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894A -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894A
KR20210083894A KR1020190176652A KR20190176652A KR20210083894A KR 20210083894 A KR20210083894 A KR 20210083894A KR 1020190176652 A KR1020190176652 A KR 1020190176652A KR 20190176652 A KR20190176652 A KR 20190176652A KR 20210083894 A KR20210083894 A KR 2021008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hredding
packaging material
cru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919B1 (ko
Inventor
박종권
이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9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일 실시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쇄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의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롤을 포함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별통 내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다수의 세절날을 포함하는 세절유닛; 상기 분별통 내에서 세절날과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화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의 하부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교반날개; 및 상기 세절날 및 교반날개와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Separator for waste food of wrapping paper and food}
본 발명은 폐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포장재와 음식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딱딱하게 결빙된 냉동식품을 해동하지 않고도 파쇄 및 세절과정을 거침에 따라 포장재와 식품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의 식품 판매장에는 어류나 육류, 부식류 등 다양한 식품을 진열대나 냉장 케이스에 배열해 판매하고 있는데, 이들 진열식품은 취급 및 판매의 편리성을 위해 적당 양을 포장재로 포장해서 판매하고 있다.
이들 포장식품은 유효기간 내에 모두 팔리는 것이 아니므로 재고품이 발생하게 되게 되고, 폐점 후에는 이들 재고품을 회수하여 소각 처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화학 제품인 포장재가 소각되면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해 폐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식품을 투입하기 전에 수작업에 의해 식품과 포장재를 분리하였기 때문에 인건비 발생은 물론 분리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비효율적이었다.
그 대안으로 일본특허공보 제3166106호(선행특허 1), 제3227494호(선행특허 2)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들 처리장치는 식품과 포장재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포장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 처리조를 가지며, 이 처리조 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회전축에는 모두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된 4개의 회전날개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는 전체 형상이 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처리조 본체와, 경첩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조 본체에는 분리된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분리된 포장재가 배출되는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선행특허 2에 개시된 처리장치에는 상기 회전축의 투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다수의 파쇄날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선행특허 1의 경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포장식품이 투입되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날개의 선단과 처리조의 내주면에 의해 포장재와 내부의 식품이 파쇄됨과 동시에, 파쇄된 식품은 상기 처리조 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포장재는 상기 배출로를 통해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포장식품 분별장치는 포장식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포장재와 분리되는 식품이 처리조 내에서 배출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지 않고 처리조 내에 남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분별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문헌 1 : 일본특허공보 제3166106호 문헌 2 : 일본특허공보 제3227494호
본 발명은 포장된 식품을 폐기할 때, 포장재와 식품을 자동으로 분별하여 수거할 수 있는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력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파쇄유닛이 구비되어 있어서 딱딱하게 결빙된 냉동식품도 해동하지 않고 바로 분리수거할 수 있어서 작업속도가 빠른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절날의 세절편을 분리할 수 있어서 손상된 세절편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식품을 파쇄롤로 공급할 때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높힌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쇄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의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롤을 포함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별통 내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다수의 세절날을 포함하는 세절유닛; 상기 분별통 내에서 세절날과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화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의 하부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교반날개; 및 상기 세절날 및 교반날개와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쇄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에 형성된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롤을 포함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세절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세절롤을 포함하는 세절유닛;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분별통 내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과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의 하부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날개와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파쇄롤은, 상기 파쇄축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파쇄돌기가 연쇄적으로 마련된 다수의 단위 파쇄날; 및 상기 단위 파쇄날들 사이에 개재되어 포장식품을 두 파쇄롤 사이로 물고 들어갈 수 있도록 말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 날;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파쇄롤 간의 스파이크 날은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절날들은,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세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절부는 상기 축결합부와 일체로 되는 루트편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절편과 다른 세절날의 세절편은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세절롤은 세절축과, 상기 세절축에 끼워지는 다수의 세절날로 구성되되, 상기 세절날은, 상기 세절축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세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절부는 상기 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트편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절편과 다른 세절날의 세절편은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절날들 사이에 개입되어, 세절날들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세절롤 간의 세절날은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분별통으로부터 배출되는 포장재를 수집하기 