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297A -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297A
KR20210084297A KR1020200182738A KR20200182738A KR20210084297A KR 20210084297 A KR20210084297 A KR 20210084297A KR 1020200182738 A KR1020200182738 A KR 1020200182738A KR 20200182738 A KR20200182738 A KR 20200182738A KR 20210084297 A KR20210084297 A KR 2021008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cp
yttrium
lanthanide metal
precurs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629B1 (ko
Inventor
김진식
박명호
마동환
이윤경
최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피케미칼
Publication of KR2021008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53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recursors specially adapted for AL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6/045Coating cavities or hollow spaces, e.g. interior of tubes; Infiltration of porous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2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4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23C16/405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원은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상기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를 포함하는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YTTRIUM/LANTHANIDE-CONTAINING PRECURSOR COMPOUNDS, PRECURSOR COMPOSITIONS INCLUDING THE SAME FOR FORMING FILMS, AND METHOD OF FORMING YTTRIUM/LANTHANIDE-CONTAINING FILMS USING THE PRECURSOR COMPOSITION}
본원은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상기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를 포함하는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트륨-함유 산화막 또는 란탄족-금속 함유 산화막은 넓은 밴드갭 (wide bandgap, 5.6 ev), 낮은 누설 전류 (low leakage current), 높은 파괴전력 (high breakdown voltage), 좋은 열적 안정성 (good thermal stability) 등의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반도체 소자에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물질로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중 DRAM의 게이트 절연막, 캐패시터 고 유전막 (high-k dielectric layer) 등에 이트륨 함유 산화막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이 연구되고 있고, 비휘발성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의 금속-절연막-금속 (Metal-Insulator-Metal, MIM) 구조의 절연막으로서 연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들은 대부분이 증기압이 낮고, 고체이거나 점성이 매우 높은 액체이기 때문에 반도체 소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정에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을 포함한 산화막을 화학증착법(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LD)으로 형성할 때 전구체로 사용하기에 불리하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 제조에 필요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막을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하려면, 기존에 알려진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보다 점성이 낮거나 증기압이 높은 전구체 화합물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7069호.
본원은 신규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상기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막을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점도가 낮은 전구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한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는 막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기 화학식 Ⅰ로서 표시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R1Cp)2M[(CH3)2CH-N-C(CH2CH3)=N-CH(CH3)2];
상기 화학식 Ⅰ에서,
M은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R1은 n-프로필기(nPr) 또는 iso-프로필기(iPr)이며,
상기 Cp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기임.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신규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종래에 알려지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신규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체로서 열적으로 안정하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신규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종래 공지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대비 점도가 낮고, ALD 또는 CVD 전구체 액체 이송 장치에 사용하도록 저점도 액체(용매)를 섞어 점도를 낮출 때 저점도 액체(용매)를 적게 섞어도 필요한 점도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ALD또는 CVD 공정에 의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에 적합하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신규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열 안정성이 높아, 기상 증착의 전구체로서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원자층 증착법(ALD) 또는 화학기상 증착법(CVD)의 전구체로 사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업적인 반도체 소자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DRAM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홈의 폭이 약 10 nm 내지 약 1 μm, 또는 약 100 nm 또는 약 50 nm 보다 좁으며, 종횡비가 약 1 내지 약 50, 약 10 이상, 약 20 이상, 약 30 이상 또는 그보다 더 깊고 더 좁은 홈이 있는 기재에 고유전 물질을 약 1 nm 내지 약 10 μm 두께로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본원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구체 조성물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기재에 상업적으로 요구되는 두께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종횡비가 약 1 이상이고, 폭이 약 1 μm 이하인 미세한 요철(홈)이 표면에 있는 기재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요철(홈)의 가장 깊은 곳의 표면 및 상기 미세한 요철(홈)의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미세한 요철(홈)의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의 전체 표면 상에 수 내지 수십 nm 두께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약 280℃ 약 30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균일한 두께의 고유전 물질 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도 매우 좁고 깊은 홈이 있는 기재에 원자층 증착법(ALD)으로 균일한 두께의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 조성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요건들을 만족하는 열 안정성이 매우 높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이 필요하다. 