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87A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3087A KR20210093087A KR1020200006826A KR20200006826A KR20210093087A KR 20210093087 A KR20210093087 A KR 20210093087A KR 1020200006826 A KR1020200006826 A KR 1020200006826A KR 20200006826 A KR20200006826 A KR 20200006826A KR 20210093087 A KR20210093087 A KR 202100930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part
- coupling
- fastening
- lower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박스와 프레임의 결합력이 우수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3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3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박스와 프레임의 결합력이 우수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전자접촉기는 전동기(Motor) 등의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고정접점(Fixed contact tip)과 가동접점(Moving contact tip), 상기 가동접점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전자석을 이루는 코일(Coil) 및 코어(Core)(고정코어와 가동코어), 그리고 상기 전자석의 움직임을 접점으로 전하는 연결기구인 크로스바(Crossbar)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일에 규정 전압을 인가하면 여자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에 의해 고정코어 내에 자속이 발생하고 고정코어는 자석이 되어 가동코어는 고정코어측으로 흡인된다. 이 가동코어에 연결되어 있는 크로스바에는 가동자(Moving contact)와 가동접점이 결합되어 있어 가동코어의 움직임에 의해 같이 움직이고,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자(Fixed contact)와 고정접점에 접촉해 회로를 닫는다(폐로 상태, 통전 상태).
코일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을 차단하면, 고정코어의 여자(자화)가 풀리고 가동코어는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벗어나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개방 상태).
회로의 개폐(Open/Close) 시 접점에서 아크(Arc)가 발생하는데 이 아크를 아크 박스(Arc Box)와 내부에 장착되는 크리드(Grid)가 소호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절개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의 구성은 케이스(아크 박스)(9), 프레임(1), 고정접점(7), 가동접점(8)을 구비하며,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점(8)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고정접점(7)은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되고, 가동접점(8)은 고정접점(7)에 접촉 및 분리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프레임(1)은 하부프레임(1a)과 상부프레임(1b)으로 나누어져 내부에 고정접점(7), 가동접점(8) 및 전기 엑추에이터를 수용한다.
전기 액추에이터는 전원의 연결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전자석의 일종으로 고정코어(2) 및 가동코어(5), 코일(3)과 보빈(4), 크로스바(6)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일(3)과 이를 고정하는 보빈(4)이 결합된 코일 어셈블리는 하부프레임(1a)에 삽입 설치된다. 코일(3)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에는 전류가 흐르고 고정코어(2)는 여자되어 가동코어(5)를 끌어당기게 된다. 가동코어(5)가 하강운동하면서 크로스바(6) 및 가동접점(8)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가동접점(8)은 고정접점(7)에 접촉되면서 회로는 통전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전자 접촉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이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접촉기의 모든 부품을 내장하여 보호하고 고정하는 프레임(Frame)은 크게 하부 프레임(Lower Frame)(1a), 상부 프레임(Upper Frame)(1b), 아크 박스(Arc Box)(1c)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3가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1a)과 상부 프레임(1b)을 너트(12)와 나사(11)로 체결하고, 아크 박스(1c)를 상부 프레임(1b)에 리벳 어셈블리 등의 체결부재(10)로 고정하였다.
그런데, 아크 박스(1c) 조립 시 사용하는 체결부재(10)는 고정력이 약하여 인해 단락 사고 발생 시 사고 전류에 의해 파손되거나 분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크 박스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3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높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아크 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아크 커버의 길이(높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인접하여 제1 보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2 체결홀에 인접하여 제2 보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체결홀과 제2 보조 체결홀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보조 체결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의 일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의 대응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접촉자가 노출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크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커버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에는 상간 절연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체결홀과 상간 절연홈을 연결하여 체결되는 커버 체결부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에는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아크 커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에 대해 일거에 작업을 수행하므로 조립 작업이 효율적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고정하는 보조 체결부재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한 결합력이 증진된다.