위한 포장재 수집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별통과 포장재 수집통 사이에 마련되어, 포장재를 포장재 수집통으로 유도하기 위한 포장재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날개의 상기 포장재 유도부를 향하는 말단에는, 포장재 유도부로 포장재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별통은 개폐 가능한 덮개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세절롤은 서로 회전속도가 다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쇄롤로 포장식품을 자동으로 공급해 주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는 제어부에 의해 파쇄유닛, 세절유닛, 교반날개 및 송풍팬이 구동될 때 함께 연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날개 중, 세절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날개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은, 상기 상기 세절유닛 하부에 배치되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는 제1 송풍팬; 상기 분별통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제1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어온 포장재를 흡인하여 분별통의 배출구로 가속 송풍하여 주는 제2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는 포장식품을 폐기할 때 파쇄유닛 및 세절유닛에 의한 식품과 포장지를 분별하는 기능이 우수하여 장치의 신뢰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롤에 의해 결빙된 냉동식품도 해동하지 않고 바로 분리작업이 가능하므로 기존 장치 대비 작업속도가 빠르고, 파쇄롤에 의해 포장식품을 1차적으로 파쇄한 후 세절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강도를 갖는 세절날의 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절날의 세절편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손상된 세절편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식품을 파쇄롤로 공급할 때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내부 투영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파쇄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세절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분별통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세절유닛의 평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내부 투영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파쇄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세절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분별통의 사시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100)는 도 1 및 2에서와 같이, 본체(200), 파쇄유닛(300), 세절유닛(400), 교반날개(500) 및 송풍팬(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도 1에서와 같이, 본 장치의 하우징 역할과 프레임 역할을 병행하는 것으로, 상기 파쇄유닛(300)을 지지하고 있으면서, 후술될 분별통(700), 식품 수집통(810) 및 포장재 수집통(820) 등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며,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하부에 캐스터(도면부호 미기재)가 설치될 수 있다.
파쇄유닛(300)은 포장식품을 1차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본 장치의 특징적 요소이다.
상기 파쇄유닛(300)은 도 1, 2 및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롤하우징(310)과, 상기 롤하우징 내에 모터 등에 의해 동력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롤(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하우징(310)은 그 상부에 포장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3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파쇄롤(320)에 의해 파쇄된 포장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하우징(310)의 투입구(311) 측에는 포장식품을 투입구로 자동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9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90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파쇄유닛(300), 세절유닛(400), 교반날개(500) 및 송풍팬(600)이 구동될 때 함께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쇄유닛(300) 등이 구동될 때는 컨베이어(900)도 연동되면서 포장식품을 자동으로 공급해 주고, 반대의 경우는 컨베이어(900)도 중지되므로 공정의 완전자동화가 가능해 진다.
상기 한 쌍의 파쇄롤(320)은 병렬 상태로 상기 롤하우징(310)에 회전축(32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대 롤을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에 형성된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파쇄롤(320)은 두 개의 롤 사이에서 파쇄가 이루어짐으로써 결빙상태의 딱딱한 냉동식품도 으깰 수 있는 강한 파쇄력을 갖는다. 따라서, 냉동식품을 해동해야 하는 번거러움도 없고, 후작업 유닛인 세절유닛(400)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파쇄롤(320)은 상기 회전축(321)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파쇄돌기(322a)가 연쇄적으로 형성된 원판형상의 단위 파쇄날(322)들과, 상기 단위 파쇄날들 사이에 개재되어 포장식품을 두 파쇄롤 사이로 물고 들어갈 수 있도록 말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323)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파이크(323)는 도 4에서와 같이, 삼각판의 각 모서리가 단위 파쇄날(322)의 외경에 비해 더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예리한 모서리가 회전하면서 포장식품의 표면을 찍어서 파지한 채 파쇄롤 사이로 끌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는 덩어리가 큰 포장식품이나 결빙되어 뭉쳐 있는 포장식품 등을 두 파쇄롤 사이로 끌고 들어갈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파이크(323)는 사각판이다 다각판의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두 파쇄롤(320) 간의 스파이크(323)는 도 4의 원내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대 스파이크가 회전될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세절유닛(400)은 도 2, 3 및 5에서와 같이, 상기 파쇄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별통(700) 내에서 회전축(s)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320)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세절유닛(400)은 회전축(s)의 일측에 끼워지는 다수의 세절날(410)과, 상기 세절날 사이에 개입되는 다수의 스페이서(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절날(410)은 상기 회전축(s)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411)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말단부(외주면 말단부)가 예리하게(에컨대 삼각형상) 형성된 세절부(4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세절부(412)는 다시 상기 축결합부(411)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트편(412a)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412b)으로 세분될 수 있다. 상기 세절부(412)는 축결합부(411)의 외주면에 3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갯수는 특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각 세절날(410)의 세절편(412b)과 그 사이사이에 개입되는 스페이서(420)에는 잠금바(430)가 관통설치되어 있어서 각 세절편(412b)이 각 루트편(412a)으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바(430)는 설치 상태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 나사 형태로 되어 상기 세절편 및 스페이서를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페이서(420)는 상기 세절날(410)들 사이에 개입되어, 세절날의 좌우면을 압박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세절날들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바(430)가 관통 설치되어 각 세절편(412b)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병행한다. 상기 스페이서(420)는 그 두께만큼 세절날(410) 사이의 이격시키게 되는데, 이격거리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개를 적층시켜 개입할 수 있다.