이에,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상기 요구되는 특성들을 충족하는 전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공급 주기 당 막 성장 (growth per cycle, GPC)이 일정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GPC가 일정하지 않은 종래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보다 ALD 공정에 따라 미세하고 균일한 두께 조절이 필요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증착하는 데에 유리하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전구체 공급 시간과 관계없이 GPC가 일정하므로, 전구체 공급 시간에 따라 GPC가 일정하지 않은 종래의 이트륨 전구체보다 기재 상에 종횡비가 크고 폭이 좁은 요철(홈) 구조가 존재하여도 일정한 두께의 막을 형성하기에 유리하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ALD, CVD 등에 사용되는 전구체로 사용되어 반도체와 같은 차세대 디바이스의 제조에 요구되는 성능, 예를 들어, 향상된 열 안정성, 높은 휘발성 및/또는 증가된 증착 속도 등을 제공할 수 있어,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또는 박막을 형성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상기 이트륨 화합물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화합물은 촉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른 전구체 화합물의 옥탄 혼합 비율에 따른 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른 전구체 화합물의 기재 온도에 따른 ALD 기체 공급 주기당 막 성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른 전구체 화합물의 전구체 공급시간에 따른 ALD 기체 공급 주기당 막 성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알킬" 또는 "알킬기"는,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8 개의 탄소 원자, 또는 1 내지 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및 이들의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 또는 알킬기는 메틸기(Me), 에틸기(Et), n-프로필기(nPr), iso-프로필기(iPr), n-부틸기(nBu), iso-부틸기(iBu), tert-부틸기(tert-Bu, tBu), sec-부틸기(sec-Bu, secBu), n-펜틸기(nPe), iso-펜틸기(iPe), sec-펜틸기(secPe), tert-펜틸기(tPe), neo-펜틸기(neoPe), 3-펜틸기, n-헥실기, iso-헥실기, 헵틸기, 4,4-디메틸펜틸기, 옥틸기, 2,2,4-트리메틸펜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및 이들의 이성질체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원소"는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Cp"는 -C5H4로서 표현되어 "싸이클로펜타디에닐(cyclopentadienyl) 기"의 약어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막"은 "막 또는 박막"을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원이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기 화학식 Ⅰ로서 표시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R1Cp)2M[(CH3)2CH-N-C(CH2CH3)=N-CH(CH3)2];
상기 화학식 Ⅰ에서,
M은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R1은 n-프로필기(nPr) 또는 iso-프로필기(iPr)이며,
상기 Cp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기임.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원소-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하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nPrCp)2Y(iPr-N-C(Et)=N-iPr), (nPrCp)2La(iPr-N-C(Et)=N-iPr), (nPrCp)2Ce(iPr-N-C(Et)=N-iPr), (nPrCp)2Pr(iPr-N-C(Et)=N-iPr), (nPrCp)2Nd(iPr-N-C(Et)=N-iPr), (nPrCp)2Pm(iPr-N-C(Et)=N-iPr), (nPrCp)2Sm(iPr-N-C(Et)=N-iPr), (nPrCp)2Eu(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nPrCp)2Tb(iPr-N-C(Et)=N-iPr), (nPrCp)2Dy(iPr-N-C(Et)=N-iPr), (nPrCp)2Ho(iPr-N-C(Et)=N-iPr), (nPrCp)2Er(iPr-N-C(Et)=N-iPr), (nPrCp)2Tm(iPr-N-C(Et)=N-iPr), (nPrCp)2Yb(iPr-N-C(Et)=N-iPr), (nPrCp)2Lu(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iPrCp)2La(iPr-N-C(Et)=N-iPr), (iPrCp)2Ce(iPr-N-C(Et)=N-iPr), (iPrCp)2Pr(iPr-N-C(Et)=N-iPr), (iPrCp)2Nd(iPr-N-C(Et)=N-iPr), (iPrCp)2Pm(iPr-N-C(Et)=N-iPr), (iPrCp)2Sm(iPr-N-C(Et)=N-iPr), (iPrCp)2Eu(iPr-N-C(Et)=N-iPr), (iPrCp)2Gd(iPr-N-C(Et)=N-iPr), (iPrCp)2Tb(iPr-N-C(Et)=N-iPr), (iPrCp)2Dy(iPr-N-C(Et)=N-iPr), (iPrCp)2Ho(iPr-N-C(Et)=N-iPr), (iPrCp)2Er(iPr-N-C(Et)=N-iPr), (iPrCp)2Tm(iPr-N-C(Et)=N-iPr), (iPrCp)2Yb(iPr-N-C(Et)=N-iPr), 및 (iPrCp)2Lu(iPr-N-C(Et)=N-iPr).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원소-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nPrCp)2Y(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또는 (iPrCp)2Gd(iPr-N-C(Et)=N-iPr)일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은 하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nPrCp)2Y(iPr-N-C(Et)=N-iPr), (nPrCp)2La(iPr-N-C(Et)=N-iPr), (nPrCp)2Ce(iPr-N-C(Et)=N-iPr), (nPrCp)2Pr(iPr-N-C(Et)=N-iPr), (nPrCp)2Nd(iPr-N-C(Et)=N-iPr), (nPrCp)2Pm(iPr-N-C(Et)=N-iPr), (nPrCp)2Sm(iPr-N-C(Et)=N-iPr), (nPrCp)2Eu(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nPrCp)2Tb(iPr-N-C(Et)=N-iPr), (nPrCp)2Dy(iPr-N-C(Et)=N-iPr), (nPrCp)2Ho(iPr-N-C(Et)=N-iPr), (nPrCp)2Er(iPr-N-C(Et)=N-iPr), (nPrCp)2Tm(iPr-N-C(Et)=N-iPr), (nPrCp)2Yb(iPr-N-C(Et)=N-iPr), (nPrCp)2Lu(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iPrCp)2La(iPr-N-C(Et)=N-iPr), (iPrCp)2Ce(iPr-N-C(Et)=N-iPr), (iPrCp)2Pr(iPr-N-C(Et)=N-iPr), (iPrCp)2Nd(iPr-N-C(Et)=N-iPr), (iPrCp)2Pm(iPr-N-C(Et)=N-iPr), (iPrCp)2Sm(iPr-N-C(Et)=N-iPr), (iPrCp)2Eu(iPr-N-C(Et)=N-iPr), (iPrCp)2Gd(iPr-N-C(Et)=N-iPr), (iPrCp)2Tb(iPr-N-C(Et)=N-iPr), (iPrCp)2Dy(iPr-N-C(Et)=N-iPr), (iPrCp)2Ho(iPr-N-C(Et)=N-iPr), (iPrCp)2Er(iPr-N-C(Et)=N-iPr), (iPrCp)2Tm(iPr-N-C(Et)=N-iPr), (iPrCp)2Yb(iPr-N-C(Et)=N-iPr), 및 (iPrCp)2Lu(iPr-N-C(Et)=N-iPr).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원소-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nPrCp)2Y(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또는 (iPrCp)2Gd(iPr-N-C(Et)=N-iPr)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질화막, 또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탄화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은 암모니아, 질소, 히드라진, 및 디메틸 히드라진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소원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은 수증기, 산소, 및 오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소원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본원의 제 3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질화막, 또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탄화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화학기상증착법(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증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 (MO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증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증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증착 장치, 증착 조건, 및/또는 추가 반응기체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을 증착하면, 증착 