, 볼트(180a) 및 너트(180b)는 볼트결합을 한다.
제1지지판(161)의 제1관통홀(181), 연결판(130)의 제2관통홀(182) 및 제2지지판(171)의 제3관통홀(183)은 서로 그 위치가 대응되어 형성된다.
즉 제1고정틀(160)의 제1지지판(161)과 연결판(130)과 제2고정틀(170)의 제2지지판(171)이 서로 밀착될 때, 제1관통홀(181)과 제2관통홀(182) 및 제3관통홀(183)은 서로 일렬로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관통홀(181), 제2관통홀(182) 및 제3관통홀(183)을 관통하는 결합부재(180)의 볼트(180a)에 너트(180b)가 체결되어 볼트결합함으로써, 제1고정틀(160)의 제1지지판(161)과 제2고정틀(170)의 제2지지판(171)은 연결판(13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1고정틀(160)에 밀착된 제1부력재(110)와 제2고정틀(170)에 밀착된 제2부력재(120)가 연결판(13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어서 구동스프라켓(20) 및 피동스프라켓(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 피동스프라켓(30)은 구동스프라켓(20)과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구동스프라켓(20)만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스프라켓(200)은 통상 플라스틱을 이용한 블로우 몰딩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구동스프라켓(20)은 서로 폭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휠(200)과, 한 쌍의 휠(200)을 연결하는 연결대(210)로 이루어진다(도 10 참조).
휠(200)은 마주보는 휠을 향한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부력재 걸림홈(201)이 형성된다.
휠(200)의 부력재 걸림홈(201)은 제2부력재(120)의 걸림용 몸체(123)가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것이다. 부력재 걸림홈(201)은 걸림용 몸체(123)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휠(200)의 일측면(마주보는 휠을 향한 면)에 방사상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삼각형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휠(200)은 각 휠(200)의 일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휠(200)은 연결대(21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한 쌍의 휠(200)의 사이에는 트랙슈(100)의 제2부력재(120)가 위치하게 되며, 특히 트랙슈(100)의 제2부력재(120)의 중앙 몸체(122)는 한 쌍의 휠(200) 사이에 배치되며, 트랙슈(100)의 제2부력재(120)의 걸림용 몸체(123)는 휠(200)의 부력재 걸림홈(201)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또한 트랙슈(100)의 제2고정틀(170)의 일부도 걸림용 몸체(123)와 함께 휠(200)의 부력재 걸림홈(201)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한편 휠(200)의 외주면은 제1부력재(1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제1부력재(110)를 지지하게 된다.
휠(200)의 부력재 걸림홈(201)에 트랙슈(100)의 제2부력재(120)가 걸리게 되고, 휠(200)의 외주면에 트랙슈(100)의 제1부력재(110)가 지지되는 구조는 도 10 및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한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의 휠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휠이 무한궤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휠(200)의 주면 가장자리에는 트랙슈(100) 간의 연결부위(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접한 두 연결판(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트랙슈 결합돌기(202)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랙슈 결합돌기(202)는 휠(200)의 주면 가장자리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트랙슈 결합돌기(202)는 이웃한 두 트랙슈(100)의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웃한 연결판(130)의 호형 안내부(134)에 의하여 형성되는 반원형 구조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트랙슈 결합돌기(202)는 구동스프라켓(20)과 무한궤도(40)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걸림용 몸체(123)와 부력재 걸림홈(201)이 제2부력재(120)와 휠(200)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라면, 트랙슈 결합돌기(202)는 연결판(130)과 휠(20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로 간섭되지 않는 두 부위를 각각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걸림 구조를 갖는다.
트랙슈 결합돌기(202)가 이웃한 연결판(130)의 호형 안내부(134)에 의한 반원형 구조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걸림용 몸체(123) 및 부력재 걸림홈(201)과 함께 이중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가 완성된다. 따라서 무한궤도(40)와 구동스프라켓(20)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며 더욱 안정적인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15에서는 호형 안내부(134)와 이에 의한 반원형 구조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으나, 호형 안내부(134)와 동일한 형태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력재(110)의 모서리 부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트랙슈 결합돌기(202)가 호형 안내부(124)에 의한 반원형 구조에 삽입되어 걸리는 형태를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구동스프라켓
30 : 피동스프라켓 40 : 무한궤도
100 : 트랙슈 110 : 제1부력재
120 : 제2부력재
122 : 중앙 몸체 123 : 걸림용 몸체
130 : 연결판
200 : 휠
201 : 부력재 걸림홈 202 : 트랙슈 결합돌기

Claims (3)

