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54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9541A KR20210089541A KR1020200002791A KR20200002791A KR20210089541A KR 20210089541 A KR20210089541 A KR 20210089541A KR 1020200002791 A KR1020200002791 A KR 1020200002791A KR 20200002791 A KR20200002791 A KR 20200002791A KR 20210089541 A KR20210089541 A KR 20210089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 ice
- space
- inner case
- insulat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격벽을 포함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여 감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는 구획부단열재가 일부 수용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일체발포됨에 따라 상기 냉장실 및 상기 제빙실이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내부 일부분에 미리 구획부단열재를 삽입시킨 상태로 공간부와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 단열재를 주입하여 일체발포함으로써 점성이 큰 단열재를 구획부 내부의 깊숙한 지점까지 유입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구획부 자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얇아지는 구획부 자체의 두께만큼 제빙실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내부 일부분에 미리 구획부단열재를 삽입시킨 상태로 공간부와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 단열재를 주입하여 일체발포함으로써 점성이 큰 단열재를 구획부 내부의 깊숙한 지점까지 유입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구획부 자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얇아지는 구획부 자체의 두께만큼 제빙실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얼려서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을 구비한다.
또한,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실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빙실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냉동실보다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을 본체의 상부에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냉장실보다 덜 사용하는 냉동실을 본체의 하부에 제공하는 추세이며, 특히, 최근에는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회동형 도어에 의해 냉장실이 개폐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랍형 도어에 의해 냉동실이 개폐되는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프렌치도어 타입의 냉장고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점점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4573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내부 일부분에 미리 구획부단열재를 삽입시킨 상태로 공간부와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 단열재를 주입하여 일체발포함으로써 점성이 큰 단열재를 구획부 내부의 깊숙한 지점까지 유입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구획부 자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얇아지는 구획부 자체의 두께만큼 제빙실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격벽을 포함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여 감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는 구획부단열재가 일부 수용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일체발포됨에 따라 상기 냉장실 및 상기 제빙실이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단열재는 상기 구획부 내부의 단열재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구획부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공백영역과 제2공백영역이 마련되되, 상기 단열재는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제1공백영역과 상기 제2공백영역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비드부에 형합되는 제1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2비드부에 형합되는 제2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비드부와 상기 제1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비드부와 상기 제2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백영역은 상기 제1관통공에 연통되고, 상기 제2공백영역은 상기 제2관통공에 연통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상기 공간부에 주입되는 동시에,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상기 공간부에 주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1공백영역에 주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을 거쳐 제2공백영역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내부 일부분에 미리 구획부단열재를 삽입시킨 상태로 공간부와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 단열재를 주입하여 일체발포함으로써 점성이 큰 단열재를 구획부 내부의 깊숙한 지점까지 유입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점성이 큰 단열재를 구획부 내부의 깊숙한 지점까지 유입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획부 자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얇아지는 구획부 자체의 두께만큼 제빙실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빙실의 얼음 생성량 및 얼음 저장량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처음부터 본체의 저장공간을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로 구획한 상태로 단열재를 주입하여 일체발포함으로써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을 동시에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제작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제작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의 공간부 및 구획부의 단열재수용공간에 주입된 단열재가 일체 발포되어 제빙실의 단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의 공간부 및 구획부의 단열재수용공간에 주입된 단열재가 일체 발포되어 구획부가 본체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구획부가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이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기본적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이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한 실시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냉장실에 설치된 회동형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에 구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내부케이스는 올려본 상태이고, 구획부는 내려본 상태로 도시함).
도 6은 도 4에서 증발기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외부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8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조립체, 가이드부 및 단열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이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한 실시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냉장실에 설치된 회동형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에 구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내부케이스는 올려본 상태이고, 구획부는 내려본 상태로 도시함).
도 6은 도 4에서 증발기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외부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8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조립체, 가이드부 및 단열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배면분리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된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공간(110)이 마련되며, 저장공간(110)은 본체(10)에 대한 단열재(12)의 주입 및 일체발포가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동실(112)과, 본체(10)의 상부, 즉, 냉동실(112)의 상부에 구비되는 냉장실(111) 및 제빙실(113)로 구획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10)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00)는 일반적으로 라이너 또는 내상이라고 불리는 구성으로서, 본체(10)의 내부를 이룬다.