시 공정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박막의 두께 및 조성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기판에서도 우수한 피복성을 갖는 박막을 증착 시킬 수 있고, 그 박막의 두께 균일도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두께는 약 1 n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으며,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이트륨 함유 산화막의 두께는 약 1 n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으며,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두께는 약 1 nm 내지 약 10 μm, 약 1 nm 내지 약 5 μm, 약 1 nm 내지 약 1 μm, 약 1 nm 내지 약 900 nm, 약 1 nm 내지 약 800 nm, 약 1 nm 내지 약 700 nm, 약 1 nm 내지 약 600 nm, 약 1 nm 내지 약 500 nm, 약 1 nm 내지 약 400 nm, 약 1 nm 내지 약 300 nm, 약 1 nm 내지 약 200 nm, 약 1 nm 내지 약 100 nm, 약 1 nm 내지 약 50 nm, 약 1 nm 내지 약 30 nm, 약 1 nm 내지 약 20 nm, 약 1 nm 내지 약 10 nm, 약 10 nm 내지 약 10 μm, 약 10 nm 내지 약 5 μm, 약 10 nm 내지 약 1 μm, 약 10 nm 내지 약 900 nm, 약 10 nm 내지 약 800 nm, 약 10 nm 내지 약 700 nm, 약 10 nm 내지 약 600 nm, 약 10 nm 내지 약 500 nm, 약 10 nm 내지 약 400 nm, 약 10 nm 내지 약 300 nm, 약 10 nm 내지 약 200 nm,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약 10 nm 내지 약 50 nm, 약 10 nm 내지 약 30 nm, 약 10 nm 내지 약 20 nm, 약 20 nm 내지 약 10 μm, 약 20 nm 내지 약 5 μm, 약 20 nm 내지 약 1 μm, 약 20 nm 내지 약 900 nm, 약 20 nm 내지 약 800 nm, 약 20 nm 내지 약 700 nm, 약 20 nm 내지 약 600 nm, 약 20 nm 내지 약 500 nm, 약 20 nm 내지 약 400 nm, 약 20 nm 내지 약 300 nm, 약 20 nm 내지 약 200 nm, 약 20 nm 내지 약 100 nm, 약 20 nm 내지 약 50 nm, 약 20 nm 내지 약 30 nm, 약 30 nm 내지 약 10 μm, 약 30 nm 내지 약 5 μm, 약 30 nm 내지 약 1 μm, 약 30 nm 내지 약 900 nm, 약 30 nm 내지 약 800 nm, 약 30 nm 내지 약 700 nm, 약 30 nm 내지 약 600 nm, 약 30 nm 내지 약 500 nm, 약 30 nm 내지 약 400 nm, 약 30 nm 내지 약 300 nm, 약 30 nm 내지 약 200 nm, 약 30 nm 내지 약 100 nm, 약 30 nm 내지 약 50 nm, 약 50 nm 내지 약 10 μm, 약 50 nm 내지 약 5 μm, 약 50 nm 내지 약 1 μm, 약 50 nm 내지 약 900 nm, 약 50 nm 내지 약 800 nm, 약 50 nm 내지 약 700 nm, 약 50 nm 내지 약 600 nm, 약 50 nm 내지 약 500 nm, 약 50 nm 내지 약 400 nm, 약 50 nm 내지 약 300 nm, 약 50 nm 내지 약 200 nm, 약 50 nm 내지 약 100 nm, 약 100 nm 내지 약 10 μm, 약 100 nm 내지 약 5 μm, 약 100 nm 내지 약 1 μm, 약 100 nm 내지 약 900 nm, 약 100 nm 내지 약 800 nm, 약 100 nm 내지 약 700 nm, 약 100 nm 내지 약 600 nm, 약 100 nm 내지 약 500 nm, 약 100 nm 내지 약 400 nm, 약 100 nm 내지 약 300 nm, 약 100 nm 내지 약 200 nm, 약 200 nm 내지 약 10 μm, 약 200 nm 내지 약 5 μm, 약 200 nm 내지 약 1 μm, 약 200 nm 내지 약 900 nm, 약 200 nm 내지 약 800 nm, 약 200 nm 내지 약 700 nm, 약 200 nm 내지 약 600 nm, 약 200 nm 내지 약 500 nm, 약 200 nm 내지 약 400 nm, 약 200 nm 내지 약 300 nm, 약 300 nm 내지 약 10 μm, 약 300 nm 내지 약 5 μm, 약 300 nm 내지 약 1 μm, 약 300 nm 내지 약 900 nm, 약 300 nm 내지 약 800 nm, 약 300 nm 내지 약 700 nm, 약 300 nm 내지 약 600 nm, 약 300 nm 내지 약 500 nm, 약 300 nm 내지 약 400 nm, 약 400 nm 내지 약 10 μm, 약 400 nm 내지 약 5 μm, 약 400 nm 내지 약 1 μm, 약 400 nm 내지 약 900 nm, 약 400 nm 내지 약 800 nm, 약 400 nm 내지 약 700 nm, 약 400 nm 내지 약 600 nm, 약 400 nm 내지 약 500 nm, 약 500 nm 내지 약 10 μm, 약 500 nm 내지 약 5 μm, 약 500 nm 내지 약 1 μm, 약 500 nm 내지 약 900 nm, 약 500 nm 내지 약 800 nm, 약 500 nm 내지 약 700 nm, 약 500 nm 내지 약 600 nm, 약 600 nm 내지 약 10 μm, 약 600 nm 내지 약 5 μm, 약 600 nm 내지 약 1 μm, 약 600 nm 내지 약 900 nm, 약 600 nm 내지 약 800 nm, 약 600 nm 내지 약 700 nm, 약 700 nm 내지 약 10 μm, 약 700 nm 내지 약 5 μm, 약 700 nm 내지 약 1 μm, 약 700 nm 내지 약 900 nm, 약 700 nm 내지 약 800 nm, 약 800 nm 내지 약 10 μm, 약 800 nm 내지 약 5 μm, 약 800 nm 내지 약 1 μm, 약 800 nm 내지 약 900 nm, 약 900 nm 내지 약 10 μm, 약 900 nm 내지 약 5 μm, 약 900 nm 내지 약 1 μm, 약 1 μm 내지 약 10 μm, 약 1 μm 내지 약 5 μm, 또는 약 5 μm 내지 약 10 μ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약 100℃내지 약 500℃의 온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함유 막은 약 100℃ 내지 약 500℃, 약 100℃ 내지 약 450℃, 약 100℃ 내지 약 400℃, 약 100℃ 내지 약 350℃, 약 100℃ 내지 약 300℃, 약 100℃ 내지 약 250℃, 약 100℃ 내지 약 200℃, 약 100℃ 내지 약 150℃, 약 150℃ 내지 약 500℃, 약 150℃ 내지 약 450℃, 약 150℃ 내지 약 400℃, 약 150℃ 내지 약 350℃, 약 150℃ 내지 약 300℃, 약 150℃ 내지 약 250℃, 약 150℃ 내지 약 200℃, 약 200℃ 내지 약 500℃, 약 200℃ 내지 약 450℃, 약 200℃ 내지 약 400℃, 약 200℃ 내지 약 350℃, 약 200℃ 내지 약 300℃, 약 200℃ 내지 약 250℃, 약 250℃ 내지 약 500℃, 약 250℃ 내지 약 450℃, 약 250℃ 내지 약 400℃, 약 250℃ 내지 약 350℃, 약 250℃ 내지 약 300℃, 약 300℃ 내지 약 500℃, 약 300℃ 내지 약 450℃, 약 300℃ 내지 약 400℃, 약 300℃ 내지 약 350℃, 약 350℃ 내지 약 500℃, 약 350℃ 내지 약 450℃, 약 350℃ 내지 약 400℃, 약 400℃ 내지 약 500℃, 약 400℃ 내지 약 450℃, 또는 약 450℃ 내지 약 500℃의 온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종횡비가 약 1 내지 약 100이고, 폭이 약 10 nm 내지 약 1 ㎛인 요철을 포함하는 기재 상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횡비는 약 1 내지 약 100, 약 1 내지 약 80, 약 1 내지 약 60, 약 1 내지 약 50, 약 1 내지 약 40, 약 1 내지 약 30, 약 1 내지 약 20, 약 1 내지 약 10, 약 10 내지 약 100, 약 10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60, 약 10 내지 약 50, 약 10 내지 약 40, 약 10 내지 약 30, 약 10 내지 약 20, 약 20 내지 약 100, 약 20 내지 약 80, 약 20 내지 약 60, 약 20 내지 약 50, 약 20 내지 약 40, 약 20 내지 약 30, 약 30 내지 약 100, 약 30 내지 약 80, 약 30 내지 약 60, 약 30 내지 약 50, 약 30 내지 약 40, 약 40 내지 약 100, 약 40 내지 약 80, 약 40 내지 약 60, 약 40 내지 약 50, 약 50 내지 약 80, 약 50 내지 약 60, 약 60 내지 약 100, 약 60 내지 약 80, 또는 약 80 내지 약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폭은 약 10 nm 내지 약 1 ㎛, 약 10 nm 내지 약 900 nm, 약 10 nm 내지 약 800 nm, 약 10 nm 내지 약 700 nm, 약 10 nm 내지 약 600 nm, 약 10 nm 내지 약 500 nm, 약 10 nm 내지 약 400 nm, 약 10 nm 내지 약 300 nm, 약 10 nm 내지 약 200 nm, 약 10 nm 내지 약 100 nm, 약 10 nm 내지 약 90 nm, 약 10 nm 내지 약 80 nm, 약 10 nm 내지 약 70 nm, 약 10 nm 내지 약 60 nm, 약 10 내지 약 50 nm, 약 10 nm 내지 약 40 nm, 약 10 nm 내지 약 30 nm, 약 10 nm 내지 약 20 nm, 약 20 nm 내지 약 1 ㎛, 약 20 nm 내지 약 900 nm, 약 20 nm 내지 약 800 nm, 약 20 nm 내지 약 700 nm, 약 20 nm 내지 약 600 nm, 약 20 nm 내지 약 500 nm, 약 20 nm 내지 약 400 nm, 약 20 nm 내지 약 300 nm, 약 20 nm 내지 약 200 nm, 약 20 nm 내지 약 100 nm, 약 20 nm 내지 약 90 nm, 약 20 nm 내지 약 80 nm, 약 20 nm 내지 약 70 nm, 약 20 nm 내지 약 60 nm, 약 20 내지 약 50 nm, 약 20 nm 내지 약 40 nm, 약 20 nm 내지 약 30 nm, 약 30 nm 내지 약 1 ㎛, 약 30 nm 내지 약 900 nm, 약 30 nm 내지 약 800 nm, 약 30 nm 내지 약 700 nm, 약 30 nm 내지 약 600 nm, 약 30 nm 내지 약 500 nm, 약 30 nm 내지 약 400 nm, 약 30 nm 내지 약 300 nm, 약 30 nm 내지 약 200 nm, 약 30 nm 내지 약 100 nm, 약 30 nm 내지 약 90 nm, 약 30 nm 내지 