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168U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168U
KR20090000168U KR2020070010896U KR20070010896U KR20090000168U KR 20090000168 U KR20090000168 U KR 20090000168U KR 2020070010896 U KR2020070010896 U KR 2020070010896U KR 20070010896 U KR20070010896 U KR 20070010896U KR 20090000168 U KR20090000168 U KR 20090000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ce making
making chamber
i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훈
이종달
김지훈
유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168U/ko
Publication of KR20090000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제빙실 하우징이 변형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제조과정에서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개시한다. 이 냉장고는 저장실을 한정하며 외상 및 내상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구비하는 본체와,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제빙실을 한정하는 제빙실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빙실 하우징은 외부하우징 및 내부하우징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포함하며, 내상과 외부하우징은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면에 상호 연통하는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 하우징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실 하우징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 단면도로, 단열재 주입 전 상태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 단면도로, 단열재 주입 후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냉장실,
12: 냉동실, 24: 제빙실,
31: 외상, 32: 내상,
33,43: 단열재, 34: 결합홈,
35,45: 단열재 주입구, 40: 제빙실 하우징,
41: 외부하우징, 42: 내부하우징,
44: 결합후크.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 내에 제빙실을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6-0260347호에는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의 냉장실 내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제빙실이 마련되어 있다. 제빙실은 하부의 냉동실 쪽으로부터 냉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냉각유로를 통해 냉동실과 연통되어 있고, 제빙실 내에는 제빙장치와 얼음저장용기가 마련되어 있다.
제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제빙실 하우징은 냉장실 쪽에 노출되는 외면이 냉장실의 내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빙실 하우징을 냉장실의 내상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본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는 제빙실 하우징을 냉장실의 내상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제빙실 하우징 외면의 강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본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본체 외상과 내상 사이 및 제빙실 하우징 쪽에 발포성 단열재를 주입할 경우 하우징의 외면이 단열재의 주입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었다. 형상이 복잡한 제빙실 하우징을 두께가 얇은 냉장실 내상과 일체로 제조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는 제빙실이 있는 것과 제빙실이 없는 것을 구분하여 제 조함으로써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위에 언급한 냉장고는 제빙실 하우징과 냉장실의 내상을 일체로 제조하기 때문에 냉장실의 내상을 성형하는 금형을 별도로 마련해야 했다. 즉 냉장실의 내상을 제조할 때 제빙실이 있는 것과 제빙실이 없는 것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 별도의 금형이 필요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제빙실 하우징이 변형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과정에서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에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실이 있는 내장고의 내상과 제빙실이 없는 냉장고의 내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한정하며 외상 및 내상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제빙실을 한정하는 제빙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하우징은 외부하우징 및 내부하우징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상과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본체와 상기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면에 상호 연통하는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내상과 접하는 외면에 복수의 결합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내상은 상기 복수의 결합후크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내상보다 강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로 구획되고, 상기 제빙실 하우징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실을 갖춘 본체(10)를 구비한다. 저장실은 구획벽(13)에 의해 상부의 냉장실(11)과 하부의 냉동실(12)로 구획되고, 냉장실(11)과 냉동실(12)은 각각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냉장실(11)은 제1냉장실도어(14)와 제2냉장실도어(15)에 의해 개폐되고, 냉동실(12)은 하나의 냉동실도어(16)에 의해 개폐된다. 제1냉장실도어(14)와 제2냉장실도어(15)는 좌우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냉동실도어(16)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냉동실(12) 내에 설치된 서랍형 저장용기와 함께 전후로 진퇴하면서 냉동실(12) 전면을 개폐한다.
냉동실(12)에는 냉동실(12)의 냉각을 위한 냉동실증발기(17)와 냉동실(12)의 냉기순환을 위한 냉동실순환팬(18)이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실(11)에는 냉장실(11) 의 냉각을 위한 냉장실증발기(21)와 냉장실(11)의 냉기 순환을 위한 냉장실순환팬(22)이 설치된다. 즉 냉동실(12)과 냉장실(11)은 별도의 증발기들(17,21)에 의해 냉각된다.