내부케이스(100)는 구획부(120)와 격벽(130)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00)는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저장공간(110)이 구비되어 각종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100)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114)가 형성되고,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115)가 형성된다.
제1비드부(114)는 내부케이스(100)의 상측벽 내면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비드부(115)는 내부케이스(100)의 좌측벽 내면에서 우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비드부(114)와 제2비드부(115)는 내부케이스(10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제1비드부(114)는 제2비드부(115)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1비드부(114)와 제2비드부(115)는 내부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가지나, 내부케이스(100)의 외측에서 볼 때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제1비드부(114)의 전방측 단부는 상측단부가 하측단부보다 전방측으로 튀어나오도록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비드부(115)의 전방측 단부는 좌측단부가 우측단부보다 전방측으로 튀어나오도록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비드부(114)는 얼음이 생성되어 보관되는 후술할 제빙실(113)을 형성하는 구획부(120)의 우측부와 함께 제빙실(113) 우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루고, 제2비드부(115)는 후술할 제빙실(113)을 형성하는 구획부(120)의 하측부와 함께 제빙실(113) 하측의 단열벽 일부분을 이룬다.
제1비드부(114)에는 제1주입구(114a)와 제1돌출부(121a)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115)에는 제2주입구(115a)와 제2돌출부(122a)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비드부(114)에 제1주입구(114a)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115)에 제2주입구(11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주입구(114a)는 제1비드부(114)를 상하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114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주입구(115a)는 제2비드부(115)를 좌우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주입구(114a)와 마찬가지로 제2주입구(115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주입구(114a) 및 제2주입구(115a)는 후술할 공간부(11)와 후술할 단열재수용공간(124)의 제1공백영역(124a) 및 제2공백영역(124b)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00)의 후방측에는 장착부(116)가 형성된다.
장착부(116)는 내부케이스(100)의 상부벽, 후측벽 및 좌측벽에 걸쳐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으로써, 후술할 제빙실(113)의 직후방에 형성된다.
즉, 장착부(116)는 내부케이스(100)의 상부 후방 좌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공간인 것이다.
장착부(116)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40)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공간이고, 장착부(116)의 내부 전면을 이루는 내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홀(116a)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홀(116a)은 후술할 제빙실(113)에 대해 후술할 설치공간(141) 및 후술할 팬수용부(142)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00)는 구획부(120)를 포함한다.
구획부(120)는 내부케이스(100)에 마련된 저장공간(110) 내에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획부(120)는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얼음의 생성 및 보관이 이루어지는 제빙실(113)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와 우측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L자형을 이루는 벽의 형태로 상부와 좌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전면부가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단열재수용공간(124)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획부(120)의 단열재수용공간(124)에는 구획부(120), 격벽(130) 및 증발기케이스(140)를 포함하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의 결합 후에 본체(10)의 공간부(11)에 주입된 단열재(12)가 주입되어 일체발포 됨으로써 냉장실(111) 및 제빙실(113)이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며, 더불어 냉동실(112)도 이와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이 동시에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한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20)의 단열재수용공간(124)의 일부분에는 미리 구획부단열재(125)가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획부(120)가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되기 전, 구획부(120)의 내부, 즉, 단열재수용공간(124)에는 구획부단열재(125)가 일부 수용되며, 구획부(120)는 이러한 상태로 내부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된다.
구획부단열재(1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20) 내에 구획부(12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 구획부단열재(125)는 도 2에서 볼 때, 구획부(120)의 세로변(구획부의 우측부), 가로변(구획부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단열재수용공간(124) 또는 구획부(120)의 세로변(구획부의 우측부)의 단열재수용공간(124)과 가로변(구획부의 하부)의 단열재수용공간(124)에 걸쳐 수용될 수 있다.
단열재수용공간(124)의 일측과 타측에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의 결합 시,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 사이에 형성되는 후술할 공간부(11)의 일측과 타측에 연통되고 구획부단열재(125)를 사이에 둔 채 이격된 제1공백영역(124a)과 제2공백영역(125b)이 마련된다.