또한, 아크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탑커버에 대한 커버 체결부재가 마련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아크 소호작업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아크 커버가 분리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외부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외함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방향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B방향의 부분 측면도로서 일부는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아크 커버와 탑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외부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외함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방향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B방향의 부분 측면도로서 일부는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아크 커버와 탑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외함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A방향 측면도, 도 7은 도 4에서 B방향의 부분 측면도로서 일부는 C-C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하부 프레임(20);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30);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크 커버(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일면에는 체결부재(70)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22)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40)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32)에 연결되는 제3 결합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70)는 상기 제1 결합부(22), 제2 결합부(32) 및 제3 결합부(42)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20,30,40)은 외함이라고도 하며, 전자 접촉기의 구성부품들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프레임(20,30,40)은 하부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아크 커버(4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0)이 마련된다. 하부 프레임(20)은 합성 수지물 등 절연재료로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2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하부 프레임(20)의 바닥면은 플랜지(21)가 형성되어 돌출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의 바닥면은 지면이나 부착 부분의 지지를 받아 내장되는 부품들을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하부 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보조 접점장치(51) 등의 부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코일 어셈블리(55)가 수용 설치된다. 코일 어셈블리(55)는 코일 어셈블리 장착 카세트(53)에 설치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55)의 중심부 및 주변부에 "E"자 형태의 고정 코어(57)가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20)에는 일측면으로 제1 결합부(2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결합부(22)는 하부 프레임(20)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두께)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결합부(22)는 하부 프레임(2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즉, 제1 결합부(22)의 길이(두께)는 하부 프레임(20)의 길이(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 결합부(22)에는 수직으로(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홀(23)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23)에는 체결부재(70)가 결합된다.
또한, 제1 결합부(22)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1 보조 체결홀(24)이 형성된다. 제1 보조 체결홀(24)은 제1 체결홀(2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은 하부 프레임(20)의 일면에 양측부(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면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은 하부 프레임(20)의 대칭되는 양측부(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은 하부 프레임(20)의 반대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에는 일측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는 제1 결합부(22)가 돌출 형성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는 하부 프레임(20)의 반대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이 마련된다. 상부 프레임(30)은 합성 수지물 등 절연재료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30)은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상부 프레임(30)에는 크로스바(61)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다. 복수 개의 상의 경우 크로스바는 각 상에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3상의 경우, 크로스바(61)는 삼지창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 상에 돌출된다.
크로스바(61)의 하부에는 가동코어(미도시)가 결합된다. 가동코어는 코일 어셈블리(55)에 외부 전원이 투입되어 자속이 형성되는 경우 자화되는 고정코어(57)에 흡인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가동코어에는 크로스바(6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바(61)를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에는 고정접촉자(65)가 설치된다. 고정접촉자(65)는 각 상마다 구비된다. 고정접촉자(65)는 각 상마다 전원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촉자와 부하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촉자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65)의 말단부는 단자부가 형성된다. 즉, 고정접촉자(65)는 단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고정접촉자(65)의 사이에는 상간 절연벽(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간 절연벽(67)은 단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인접한 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프레임(30)에는 일측면으로 제2 결합부(32)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결합부(32)가 형성되는 면은 고정접촉자(65)가 노출되지 않는 면이다. 제2 결합부(32)는 상부 프레임(3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는 길이(두께, 높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2 결합부(32)는 상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30)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된다. 즉, 제2 결합부(32)는 상부 프레임(30)의 길이(높이)와 동일한 길이(두께)로 형성된다.
제2 결합부(32)에는 수직으로(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체결홀(33)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홀(33)에는 체결부재(70)가 결합된다.
제2 결합부(32)에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보조 체결홀(34)이 형성된다. 제2 보조 체결홀(34)은 제2 체결홀(3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상부 프레임(30)의 일면 양측(부(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면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상부 프레임(30)의 대칭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상부 프레임(30)의 반대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은 제1 결합부(22) 및 제1 체결홀(23)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동일한 방향의 면에 형성된다. 이 면은 상부 프레임(30)에서 고정접촉자(65)가 노출되지 않는 면일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에는 일측면에 하부 프레임(20)의 돌출부(25)에 대응하는 오목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35)는 상부 프레임(30)의 반대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에는 끼움부(37)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부(37)는 고정접촉자(65)가 노출되지 않는 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커버(40)가 상부 프레임(30)에 결합될 때, 아크 커버(40)의 측면부는 끼움부(37)에 끼움 결합된다.
아크 커버(40)가 마련된다. 아크 커버(40)는 합성 수지물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된다. 아크 커버(40)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아크 커버(40)의 수용 공간에는 크로스바(61)와 가동접촉자가 구비되고 동작한다.
아크 커버(40)의 상면에는 트립 버튼 홀(41)이 형성된다. 트립 버튼 홀(41)에는 크로스바(61)의 머리부가 노출되어 트립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아크 커버(40)에는 측면에 배기홀(45)이 복수 개 형성된다.
아크 커버(40)에는 일측면으로 제3 결합부(42)가 돌출 형성된다. 제3 결합부(42)는 아크 커버(4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두께)로 형성된다. 제3 결합부(42)는 아크 커버(40)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3 결합부(42)는 상하 길이 방향에서 아크 커버(40)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즉, 제3 결합부(42)의 길이(두께)는 아크 커버(40)의 길이(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3 결합부(42)에는 수직으로(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3 체결홀(43)이 형성된다. 제3 체결홀(43)에는 체결부재(70)가 결합된다.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아크 커버(40)의 일면 양측부(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아크 커버(40)의 대칭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측에 형성되는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아크 커버(40)의 반대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42) 및 제3 체결홀(43)은 제2 결합부(32) 및 제2 체결홀(33)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동일한 방향의 면에 형성된다.
