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538A -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538A
KR20210089538A KR1020200002788A KR20200002788A KR20210089538A KR 20210089538 A KR20210089538 A KR 20210089538A KR 1020200002788 A KR1020200002788 A KR 1020200002788A KR 20200002788 A KR20200002788 A KR 20200002788A KR 20210089538 A KR20210089538 A KR 20210089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ase
ice
making chamber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민
장성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20000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538A/ko
Priority to PCT/KR2021/000204 priority patent/WO2021141415A1/ko
Priority to US17/624,103 priority patent/US20220396014A1/en
Publication of KR2021008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3Moulds for making articles with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 B29C44/1233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the preformed parts being supported during expa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발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재가 주입되는 공간부와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된 냉장고 외관케이스와, 상기 외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단열재수용공간이 형성된 제빙실케이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전방지그;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변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지그는 상기 구획부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간부 및 단열재수용공간 방향으로 팽창 또는 내측으로 수축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Foaming jig for refrigerator and foa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갖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얼려서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을 구비한다.
또한,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실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고로써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0674573호)과 같은 기술이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냉동실보다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을 본체의 상부에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냉장실보다 덜 사용하는 냉동실을 본체의 하부에 제공하는 추세이며, 특히, 최근에는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회동형 도어에 의해 냉장실이 개폐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랍형 도어에 의해 냉동실이 개폐되는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본체와 제빙실을 형성하는 제빙실벽에 단열재가 마련되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876호(특허문헌 2)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저장실과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실 내부에 마련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은 제빙실케이스에 의해 냉장실과 구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외상과 내상 사이 공간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빙실케이스는 단열재수용공간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 발포 후 별도의 단열재로 둘러싸인 제빙박스를 냉장고 본체에 설치하여 제빙실을 형성하였지만, 냉장실과 제빙박스가 완벽하게 결합되지 않을 경우 냉기의 유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457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8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동시에 형성하기 위한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 과정에서 제빙실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케이스도 발포 지그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발포가 가능한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 지그와 제빙실케이스의 결합이 용이한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단열재가 주입되는 공간부와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된 냉장고 외관케이스에 삽입되는 전방지그; 상기 외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단열재수용공간이 형성된 제빙실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가변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지그는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부에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상기 외관케이스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방고정지그; 팽창되는 상기 가변지그와 연동되어 상기 후방고정지그에 지지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상기 제빙실케이스와 상기 후방고정지그 사이에는 증발기케이스가 설치되되, 상기 후방고정지그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증발기케이스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상기 제빙실케이스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은 상기 냉장실에 둘러싸이고 상기 제빙실케이스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공간부에 둘러싸여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독립 공간인 상기 제빙실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상기 냉장실과 상기 제빙실은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는,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실 및 제빙실과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된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을 갖는 제빙실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케이스과 연결되도록 내부케이스의 후방에 증발기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외부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부케이스에 전방지그를 삽입시키고 상기 제빙실케이스에 가변지그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가변지그가 상기 공간부 및 단열재수용공간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 및 단열재수용공간에 단열재를 발포시켜 상기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이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그를 상기 제빙실케이스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지그가 수축한 상태로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하지 않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의 공간부와 단열재수용공간에 동시에 단열재가 발포되므로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지그가 제빙실케이스에 밀착되어 받쳐주므로 발포 과정에서 제빙실의 형태가 발포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케이스가 후방고정지그에 지지되어 이동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발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지그를 수축시킬 수 있어 제빙실케이스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의 양문형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중 주요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실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빙실케이스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방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방지그에 제빙실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방고정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사용하여 일체 발포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사용하여 일체 발포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의 양문형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중 주요부분인 외부케이스(100), 내부케이스(200) 및 제빙실(60)을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실(60)을 형성하기위해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되는 제빙실케이스(600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빙실케이스(600a)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전방지그(1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방지그(1100)에 제빙실케이스(600a)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후방고정지그(14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사용하여 일체 발포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사용하여 일체 발포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한편, 도 8, 도 9에서 가변지그(1200)가 수축 상태일 때를 점선으로 도시하였고, 팽창 상태일 때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내부케이스(2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실(11) 및 냉장실(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냉동실(12) 및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 제빙실(60), 양문형 여닫이 타입의 냉장실 도어(310,32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는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조립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되고, 각종 배선의 수용 및 후술할 단열재(IS)가 주입되어 발포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의 사이에 공간부(102)를 마련한 채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냉장실, 냉동실(11,1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상부 구석에는 별물로 마련된 구획부(600)가 조립된다.