교반날개(500)는 도 1 및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이 끼워지는 축결합부(510)와, 상기 축결합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평판형상의 교반익(5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별통(700) 내에서 상기 회전축(s)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절유닛(400)에 의해 분별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과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7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711, 도 6에 표기됨)으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반날개(500)의 교반익(520) 말단에는 후술될 포장재 유도부(821)로 포장재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절곡부(5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유도 절곡부(521)는 송풍팬(600)의 절곡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500)는 도면상 3개의 교반익(520)이 축결합부(5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갯수는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송풍팬(60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세절날(410) 및 교반날개(500)와 함께 상기 회전축(s)에 인라인 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풍력을 발생시켜서 식품과 분별된 포장재를 상기 분별통(700)의 일측면에 마련된 배출구(712)로 송풍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팬(600)은 회전축(s)에 축결합되는 축결합부(610)의 외주면에 다수의 송풍익(620)을 방사상으로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각 송풍익(620)은 사각 평판형으로 되고, 그 일측 말단 모서리를 회전축(s)의 외주면 방향으로 단단 또는 다단 절곡하여 구성되는데, 송풍익(620)이 회전되면, 절곡부(621)에 의한 송풍력 및 분별통(700)의 내주면 형상에 의해 세절유닛(400)으로부터 분별통(700)의 배출구(712) 방향으로 풍력, 즉 사이클론 축류가 발생하므로 분별통(700) 내의 포장재를 배출구(712)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100)는 도 1,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00) 내의 분별통(700) 하부에 배치되어, 분별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식품을 수집하기 위한 식품 수집통(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본체(200)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분별통(700)으로부터 배출되는 포장재를 수집하기 위한 포장재 수집통(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별통(700)과 포장재 수집통(820) 사이에는 포장재를 포장재 수집통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직격판 형태의 포장재 유도부(82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수집통(810)과 포장재 수집통(820)은 본체(200)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서랍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분별통(700)은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하부를 구성하는 반원통(710)과, 반원통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원통(710)의 저면에는 분별된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공(7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분별된 포장재가 배출되는 배출구(712)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720)는 상기 반원통(710)에 내장되는 세절유닛(400)의 상측을 덮는 고정덮개(721)와, 분별통(700)에 내장되는 교반날개(500) 및 상기 포장재 유도부(821)의 상측을 덮는 개폐덮개(7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가 불가한 상기 고정덮개(721) 상에는 상기 롤하우징(310)이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한 상기 개폐덮개(722)는 본체(200)에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어서, 그 내부에 내장된 세절유닛(400), 교반날개(500) 등을 교환할 때 유용하며, 세절유닛 및 교반날개에 걸려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도 유용하다.
또한, 상기 포장재 수집통(820), 포장재 유도부(821) 및 이들과 인접하는 본체(200)의 일 측벽에는 분별통(700) 내에서 발생되는 풍력을 본체(2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바람 배출공(820a, 821a, 200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100)의 작용을 간략히 설명한다.
