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905A -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905A
KR20210093905A KR1020217015234A KR20217015234A KR20210093905A KR 20210093905 A KR20210093905 A KR 20210093905A KR 1020217015234 A KR1020217015234 A KR 1020217015234A KR 20217015234 A KR20217015234 A KR 20217015234A KR 20210093905 A KR20210093905 A KR 2021009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s
optical fiber
base material
glass base
draw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30722B1 (ko
Inventor
이와오 오카자키
사토시 요시카와
다카시 야마자키
마코토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9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3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 C03B37/032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for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70Draw furnace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74Means for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draw furnace, e.g. by rotation or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80Means for sealing the preform entry or upper end of the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에 삽입되는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이다.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둘레방향 측면에 접촉하도록 둘레형상으로 마련한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와,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가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둘레방향 측면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블레이드 부재를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인 작용 기구를 갖는다.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은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Description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본 개시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wire drawing furnace)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1일 출원의 일본 출원 제 2018-218141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유리 모재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시일 구조체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152083 호 공보
본 개시의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기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에 삽입되는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둘레방향 측면에 접촉하도록 둘레형상으로 마련한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가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상기 둘레방향 측면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인 작용 기구(pushing and pulling action mechanism)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시일 구조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한 블레이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한 블레이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광 파이버는, 석영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이하, "유리 모재(glass base material)"라고 함)를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이하, "신선 노(wire drawing furnace)라고 함)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 내에 삽입하고, 유리 모재의 선단이 가열 용융되어 세경화되는 것에 의해, 신선 노의 하방으로부터 신선되어 제조된다. 이 때의 신선 노 내의 온도는 약 2000℃로 매우 고온이 되므로, 신선 노 내의 부품에는, 내열성이 뛰어난 카본제의 것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카본 부품의 열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불활성 가스로 신선 노 내를 양압으로 하여, 외기(산소)가 신선 노 내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유리 모재의 간극에서 제대로 기밀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시일되어 있지 않으면), 외기를 신선 노 내에 혼입시켜 버리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유리 모재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시일 구조체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블레이드 부재(시일 부재)가 예정되어 있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신선 노 내에 외기가 인입될 뿐만 아니라, 신선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 또한, 전진한 위치에서, 블레이드 부재가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지면, 블레이드 부재가 주위와의 마찰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유리 모재의 삽입시나 취출시에, 유리 모재나 시일 구조체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블레이드 부재의 폐쇄 동작이나 개방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신선 노 내에 외기가 인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 모재의 삽입시나 취출시에 있어서의 유리 모재나 시일 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는, (1)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기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에 삽입되는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둘레방향 측면에 접촉하도록 둘레형상으로 마련한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가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상기 둘레방향 측면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인 작용 기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이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부재가 전진한 위치여도, 자중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재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일도 없으며, 블레이드 부재를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폐쇄 동작이나, 블레이드 부재를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개방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으므로, 신선 노 내에 외기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리 모재의 삽입시나 취출시에 유리 모재나 시일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후단측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비중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고비중의 재료로 변경하면,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3)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보다 뒤에 추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추를 설치하면,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4)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후단측의 폭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블레이드 부재의 후단측의 폭을 넓게 형성하면,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5)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후단측의 두께를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된다. 블레이드 부재의 후단측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6)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어느 하나의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를 신선한다. 상술의 시일 구조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 모재의 삽입시나 취출시에 있어서의 유리 모재나 시일 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의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히터에 의해 노심 관을 가열하는 저항 노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코일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여, 노심 관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노에도, 본 개시는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리 모재의 매달림 기구나, 단열재의 구성 등도,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일 예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신선 노(1)는 노 하우징(2)과, 노심 관(3)과, 가열원(히터)(4)과, 시일 구조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노 하우징(2)은 상단 개구부(2a)와 하단 개구부(2b)를 가지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심 관(3)은 노 하우징(2)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상단 개구부(2a)와 연통하고 있다. 노심 관(3)은 예를 들면 카본제이며, 이 노심 관(3) 내에는 유리 모재(5)가 상단 개구부(2a)로부터 시일 구조체(10)로 시일된 상태에서 삽입된다.