  1. 본체의 폭방향 양측 전후방에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 및 상기 피동스프라켓의 사이에 복수의 트랙슈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무한궤도가 장착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에 있어서 :
    상기 트랙슈는, 폭 방향이 길고 전후 방향이 짧은 제1부력재와, 상기 제1부력재의 상면에 배치되며 이웃한 연결판과 결합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에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는 연결판과, 중앙 몸체와 상기 중앙 몸체의 양측 폭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용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부력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부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구동 스프라켓은, 서로 폭방향으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휠과 상기 한 쌍의 휠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휠은, 마주보는 휠을 향한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부력재 걸림홈이 형성되며 ;
    상기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중앙 몸체는 상기 한 쌍의 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슈의 제2부력재의 걸림용 몸체는 상기 휠의 부력재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서 상기 무한궤도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는, 상기 제1부력재를 상기 연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틀과, 상기 제2부력재를 상기 연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틀의 일부는 상기 제2부력재의 걸림용 몸체와 함께 상기 휠의 부력재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각각에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휠의 주면에는 상기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복수의 트랙슈 결합돌기가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KR1020200009331A 2020-01-23 2020-01-23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KR10230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331A KR102302445B1 (ko) 2020-01-23 2020-01-23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PCT/KR2021/000427 WO2021149961A1 (ko) 2020-01-23 2021-01-13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US17/846,745 US20220314720A1 (en) 2020-01-23 2022-06-22 Amphibious caterpilla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331A KR102302445B1 (ko) 2020-01-23 2020-01-23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38A true KR20210095438A (ko) 2021-08-02
KR102302445B1 KR102302445B1 (ko) 2021-09-14

Family

ID=7699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331A KR102302445B1 (ko) 2020-01-23 2020-01-23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14720A1 (ko)
KR (1) KR102302445B1 (ko)
WO (1) WO2021149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949B (zh) * 2022-05-20 2022-09-02 浙江大学 水陆两用车履带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13B1 (ko) 2001-07-09 2003-08-27 이충철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슈
KR20110026869A (ko) * 2009-09-09 2011-03-16 이충철 무한궤도용 트랙슈
US20160039482A1 (en) * 2010-12-14 2016-02-11 Camso Inc. Endless Track for Traction of a Vehicle
KR101598050B1 (ko) 2015-06-02 2016-02-26 이충철 수륙양용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1954729B1 (ko) 2017-06-16 2019-03-06 이충철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041B1 (ko) * 2009-01-30 2010-10-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다단 스프라켓을 구비한 고무트랙
US9284001B2 (en) * 2011-03-04 2016-03-15 Navatek, Ltd.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and traction cells theref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13B1 (ko) 2001-07-09 2003-08-27 이충철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슈
KR20110026869A (ko) * 2009-09-09 2011-03-16 이충철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1034352B1 (ko) 2009-09-09 2011-05-16 이충철 무한궤도용 트랙슈
US20160039482A1 (en) * 2010-12-14 2016-02-11 Camso Inc. Endless Track for Traction of a Vehicle
KR101598050B1 (ko) 2015-06-02 2016-02-26 이충철 수륙양용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1954729B1 (ko) 2017-06-16 2019-03-06 이충철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445B1 (ko) 2021-09-14
US20220314720A1 (en) 2022-10-06
WO2021149961A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3823C (en) Electric snowmobile
US5829545A (en) Snowmobile
US4699229A (en) Endless articulated steel band vehicle for off-road services
KR102302445B1 (ko) 수륙양용 무한궤도 차량
CA2866485A1 (en) Drive track for a tracked vehicle
JP2005306060A (ja) 鞍乗型車両
CN1099980C (zh) 机动两轮车的连链盒
KR20110030915A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CA2720015C (en) Rear structure of straddle-ride type vehicle
CN101939213A (zh) 踏板型车辆
ES2449771T3 (es) Vehículo del tipo en el que se monta a horcajadas
JP6902380B2 (ja)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キャッチ取付構造
JP2010137843A (ja) 自動二輪車
JPH11263254A (ja) 自動2輪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2010083357A (ja) スクータ型車両のシート構造
CN1121015A (zh) 小型摩托车的电气部件安装构造
KR101598050B1 (ko) 수륙양용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1128330B1 (ko) 수륙양용 자전거
JP5806380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KR20090083317A (ko) 페달식 수륙양용 보우트
JP5661539B2 (ja) 鞍乗型車両のシート構造
JP7370297B2 (ja) センタースタン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JPH04358981A (ja) スクータ形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フレーム構造
KR102282874B1 (ko) 초경량 프레임을 갖는 자전거
KR101600909B1 (ko) 2인승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