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13A -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 Google Patents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13A
KR20210094813A KR1020200008508A KR20200008508A KR20210094813A KR 20210094813 A KR20210094813 A KR 20210094813A KR 1020200008508 A KR1020200008508 A KR 1020200008508A KR 20200008508 A KR20200008508 A KR 20200008508A KR 20210094813 A KR20210094813 A KR 2021009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m member
cam
main body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박현규
박요섭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0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813A/ko
Priority to US17/793,453 priority patent/US20230066440A1/en
Priority to PCT/US2020/057318 priority patent/WO2021150283A1/en
Publication of KR2021009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reciproca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rotatably mounted or foldab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95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ase of assembly, allowing access to the scanning elements, integrated reinforcing members

Abstract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홀더가 배출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AUTO CLOSING OF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한 복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display) 기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기기, 또는 키보드(keyboard)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입/출력 기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출력 기기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외부에 고정되어 부착되기도 하지만, 입출력 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미적 요소를 고려하여 본체 내부에 숨겨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캠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탄성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뿐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된 복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인쇄 매체 공급 장치, 인쇄 장치, 정착 장치, 및 인쇄매체 배출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입출력 기기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터치 스크린 기기(touch screen device), 키보드(keyboard),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및 보안 모듈(security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는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는 홀더(200), 홀더(200)의 이동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500), 및 캠 부재(5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형성되는 투입구(110)(도 4 참조)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홀더(200)가 투입구(1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배출 방향(또는, 전방)이라 칭하고, 홀더(200)가 투입구(11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투입 방향(또는, 후방)이라 칭한다.
홀더(200)는 앞에서 설명한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는 것으로, 입출력 기기는 홀더(200)에 고정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홀더(200)는 입출력 기기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는 입출력 기기가 홀더(200)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200)는 본체(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는 홀더(200)의 양측 단부를 안내하도록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본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내부에 자동 잠금 장치가 구비되고, 본체(100)에는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투입구(110)를 통해 자동 잠금 장치의 홀더(200)가 투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스토퍼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홈(121)은 후술할 스토퍼 후크(230)와 협력하여, 홀더(200)의 배출량을 제한하는 리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토퍼 홈(121)은 본체(100)의 바닥면 중앙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홈(121)은 본체(100)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몸체(120)에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 몸체(120)의 후방에는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후방에는 캠 하우징(130)이 형성될 수 있다. 캠 하우징(130)은 캠 부재(50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캠 부재(500)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리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캠 하우징(130)은 개구된 본체(10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하우징 좌측벽(131)과 하우징 우측벽(132)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 측벽, 한 쌍의 하우징 측벽을 연결하는 하우징 후방벽(133), 및 한 쌍의 하우징 측벽과 하우징 후방벽(133)을 덮는 하우징 상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우징 측벽 사이는 개구된 하우징 입구(136)가 형성되어 캠 부재(500)가 캠 하우징(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캠 하우징(130)의 하우징 상면(134)에는 캠 부재(500)가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보스(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 부재(500)가 캠 하우징(130)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캠 부재(500)가 들썩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0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본체 걸림 돌기(140)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 걸림 돌기(140)는 캠 하우징(13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 걸림 돌기(14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 걸림 돌기(140)에 탄성 부재(600)의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 홈(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홀더(200)의 전방 중앙에는 손잡이(21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200)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210)는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그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홀더(200)를 본체(100)의 외부로 잡아 당길 수 있고, 또는 본체(10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홀더(200)의 후방 중앙에는 홀더 보스(220)가 아래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보스(2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보스(220)는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경로와 협력하여 캠 부재(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홀더(200)가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 홀더 보스(220)에 의해 캠 부재(500)가 회전하도록 캠 부재(500)에는 캠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캠 부재(500)의 캠 경로는 홀더(200)의 홀더 보스(220)의 직선 운동을 캠 부재(50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홀더(200)의 중앙 양측에는 한 쌍의 스토퍼 후크(2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 후크(230)는 홀더 보스(2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후크(230)는 홀더(200)가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때, 홀더(200)가 배출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홀더(200)의 스토퍼 후크(230)는 본체(10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121)(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함)와 협력하여, 홀더(200)의 배출량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 후크(230)는 홀더(200)의 중앙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후크(230)는 홀더(200)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후크(230)는 개구부의 단부에서 전방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231), 및 제1 경사부(231)의 단부에서 전방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홀더(200)의 좌측 단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바닥면과 결합하는 좌측 몸체(310), 좌측 몸체(310)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좌측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그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홀더(200)의 우측 단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바닥면과 결합하는 우측 몸체(410), 우측 몸체(410)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우측 가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그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부(320)와 우측 가이드부(420)는 서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300, 400)의 몸체에는 본체(1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가 본체(100)와 별도의 구성품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 부재는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200)의 좌측단은 좌측 가이드부(320)에 삽입되고, 홀더(200)의 우측단은 우측 가이드부(420)에 삽입되어, 홀더(2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한 쌍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홀더(200)가 전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캠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캠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500)는 캠 몸체(510)와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힌지 홀(514),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캠 경로(520), 및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캠 걸림 돌기(550)를 포함할 수 있다.