제1공백영역(124a)과 제2공백영역(125b)은 구획부(120)의 내부인 단열재수용공간(124)에서 구획부단열재(125)가 삽입되고 남은 나머지부분으로서, 본체(10)에 대한 단열재(12)의 일체발포 시, 제1공백영역(124a)과 제2공백영역(125b)에는 후술할 공간부(11)에 주입된 단열재(12)가 후술할 제1관통공(121b) 및 제2관통공(122b)을 거쳐 각각 주입되어 일체발포 되며, 일체발포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획부(120)에는 구획부(120)의 개방된 상부와 좌측부를 덮는 별도의 설치벽(200) 일측과 타측이 구획부(12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어 구획부(120)와 설치벽(200)이 사각박스타입을 이룬 상태로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설치벽(200)의 일측은 제1돌출부(121a)에 끼워진 채 제1비드부(114)와 제1오목부(미도시) 사이에 형합되도록 개재되고, 설치벽(200)의 타측은 제2돌출부(122a)에 끼워진 채 제2비드부(115)와 제2오목부(미도시) 사이에 형합되도록 개재된 상태가 된다.
구획부(120)는 내부케이스(100)를 후술할 외부케이스(300)가 수용하여 감싸기 전에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 구획부(120)는 내부케이스(100)와 별도로 형성되어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저장공간(110)을 구획하나, 구획부(120)는 일체사출을 통해 내부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저장공간(110)을 구획할 수도 있다.
구획부(120)가 내부케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에 상관없이, 구획부(120)에는 이후 설명하겠지만 본체(10)에 주입되는 단열재(12)가 후술할 공간부(11)를 거쳐 단열재수용공간(124)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케이스(100)의 저장공간(110)은 구획부(120) 및 후술할 격벽(130)에 의해 단열공간으로 형성되기 전 처음부터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로 구획된다.
내부케이스(100)는 격벽(130)을 포함한다.
격벽(130)은 구획부(120)와 더불어 내부케이스(100)에 마련된 저장공간(110)을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저장공간(110) 내에 배치되도록 내부케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되며, 구획부(120)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130)은 일체사출을 통해 내부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저장공간(110)을 구획하나, 격벽(130)은 내부케이스(100)와 별도로 형성되어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저장공간(110)을 구획할 수도 있다.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은 격벽(130)을 경계로 서로 구획되고, 제빙실(113)과 냉장실(111)은 구획부(120)를 경계로 서로 구획되며, 이때,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은 서로 구획만 되어 있는 상태일 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되기 전 상태를 이룬다.
한편, 구획부(120)는 일측인 우측부 상면에 제1비드부(114)와 형합되는 제1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인 하부 좌측면에 제2비드부(115)와 형합되는 제2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내부케이스(100)와의 결합 시, 제1비드부(114)가 제1오목부(미도시)에 끼워지고, 제2비드부(115)가 제2오목부(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내부케이스(100)와 구획부(120) 간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이때, 구획부(120)는 후단이 장착부 전방측의 내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밀착된 채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제1오목부(미도시)에는 제1주입구(114a)와 제1돌출부(121a) 중 제1비드부(114)에 형성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미도시)에는 제2주입구(115a)와 제2돌출부(122a) 중 제2비드부(115)에 형성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오목부(미도시)에 제1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미도시)에 제2돌출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121a)는 제1오목부(미도시)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주입구(114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돌출부(121a)의 개수는 제1주입구(114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돌출부(122a)는 제2오목부(미도시)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주입구(115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2돌출부(122a)의 개수는 제2주입구(115a)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부(121a)와 제2돌출부(122a)는 제1비드부(114)와 제1오목부(미도시) 간의 형합 및 제2비드부(115)와 제2오목부(미도시) 간의 형합을 통해 구획부(120)가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될 때, 각각 제1주입구(114a)와 제2주입구(115a)에 끼워져 내부케이스(100)에 구획부(120)가 가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내부케이스(100)에 가고정된 구획부(120)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내부케이스(1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돌출부(121a)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121b)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122a)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122b)이 형성되며, 제1관통공(121b)은 제1공백영역(124a)에 연통되는 동시에 구획부단열재(125)의 우측 상단부와 이격되고, 제2관통공(122b)은 제2공백영역(124b)에 연통되는 동시에 구획부단열재(125)의 하측 좌측단부와 이격된다.