내부케이스(200)는 구획부(600), 외부케이스(100)와의 조립 전에 마련되는 증발기케이스(1000a)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달리 내부케이스(200)는 구획부(600)와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600)는 제빙실(60)을 형성시키기 위한 우측단열벽과 하측단열벽 역할을 하는 벽체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외관케이스(100,200) 중 상기 내부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전방지그(1100); 상기 외관케이스(100,2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102)와 연통된 단열재수용공간(601)이 형성된 제빙실케이스(600a) 내부에 삽입되는 가변지그(12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지그(1200)는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내부에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내면을 지지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외관케이스(100,200)는 냉장고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조립되어 단열재(IS)가 주입되는 공간부(102)를 형성하며 내부에 냉장실(11)과 냉동실(12)이 형성된 냉장고 내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
또한, 냉장고용 발포 지그(1000)는 상기 내부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되어 제빙실(60)을 이루는 제빙실케이스(600a)와 조립된다.
상기 가변지그(1200)는 제빙실케이스(600a)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지그(1200)는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간부(102) 방향 및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 방향으로 팽창 또는 내측으로 수축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200)와 제빙실케이스(600a)에 발포 압력이 내측방향으로 가해질 때, 가변지그(1200)가 제빙실케이스(600a)에 밀착되어 발포 압력에 저항하므로 제빙실케이스(600a)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가변지그(1200)는 수축된 상태로 제빙실케이스(600a)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빙실케이스(600a)이 가변지그(120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관케이스(100,200)에 결합되어 냉장고 후측 외관을 구성하는 후판케이스(103); 상기 외관케이스(100,200)의 후측, 즉 상기 후판케이스(103)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방고정지그(1400); 팽창되는 상기 가변지그(1200)와 연동되어 상기 후방고정지그(1400)에 지지되는 구동부(1300);를 더 포함한다.
후방고정지그(1400)는 후판케이스(103)를 전부 덮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8의 도시처럼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와 상기 후판케이스(103) 사이에 증발기케이스(1000a)가 형성되되, 상기 후방고정지그(1400)에 형성된 돌출부(1410)가 상기 증발기케이스(1000a)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따라서 증발기케이스(1000a)도 발포 지그(1000)에 지지되어 이동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발포가 가능하다.
증발기케이스(1000a)는 내부케이스(200)의 함몰부에 수용되도록 제빙실케이스(600a) 후측과 후판케이스(103) 사이에 위치된다.
증발기케이스(1000a)에는 전측부터 팬, 증발기, 단열커버 순대로 수용된다.
증발기케이스(1000a)는 정면에서 볼 때 전후가 관통 형성된 대략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한편, 후판케이스(103)에는 증발기케이스(1000a) 내부가 외부공간에 연통되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은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에 둘러싸이고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공간부(102)에 둘러싸여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내부에 별도의 독립 공간인 상기 제빙실(60)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11)과 상기 제빙실(60)은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12)은 상기 냉장실(11) 및 제빙실(60)과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열재(IS)가 공간부(102)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발포되면 제빙실케이스(600a)의 상하좌우 사방에 단열재(IS)가 배치된다. 또한 제빙실케이스(600a)의 전후측에는 별도의 구성이 조립됨으로써 제빙실(60)이 독립된 단열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 제빙실케이스(600a)의 우측 및 하측이 냉장실(11)에 둘러싸인다.
또한 제빙실케이스(600a)의 좌측 및 상측이 공간부(102)에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 제빙실케이스(600a)의 좌측 및 상측은 내측케이스와 접촉된 것이다. 자세한 것을 후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빙실케이스(600a)는 상하좌우를 이루는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을 형성하는 제빙실케이스(600), 후술될 구획부(600)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00)에 설치되는 설치벽(640)을 포함한다.
설치벽(640)은 구획부(600)에 결합된 채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 및 좌측벽 내면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9과 같이 냉장고를 정면에서 볼 때 구획부(600)는 'ㄱ'자 형상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이고, 설치벽(640)은 'ㄱ'자 형상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이다.
설치벽(640)은 제빙실케이스(600a)의 상측, 좌측에 해당하고, 구획부(600)는 제빙실케이스(600a)의 하측, 우측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면에서 볼 때 제빙실케이스(600a)는 전후가 관통 형성된 대략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도 8, 도 9의 도시와 같이, 단열재(IS)가 수용되는 구획부(600)의 두께는 설치벽(640)의 두께보다 두껍다.
구획부(600)에는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상기 공간부(102)가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도 9의 도시와 같이 구획부(600)의 상면에 제1관통홀(6136a)이 형성된 제1돌출부(6136)가 형성되고, 구획부(600)의 좌측면에 제2관통홀(6244a)이 형성된 제2돌출부(6244)가 형성된다.