캠 몸체(510)는 대략 반원 형상의 캠 회전부(511), 캠 회전부(511)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캠 좌측벽(512), 캠 회전부(511)의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캠 우측벽(513)을 포함할 수 있다. 캠 좌측벽(512)과 캠 우측벽(513)은 캠 하우징(130)과 협력하여 캠 부재(5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리미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힌지 홀(514)은 캠 회전부(5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홀(514)은 본체(100)에 형성되는 캠 하우징(130)의 힌지 보스(135)에 삽입되어 캠 부재(500)가 힌지 보스(13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힌지 보스(13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500)는 홀더(200)가 본체(100)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는 잠금 위치와 홀더(200)가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의 개방 위치 사이를 왕복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또는, 탄성 부재(600)의 인장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중립 위치라 한다. 중립 위치는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중립 위치는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을 잠금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이라고 칭하고,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을 개방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캠 경로(520)는 투입 구간(521), 곡면 구간(522), 및 직선 구간(523)이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 구간(521)은 캠 좌측면이 단부에서 개구되고 힌지 홀(514)을 향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곡면 구간(522)은 투입 구간(521)의 단부에서 힌지 홀(514)을 향하여 일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직선 구간(523)은 곡면 구간(522)의 단부에서 힌지 홀(514)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캠 경로(520)를 구성하는 투입 구간(521), 곡면 구간(522), 및 직선 구간(523)은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캠 벽면(530)과 가이드 면(5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 벽면(530)은 캠 좌측벽(512)이 단부에서 힌지 홀(514)을 향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캠 투입면(531), 캠 투입면(531)의 단부에서 힌지 홀(514)을 향하여 일정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진 캠 곡면(532), 및 캠 곡면(532)의 단부에서 힌지 홀(514)을 향하여 연장되는 캠 평면(5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540)은 캠 곡면(532)과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이드 곡면(542), 및 캠 평면(53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평면(5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캠 투입면(531)의 단부(또는, 캠 좌측벽의 단부)와 가이드면(540)의 단부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홀더(200)의 힌지가 캠 투입면(53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캠 경로(520)의 투입 구간(521)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캠 몸체(510)에 형성되는 캠 걸림 돌기(550)에는 탄성 부재(6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캠 걸림 돌기(550)는 힌지 홀(514)과 캠 좌측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탄성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6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은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캠 부재(500)에 일정한 탄성력(또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 부재(60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몸체(610)와 스프링 몸체(6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 링(620),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걸림 링(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 링(620)은 본체(100)에 형성되는 본체 걸림 돌기(140)에 걸리고, 제2 걸림 링(630)은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걸림 돌기(550)에 걸어져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이 캠 부재(500)에 인가된다. 이때,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 부재의 인장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캠 부재(500)에 인가되는 탄성력(또는, 캠 부재의 회전에 필요한 탄성 부재의 복원력)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일 때, 탄성 부재(600)의 인장량이 최소가 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소가 된다.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에서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중립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 부재(600)의 인장량이 최대가 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대가 된다. 이후, 캠 부재(500)가 개방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 부재(600)의 인장량은 다시 최소가 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캠 부재(500)는 탄성 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에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400)로 구성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결합한다. 좌측 가이드 플레이트(300)의 좌측 몸체(310)와 우측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우측 몸체(410)를 본체(100)의 바닥면에 각각 안착한 후, 좌측 몸체(310)와 우측 몸체(410)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본체(100)의 바닥면과 각 가이드 플레이트(300, 400)를 나사 체결한다.