제1관통공(121b)은 후술할 공간부(11)의 일측과 제1공백영역(124a)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게 하고, 제2관통공(122b)은 후술할 공간부(11)의 타측과 제2공백영역(124b)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게 하여 후술할 공간부(11)와 제1공백영역(124a) 및제2공백영역(124b)에 단열재(12)가 동시에 주입될 수 있게 한다.
구획부(120)는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구획부(120)의 하부, 우측부, 내부케이스(100)의 상측벽 및 좌측벽으로 둘러싸인 제빙실(113)을 형성한다.
구획부(120)의 하부에는 제빙실(113)과 연통되는 얼음토출구(123)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토출구(123)는 제빙실(113)에서 생성되어 보관되는 얼음이 제빙실(113) 외부로 토출되는 구멍으로서, 구획부(120)의 하면 전방측에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제빙실(113)과 후술할 얼음이송덕트(511)를 연통시킴으로써 제빙실(113)에서 토출되는 얼음이 후술할 디스펜서(510)의 취출구로 전달되게 한다.
얼음토출구(123)가 형성되는 구획부(120)의 하면 전방측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데 이러한 이유는 후술할 가스켓(512)과의 부드러운 밀착을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00)는 내부케이스(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증발기케이스(140)를 더 포함한다.
증발기케이스(140)는 후술할 증발기조립체(410)가 수용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증발기조립체(410)는 증발기케이스(140)를 통해 제빙실(113)의 후방측 외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제빙실(113)에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증발기케이스(140)는 구획부(120)와 마찬가지로 내부케이스(100)를 외부케이스(300)가 수용하여 감싸기 전, 내부케이스(100)의 장착부(116)에 수용되어 전방부가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된 구획부(120)의 후단부에 체결됨으로써 내부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이후, 증발기케이스(140)는 내부케이스(100)를 외부케이스(300)가 수용하여 감쌀 때 후술할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 내면에 후방부가 밀착된 채 체결되어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과 장착부(116) 내부의 내부케이스(100)의 후측벽 사이에 배치된 채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증발기케이스(140)는 제빙실(113)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00)에는 외부케이스(300)가 결합된다.
외부케이스(300)는 일반적으로 캐비닛 또는 외상이라고 불리는 구성으로서, 본체(10)의 외관을 이룬다.
외부케이스(300)는 구획부(120), 격벽(130) 및 증발기케이스(140)가 형성 또는 결합된 상태의 내부케이스(100)를 내부에 수용하여 감싼 채 내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외부케이스(3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외부케이스(300)의 상측벽, 좌측벽 및 우측벽의 후단에 대해 조립 가능하게 마련된다.
외부케이스(300)의 내부에는 내부케이스(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의 조립 전, 내부케이스(100)에는 이미 격벽(130)이 형성되고, 구획부(120) 및 증발기케이스(14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격벽(130)과 구획부(120)에 의해 내부케이스(100)의 저장공간(110)은 처음부터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로 구획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와 같은 상태를 갖춘 후 내부케이스(100)는 외부케이스(300)와의 사이에 공간부(11)가 마련되도록 외부케이스(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공간부(11)는 외부케이스(300)와 내부케이스(100) 사이에 마련되어 각종 배선, 호스 등이 수용되거나 액상의 우레탄폼인 단열재(12)가 주입되어 발포되는 공간이다.
외부케이스(300)와 내부케이스(100) 사이라 함은 외부케이스(300)와 격벽(130) 사이, 즉, 격벽(130)의 내부도 포함하며, 따라서, 공간부(11)는 격벽(130)의 내부에도 마련된다. 또한, 공간부(11)는 제1주입구(114a) 및 제1관통공(121b)을 통해 제1공백영역(124a)에 연통되고, 제2주입구(115a) 및 제2관통공(122b)을 통해 제2공백영역(124b)에 연통된다.
공간부(11)에는 외부케이스(300)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단열재(12)가 주입되고, 단열재(12)는 공간부(11)에 주입되는 동시에 제1관통공(121b) 및 제2관통공(122b)을 거쳐 구획부단열재(125)가 미리 삽입되어 있는 단열재수용공간(124)에서 구획부단열재(125)가 삽입되지 않고 남은 나머지부분인 제1공백영역(124a)과 제2공백영역(124b)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된다.