설치벽(640)은 제빙기 구동과 관련된 구성들과 연결되는 하니스를 설치홀(6437)에 설치하고, 얼음저장용 버킷의 인출입 가이드하고, 제빙기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로 인해,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빙실(60)은 공간부(102)에 발포된 단열재(IS)와 단열재수용공간(601)에 발포된 단열재(IS)에 상하좌우, 즉 사방이 둘러싸여 냉장실(11)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변지그(1200)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지그(1210) 및 하측지그(1220), 서로 마주보는 좌측지그(1230) 및 우측지그(1240), 구동부(1300)가 연결된 후측지그(1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구동부(1300)는 봉 형상이다.
구동부(1300)는 가변지그(1200)와 연동되어 있다. 즉 구동부(1300)가 전측으로 이동한 상태일 때 가변지그(1200)가 팽창된 상태가 되고, 구동부(1300)가 후측으로 이동한 상태일 때 가변지그(1200)가 수축된 상태가 된다.
구동부(1300)가 도 8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전측으로 이동하면 도 8, 도 9의 도시와 같이 가변지그(1200)가 팽창된다. 구체적으로, 상측지그(1210)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하측지그(1220)가 하측으로 이동해 서로 멀어지며, 좌측지그(123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지그(1240)가 우측으로 이동해 서로 멀어진다.
결과적으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냉장고를 정면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상측지그(1210)는 설치벽(640) 중 상측 내면과 밀착되고, 하측 지그는 구획부(600) 중 하측 내면과 밀착되며, 좌측지그(1230)는 설치벽(640) 중 좌측 내면과 밀착되고, 우측지그(1240)는 구획부(600) 중 우측 내면과 밀착된다.
한편, 도 8의 도시와 같이 전측으로 이동한 구동부(1300)는 후방고정지그(1400)의 돌출부(1410)에 지지되므로 가변지그(12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IS) 발포시 발포 압력이 제빙실케이스(600a)에 내측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가변지그(1200)에 지지되어 제빙실케이스(600a)의 원형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단열재(IS) 발포 결과가 좋다.
한편, 후방고정지그(1400)는 대략 판 형상이다.
후방고정지그(1400)는 임의의 위치에 상기 돌출부(1410)가 형성된다. 상기 임의의 위치는 후방고정지그(1400)를 후판케이스(103)와 결합시키면 상기 돌출부(1410)는 형성케이스(1000a)에 삽입되는 위치다. 따라서 단열재(IS) 발포시 후판케이스(103)가 형성케이스(1000a)와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발포 결과가 좋다.
=====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이용한 발포 방법 =====
이하에서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이용한 발포 방법은,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을 갖는 제빙실케이스(600a)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와 연결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후방에 증발기케이스(1000a)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과 연통되는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외측에 외부케이스(10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부케이스(200)에 전방지그(1100)를 삽입시키고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에 가변지그(1200)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가변지그(1200)가 상기 공간부(102) 및 단열재수용공간(601)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내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102) 및 단열재수용공간(601)에 단열재(IS)를 발포시켜 상기 냉장실(11) 및 제빙실(60)이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실(60) 형성 단계는, 상기 냉장실(11) 및 제빙실(60)이 일체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되는 단계이다.
제빙실(60) 형성 단계는, 상기 냉동실(11)은 상기 냉장실(11) 및 제빙실(60)과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변지그(1200)의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삽입 단계는, 상기 가변지그(1200)가 수축한 상태로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 내면을 지지하지 않는 단계이다. 따라서 가변지그(1200)가 제빙실케이스(600a)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전방지그(1100)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부 형상 중 제빙실케이스(600a)를 제외한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와 같이 전방지그(1100)에는 가변지그(1200)의 후측에 함몰부(1001)가 형성되며, 도 6의 도시와 같이 가변지그(1200)가 제빙실케이스(600a)에 삽입되면 전방지그(1100)의 함몰부(1001)에는 증발기케이스(1000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1000)를 이용한 발포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이 형성된 내부케이스(200)를 마련한다.
이후, 도 1, 2, 9의 도시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의 내면 상측과 좌측이 만나는 모서리에 단열재수용공간(601)을 갖는 제빙기케이스를 설치시킨다.
이후, 증발기케이스(1000a)를 제빙기케이스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내부케이스(200)의 후측에 형성시킨다.
이후, 단열재(IS)가 발포되는 상기 공간부(102)가 상기 내부케이스(20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외부케이스(100)를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제빙실케이스(600a)의 상기 제1관통홀(6136a) 및 제2관통홀(6244a)이 공간부(102)와 연통된다.
이후,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에 전방지그(1100)를 삽입시키고, 상기 제빙실케이스(600a)에 수축된 상태의 가변지그(1200)를 삽입시킨다.