캠 하우징(130)에 캠 부재(500)를 결합한다. 캠 하우징(130)은 바닥면이 개구된 본체(100)에 형성되고, 하우징 입구(136)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캠 부재(500)를 일정 각도 아래쪽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하우징 입구(136)를 통해 캠 하우징(13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캠 부재(500)의 힌지 홀(514)을 힌지 보스(135)에 삽입하여 캠 부재(500)를 캠 하우징(130)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탄성 부재(600)를 캠 부재(500)와 본체(100) 사이에 결합한다. 즉, 탄성 부재(6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걸림 링(620)을 본체(100)에 형성되는 본체 걸림 돌기(140)의 걸림 홈(141)에 걸고, 제2 걸림 링(630)을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걸림 돌기(550)에 건다.
마지막으로, 홀더(200)를 투입구(11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홀더(200)에 형성된 스토퍼 후크(230)는 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 몸체(120)의 스토퍼 홈(121)을 타고 넘어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홀더(200)에 형성된 홀더 보스(220)는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경로(520)의 투입구(110)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홀더가 본체 외부로 배출된 상태에서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홀더(200)가 본체(10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어 캠 부재(500)는 개방 위치로 회전되고 홀더(200)의 스토퍼 후크(230)가 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 홈(121)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홀더(200)가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홀더(200)가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어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홀더(200)가 본체(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200)의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홀더(200)를 본체(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밀어 넣으면, 홀더(200)의 홀더 보스(220)는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경로(520)의 투입 구간(521)으로 이동한다.
이때, 홀더(1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홀더 보스(220)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캠 경로(520)에 삽입된 홀더 보스(220)의 직선 운동에 의해 캠 부재(500)는 개방 위치에서 힌지 홀(514)을 중심으로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캠 부재(50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부재(600)의 인장 길이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사용자가 홀더(200)를 본체(100)의 내부로 계속하여 밀어 넣으면,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이 홀더 보스(220)를 따라 회전한다. 즉, 캠 부재(500)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부재(500)는 중립 위치로 회전한다(도 15 참조). 이때, 캠 부재(50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600)는 최대로 인장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대가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홀더(200)를 본체(100) 내부로 밀어 넣어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캠 부재(500)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홀더 보스(220)는 캠 경로(520)의 직선 구간(523)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 부재(500)의 캠 좌측벽(512)은 캠 하우징(130)의 후방벽에 부딪히면서 캠 부재(500)의 회전은 제한된다. 따라서, 홀더(200)의 인입 거리가 제한된다(도 16 참조).
즉,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로부터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만 사용자가 홀더(100)를 밀어 넣으면, 이후에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200)는 본체(10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다음으로, 자동 잠금 장치를 통해 홀더(200)가 본체(100) 내부에서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200)가 본체(100)에서 배출되는 과정은 앞에서 설명한 홀더(200)가 본체(100)에 삽입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200)의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홀더(200)를 본체(100) 외부로 잡아당기면, 홀더 보스(220)의 직선 운동에 의해 캠 부재(500)는 잠금 위치에서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도 16 참조). 캠 부재(50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부재(600)의 인장 길이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사용자가 홀더(200)를 본체(100)의 외부로 계속하여 잡아당기면,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이 홀더 보스(220)를 따라 회전한다. 즉, 캠 부재(500)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부재(500)는 중립 위치로 회전한다(도 15 참조). 이때, 캠 부재(50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600)는 최대로 인장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대가 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홀더(200)를 본체(100) 외부로 잡아당겨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캠 부재(500)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도 14 참조). 이때, 홀더 보스(220)는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에서 투입 구간(521)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 부재(5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홀더(200)는 본체(100)의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그리고 캠 부재(500)의 캠 우측벽(513)은 캠 하우징(130)의 우측벽에 부딪히면서 캠 부재(500)의 회전은 제한된다. 즉, 캠 부재(500)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개방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캠 부재(500)의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홀더(200)는 스토퍼 후크(230)의 후크부가 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121)에 걸리면서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도 13 참조).
즉,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중립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만 사용자가 홀더(200)를 잡아 당기면, 이후에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200)는 본체(100)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0),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1200), 홀더(12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연결 프레임(1300),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500), 및 캠 부재(5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캠 부재(500)와 탄성 부재(6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는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장치는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완충 기어(1400)와 본체(110)에 형성되어 완충 기어(1400)가 치합되는 랙 기어(후술하도록 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체(11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인쇄 매체 공급 장치, 인쇄 장치, 정착 장치, 및 인쇄매체 배출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체(1100)에는 자동 잠금 장치가 그 내부에 구비되고, 홀더(1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홀더(1200)는 본체(1100)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전한다.