이때, 구획부단열재(125)가 단열재수용공간(124)에 미리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단열재(12)는 점성이 큰 액상의 우레탄폼이므로, 단열재(12)가 주입되는 입구인 제1, 2관통공(121b, 122b)과 먼 위치의 단열재수용공간(124)의 깊숙한 지점(예를 들면, 구획부의 우측부와 하부가 만나는 절곡 부위 내부 지점)까지 단열재(12)를 원활히 주입시키는 것이 힘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열재(12)가 유동하는 유로인 단열재수용공간(124)의 폭이 커져야 하므로, 이에 따라 구획부(120)의 자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수용공간(124)의 깊숙한 위치에 구획부단열재(125)를 미리 삽입시킴으로써 단열재(12)가 주입되는 입구인 제1, 2관통공(121b, 122b)과 먼 단열재수용공간(124)의 깊숙한 위치에 단열재(12)를 주입시킬 필요없이 제1, 2관통공(121b, 122b)과 각각 인접한 제1, 2공백영역(124a, 124b)에만 단열재(12)를 주입시키면 되므로 구획부(120)의 자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간부(11) 및 제1공백영역(124a)과 제2공백영역(124b)에 단열재(12)가 주입되어 일체발포됨에 따라 구획부(120)는 본체(10)와 분리 불가능한 일체형인 상태가 되고, 처음부터 구획되어 있던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은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된다.
한 번의 단열재 발포과정을 통해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된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은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인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이 격벽(130)을 경계로 상하로 형성되고,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인 제빙실(113)과 냉장실(111)이 구획부(120)를 경계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냉장 하냉동의 프렌치도어타입 냉장고의 구조로 마련되어 진다.
본체(10)의 후방 외벽, 즉,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의 일측에는 개구(301)가 형성된다.
개구(301)는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개구(301)는 증발기케이스(140)에 수용되어 후술할 제빙실(113)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410)를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 후방 측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301)는 외부케이스(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140)의 설치공간(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301) 및 설치공간(141)은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에 장착 또는 탈거되는 단열커버(4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측에는 내부케이스(100)에 형성된 저장공간(11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500, 600, 801)가 설치된다.
도어(500, 600, 801)는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된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동형도어(500), 서랍형도어(600) 및 제빙실도어(801)로 마련된다.
회동형도어(500)는 양문형의 여닫이 타입으로 마련되어 냉장실(111)을 개폐하고, 서랍형도어(60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 타입으로 마련되어 냉동실(112)을 개폐하며, 제빙실도어(801)는 서랍형도어(600)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 타입으로 마련되어 제빙실(113)을 개폐한다.
회동형도어(500)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510)가 설치된다.
디스펜서(510)는 회동형도어(5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회동형도어(500)를 열지 않고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물 또는 제빙실(113)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취출구를 통해 냉장고의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510)는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된 회동형도어(500)에 마련된다.
디스펜서(510)는 회동형도어(50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취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이송덕트(511)를 포함하고, 회동형도어(500)가 닫혀 있을 경우 얼음이송덕트(511)의 상단부는 제빙실(113)과 연통됨으로써 디스펜서(510)의 취출구와 제빙실(113)이 연통되어 회동형도어(5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빙실(113)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510)의 취출구를 통해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얼음이송덕트(511)의 상단 둘레에는 얼음이송덕트(511)와 제빙실(113)이 연통되어 있을 때 제빙실(113)과 냉장실(111)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구획부(120)의 하면에 접촉되는 가스켓(512)이 설치된다.
가스켓(512)은 전방측과 후방측의 두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구획부(120)의 하면 전방측에 형성된 경사와 동일하게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켓(512)은 상단부 전단측이 후단측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켓(512)은 상단 전둘레에서 가스켓(512)의 중심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111)에 설치된 회동형도어(500)의 닫힘 시, 가스켓(512)에 형성된 경사진 상단부 및 가스켓(512) 상단의 라운드는 가스켓(512)이 구획부(120)의 경사부를 타고 이동하다가 얼음토출구(123)의 둘레를 둘러싼 채 구획부(120)의 경사부, 보다 구체적으로 구획부(120)의 경사부에 형성된 접촉부(123a)에 부드럽게 밀착되게 하여 회동형도어(500)의 부드러운 개폐가 가능하게 하고, 가스켓(512)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디스펜서(510)에는 버튼,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513)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부(513)를 조작함으로써 급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된 물 또는 제빙실(113)에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510)를 통해 취출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실(113)에는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이 탑재된다.