약 80 nm, 약 30 nm 내지 약 70 nm, 약 30 nm 내지 약 60 nm, 약 30 내지 약 50 nm, 약 30 nm 내지 약 40 nm, 약 40 nm 내지 약 1 ㎛, 약 40 nm 내지 약 900 nm, 약 40 nm 내지 약 800 nm, 약 40 nm 내지 약 700 nm, 약 40 nm 내지 약 600 nm, 약 40 nm 내지 약 500 nm, 약 40 nm 내지 약 400 nm, 약 40 nm 내지 약 300 nm, 약 40 nm 내지 약 200 nm, 약 40 nm 내지 약 100 nm, 약 40 nm 내지 약 90 nm, 약 40 nm 내지 약 80 nm, 약 40 nm 내지 약 70 nm, 약 40 nm 내지 약 60 nm, 약 40 내지 약 50 nm, 약 50 nm 내지 약 1 ㎛, 약 50 nm 내지 약 900 nm, 약 50 nm 내지 약 800 nm, 약 50 nm 내지 약 700 nm, 약 50 nm 내지 약 600 nm, 약 50 nm 내지 약 500 nm, 약 50 nm 내지 약 400 nm, 약 50 nm 내지 약 300 nm, 약 50 nm 내지 약 200 nm, 약 50 nm 내지 약 100 nm, 약 50 nm 내지 약 90 nm, 약 50 nm 내지 약 80 nm, 약 50 nm 내지 약 70 nm, 약 50 nm 내지 약 60 nm, 약 100 nm 내지 약 1 ㎛, 약 100 nm 내지 약 900 nm, 약 100 nm 내지 약 800 nm, 약 100 nm 내지 약 700 nm, 약 100 nm 내지 약 600 nm, 약 100 nm 내지 약 500 nm, 약 100 nm 내지 약 400 nm, 약 100 nm 내지 약 300 nm, 약 100 nm 내지 약 200 nm, 약 200 nm 내지 약 1 ㎛, 약 200 nm 내지 약 900 nm, 약 200 nm 내지 약 800 nm, 약 200 nm 내지 약 700 nm, 약 200 nm 내지 약 600 nm, 약 200 nm 내지 약 500 nm, 약 200 nm 내지 약 400 nm, 약 200 nm 내지 약 300 nm, 약 300 nm 내지 약 1 ㎛, 약 300 nm 내지 약 900 nm, 약 300 nm 내지 약 800 nm, 약 300 nm 내지 약 700 nm, 약 300 nm 내지 약 600 nm, 약 300 nm 내지 약 500 nm, 약 300 nm 내지 약 400 nm, 약 400 nm 내지 약 1 ㎛, 약 400 nm 내지 약 900 nm, 약 400 nm 내지 약 800 nm, 약 400 nm 내지 약 700 nm, 약 400 nm 내지 약 600 nm, 약 400 nm 내지 약 500 nm, 약 500 nm 내지 약 1 ㎛, 약 500 nm 내지 약 900 nm, 약 500 nm 내지 약 800 nm, 약 500 nm 내지 약 700 nm, 약 500 nm 내지 약 600 nm, 약 600 nm 내지 약 1 ㎛, 약 600 nm 내지 약 900 nm, 약 600 nm 내지 약 800 nm, 약 600 nm 내지 약 700 nm, 약 700 nm 내지 약 1 ㎛, 약 700 nm 내지 약 900 nm, 약 700 nm 내지 약 800 nm, 약 800 nm 내지 약 1 ㎛, 약 800 nm 내지 약 900 nm, 또는 약 900 nm 내지 약 1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증착 방법은 증착 챔버 내에 위치한 기재에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 전구체 조성물을 기체 상태로 공급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막의 증착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 반응 기체를 함께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플라스틱 기판들(PI, PET, PES)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구멍이나 홈이 있는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표면적이 넓은 다공질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증착 시 유기금속 화학기상 증착법 (MO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 (ALD)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화학기상 증착법 (MO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 (ALD)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증착장치, 증착조건, 추가 반응 기체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 및 상기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막 증착용 전구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은 낮은 점도 및 높은 열 안정성에 기인하여, 원자층 증착법 또는 화학기상 증착법의 전구체로서 사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표면에 패턴(홈)이 있는 기재 또는 다공성 기재, 플라스틱 기재 상에도 약 100℃ 내지 약 500℃, 또는 약 250℃ 내지 약 350℃의 온도 범위에서 수 ㎛ 내지 수십 nm 두께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종횡비가 약 1 내지 약 50, 약 1 내지 약 100, 또는 그 이상이고, 폭이 약 1 ㎛ 내지 10 nm 또는 그 이하까지 미세한 패턴(홈)의 가장 깊은 곳의 표면 및 상기 미세한 요철(홈)의 상부 표면을 포함한 상기 미세한 요철(홈)의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의 전체 표면 상에 수 ㎛ 내지 수 nm 이하의 두께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은 반응 챔버 내에 기판을 수용한 뒤, 운송 가스 또는 희석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기판 상으로 이송하여 약 100℃ 내지 약 500℃, 약 150℃ 내지 약 450℃, 약 200℃ 내지 약 400℃, 또는 약 250℃ 내지 약 350℃의 넓은 범위의 증착 온도에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을 증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증착 온도가 약 250℃ 내지 약 350℃인 것은 메모리 소자 및 로직 등의 비메모리 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공정온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크고, 온도에 따라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함유 산화막의 필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약 250℃ 내지 약 350℃의 증착 온도 범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운송가스 또는 희석 가스로는 아르곤(Ar), 질소 (N2), 헬륨 (He) 또는 수소 (H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기판 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전구체를 운송 가스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기화시키는 버블링 (Bubbling) 방식 및 용기를 가열하여 전구체의 증기압을 높여 기체 상태로 공급하는 바이패스 (Bypass)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급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증기압이 낮은 경우는 용기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Bypass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버블러 용기 또는 VFC 용기에 담아 약 0.1 내지 약 10 torr의 증기압, 상온 내지 약 150℃의 온도 범위에서 운송 가스를 이용하여 버블링 또는 용기를 가열하여 전구체를 기체 상태로 운송하여 챔버 내로 공급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용기를 가열하여 기체 상태로 공급하는 Bypass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을 기화시키기 위하여 아르곤 (Ar)또는 질소 (N2) 가스로 운송하거나 열에너지 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거나, 기판상에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 이외에 다른 금속을 포함한 복합 산화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늄 또는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복합 산화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Hf-Y-O, Zr-Y-O, Hf-Al-Y-O, Zr-Hf-Al-Y-O, Zr-Hf-Y-Si-O, Zr-Hf-Al-Y-Si-O, Hf-La-O, Zr-La-O, Hf-Al-La-O, Zr-Hf-Al-La-O, Zr-Hf-La-Si-O, Zr-Hf-Al-La-Si-O, Hf-Gd-O, Zr-Gd-O, Hf-Al-Gd-O, Zr-Hf-Al-Gd-O, Zr-Hf-Gd-Si-O, 또는 Zr-Hf-Al-Gd-Si-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 또는 복합 산화막을 증착하기 위하여, 반응가스로서 수증기 (H2O), 산소 (O2), 산소 플라즈마 (O2 Plasma), 산화질소 (NO, N2O), 산화질소 플라즈마 (N2O Plasma), 과산화수소수 (H2O2), 및 오존 (O3)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에 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본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 3 ) 2 CHNC(CH 2 CH 3 )NHCH(CH 3 ) 2 ]의 제조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트리에틸올쏘-프로피오네이트 (triethyl ortho-propionate) 152g(0.862 mol)과 이소프로필아민(isopropylamine) 102g (1.725 mol)을 넣은 후 아세트산(acetic acid) 51.8g(0.862 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170℃ 이상으로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다이에틸에테르 (diethylether)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NaOH) 1.1 eq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무색 투명 액체 화합물 97.6g(7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비스-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이트륨 [Cp(CH 2 ) 2 CH 3 ] 2 Y[(CH 3 ) 2 CHNC(CH 2 CH 3 )NCH(CH 3 ) 2 ]의 제조