본체(110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 몸체(1110), 몸체(1110)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좌측면 몸체(1150)와 우측면 몸체(1160), 몸체(1110)에 형성되는 캠 하우징(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캠 하우징(1130)은 캠 부재(50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캠 부재(500)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리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캠 하우징(1130)은 하우징 좌측벽(1131), 하우징 우측벽(1132)을 포함하는 한 쌍의 하우징 측벽, 한 쌍의 하우징 측벽을 연결하는 하우징 후방벽(1133), 한 쌍의 하우징 측벽과 하우징 후방벽(1133)을 덮는 하우징 상면(1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우징 측벽 사이에는 개구된 하우징 입구(1136)가 형성되어 캠 부재(500)가 캠 하우징(1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캠 하우징(1130)의 하우징 상면(1134)에는 캠 부재(500)가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보스(11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0)에는 탄성 부재(600)의 결합을 위한 본체 걸림 돌기(1140)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체 걸림 돌기(1140)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본체 걸림 돌기(도 5의 140 참조)와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몸체(111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 몸체는 좌측면 몸체(1150)와 우측면 몸체(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면 몸체(1150와 1160)의 각각에는 회전 홀(115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홀(1151)에는 홀더(1200)에 형성되는 홀더 회전 보스(1250)(후술하도록 함)가 삽입되어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 몸체(1150)와 우측면 몸체(1160)의 내측면에는 각각 랙 기어(1153)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면 몸체(1150)와 우측면 몸체(1160)에 각각 형성되는 랙 기어(1153)는 회전 홀(1151)의 하부, 좀 더 자세하게는 몸체(1110)와 좌측면 몸체(1150)가 맞닿는 위치와 몸체(1110)와 우측면 몸체(1160)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홀더(1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홀더(1200)는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는 것으로, 입출력 기기는 홀더(1200)에 고정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입출력 기기가 홀더(1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입출력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몸체(1210), 및 홀더 몸체(1210)의 양단에서 홀더 몸체(121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홀더 좌측 몸체(1230)와 홀더 우측 몸체(124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0)의 양단, 구체적으로, 홀더 몸체(1210)와 홀더 좌우측 몸체(1230과 1240)가 만나는 위치에는 각각 홀더 회전 보스(125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 회전 보스(1250)는 본체(1100)에 형성되는 회전 홀(1151)에 삽입되어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0)에 형성된 회전 홀(11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홀더(1200)는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완전히 닫히는 잠금 위치와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완전히 열리는 열림 위치 사이를 왕복 회전할 수 있다. 열림 위치에서 홀더(1200)의 홀더 몸체(1210)는 본체(1100)의 몸체(1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고, 닫힘 위치에서 홀더(1200)의 홀더 몸체(1210)는 본체(1100)의 몸체(11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범위는 직각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홀더 좌우측 몸체에는 홀더 슬롯(1260)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슬롯(1260)은 후술할 연결 프레임(1300)에 형성되는 프레임 회전 보스(13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 프레임(1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결 프레임(1300)은 홀더(12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300)은 프레임 몸체(1310), 프레임 몸체(1310)의 양단에 형성되는 프레임 회전 보스(1320), 및 프레임 몸체(131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는 프레임 보스(1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회전 보스(1320)는 홀더(1200)에 형성되는 홀더 슬롯(1260)에 삽입되어 홀더(1200)가 회전 동작하게 되면 전후 방향으로 직선 동작하게 된다. 즉, 본체(1100)의 회전 홀(1151)에 홀더(1200)의 홀더 회전 보스(1250)가 삽입되어 홀더(1200)가 회전 홀(11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홀더(1200)에 형성되는 홀더 슬롯(1260)의 내측면이 연결 프레임(1300)의 프레임 회전 보스(1320)를 전후 방향으로 밀게 되어 연결 프레임(1300)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연결 프레임(1300)의 하부에는 완충 기어(1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 기어 보스(1340)가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 기어 보스(1340)는 본체(1100)의 랙 기어(1153)에 기어 치합되도록 연결 프레임(1300)의 하부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프레임(1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완충 기어(1400)는 서로 기어 결합할 수 있고, 연결 프레임(1300)의 좌측에 결합하는 완충 기어는 본체(1100)의 좌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에 기어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 프레임(1300)의 우측에 결합하는 완충 기어는 본체(1100)의 우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에 기어 결합할 수 있다.