노 하우징(2) 내에는, 히터(4)가 노심 관(3)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단열재(7)가 히터(4)의 외측을 덮도록 수납되어 있다. 히터(4)는 노심 관(3)의 내부에 삽입된 유리 모재(5)를 가열 용융하고, 그 하단부(5a)로부터 용융 축경된 광 파이버(5b)를 아래로 뻗게 한다. 유리 모재(5)는 별도로 마련한 이동 기구에 의해 신선방향(하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유리 모재(5)의 상측에는, 유리 모재(5)를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선 노(1)에는 불활성 가스 등에 의한 노내 가스의 공급 기구(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노심 관(3) 내나 히터(4)의 주위에, 산화나 열화 방지를 위한 불활성 가스 등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노심 관(3)의 내벽의 상단부가 그대로 상단 개구부(2a)를 형성하고 있는 예를 들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심 관(3)의 내경(d)보다 더 좁은 상단 개구부를 노심 관(3)의 상측에 마련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 시일 대상이 되는 간극은 이 좁은 상단 개구부와 유리 모재(5)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된다. 또한, 유리 모재(5)의 단면형상은, 기본적으로 진원을 목적으로 하여 생성된 것으로 하지만, 그 정밀도에 관계 없이, 일부에서 비원(non-circle)이 존재하여도 좋으며, 또한, 타원형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단 개구부(2a)의 단면은 원형으로 해두면 좋지만, 이 정밀도는 문제삼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신선 노(1)의 상단 개구부(2a)와 상단 개구부(2a)로부터 노심 관(3)에 삽입되는 유리 모재(5)의 외주 사이의 간극(S)을 폐색하기 위한 시일 구조체(10)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단 개구부(2a)에 마련한 시일 구조체(10)에 의해 노 외의 외기를 혼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선 노 내의 유리 모재(5)를 히터(4)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다.
도 2는 시일 구조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시일 구조체(10)는 내열성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14, 15)와, 이들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수용하고,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재(16, 17)와, 블레이드 부재(14, 15)나 가이드 부재(16, 17)를 수용하는 하우징(11)과,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예를 들면 기체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내측으로 가압하거나, 외측으로 인장하는 작용을 갖는 압인 작용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동심의 관통 구멍을 가진 원반형상의 부재이며, 하우징(11)의 내주면 상에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삽통시키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내주면은, 도 1에서 설명한 노심 관(3)에 연통하는 노내 공간(I)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되며, 블레이드 부재(14, 15)나 가이드 부재(16, 17)를 예를 들면 400℃ 이하(각 부재의 재질에 카본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3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가 되도록 냉각하는 기구(예를 들면 수냉 방식, 도시 생략)를 갖고 있어도 좋다. 냉각하는 기구가 있으면, 블레이드 부재(14, 15)나 가이드 부재(16, 17), 하우징(11)에 사용하는 카본이나 금속이, 신선 노의 복사열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블레이드 부재(14, 15)는 하우징(11)의 중심축에 대해 각각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며, 하우징(11) 내에 예를 들면, 상하 2단으로 설치되며, 블레이드 부재(14)는 하우징(11)의 내주면을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마련되며, 블레이드 부재(15)도 블레이드 부재(14)의 하측에서, 하우징(11)의 내주면을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 부재(14, 15)는 예를 들면, 이동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상하 2단으로 엇갈려 배치되고,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유리 모재의 측면에 접촉한다.
블레이드 부재(14, 15)의 재료는 카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카본 외에, 예를 들면, 석영 유리, SiC 코트 카본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블레이드 부재(14, 15)의 폭이나 매수는, 사용하는 유리 모재의 외경이나 외경 변동량이나 굽힘량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가이드 부재(16, 17)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삽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가이드 부재(16)는 블레이드 부재(14)의 상측에, 가이드 부재(17)는 블레이드 부재(15)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6, 17)는 하우징(11)과 일체여도 좋다.