불꽃 건조된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 소듐 아마이드(sodium amide)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THF 250 mL 및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엔 (n-propylcyclopentadiene)을 천천히 적가한 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n-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제조하였다.
불꽃 건조된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 이트륨(III) 클로라이드 (yttrium(III) chloride) 30g(0.154 mol)과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합성된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n-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블렌딩하면서 이트륨(III) 클로라이드 및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을 반응시켜 트리스(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이트륨(III) 용액을 제조하였다.
500 mL 플라스크에 n-부틸 리튬(n-BuLi, 23%) 34.2g(0.123 mol)과 n-헥산 (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3)2CHNC(CH2CH3)NHCH(CH3)2] 19.2g(0.123 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합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트리스(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이트륨(III)에 상기 제조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하기 화학식 1으로서 표시되는 노랑 액체 화합물 47g(67%)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1H-NMR (400 MHz, C6D6, 25℃) : δ 6.128, 6.057 (m, 8H, C5 H 4-(CH2)2CH3), δ 3.351 (m, 2H, (CH3)2C H NC(CH2CH3)NC H (CH3)2), δ 2.532 (t, 4H, C5H4-C H 2CH2CH3), δ 1.979 (q, 2H, (CH3)2CHNC(C H 2CH3)NCH(CH3)2), δ 1.653 (m, 4H, C5H4-CH2C H 2CH3), δ 1.001 (d, 12H, (C H 3)2CHNC(CH2CH3)NCH(C H 3)2), δ 0.969 (t, 6H, C5H4-CH2CH2C H 3), δ 0.915 (t, 3H, (CH3)2CHNC(CH2C H 3)NCH(CH3)2)
<실시예 2> 비스-n-프로필 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 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 가돌리늄 [Cp(CH 2 ) 2 CH 3 ]Gd[(CH 3 ) 2 CHNC(CH 2 CH 3 )NCH(CH 3 ) 2 ]의 제조
불꽃 건조된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소듐 아마이드(sodium amide)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THF 250 mL 및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엔 (n-propylcyclopentadiene)을 천천히 적가한 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n-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제조하였다.
불꽃 건조된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가돌리늄(III) 클로라이드 (gadolinium(III) chloride) 50g(0.190 mol)과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합성된 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n-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트리스(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가돌리늄(III) 용액을 제조하였다.
500 mL 플라스크에 n-부틸 리튬(n-BuLi, 23%) 42.3g(0.152 mol)과 n-헥산 (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3)2CHNC(CH2CH3)NHCH(CH3)2] 23.7g(0.152 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트리스(n-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가돌리늄(III)에 상기 합성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하기 화학식 2로서 표시되는 노랑 액체 화합물 58.7g(59.5%)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
<비교예 1> 비스-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이트륨 (EtCp) 2 Y[ i PrNC(Et)N i Pr]의 제조
불꽃 건조된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소듐 아마이드(sodium amide)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THF 250 mL 및 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엔 (ethylcyclopentadiene) 63.7g(0.676 mol)을 천천히 적가한 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eth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제조하였다.
불꽃 건조된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이트륨(III) 클로라이드(yttrium(III) chloride) 40g(0.205 mol) 및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합성된 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eth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트리스(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이트륨(III)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500 mL 플라스크에 n-부틸 리튬(n-BuLi, 23%) 45.6g(0.164 mol)과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3)2CHNC(CH2CH3)NHCH(CH3)2] 25.6g(0.164 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리튬 아미디네이트(lithium amidinate)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리튬 아미디네이트(lithium amidinate) 용액을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 준비한 트리스(에틸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이트륨(III) 용액에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하기 화학식 3으로서 표시되는 노랑색 고체 화합물 52g(59%)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
녹는점 (mp) 36℃ (760 torr);
1H-NMR (400 MHz, C6D6, 25℃): δ 6.107, 6.057 (m, 8H, C5 H 4-CH2CH3), δ 3.337 (m, 2H, (CH3)2C H NC(CH2CH3)NC H (CH3)2), δ 2.552 (q, 4H, C5H4-C H 2CH3), δ 1.969 (q, 2H, (CH3)2CHNC(C H 2CH3)NCH(CH3)2), δ 1.237 (t, 6H, C5H4-CH2C H 3), δ 0.988 (d, 12H, (C H 3)2CHNC(CH2CH3)NCH(C H 3)2), δ 0.896 (t, 3H, (CH3)2CHNC(CH2C H 3)NCH(CH3)2)
비교예 1의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은 상온에서 고체이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에 비해 반도체 대량 생산에 사용하기에 불리하다.
<실시예 3> 비스-이소프로필 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 이트륨 ( i PrCp) 2 Y[ i PrNC(Et)N i Pr]의 제조
불꽃 건조된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 소듐 아마이드(sodium amide)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THF 250 mL 및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엔 (isopropylcyclopentadiene)을 천천히 적가한 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iso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제조하였다.