제빙기(700)는 얼음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제빙실(113)의 상부에 설치되고,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제빙실(113)을 개폐하는 제빙실도어(801) 및 제빙실도어(801)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제빙기(7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버킷부(80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제빙기(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빙실(113)에 대해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얼음저장용 버킷(800)은 전면에 구비된 제빙실도어(801)를 통해 제빙실(113)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얼음저장용 버킷(800)에 저장된 얼음은 사용자가 조작부(513)를 조작함에 따라 얼음토출구(123)를 통해 디스펜서(510)의 취출구로 취출될 수 있다.
제빙실도어(801)의 하부에는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801a)가 결합되어 제빙실도어(801)를 개폐해야 할 경우, 손잡이(801a)를 파지한 채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케이스(140)에는 제빙실(113)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유닛(400)이 설치되고, 냉각유닛(400)은 증발기조립체(410)와 팬조립체(420)를 포함하며, 증발기케이스(140)에는 증발기조립체(410)와 팬조립체(4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41) 및 팬수용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태는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 사이의 공간부(11) 및 제1, 2공백영역(124a, 124b)에 단열재(12)가 주입되어 일체발포되어 있는 상태로서, 냉장실(111), 냉동실(112) 및 제빙실(113)이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빙실(113)에 제빙기(700) 및 얼음저장용 버킷(800) 등을 탑재시키거나 증발기케이스(140)에 증발기조립체(410) 및 팬조립체(420) 등을 조립할 경우, 이러한 상태가 미리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공간(141)은 단열커버(440)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301)를 통해 증발기조립체(410) 및 가이드부(430)가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수용되어 조립설치되는 공간으로서, 증발기케이스(140)의 내부에 마련된다.
설치공간(141)은 후면이 개방되어 있고, 설치공간(141)의 후면 개방부는 외부케이스(300)의 개구(301)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공간(141)은 개구(301)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개구(301)에 연통된다.
설치공간(141)의 내부 전방측 중앙부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팬수용부(142)로 인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설치공간(141)의 내부 전방측에는 가이드부(430)가 수용되어 설치되고, 설치공간(141)의 내부 후방측에는 증발기조립체(41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치공간(141)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냉기흡입구(142a)를 통해 제빙실(113)에서 설치공간(141) 내로 흡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증발기조립체(410)의 하단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430)가 조립되고, 설치공간(141)의 후방부 즉, 가이드부(430)의 후방측에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제빙실(113)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증발기조립체(410)가 설치된다.
이때, 증발기조립체(410)는 외부케이스(3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301)를 통해 설치공간(141) 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공간적인 제약없이 매우 용이하게 증발기조립체(410)를 설치공간(141) 내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발기조립체(410)에 대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증발기케이스(140)의 전면측에는 연통홀(116a)을 통해 제빙실(113)과 연통되는 냉기토출구(141a)와 냉기흡입구(142a)가 형성되고, 냉기흡입구(142a) 측에는 원심팬으로 구성된 팬조립체(420)가 구비된다.
냉기토출구(141a)는 증발기케이스(140)의 전면측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41)과 제빙실(113)을 연통시키고, 냉기흡입구(142a)는 증발기케이스(140)의 전면측 중앙부의 경사면, 즉, 후술할 팬수용부(142)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141)과 제빙실(113)을 연통시킨다.
냉기토출구(141a)는 냉기토출덕트(411)에 연결되어 설치공간(141) 내의 증발기조립체(410)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제빙실(113)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700)로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고, 냉기흡입구(142a)는 냉기배출덕트(421)에 연결되어 제빙기(700)와 얼음저장용 버킷(800)을 거친 냉기가 증발기케이스(140)의 설치공간(141) 내로 흐를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냉기흡입구(142a)를 통해 설치공간(141)으로 흡입된 냉기는 후술할 가이드부(430)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141)의 중앙부 부근에서 하부측으로 유도되어 증발기조립체(41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증발기케이스(140)의 전면 중앙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팬수용부(142)가 형성된다.
팬수용부(142)는 제빙실(113)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제빙실(113)과 연통된다.
팬수용부(142)에는 팬조립체(420)가 수용되어 조립된다.
팬조립체(420)는 제빙실(113)을 통해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팬수용부(142)에 수용되어 조립설치된다.