가이드 부재(16, 17)의 재료도 카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질화 붕소(BN)나, 스테인리스, 이황화몰리브덴(MoS2) 등의 금속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의해, 압인 작용 기구로서, 기체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예로, 블레이드 부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에는 내부의 압력 부여 공간(40)에 가스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급배 포트(discharge port)(12)가 마련되며, 급배 포트(12)를 거쳐서 가스 공급부(51)로부터의 가스를 압력 부여 공간(40)에 저류할 수 있다. 또한, 압력 부여 공간(40)에 저류된 가스는, 급배 포트(12)를 거쳐서 가스 배출부(52)로부터 배출하는(빨아냄) 것도 가능하다. 가스 공급부(51)나 가스 배출부(52)는 컨트롤러(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내주면 상에는, 정면(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정면(11a)은 블레이드 부재(14)의 상측의 위치에서, 도 2에서 설명한 노내 공간(I)을 둘러싸도록 만곡하여 마련되어 있다. 정면(11b)은 블레이드 부재(15)의 하측의 위치에서, 동일하게 노내 공간(I)을 둘러싸도록 만곡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6, 17)의 내주면 상에는, 선단면(16a, 17a)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면(16a)은 블레이드 부재(14)의 상측과 정면 벽부(11a) 사이에서 노내 공간(I)을 둘러싸도록 만곡하여 마련되며, 선단면(17a)은 블레이드 부재(15)의 하측과 정면 벽부(11b) 사이에서, 동일하게 노내 공간(I)을 둘러싸도록 만곡하여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부재(14, 15)는 그 중심이, 신선 동작 중은 항상, 가이드 부재(16, 17)의 선단면(16a, 17a)보다 후방의 위치(하우징(11)의 외주면 부근의 위치)에 마련되도록 하고 있다.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을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 위치에 마련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블레이드 부재(14)의 중심보다 뒤에, 추(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부재(14)의 선단면이 유리 모재의 측면으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경우(블레이드 부재(14)가 허용 되는 이동 범위의 최후퇴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로부터, 유리 모재의 측면에 접촉하는 경우(거의 블레이드 부재(14)가 허용되는 이동 범위의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상당)까지, 블레이드 부재(14)의 중심은 항상 가이드 부재(16)의 선단면(16a)보다 후방의 하우징(11) 내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 부재(15)의 중심보다 뒤에도 추(15a)가 설치되고, 블레이드 부재(15)의 선단면이 유리 모재의 측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 부재(15)의 중심은, 항상 가이드 부재(17)의 선단면(17a)보다 후방의, 하우징(11) 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 부재(14, 15)의 중심이 항상 가이드 부재(16, 17)의 선단면(16a, 17a)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부재(14, 15)가 전진한 위치여도, 자중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재(14)는 상방의 가이드 부재(16)나 하방의 블레이드 부재(15)의 마찰이 커지지 않고, 또한, 블레이드 부재(15)는 상방의 블레이드 부재(14)나 하방의 가이드 부재(17)의 마찰이 커지지 않기 때문에,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유리 모재의 측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폐쇄 동작이나, 블레이드 부재(14, 15)를 유리 모재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개방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추(14a, 15a)를 설치하면, 블레이드 부재(14, 15)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의 시일 구조체를 이용한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신선 노 내에 외기가 인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리 모재의 삽입시나 취출시에 있어서의 유리 모재나 시일 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 부재(14, 15)의 중심을 후방에 마련하기 위해, 추를 설치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한 블레이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블레이드 부재(14)의 예를 들면 후단측에, 전단측보다 비중이 무거운, 예를 들면 텅스텐제의 고비중부(14b)가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 부재(14)를, 하우징(11)의 외주면에 가까운 쪽의 질량을 늘리도록 형성하면, 블레이드 부재(14)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5에서는 블레이드 부재(14)의 예로 설명했지만, 블레이드 부재(1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형성하면, 그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혹은, 그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후단에 후육부를 가진 블레이드 부재(14, 15)여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후단에 광폭부를 가진 블레이드 부재(14, 15)여도 좋다. 또는, 전단을 경량화한 블레이드 부재(14, 15)여도 좋다.