불꽃 건조된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이트륨(III) 클로라이드(yttrium(III) chloride) 30g(0.154 mol)과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합성된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소듐 (iso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블렌딩하면서 이트륨(III) 클로라이드 및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소듐을 반응시켜 트리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이트륨(III) 용액을 제조하였다.
500 mL 플라스크에 n-부틸 리튬(n-BuLi, 23%) 34.2g(0.123 mol)과 n-헥산 (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합성한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3)2CHNC(CH2CH3)NHCH(CH3)2] 19.2g(0.123 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트리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이트륨(III)에 상기 합성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하기 화학식 4로서 표시되는 노랑 액체 화합물 47.7g(68%)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
1H-NMR (400 MHz, C6D6, 25℃) : δ 6.158, 6.098 (m, 8H, C5 H 4-CH(CH3)2), δ 3.359 (m, 2H, (CH3)2C H NC(CH2CH3)NC H (CH3)2), δ 2.960 (m, 2H, C5H4-C H (CH3)2), δ 1.984 (q, 2H, (CH3)2CHNC(C H 2CH3)NCH(CH3)2), δ 1.293 (d, 12H, C5H4-CH(C H 3)2), δ 1.021 (d, 12H, (C H 3)2CHNC(CH2CH3)NCH(C H 3)2), δ 0.909 (t, 3H, (CH3)2CHNC(CH2C H 3)NCH(CH3)2)
<실시예 4> 비스-이소프로필 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 가돌리늄 ( i PrCp) 2 Gd[ i PrNC(Et)N i Pr]의 제조
불꽃 건조된 500 mL 슐렝크 플라스크에 소듐 아마이드(sodium amide)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THF 250 mL 및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엔 (isopropylcyclopentadiene)을 천천히 적가한 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 소듐 (iso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제조하였다.
불꽃 건조된 1 L 슐렝크 플라스크에서, 가돌리늄 (III) 클로라이드(gadolinium(III) chloride) 30g(0.114 mol)과 n-헥산(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실온을 유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합성된 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 다이에닐 소듐 (isopropylcyclopentadienyl sodium)을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20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트리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가돌리늄(III) 용액을 제조하였다.
500 mL 플라스크에 n-부틸 리튬(n-BuLi, 23%) 25.4g(0.091 mol)과 n-헥산 (n-hexane, C6H14) 200 mL를 넣은 후 제조예 1에서 합성한 N,N'-이소프로필프로피온이미드아미드 [(CH3)2CHNC(CH2CH3)NHCH(CH3)2] 14.2g(0.091 mol)를 천천히 적가한 후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트리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가돌리늄(III)에 상기 합성된 리튬 아디미네이트(lithium amidinate)를 천천히 적가하고 20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하기 화학식 5로서 표시되는 노랑 액체 화합물 36g(60.8%)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
<비교예 2> 비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메틸아미디네이트 이트륨 ( i PrCp) 2 Y[ i PrNC(Me)N i Pr)]의 제조
에틸 대신 메틸이 치환된 N,N'-이소프로필메틸아미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같은 합성 방법으로 비스-이소프로필싸이클로펜타다이에닐-N,N'-이소프로필메틸아미디네이트 이트륨 (iPrCp)2Y[iPrNC(Me)NiPr]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전구체 화합물들의 점도 비교
기존에 알려진 비교예 2의 ( i PrCp)2Y(iPr-N-C(Me)=N-iPr) 전구체 화합물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 n PrCp)2Y(iPr-N-C(Et)=N-iPr), 실시예 2 ( n PrCp)2Gd(iPr-N-C(Et)=N-iPr) 전구체 화합물의 점도를 하기 [표 1]에 비교하였다. N,N'-이소프로필-메틸아미디네이트(iPr-N-C(Me)=N-iPr) 리간드를 포함한 전구체 화합물 ( i PrCp)2Y(iPr-N-C(Me)=N-iPr) (비교예 2)은 점도가 81 cP로 측정되었지만, N,N'-이소프로필-에틸아미디네이트(iPr-N-C(Et)=N-iPr) 리간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전구체 화합물인 ( n PrCp)2Y(iPr-N-C(Et)=N-iPr) (실시예 1)의 점도가 69 cP, ( n PrCp)2Gd(iPr-N-C(Et)=N-iPr) (실시예 2)의 점도가 68 cP로 측정되었다.
전구체 화합물 점도
(비교예 2) ( i PrCp) 2 Y[ i PrNC(Me)N i Pr] 81 cP
(실시예 1) ( n PrCp) 2 Y[ i PrNC(Et)N i Pr] 69 cP
(실시예 2) ( n PrCp) 2 Gd[ i PrNC(Et)N i Pr] 68 cP
ALD 또는 CVD 전구체가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기화시켜서 사용할 때 전구체의 증기압이 낮고 점도가 높을 경우, 전구체가 기체 공급 배관이나 밸브의 Dead Space에 잔류할 수 있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 순간 기화기(flash evaporator)에 ALD 또는 CVD 전구체를 액체 상태로 주입하여 순간적으로 기화시키는 경우, 점도가 높으면 기화기의 막힘(Clogging)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액체는 액체를 이송시키는 액체 정량 펌프에 사용할 수 없다.
액체 이송 장치와 순간 기화기를 사용하는 ALD 또는 CVD 장치에서 액체를 이송하는 펌프에 사용할 수 있는 액체의 점도를 낮추어야 한다면, 예를 들어 9cP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면, 점도가 높은 전구체에 점도가 낮은 액체(용매)를 섞어 점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저점도 액체를 많이 섞으면 점도를 낮춘 혼합물에 전구체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같은 부피의 액체를 기화시킬 때 전구체 기체 공급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점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저점도 액체를 적게 혼합하는 편이 유리하다. 본원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전구체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비교예 2의 전구체보다 점도가 낮기 때문에 ALD 또는 CVD 전구체로 사용하기에 더 유리하다.
옥탄을 저점도 액체(용매)로 사용하여 혼합물의 점도를 8.5±0.5cP로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옥탄 혼합비율을 하기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2와 도 1에 따르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전구체 화합물은 비교예 2의 전구체 화합물보다 옥탄을 적게 혼합하여도 혼합물의 점도를 8.5±0.5cP로 낮출 수 있다.
전구체 화합물 8.5±0.5cP 점도 조정에 필요한 옥탄 혼합비율
(비교예 2) ( i PrCp) 2 Y[ i PrNC(Me)N i Pr] 18 ~ 19 wt%
(실시예 1) ( n PrCp) 2 Y[ i PrNC(Et)N i Pr] 16 ~ 17 wt%
(실시예 2) ( n PrCp) 2 Gd[ i PrNC(Et)N i P)] 16 ~ 17 wt%
<실험예 2> 이트륨전구체 화합물들의 기재 온도에 따른 산화막 증착 특성
실시예 1 및 3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원자 증착법 (ALD -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진행하였다. 반응 가스로는 산소원인 O3를 사용하였다. 우선, 황산 (H2SO4)과 과산화수소수 (H2O2)를 4:1로 혼합한 피라냐 (piranha) 용액에 실리콘 웨이퍼를 10 분 동안 담갔다가 꺼낸 후 묽은 HF 수용액에 약 2 분 동안 담가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 뒤에 원자층증착법(ALD)으로 이트륨 산화물 박막을 제조하였다.