냉기흡입구(142a)는 팬수용부(142)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형성되고, 팬수용부(142)는 냉기흡입구(142a)와 연통된다.
팬수용부(142)에는 증발기조립체(410)의 열교환에 의해 제공되는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조립체(420)가 냉기흡입구(142a)측, 보다 구체적으로 냉기흡입구(142a)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팬조립체(420)는 원심팬으로 구성되어 제빙실(113)의 얼음저장용 버킷(800)측의 냉기를 흡입하여 설치공간(141) 내로 토출하고, 그 토출된 냉기는 증발기조립체(41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을 향해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행해지며, 열교환된 냉기는 제빙기(700)의 후단에서부터 전단을 지나 그 아래의 얼음저장용 버킷(800)으로 유동하여 다시 원심팬인 팬조립체(420)로 흡입되는 방식으로 냉기를 순환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케이스(140)에는 증발기조립체(41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41)과 팬조립체(420)가 설치되는 팬수용부(142)가 함께 마련되어 있으므로, 증발기조립체(410) 및 팬조립체(420)를 조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각 구성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케이스(140)는 냉각유닛(400)인 증발기조립체(410) 및 팬조립체(420)가 제빙실(113) 내에 위치하지 않게 함으로써, 제빙실(113)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단열재 100 : 내부케이스
110 : 저장공간 111 : 냉장실
112 : 냉동실 113 : 제빙실
120 : 구획부 124 : 단열재수용공간
130 : 격벽 140 : 증발기케이스
200 : 설치벽 300 : 외부케이스
12 : 단열재 100 : 내부케이스
110 : 저장공간 111 : 냉장실
112 : 냉동실 113 : 제빙실
120 : 구획부 124 : 단열재수용공간
130 : 격벽 140 : 증발기케이스
200 : 설치벽 300 : 외부케이스
Claims (6)
-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 냉동실 및 제빙실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격벽을 포함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여 감싸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내부에는 구획부단열재가 일부 수용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구획부의 내부 나머지부분에는 단열재가 주입되어 일체발포됨에 따라 상기 냉장실 및 상기 제빙실이 동시에 서로 독립적인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단열재는 상기 구획부 내부의 단열재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재수용공간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구획부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공백영역과 제2공백영역이 마련되되,
상기 단열재는 상기 공간부 및 상기 제1공백영역과 상기 제2공백영역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비드부에 형합되는 제1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2비드부에 형합되는 제2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비드부와 상기 제1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비드부와 상기 제2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공백영역은 상기 제1관통공에 연통되고,
상기 제2공백영역은 상기 제2관통공에 연통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상기 공간부에 주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관통공을 거쳐 상기 제1공백영역에 주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을 거쳐 제2공백영역에 주입되어 일체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791A KR20210089541A (ko) | 2020-01-08 | 2020-01-08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791A KR20210089541A (ko) | 2020-01-08 | 2020-01-08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541A true KR20210089541A (ko) | 2021-07-16 |
Family
ID=7715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791A KR20210089541A (ko) | 2020-01-08 | 2020-01-08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8954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4573B1 (ko) | 2003-03-28 | 2007-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20
- 2020-01-08 KR KR1020200002791A patent/KR2021008954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4573B1 (ko) | 2003-03-28 | 2007-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50044B2 (en) | Refrigerator | |
US11274869B2 (en) | Refrigerator | |
US11709007B2 (en) | Refrigerator | |
KR20130114850A (ko) |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20011273A (ko) | 냉장고 | |
KR102496329B1 (ko) | 냉장고 | |
KR100751106B1 (ko) |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 |
KR20090000168U (ko) | 냉장고 | |
KR20210089541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6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2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7A (ko) | 냉장고 | |
KR20210089539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5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3A (ko) | 냉장고 | |
US20230036194A1 (en) | Refrigerator | |
KR101260559B1 (ko) | 냉장고 | |
KR20210101097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9A (ko) | 냉장고 | |
KR20210089540A (ko) | 냉장고 제조방법 | |
KR20210089544A (ko) | 냉장고 제조방법 | |
KR20200141879A (ko) | 냉장고 | |
US20240175619A1 (en) | Refrigerator | |
KR101132481B1 (ko) |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 |
KR20210089534A (ko) | 냉장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