랙 기어(1153)와 완충 기어(1400)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장치로서 기능한다. 즉, 한 쌍의 완충 기어가 서로 치합되고, 완충 기어(1400)와 랙 기어(1153)가 치합됨으로써, 연결 프레임(1300)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캠 부재(500)와 캠 하우징(1130), 및 탄성 부재(6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100)에 대하여 닫히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홀더(1200)의 열림 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캠 부재(500)의 잠금 위치와 대응하고, 홀더(1200)의 닫힘 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캠 부재(500)의 개방 위치와 대응한다. 그리고 캠 부재(500)의 중립 위치는 홀더(1200)의 중립 위치와 대응한다.
도 23 내지 도 2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수직한 열림 위치로 회전하고, 연결 프레임(130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고,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에 따라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하여 닫힌 닫힘 위치로 회전하고,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에 따라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캠 부재(500)의 동작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의 캠 부재(500)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홀더(1200)가 열림 위치(도 23 참조)에서 닫힘 위치(도 27 참조)로 회전하면(즉, 홀더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 프레임(130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잠금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부재(500)는 잠금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이와 반대로, 홀더(120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전하면(즉, 홀더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 프레임(13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부재(500)는 개방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한다.
먼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1200)의 홀더 몸체(1210)를 파지하여 홀더(1200)를 본체(1100)의 몸체(1110)를 향하여 닫힘 방향(도 2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1200)에 형성된 홀더 슬롯(1260)의 내측면이 연결 프레임(1300)의 프레임 회전 보스(1320)를 후방에서 전방(잠금 방향)으로 밀면서 연결 프레임(1300)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1300)의 직선 운동에 의해 캠 부재(500)는 잠금 위치에서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캠 부재(50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부재(600)의 인장 길이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1200)를 계속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1200)의 회전에 따라 연결 프레임(1300)이 잠금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이 프레임 보스(1330)를 따라 회전한다. 즉, 캠 부재(500)는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부재(500)는 중립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캠 부재(50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600)는 최대로 인장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대가 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속하여 홀더(120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1200)의 회전에 따라 연결 프레임(1300)이 잠금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캠 부재(500)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보스(1330)는 캠 경로(520)의 투입 구간(521)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 부재(500)의 캠 우측벽(513)은 캠 하우징(1130)의 하우징 우측벽(1132)에 부딪히면서 캠 부재(500)의 회전은 제한된다. 따라서, 캠 부재(500)의 회전이 제한된다.
즉, 홀더(1200)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 부재(500)가 잠금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만 사용자가 홀더(1200)를 회전시키면, 이후에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1200)는 자연스럽게 닫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홀더(1200)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회전할 때, 연결 프레임(13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완충 기어(1400)가 본체(1100)에 구비되는 랙 기어(1153)에 기어 연결되어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프레임(1300)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 잠금 장치를 통해 홀더(120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전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홀더(1200)가 본체(1100)에 대해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전하는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홀더(1200)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회전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1200)의 홀더 몸체(1210)를 파지하여 홀더(1200)를 본체(1100)에 대하여 열림 방향(도 2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1200)에 형성된 홀더 슬롯(1260)의 내측면이 연결 프레임(1300)의 프레임 회전 보스(1320)를 후방으로 밀면서 연결 프레임(13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열림 방향)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1300)의 프레임 보스(1330)는 캠 부재(500)에 형성되는 캠 경로(520)의 투입 구간(521)으로 이동한다. 이때, 연결 프레임(130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프레임 보스(1330)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캠 경로(520)에 삽입된 프레임 보스(133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캠 부재(500)는 개방 위치에서 힌지 보스(1135)를 중심으로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캠 부재(50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부재(600)의 인장 길이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1200)를 열림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홀더(1200)의 회전에 따라 연결 프레임(1300)이 후방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고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이 프레임 보스(1330)를 따라 회전한다. 즉, 캠 부재(500)는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부재(500)는 중립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캠 부재(50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600)는 최대로 인장되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은 최대가 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홀더(1200)를 계속하여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프레임(1300)의 프레임 보스(1330)에 의해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캠 부재(500)가 중립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캠 부재(500)는 잠금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보스(1330)는 캠 경로(520)의 곡면 구간(522)에서 직선 구간(523)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 부재(5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연결 프레임(1300)은 후방으로 밀려나가며,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에 의해 홀더(1200)는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캠 부재(500)의 캠 좌측벽(512)은 캠 하우징(1130)의 하우징 후방벽(1135)에 부딪히면서 캠 부재(500)의 회전은 제한된다. 즉, 캠 부재(500)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잠금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즉, 캠 부재(500)가 개방 위치로부터 잠금 방향으로 중립 위치를 벗어날 때까지만 사용자가 홀더(1200)를 회전시키면, 이후에는 탄성 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 프레임(130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연결 프레임(1300)의 이동에 따라 홀더(1200)는 열림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한다.