기재 온도에 따른 증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00℃, 310℃, 320℃, 340℃의 온도로 기재를 가열하여 ALD 공정을 진행하였다.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들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재질로한 용기에 담아 150℃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ALD 반응기의 공정압력을 1 torr로 유지하였다. 아르곤(Ar) 가스를 300 sccm의 유속으로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을 담은 스테인리스 스틸 용기에 통과시켜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 기체를 ALD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이트륨 전구체 공급 3 초, 퍼지 10 초, O3 공급 10 초, 퍼지 5 초의 ALD 기체 주기 100 회를 반복하여 각 기재 온도에서 이트륨 산화막을 증착하였다. 산화막의 두께를 측정하여 알아낸 ALD 기체 공급 주기 당 막 성장 (growth per cycle, GPC)를 기재 온도에 따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이트륨 전구체 모두 300℃ 내지 340℃ 온도 구간에서 GPC가 약 0.3 Å/cycle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넓은 온도 범위에서 GPC가 일정해야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증착한 막 두께가 일정해서 반도체 제조에 ALD를 적용할 때 유리하다. 반도체 소자는 계속 미세화 되고 있고, 디램(DRAM) 캐패시터의 유전막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두께가 일정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이트륨 전구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GPC가 일정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GPC가 일정하지 않은 종래의 이트륨 전구체보다 ALD 공정에 따라 미세하고 균일한 두께 조절이 필요한 이트륨 산화물 (Y2O3)을 증착하는 데에 유리하다.
<실험예 3> 이트륨 전구체 화합물들의 전구체 공급 시간에 따른 산화막 증착 특성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이트륨 산화막을 제조하되, 기재 온도를 300℃로 고정하고, ALD 기체 공급 주기에서 이트륨 전구체 공급 시간을 각각 3초 대신 1 초, 5 초, 7 초로 변경한 ALD 기체 공급 주기를 100 회 반복하여 이트륨 산화막을 증착하고 막 두께를 측정하여 알아낸 GPC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상적인 ALD 조건에서는 전구체 공급 시간을 증가시켜도 GPC가 일정해야 한다. 전구체 화합물이 열적으로 안정하지 않은 온도에서 ALD를 진행하면 전구체 공급시간을 증가시킬 때 막 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도 3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이트륨 전구체 모두 전구체 공급 시간 3초 이상에서 GPC가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횡비(Aspect Ratio)가 매우 큰 (50 이상) 반도체 디램(DRAM) 캐패시터에 일정한 두께의 막을 형성하려면, 전구체 공급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막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전구체가 필요하다. 종횡비가 커서 실제 표면적이 겉보기 표면적보다 큰 기재에 충분한 양의 전구체를 공급하기 위해 전구체 공급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구체 공급 시간이 증가할 때 막 두께가 증가하는 전구체를 사용하면 종횡비가 큰 홈의 상부와 하부 바닥에 동일한 두께의 막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도 3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이트륨 전구체는 전구체 공급 시간을 증가시켜도 막 두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구체 공급 시간을 증가시킬 때 막 두께가 증가하는 종래의 이트륨 전구체보다종횡비가 큰 구조에 일정한 두께의 막을 형성하기에 유리하고 반도체 디램의 캐패시터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Ⅰ로서 표시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화학식 Ⅰ]
    (R1Cp)2M[(CH3)2CH-N-C(CH2CH3)=N-CH(CH3)2];
    상기 화학식 Ⅰ에서,
    M은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및 Lu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R1은 n-프로필기(nPr) 또는 iso-프로필기(iPr)이며,
    상기 Cp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기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체인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은 하기에서 선택되는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
    (nPrCp)2Y(iPr-N-C(Et)=N-iPr), (nPrCp)2La(iPr-N-C(Et)=N-iPr), (nPrCp)2Ce(iPr-N-C(Et)=N-iPr), (nPrCp)2Pr(iPr-N-C(Et)=N-iPr), (nPrCp)2Nd(iPr-N-C(Et)=N-iPr), (nPrCp)2Pm(iPr-N-C(Et)=N-iPr), (nPrCp)2Sm(iPr-N-C(Et)=N-iPr), (nPrCp)2Eu(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nPrCp)2Tb(iPr-N-C(Et)=N-iPr), (nPrCp)2Dy(iPr-N-C(Et)=N-iPr), (nPrCp)2Ho(iPr-N-C(Et)=N-iPr), (nPrCp)2Er(iPr-N-C(Et)=N-iPr), (nPrCp)2Tm(iPr-N-C(Et)=N-iPr), (nPrCp)2Yb(iPr-N-C(Et)=N-iPr), (nPrCp)2Lu(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iPrCp)2La(iPr-N-C(Et)=N-iPr), (iPrCp)2Ce(iPr-N-C(Et)=N-iPr), (iPrCp)2Pr(iPr-N-C(Et)=N-iPr), (iPrCp)2Nd(iPr-N-C(Et)=N-iPr), (iPrCp)2Pm(iPr-N-C(Et)=N-iPr), (iPrCp)2Sm(iPr-N-C(Et)=N-iPr), (iPrCp)2Eu(iPr-N-C(Et)=N-iPr), (iPrCp)2Gd(iPr-N-C(Et)=N-iPr), (iPrCp)2Tb(iPr-N-C(Et)=N-iPr), (iPrCp)2Dy(iPr-N-C(Et)=N-iPr), (iPrCp)2Ho(iPr-N-C(Et)=N-iPr), (iPrCp)2Er(iPr-N-C(Et)=N-iPr), (iPrCp)2Tm(iPr-N-C(Et)=N-iPr), (iPrCp)2Yb(iPr-N-C(Et)=N-iPr), 및 (iPrCp)2Lu(iPr-N-C(Et)=N-iPr).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은 하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전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nPrCp)2Y(iPr-N-C(Et)=N-iPr), (nPrCp)2La(iPr-N-C(Et)=N-iPr), (nPrCp)2Ce(iPr-N-C(Et)=N-iPr), (nPrCp)2Pr(iPr-N-C(Et)=N-iPr), (nPrCp)2Nd(iPr-N-C(Et)=N-iPr), (nPrCp)2Pm(iPr-N-C(Et)=N-iPr), (nPrCp)2Sm(iPr-N-C(Et)=N-iPr), (nPrCp)2Eu(iPr-N-C(Et)=N-iPr), (nPrCp)2Gd(iPr-N-C(Et)=N-iPr), (nPrCp)2Tb(iPr-N-C(Et)=N-iPr), (nPrCp)2Dy(iPr-N-C(Et)=N-iPr), (nPrCp)2Ho(iPr-N-C(Et)=N-iPr), (nPrCp)2Er(iPr-N-C(Et)=N-iPr), (nPrCp)2Tm(iPr-N-C(Et)=N-iPr), (nPrCp)2Yb(iPr-N-C(Et)=N-iPr), (nPrCp)2Lu(iPr-N-C(Et)=N-iPr), (iPrCp)2Y(iPr-N-C(Et)=N-iPr), (iPrCp)2La(iPr-N-C(Et)=N-iPr), (iPrCp)2Ce(iPr-N-C(Et)=N-iPr), (iPrCp)2Pr(iPr-N-C(Et)=N-iPr), (iPrCp)2Nd(iPr-N-C(Et)=N-iPr), (iPrCp)2Pm(iPr-N-C(Et)=N-iPr), (iPrCp)2Sm(iPr-N-C(Et)=N-iPr), (iPrCp)2Eu(iPr-N-C(Et)=N-iPr), (iPrCp)2Gd(iPr-N-C(Et)=N-iPr), (iPrCp)2Tb(iPr-N-C(Et)=N-iPr), (iPrCp)2Dy(iPr-N-C(Et)=N-iPr), (iPrCp)2Ho(iPr-N-C(Et)=N-iPr), (iPrCp)2Er(iPr-N-C(Et)=N-iPr), (iPrCp)2Tm(iPr-N-C(Et)=N-iPr), (iPrCp)2Yb(iPr-N-C(Et)=N-iPr), 및 (iPrCp)2Lu(iPr-N-C(Et)=N-iPr).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산화막,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질화막, 또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탄화막인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암모니아, 질소, 히드라진, 및 디메틸 히드라진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소원을 추가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수증기, 산소, 및 오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소원을 추가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을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화학기상 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증착되는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두께는 1 nm 내지 10 μm인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100℃ 내지 500℃의 온도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은 종횡비가 1 내지 100이고, 폭이 10 nm 내지 1 ㎛인 요철을 포함하는 기재 상에 형성되는 것인,
    이트륨 또는 란탄족 금속-함유 막의 형성 방법.