나사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70)가 마련된다. 체결부재(70)는 제1 체결홀(23), 제2 체결홀(33) 및 제3 체결홀(43)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일회 작업으로 하부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아크 커버(40)가 체결된다. 또한, 아크 커버(40)는 상부 프레임(30)과 하부 프레임(20)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잦은 아크 발생이 일어나더라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한다.
체결부재(70)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사부재(72)는 인서트 너트(insert nut)로 구성될 수 있다. 나사부재(72)는 하부 프레임(20)의 제1 결합부(22)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나사 등의 보조 체결부재(75)가 마련된다. 보조 체결부재(75)는 제1 보조 체결홀(24)과 제2 보조 체결홀(34)을 연결하여 결합된다. 보조 체결부재(75)에 의해 상부 프레임(30)과 하부 프레임(20)이 추가로 결합되므로, 상부 프레임(30)과 하부 프레임(20)의 결합력은 더욱 증대된다.
도 7에 도 4에서 B방향의 부분 측면도로서 일부는 C-C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아크 커버와 탑커버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탑커버(50)가 마련된다. 탑커버(50)는 아크 커버(40)의 상면에 결합된다.
탑커버(50)에는 트립 버튼 홀(41)에 연결되는 버튼 홀(58)이 형성된다. 버튼 홀(58)에 크로스바(61)의 머리부가 노출되어 트립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탑커버(50)에는 커버 체결홀(59)이 형성된다. 커버 체결홀(59)이 형성되는 위치는 각 상이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아크 커버(40)에는 상간 절연홈(46)이 형성된다. 상간 절연홈(46)과 커버 체결홀(59)은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간 절연홈(46)은 하단부가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체결부재(77)가 마련된다. 커버 체결부재(77)는 커버 체결홀(59)과 상간 절연홈(46)을 연결하여 체결된다. 커버 체결부재(77)에 의해 탑커버(50)는 아크 커버(40)에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커버 체결부재(77)는 볼트로 구성되어, 상간 절연홈(46)의 하부에 배치되는 너트(79)에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하부 프레임
22 제1 결합부
30 상부 프레임 32 제2 결합부
40 아크 커버 42 제3 결합부
50 탑커버 70 체결부재
75 보조 체결부재 77 커버 체결부재
30 상부 프레임 32 제2 결합부
40 아크 커버 42 제3 결합부
50 탑커버 70 체결부재
75 보조 체결부재 77 커버 체결부재
Claims (10)
-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3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높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아크 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아크 커버의 길이(높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인접하여 제1 보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2 체결홀에 인접하여 제2 보조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체결홀과 제2 보조 체결홀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보조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전자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의 일면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아크 커버의 대응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및 제3 결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접촉자가 노출되지 않는 면에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커버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크 커버에는 상간 절연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체결홀과 상간 절연홈을 연결하여 체결되는 커버 체결부재가 마련되는 전자 접촉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826A KR10234975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전자접촉기 |
EP20914456.7A EP4092709A4 (en) | 2020-01-17 | 2020-12-24 | ELECTROMAGNETIC CONTACTOR |
PCT/KR2020/019062 WO2021145583A1 (ko) | 2020-01-17 | 2020-12-24 | 전자접촉기 |
US17/793,519 US20230121694A1 (en) | 2020-01-17 | 2020-12-24 | Electromagnetic contactor |
CN202080092698.8A CN114981912A (zh) | 2020-01-17 | 2020-12-24 | 电磁接触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826A KR10234975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전자접촉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087A true KR20210093087A (ko) | 2021-07-27 |
KR102349755B1 KR102349755B1 (ko) | 2022-01-11 |
Family
ID=7686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826A KR10234975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전자접촉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21694A1 (ko) |
EP (1) | EP4092709A4 (ko) |
KR (1) | KR102349755B1 (ko) |
CN (1) | CN114981912A (ko) |
WO (1) | WO2021145583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4639A (ja) * | 1992-10-08 | 1994-05-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回路遮断器 |
JPH06342622A (ja) * | 1993-06-01 | 1994-12-13 | Fuji Electric Co Ltd | 回路遮断器の補助カバー締付用ねじ装置 |