블레이드 부재(14, 15)를 하우징(11)의 외주면에 가까운 쪽의 두께를 늘리거나, 혹은, 하우징(11)의 외주면에 가까운 쪽의 폭을 늘리거나, 또는, 하우징(11)의 외주면에 먼 쪽을 가볍게 하도록 형성하면, 블레이드 부재(14, 15)의 중심을 후방에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광 파이버용 신선 노 2: 노 하우징
2a: 상단 개구부 2b: 하단 개구부
3: 노심 관 4: 히터
5: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 5a: 하단부
5b: 광 파이버 6: 지지봉
7: 단열재 10: 시일 구조체
11: 하우징 11a, 11b: 정면
12: 급배 포트 14, 15: 블레이드 부재
14a, 15a: 추 14b: 고비중부
16, 17: 가이드 부재 16a, 17a: 선단면
40: 압력 부여 공간 50: 컨트롤러
51: 가스 공급부 52: 가스 배출부
S: 상단 개구부와 유리 모재의 외주 사이의 간극
d: 노심 관의 내경

Claims (6)

  1. 광 파이버용 신선 노(wire drawing furnace)의 상단 개구부와 상기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에 삽입되는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기 위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둘레방향 측면에 접촉하도록 둘레형상으로 마련한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가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상기 둘레방향 측면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상기 광 파이버용 유리 모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인 작용 기구(pushing and pulling action mechanism)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면보다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후단측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비중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중심보다 뒤에 추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후단측의 폭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중심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후단측의 두께를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전단측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선단면보다 상기 후방의 위치에 마련되는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를 신선하는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KR1020217015234A 2018-11-21 2019-11-20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KR102730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8141 2018-11-21
JPJP-P-2018-218141 2018-11-21
PCT/JP2019/045518 WO2020105691A1 (ja) 2018-11-21 2019-11-20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905A true KR20210093905A (ko) 2021-07-28
KR102730722B1 KR102730722B1 (ko) 2024-11-14

Family

ID=7077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234A KR102730722B1 (ko) 2018-11-21 2019-11-20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24800A1 (ko)
JP (1) JP7476799B2 (ko)
KR (1) KR102730722B1 (ko)
CN (1) CN113165942B (ko)
WO (1) WO20201056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620A (ja) * 1991-09-06 1993-03-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WO2014115849A1 (ja) * 2013-01-24 2014-07-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2014152083A (ja) 2013-02-12 2014-08-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2018030747A (ja) * 2016-08-23 2018-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WO2018038156A1 (ja) * 2016-08-23 2018-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353A (ja) * 2002-10-15 2004-04-30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970319B1 (ko) * 2007-07-24 2010-07-15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리 모재 또는 광섬유 제조용 가열로
JP2012001425A (ja) * 2010-05-17 2012-0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製造方法、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母材
WO2012053394A1 (ja) * 2010-10-19 2012-04-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
JP5834561B2 (ja) * 2011-07-14 2015-12-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用加熱炉のシール構造
CN102838275B (zh) * 2012-08-28 2015-02-04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外径波动光纤预制棒的拉丝方法及装置
JP5986540B2 (ja) * 2013-06-24 2016-09-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203728719U (zh) * 2014-03-14 2014-07-23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拉丝炉密封装置
JP6665695B2 (ja) * 2016-06-03 2020-03-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620A (ja) * 1991-09-06 1993-03-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WO2014115849A1 (ja) * 2013-01-24 2014-07-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2014152083A (ja) 2013-02-12 2014-08-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2018030747A (ja) * 2016-08-23 2018-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WO2018038156A1 (ja) * 2016-08-23 2018-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WO2018038154A1 (ja) * 2016-08-23 2018-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691A1 (ja) 2020-05-28
JP7476799B2 (ja) 2024-05-01
JPWO2020105691A1 (ja) 2021-10-07
CN113165942A (zh) 2021-07-23
KR102730722B1 (ko) 2024-11-14
CN113165942B (zh) 2023-02-17
US20220024800A1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016B2 (ja) 光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線引き炉のシール方法
CN106007361B (zh) 光纤用拉丝炉的密封构造
KR101860620B1 (ko) 광섬유 인선 방법 및 광섬유 인선 장치
US10487001B2 (en) Seal structure of optical fiber drawing furnace, and method for drawing optical fiber
KR20120121354A (ko) 유리 용해로용 전극 홀더
JP2007088325A (ja) 断熱壁体、発熱体の保持構造体、加熱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20210093905A (ko) 광 파이버용 신선 노의 시일 구조체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JP6048190B2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6024475B2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KR102393456B1 (ko)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JP5821514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シール構造
JP6729171B2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RU27578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газа в печ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о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оволокна
JP6665695B2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6816670B2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2087674B1 (ko) 열전대가 장착된 수냉식 빌렛 이송 레일부 및 상기 이송 레일을 갖는 빌렛 가열로
CN114388331A (zh) 薄膜制造设备
US20190321882A1 (en) Melting unit for a moulding machine and a moulding machine
RU2816990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ки и заварки вакуумного геркона
JP5834561B2 (ja) 光ファイバ母材用加熱炉のシール構造
JP2024092844A (ja) 加熱炉
JP5383752B2 (ja) 断熱壁体、加熱装置、基板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529195B1 (ko) 턴디쉬 커버 장치
KR100528757B1 (ko) 광섬유 모재봉의 오버클래딩 방법 및 장치
JP2012033926A (ja) 絶縁構造体、加熱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