KR1020200182738A 2019-12-27 2020-12-24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 KR102446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37 2019-12-27
KR20190176737 2019-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297A true KR20210084297A (ko) 2021-07-07
KR102446629B1 KR102446629B1 (ko) 2022-09-26

Family

ID=7657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738A KR102446629B1 (ko) 2019-12-27 2020-12-24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25411A1 (ko)
JP (1) JP2023508828A (ko)
KR (1) KR102446629B1 (ko)
CN (1) CN114667290A (ko)
TW (1) TW202134251A (ko)
WO (1) WO202113308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950A (ko) 2021-10-19 2023-04-26 한국화학연구원 3족 금속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KR102614467B1 (ko) 2022-11-30 2023-12-14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WO2024049037A1 (ko) * 2022-08-31 2024-03-07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신규한 아미디네이트 리간드,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박막 형성용 전구체
WO2024058624A1 (ko) * 2022-09-16 2024-03-21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WO2024058431A1 (ko) * 2022-09-16 2024-03-21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20240038627A (ko) 2022-09-16 2024-03-25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312A (ko) * 2020-11-20 2023-07-21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란타나이드 및 란타나이드 유사 전이 금속 착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069A (ko) 2009-05-13 2012-02-27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원자 층 침착을 위한 용액계 란탄족 및 ⅲ족 전구체
KR20160085357A (ko) * 2008-06-05 2016-07-15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뜌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란탄족 함유 전구체의 제조 및 란탄족 함유 필름의 증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7274A1 (en) * 2007-11-06 2009-05-07 Ce Ma Solution based lanthanum precursor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KR102424961B1 (ko) * 2015-07-07 202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란타넘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과 란타넘 전구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및 집적회로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638657B1 (ko) * 2016-11-08 2024-02-19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를 포함하는 금속 착화합물
JP7235466B2 (ja) * 2018-01-26 2023-03-08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ランタノイド化合物、ランタノイド含有薄膜、および該ランタノイド化合物を用いたランタノイド含有薄膜の成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357A (ko) * 2008-06-05 2016-07-15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뜌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란탄족 함유 전구체의 제조 및 란탄족 함유 필름의 증착 방법
KR20120017069A (ko) 2009-05-13 2012-02-27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원자 층 침착을 위한 용액계 란탄족 및 ⅲ족 전구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950A (ko) 2021-10-19 2023-04-26 한국화학연구원 3족 금속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WO2024049037A1 (ko) * 2022-08-31 2024-03-07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신규한 아미디네이트 리간드,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박막 형성용 전구체
KR20240030581A (ko) 2022-08-31 2024-03-07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신규한 아미디네이트 리간드,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박막 형성용 전구체.
WO2024058624A1 (ko) * 2022-09-16 2024-03-21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WO2024058431A1 (ko) * 2022-09-16 2024-03-21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20240038327A (ko) 2022-09-16 2024-03-25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20240038627A (ko) 2022-09-16 2024-03-25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란탄족 금속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20240060568A (ko) 2022-09-16 2024-05-08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이트륨 또는 스칸듐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2614467B1 (ko) 2022-11-30 2023-12-14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 형성용 전구체, 이를 이용한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 형성 방법 및 상기 스칸듐 또는 이트륨 함유 박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5411A1 (en) 2022-10-13
WO2021133080A1 (ko) 2021-07-01
KR102446629B1 (ko) 2022-09-26
CN114667290A (zh) 2022-06-24
JP2023508828A (ja) 2023-03-06
TW202134251A (zh)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629B1 (ko) 이트륨/란탄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트륨/란탄족 금속 함유 막의 형성 방법
US10217629B2 (en) Method of forming dielectric films, new precursors and their us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JP2015015483A (ja) 金属含有膜を被着させるための金属エノラート前駆体
TWI714802B (zh) 第v族金屬化合物、其製備方法、包含其的膜沉積用前體組合物和利用該組合物的膜沉積方法
US11634441B2 (en) Group 5 metal compound for thin film de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group 5 metal-containing thin film using same
JP5255029B2 (ja) 金属含有フィルムの現像用のアミノエーテル含有液体組成物
KR102489662B1 (ko) 루테늄 전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루테늄-함유 막의 형성 방법
KR20220058190A (ko) 3족 금속 전구체 및 금속 함유 박막
TWI777318B (zh) 有機金屬化合物、沉積薄膜的組成物、製造薄膜的方法、有機金屬化合物薄膜及半導體裝置
KR102623692B1 (ko) 하프늄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하프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 및 하프늄-함유 막 형성 방법
JP7271850B2 (ja) 有機金属前駆体化合物
KR102472597B1 (ko) η6 보라타 벤젠 리간드가 도입된 4족 유기금속 전구체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CN115279940B (zh) 铝前体化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形成含铝膜的方法
KR102557277B1 (ko) 희토류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KR20220058191A (ko) 3족 금속 전구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함유 박막의 제조 방법
TW202334479A (zh) 鉬前驅物化合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形成含鉬薄膜之方法
JP2023107274A (ja) 化合物、金属含有膜の形成方法および化合物の製造方法
KR20220013342A (ko) 니오븀 전구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막 형성용 전구체 조성물, 및 니오븀-함유 막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