폐기해야 할 포장식품을 파쇄유닛(300)으로 투입하면, 회전되는 한 쌍의 파쇄롤(320) 사이를 통과하면서 뭉쳐져 있던 포장식품이 납작하게 펼쳐짐과 함께 파쇄돌기(322a)에 의해 1차적으로 파쇄가 이루어진다. 특히, 냉동 포장식품과 같이 딱딱하게 결빙된 포장식품의 경우에도 해동시키지 않고 바로 투입하더라도 한 쌍의 파쇄롤(322a)이 강하게 파쇄함으로써 세절유닛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 파쇄유닛(300)의 직하방에서 회전되고 있는 세절유닛(400)의 세절날(410) 회전방향에 의해, 1차적으로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함으로써 식품과 포장재가 대부분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파쇄유닛(300)과 동축상에서 회전되고 있는 송풍팬(600)의 풍력에 의해 경량의 포장재는 포장재 유도부(821)를 거쳐 포장재 수집통(820)으로 포집되고, 식품은 교반날개(500)의 회전압력에 의해 분별통(7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711)으로 배출되어 식품 수집통(810)으로 포집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포장식품용 분별장치(100)는 강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파쇄유닛(300)에 의해 결빙 등에 의해 딱딱한 상태의 포장식품을 해동시키지 않고도 바로 투입하여 포장재와 식품을 분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구성적으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용 세절유닛의 평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100)는 도 7 및 8에서와 같이, 본체(200), 파쇄유닛(300), 세절유닛(400), 교반날개(500) 및 송풍팬(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200), 파쇄유닛(300), 교반날개(500) 및 송풍팬(600)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언급되지 않은 기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은 파쇄유닛(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절유닛(400)이 본체(200)의 외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세절롤(400a,400b)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되게 설치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세절롤(400a,400b)이 대칭 회전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면, 이를 사이로 통과되는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그 양쪽에서 세절하게 되므로 제1 실시예에 비해 세절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각 세절롤(400a,400b)은 세절축(401)과, 상기 세절축에 끼워지는 다수의 세절날(4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절날(410)은, 상기 세절축(401)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411)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세절부(4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절부(412)는 상기 축결합부(411)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트편(412a)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4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절편(412b)과 다른 세절날의 세절편은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바(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절날(410)들 사이에는 세절날을 이격시켜주는 스페이서(420)가 개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세절롤(400a,400b) 간의 세절날(410)은 스페이서(420)의 중첩 개수에 차이를 두어서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두 세절롤(400a,400b)의 세절날(410)의 일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가 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유효하게 세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두 세절롤(400a,400b)은 그 회전속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세절롤이 포장식품을 지지하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세절롤은 지지된 포장식품을 두 세절롤 사이로 끌고 들어가는 역할을 함으로써 두 세절롤의 속도가 동일할 때와 비교하였을 때 포장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끌고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200 : 본체 300 : 파쇄유닛
400 : 세절유닛 500 : 교반날개
600 : 송풍팬 700 : 분별통
810 : 식품 수집통 820 : 포장재 수집통
900 : 컨베이어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쇄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의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롤을 포함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별통 내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다수의 세절날을 포함하는 세절유닛;
    상기 분별통 내에서 세절날과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화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의 하부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교반날개; 및
    상기 세절날 및 교반날개와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2.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쇄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포장식품을 얇게 펼침과 동시에 원주면에 형성된 파쇄돌기에 의해 포장식품을 파쇄하는 한 쌍의 파쇄롤을 포함하는 파쇄유닛;
    상기 파쇄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세절축에 의해 서로를 향해 대칭 회전하면서 상기 파쇄롤에 의해 얇게 파쇄된 포장식품을 길이방향으로 세절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별하는 세절롤을 포함하는 세절유닛;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분별통 내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식품과 포장재를 교반하여 재차 분별함과 함께, 회전압에 의해 분별통의 하부로 식품을 배출시켜주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날개와 동축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여 주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롤은,
    상기 파쇄축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파쇄돌기가 연쇄적으로 마련된 다수의 단위 파쇄날; 및
    상기 단위 파쇄날들 사이에 개재되어 포장식품을 두 파쇄롤 사이로 물고 들어갈 수 있도록 말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 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롤 간의 스파이크 날은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절날들은, 상기 회전축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세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절부는 상기 축결합부와 일체로 되는 루트편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절편과 다른 세절날의 세절편은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세절롤은 세절축과, 상기 세절축에 끼워지는 다수의 세절날로 구성되되,
    상기 세절날은, 상기 세절축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세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절부는 상기 축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루트편과, 상기 루트편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절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절편과 다른 세절날의 세절편은 이들을 관통하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세절날들 사이에 개입되어, 세절날들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 세절롤 간의 세절날은 서로 교호하게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분별통으로부터 배출되는 포장재를 수집하기 위한 포장재 수집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별통과 포장재 수집통 사이에 마련되어, 포장재를 포장재 수집통으로 유도하기 위한 포장재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의 상기 포장재 유도부를 향하는 말단에는, 포장재 유도부로 포장재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절곡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분별통은 개폐 가능한 덮개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절롤은 서로 회전속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파쇄롤로 포장식품을 자동으로 공급해 주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어부에 의해 파쇄유닛, 세절유닛, 교반날개 및 송풍팬이 구동될 때 함께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 중, 세절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교반날개에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상기 세절유닛 하부에 배치되어, 포장재를 분별통의 배출구로 송풍하는 제1 송풍팬;
    상기 분별통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제1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어온 포장재를 흡인하여 분별통의 배출구로 가속 송풍하여 주는 제2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식품용 포장지와 음식물 분별장치.
