이후, 발포 지그(1000)가 내부케이스(200) 및 제빙실케이스(600a)와 결합이 완료되면 구동부(1300)가 전측으로 이동하고 가변지그(1200)가 팽창된다. 이로 인해 가변지그(1200)가 제빙실케이스(600a)의 내면에 밀착되고 구동부(1300)는 후방고정지그(1400)의 돌출부(1410)에 지지된다.
이후, 도 9의 도시와 같이 단열재(IS)를 서로 연통된 상기 공간부(102)와 상기 단열재수용공간(601)에 삽입한 뒤 일체로 발포시킨다. 즉 일체 발포에 의해 동시에 제빙실(60)을 냉장실(11) 및 냉동실(12)과 별도의 단열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빙실(60)에는 제빙기, 얼음저장용 버킷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1 : 냉장실 12 : 냉동실
60 : 제빙실
100 : 외부케이스 102 : 공간부
103 : 후판케이스 200 : 내부케이스
600 : 구획부 600a : 제빙실케이스
601 : 단열재수용공간 640 : 설치벽
1000 : 발포지그 1000a : 증발기케이스
1001 : 함몰부 1100 : 전방지그
1200 : 가변지그 1300 : 구동부
1400 : 후방고정지그 1410 : 돌출부
IS : 단열재

Claims (8)

  1. 단열재가 주입되는 공간부와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된 냉장고 외관케이스에 삽입되는 전방지그;
    상기 외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된 단열재수용공간이 형성된 제빙실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가변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지그는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부에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관케이스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방고정지그;
    팽창되는 상기 가변지그와 연동되어 상기 후방고정지그에 지지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케이스와 상기 후방고정지그 사이에는 증발기케이스가 설치되되,
    상기 후방고정지그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증발기케이스에 삽입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케이스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은 상기 냉장실에 둘러싸이고 상기 제빙실케이스 중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공간부에 둘러싸여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독립 공간인 상기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과 상기 제빙실은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실 및 제빙실과 발포에 의해 동시에 독립 공간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
  7.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된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을 갖는 제빙실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케이스와 연결되도록 내부케이스의 후방에 증발기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외부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부케이스에 전방지그를 삽입시키고 상기 제빙실케이스에 가변지그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가변지그가 상기 공간부 및 단열재수용공간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 및 단열재수용공간에 단열재를 발포시켜 상기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이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그를 상기 제빙실케이스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지그가 수축한 상태로 상기 제빙실케이스 내면을 지지하지 않는 단계인 냉장고 발포용 지그를 이용한 발포 방법
KR1020200002788A 2020-01-08 2020-01-08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KR20210089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88A KR20210089538A (ko) 2020-01-08 2020-01-08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PCT/KR2021/000204 WO2021141415A1 (ko) 2020-01-08 2021-01-07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US17/624,103 US20220396014A1 (en) 2020-01-08 2021-01-07 Refrigerator foaming jig and foam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788A KR20210089538A (ko) 2020-01-08 2020-01-08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538A true KR20210089538A (ko) 2021-07-16

Family

ID=7678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788A KR20210089538A (ko) 2020-01-08 2020-01-08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96014A1 (ko)
KR (1) KR20210089538A (ko)
WO (1) WO20211414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73B1 (ko) 2003-03-28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13876B1 (ko) 2012-01-06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700B2 (ja) * 1999-08-25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0168U (ko) * 2007-07-03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320112B1 (ko) * 2012-04-05 2013-10-18 에이테크솔루션(주) 냉장고 캐비닛 발포 금형
KR101696846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3433U (ko) * 2016-03-25 2017-10-12 김용석 냉장 기기 발포 지그의 구조 및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73B1 (ko) 2003-03-28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13876B1 (ko) 2012-01-06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6014A1 (en) 2022-12-15
WO2021141415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847B2 (en) Cabinet for recessed refrigerators
EP2679938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233629A1 (en) Refrigerator
KR20130114851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10717U (ko) 냉장고의 전면중앙부 구조
CN113348334B (zh) 冰箱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89538A (ko)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JP2000009380A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JP7181578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JP3243180B2 (ja) 断熱箱体
JP3425314B2 (ja) 冷蔵庫
JP3823993B2 (ja) 冷蔵庫
KR100471720B1 (ko) 내상을 갖춘 냉장고
JP6735075B2 (ja) 冷蔵庫
KR20210089540A (ko) 냉장고 제조방법
KR20210089544A (ko) 냉장고 제조방법
WO2022224837A1 (ja) 冷蔵庫
KR20210089534A (ko) 냉장고
KR20240024690A (ko) 냉장고
KR200375929Y1 (ko) 냉장고의 밑판
JP2022045162A (ja) 冷蔵庫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20200141879A (ko) 냉장고
KR20210089548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