또한, 홀더(120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전할 때, 연결 프레임(13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완충 기어(1400)가 본체(1100)에 구비되는 랙 기어(1153)에 기어 연결되어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프레임(1300)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홀더가 배출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에 형성된 홀더 보스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캠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는 캠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캠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캠 리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캠 리미터는 본체에 형성된 캠 하우징의 측벽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홀더의 배출량을 제한하는 홀더 리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 리미터는 스토퍼 후크와 스토퍼 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접촉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과 접촉하여, 캠 부재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본체,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비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열리는 위치와 대응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홀더가 닫히는 위치와 대응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회전 보스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회전 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장치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구비되는 완충 기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완충 기어가 치합되는 랙 기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한 자동 잠금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본체의 내부로부터 입출력 기기가 안착된 홀더를 간단히 배출시키거나, 본체의 내부로 홀더를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입출력 기기가 안착된 홀더를 본체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캠 부재와 하나의 탄성 부재만으로 홀더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본체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입출력 기기를 본체의 내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삽입하거나, 본체에 대하여 닫히도록 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5)

  1.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홀더가 배출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형성된 홀더 보스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캠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는 캠 경로가 형성되는 자동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에서 최소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중립 위치에서 최대 복원력을 제공하는 자동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캠 부재에 연결되는 자동 잠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양단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배출량을 제한하는 홀더 리미터;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리미터는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후크; 및
    상기 홀더의 배출량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후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 홈;
    을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캠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캠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하우징에 형성되는 힌지 보스; 및
    상기 캠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보스에 삽입되는 힌지 홀;
    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과 접촉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과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본체;
    입출력 기기가 안착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비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회전 동작에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열리는 위치와 대응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홀더가 닫히는 위치와 대응하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회전 보스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회전 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 잠금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형성된 홀더 보스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캠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는 캠 경로가 형성되는 자동 잠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에서 최소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중립 위치에서 최대 복원력을 제공하는 자동 잠금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KR1020200008508A 2020-01-22 2020-01-22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KR20210094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08A KR20210094813A (ko) 2020-01-22 2020-01-22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US17/793,453 US20230066440A1 (en) 2020-01-22 2020-10-26 Auto closing of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PCT/US2020/057318 WO2021150283A1 (en) 2020-01-22 2020-10-26 Auto closing of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08A KR20210094813A (ko) 2020-01-22 2020-01-22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13A true KR20210094813A (ko) 2021-07-30

Family

ID=7699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508A KR20210094813A (ko) 2020-01-22 2020-01-22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6440A1 (ko)
KR (1) KR20210094813A (ko)
WO (1) WO20211502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0325B2 (en) * 2004-01-16 2011-07-19 Credo Technology Corporation Rotating shaft locking mechanism
US20060082518A1 (en) * 2004-10-19 2006-04-20 Pranil Ram Multiple monitor display apparatus
US7327560B1 (en) * 2005-11-01 2008-02-05 Logitech Europe S.A. Keyboard with integrated laptop stand
US8766921B2 (en) * 2011-10-11 2014-07-0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ver with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6440A1 (en) 2023-03-02
WO2021150283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265B2 (en) Handl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KR100474425B1 (ko) 사무기기의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US6733096B2 (en) Dual-hinged cover of console box for automobile
US8036726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EP1703705A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JP4048303B2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US7236355B2 (en) Sun visor having office work apparatus
EP1624139B1 (en) Door handle device
US20110234733A1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JP466034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94813A (ko) 입출력 기기의 자동 잠금
US20070030635A1 (en) Portable computer
KR20110122845A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KR101178414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JP5848059B2 (ja) 電子機器
KR101129565B1 (ko)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CN217743622U (zh) 滑动装置
JP7347786B2 (ja) ヒンジ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JP4608260B2 (ja) 処理装置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JP4194416B2 (ja) 家具
JP4663268B2 (ja) 処理装置
CN216437268U (zh) 媒体通道切换机构及影像形成装置
JP4037396B2 (ja) 液体貯留ポ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