KR1020190176652A 2019-12-27 2019-12-27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KR10228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2A KR102287919B1 (ko) 2019-12-27 2019-12-27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2A KR102287919B1 (ko) 2019-12-27 2019-12-27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94A true KR20210083894A (ko) 2021-07-07
KR102287919B1 KR102287919B1 (ko) 2021-08-10

Family

ID=7686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52A KR102287919B1 (ko) 2019-12-27 2019-12-27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9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9142A (zh) * 2021-08-27 2022-02-11 徐州市富瑞达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式矿石粉碎装置及粉碎方法
CN114345491A (zh) * 2021-12-09 2022-04-15 钟昌文 一种中药加工用人参切片设备
CN114950666A (zh) * 2022-05-27 2022-08-30 赣州赛可韦尔科技有限公司 多类型动力锂电池破碎耦合装备
CN115463711A (zh) * 2022-10-09 2022-12-13 耒阳市焱鑫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多级处理的含砷碱渣湿式破碎设备
KR20230036588A (ko) * 2021-09-06 2023-03-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식품 포장물 분리 선별장치
CN117244654A (zh) * 2023-11-20 2023-12-19 长春中医药大学 一种中药粉碎磨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888A (ja) * 2000-12-18 2002-06-25 Kajima Corp 生ごみ様廃棄物の異物分離装置
JP3166106U (ja) 2010-12-08 2011-02-17 宗信 ▲呉▼ 液圧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KR20160093752A (ko) * 2015-01-29 2016-08-09 (주)한국기능공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5846B1 (ko) * 2016-11-24 2018-03-22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JP3227494U (ja) 2020-05-20 2020-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888A (ja) * 2000-12-18 2002-06-25 Kajima Corp 生ごみ様廃棄物の異物分離装置
JP3166106U (ja) 2010-12-08 2011-02-17 宗信 ▲呉▼ 液圧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KR20160093752A (ko) * 2015-01-29 2016-08-09 (주)한국기능공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5846B1 (ko) * 2016-11-24 2018-03-22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JP3227494U (ja) 2020-05-20 2020-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9142A (zh) * 2021-08-27 2022-02-11 徐州市富瑞达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式矿石粉碎装置及粉碎方法
KR20230036588A (ko) * 2021-09-06 2023-03-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식품 포장물 분리 선별장치
CN114345491A (zh) * 2021-12-09 2022-04-15 钟昌文 一种中药加工用人参切片设备
CN114950666A (zh) * 2022-05-27 2022-08-30 赣州赛可韦尔科技有限公司 多类型动力锂电池破碎耦合装备
CN115463711A (zh) * 2022-10-09 2022-12-13 耒阳市焱鑫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多级处理的含砷碱渣湿式破碎设备
CN115463711B (zh) * 2022-10-09 2023-10-27 耒阳市焱鑫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多级处理的含砷碱渣湿式破碎设备
CN117244654A (zh) * 2023-11-20 2023-12-19 长春中医药大学 一种中药粉碎磨料装置
CN117244654B (zh) * 2023-11-20 2024-02-02 长春中医药大学 一种中药粉碎磨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919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919B1 (ko) 폐기식품용 포장재와 식품의 분별장치
KR101744700B1 (ko)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JP4914013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機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方法
US7048215B2 (en) Comminuting apparatus having screen and access tray
KR20140002415A (ko) 음식물 분쇄장치
US5836527A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solid waste materials
US2889862A (en) Rotary chopper type hay breaker assembly
JPH04503631A (ja) 物品、特に家庭廃棄物の選別処理機
US4828188A (en) Paper shredding device
HU214070B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utting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wastes
KR102254807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WO1995033566A1 (en) An improved apparatus for comminuting solid waste materials
CN102870556A (zh) 一种多功能粉碎机
JP3455906B2 (ja) 破砕装置
KR101732949B1 (ko) 수목가지 파쇄 장치
US2184123A (en) Reversible hood and chute for grinding machines
CN217016879U (zh) 一种高效多用途饲料粉碎装置
JP2003126718A (ja) 破砕処理装置
US3491815A (en) Baled feed mills
JP2005066459A (ja) 粉砕機
KR20020040197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기
CN218222765U (zh) 粉碎室
CN218013316U (zh) 一种离心碎纸风机
KR102657898B1 (ko) 플라스틱병 파쇄장치
KR102550682B1 (ko) 칡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