KR19980035923A (ko) * | 1996-11-15 | 1998-08-05 | 이종수 |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접촉기 |
KR19980031038U (ko) * | 1996-11-30 | 1998-08-17 | 이종수 | 전자접촉기의 베이스와 아크박스의 체결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14913A (en) * | 1946-05-17 | 1950-07-11 | Air Reduction | Multiple switch |
US3099730A (en) * | 1960-10-18 | 1963-07-30 | Tateishi Kazuma | Magnetic switch |
US3222476A (en) * | 1963-08-16 | 1965-12-07 | Square D Co | Electromagnetic switch |
GB1053488A (ko) * | 1963-12-26 | |||
US3453571A (en) * | 1967-08-24 | 1969-07-01 | Cutler Hammer Inc | Electromagnetic relay with convertible switch contact modules |
EP0310107B1 (en) * | 1987-10-01 | 1992-12-1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Coaxial starter |
US5278531A (en) * | 1992-08-06 | 1994-01-11 | Eaton Corporatio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housing elements |
KR200146681Y1 (ko) * | 1996-08-24 | 1999-06-15 | 이종수 |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어셈블리 장착 구조 |
JP3391016B2 (ja) * | 1998-08-25 | 2003-03-31 | 富士電機株式会社 | 電磁接触器 |
US6377144B1 (en) * | 1999-11-03 | 2002-04-23 | General Electric Company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base and mid-cover assembly |
US6208229B1 (en) * | 2000-04-06 | 2001-03-27 | Eaton Corporation | Moulded case power switch housing with removably secured secondary cover |
US7358837B2 (en) * | 2006-04-12 | 2008-04-15 | Eaton Corporatio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including a molded enclosure and machine screws reinforcing the same |
KR200456667Y1 (ko) * | 2007-10-08 | 2011-11-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전자 접촉기 |
US8487722B2 (en) * | 2010-03-04 | 2013-07-16 | Eaton Corporation | Thermally managed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
2020
- 2020-01-17 KR KR1020200006826A patent/KR1023497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2-24 EP EP20914456.7A patent/EP4092709A4/en active Pending
- 2020-12-24 WO PCT/KR2020/019062 patent/WO2021145583A1/ko unknown
- 2020-12-24 US US17/793,519 patent/US20230121694A1/en active Pending
- 2020-12-24 CN CN202080092698.8A patent/CN11498191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4639A (ja) * | 1992-10-08 | 1994-05-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回路遮断器 |
JPH06342622A (ja) * | 1993-06-01 | 1994-12-13 | Fuji Electric Co Ltd | 回路遮断器の補助カバー締付用ねじ装置 |
KR19980035923A (ko) * | 1996-11-15 | 1998-08-05 | 이종수 |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접촉기 |
KR19980031038U (ko) * | 1996-11-30 | 1998-08-17 | 이종수 | 전자접촉기의 베이스와 아크박스의 체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92709A4 (en) | 2024-01-31 |
WO2021145583A1 (ko) | 2021-07-22 |
CN114981912A (zh) | 2022-08-30 |
US20230121694A1 (en) | 2023-04-20 |
EP4092709A1 (en) | 2022-11-23 |
KR102349755B1 (ko) | 2022-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65586B1 (en) | Contact device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 |
JP5727862B2 (ja) | 電磁接触器 | |
KR100442068B1 (ko) | 접점 장치 | |
JP5876270B2 (ja) | 電磁接触器 | |
JP5684650B2 (ja) | 電磁接触器 | |
JP5778989B2 (ja) | 電磁接触器 | |
WO2012157173A1 (ja) | 電磁接触器 | |
JP5864902B2 (ja) |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 |
EP0532586A1 (en) |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ELECTRO-MAGNET. | |
WO2014073146A1 (ja) | 電磁開閉器 | |
KR20140071408A (ko) | 전자 접촉기 | |
KR20220128942A (ko) | 전자 계전기 | |
CN110875161B (zh) | 直流继电器 | |
KR102349755B1 (ko) | 전자접촉기 | |
EP3951825B1 (en) | Auxiliary contact unit | |
CN110911234B (zh) | 触点机构及使用该触点机构的电磁接触器 | |
WO2019167825A1 (ja) | 接点装置モジュール、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 |
US4521655A (en) | Electric power switch with slotted commutation end plate | |
US11587749B2 (en) | Contact unit for a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device | |
CN219998120U (zh) | 接触器 | |
WO2024047906A1 (ja) | 電磁接触器及びヘッドオンユニットの連結構造 | |
KR20000001455U (ko) |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 |
JPH08264098A (ja) | 回路遮断器 | |
JPH07105817A (ja) | 電磁接触器 | |
KR19990042907A (ko) | 전자접촉기용 크로스바의 충격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