냉장실(11)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실(24)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빙실(24)을 형성하기 위해 냉장실(11) 상부의 한쪽 구석에는 제빙실 하우징(40)이 설치된다. 또 제빙실(24)에는 본체(10) 후방에 설치된 냉기공급유로(25)를 통해 냉동실(12) 쪽의 냉기가 공급된다. 이는 제빙실(24)이 냉장실(11)보다 낮은 결빙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빙실(24) 내부를 거친 공기는 본체(10) 후방에 마련된 냉기복귀유로(26)를 통해 냉동실(12)로 복귀한다. 냉동실(12)에는 이러한 공기순환을 위해 냉기를 냉기공급유로(25)로 송풍하는 송풍팬(27)이 설치된다.
제빙실(24) 내에는 얼음의 제조하는 제빙장치(28)가 상측에 설치되고,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얼음저장용기(29)가 제빙장치(28) 하측에 설치된다. 얼음저장용기(29)는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얼음 배출을 위한 얼음배출구(29a)와, 배출되는 얼음을 필요에 따라 분쇄할 수 있는 분쇄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얼음배출구(29a)로 배출되는 얼음은 제1냉장실도어(14)의 배출슈트(14a)를 통해 제1냉장실도어(14) 외부로 안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냉장실도어(14)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얼음을 얻을 수 있다.
제빙실 하우징(40)은 본체(10)와 마찬 가지로 단열 가능한 벽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10)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을 이루는 외상(31), 냉장실(11)을 한정하는 내상(32), 외상(31)과 내상(32) 사이에 채워지는 발포성 단열 재(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빙실 하우징(40)은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의 일부가 내상(32)과 접하는 외부하우징(41), 외부하우징(41) 내에 설치되어 제빙실(24)을 한정하는 내부하우징(42), 외부하우징(41)과 내부하우징(42) 사이에 채워지는 발포성 단열재(43)를 포함한다.
제빙실 하우징(40)의 외부하우징(4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과정에서 발포성 단열재(33,43)를 주입하기 전에 외부하우징(43)을 내상(32)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후크들(44)이 마련되고, 내상(32)에는 복수의 결합후크(44)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들(34)이 마련된다. 복수의 결합후크(44)는 내상(32)과 접하는 상면과 후면 등에 마련되고, 결합홈들(34)은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내상(32)에 형성된다. 이는 외부하우징(41)을 내상(32)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본체(10)의 내상(32)과 외부하우징(41)에는 상호 접하는 면에 상호 연통하는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35,45)가 형성된다. 이는 본체(10)로 단열재(33)를 주입할 때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35,45)를 통하여 제빙실 하우징(40)으로 단열재(43)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냉장고 제조과정에서 본체(10)와 제빙실 하우징(40)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33,43)의 경화 후 본체(10)와 제빙실 하우징(40)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단열재 주입구(35,45)에 위치하는 단열재가 경화되어 본체(10)와 제빙실 하우징(40)을 견고히 결속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본체(10)의 내상(32)과 제빙실 하우징(40)이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내상(32)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실(24)이 있는 냉장고와 제빙실(24)이 없는 냉장고를 구분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도 내상(32)을 공유할 수 있다. 즉 금형으로 내상(32)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단열재 주입구(35) 및 결합홈(34) 등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제조하였다가 제빙실(24)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내상에 단열재 주입구(35) 및 결합홈(34) 등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빙실(24)이 있는 냉장고와 제빙실이 없는 냉장고를 구분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도 내상(32)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 예는 본체의 내상(32)과 제빙실 하우징(40)이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빙실 하우징(40)의 외부하우징(41) 강도를 내상(32)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41)의 강도을 내상보다 높게 하려면, 외부하우징(41)의 두께를 내상(32)보다 두껍게 하거나, 외부하우징(41)과 내상(32)의 재질을 달리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질로 외부하우징(41)을 만든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빙실 하우징(40)의 외부하우징(41) 강도를 높이면, 발포성 단열재(43)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입압력에 의해 외부하우징(41)이 변형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제빙실 하우징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빙실 하우징(40)을 본체(10)에 결합하기 전에, 본체(10)는 미리 외상(31)과 내상(32)을 결합시켜 둔다. 물론 이때는 외상(31)과 내상(32) 사이에 단열재(33)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제빙실 하우징(40)은 외부에서 별도로 제조한 후 외부하우징(41) 내에 내부하우징(42)을 먼저 결합한다. 이때 제빙실 하우징(40) 역시 단열재(43)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제빙실 하우징(40)의 외부하우징(41)과 내부하우징(42)을 조립한 후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를 내상(32)에 장착한다. 이때는 외부하우징(41)의 결합후크들(44)이 내상의 결합홈들(34)로 진입하여 걸리는 방식으로 결속되므로 제빙실 하우징(40)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처럼 제빙실 하우징(40)을 설치할 때는 제빙실(24) 쪽 냉기순환을 위한 냉기공급유로(25)와 냉기복귀유로(26)를 형성하는 덕트들(25a,26a)도 설치한다.
이처럼 제빙실 하우징(40)을 내상(32)에 장착한 후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로 발포성 단열재(33)를 주입한다. 이때 본체(10)로 주입되는 단열재(33)는 내상(32)과 제빙실 하우징(40)에 마련된 다수의 단열재 주입구들(35,45)을 통해 제빙실 하우징(40)으로도 주입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열재를 표시하는 번호를 33과 43으로 구분하였으나, 본체(10)와 제빙실 하우징(40)에 채워지는 단열재는 동일한 것이다.
단열재(33,43)의 주입이 완료된 후 단열재(33,34)가 경화하면, 단열재 주입구(35,45)에 위치하는 단열재가 본체(10)와 제빙실 하우징(40)을 결속하게 되므로 제빙실 하우징(4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내상(32)과 제빙실 하우징(40)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이면서도 거의 일체화 되는 정도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의 내상과 제빙실 하우징의 외부하우징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외부하 우징의 강도를 내상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제빙실 하우징이 변형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본체의 내상과 이에 접하는 제빙실 하우징의 외부하우징에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본체와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본체의 내상과 제빙실 하우징의 외부하우징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빙실이 있는 내장고의 내상과 제빙실이 없는 냉장고의 내상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저장실을 한정하며, 외상 및 내상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제빙실을 한정하는 제빙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하우징은 외부하우징 및 내부하우징과 이들 사이의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상과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본체와 상기 제빙실 하우징으로 단열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도록 상호 접하는 면에 상호 연통하는 복수의 단열재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내상과 접하는 외면에 복수의 결합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내상은 상기 복수의 결합후크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내상보다 강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부의 냉장실과 하부의 냉동실로 구획되고,
    상기 제빙실 하우징은 상기 냉장실 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20070010896U 2007-07-03 2007-07-03 냉장고 KR200900001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96U KR20090000168U (ko) 2007-07-03 2007-07-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96U KR20090000168U (ko) 2007-07-03 2007-07-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68U true KR20090000168U (ko) 2009-01-08

Family

ID=4127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96U KR20090000168U (ko) 2007-07-03 2007-07-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168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84B1 (ko) * 2012-07-20 2013-02-08 김명철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18065203A1 (en) * 2016-10-07 2018-04-12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or in whose production thermoplastic parts are used
WO2021045296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45295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45294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21141415A1 (ko) * 2020-01-08 2021-07-15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84B1 (ko) * 2012-07-20 2013-02-08 김명철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18065203A1 (en) * 2016-10-07 2018-04-12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or in whose production thermoplastic parts are used
WO2021045296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45295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45294A1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WO2021141415A1 (ko) * 2020-01-08 2021-07-15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 발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발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48230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ivided storage space
US833633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US9581377B2 (en) Refrigerator
KR100933635B1 (ko) 냉장고
KR101519134B1 (ko) 냉장고
KR20130114850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23997A1 (en) Refrigerator
KR20090000168U (ko) 냉장고
KR20160149071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349613A1 (en) Refrigerator
KR1018708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1541187B1 (ko) 냉장고
KR20100113193A (ko) 냉장고
KR201100727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멀리언의 조립방법
KR2016007539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20110035416A (ko) 냉장고
KR100737454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JPS608294Y2 (ja) 冷凍冷蔵庫
KR20210089545A (ko) 냉장고
KR20240051639A (ko) 냉장고
KR2023005407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KR20210089546A (ko) 냉장고
KR20210089539A (ko) 냉장고
KR2021008954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